KR20140147355A -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355A
KR20140147355A KR1020130070443A KR20130070443A KR20140147355A KR 20140147355 A KR20140147355 A KR 20140147355A KR 1020130070443 A KR1020130070443 A KR 1020130070443A KR 20130070443 A KR20130070443 A KR 20130070443A KR 20140147355 A KR20140147355 A KR 2014014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lens
screen
reflected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환
정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택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택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택투스
Priority to KR102013007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7355A/ko
Publication of KR2014014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터치스크린에서 소정의 지점에 손가락이나 지시봉 등을 갖다 대었을 때, 그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를 인식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는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수단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수광하고,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시간에 따른 광량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린의 평면상에 지시물체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도록 2개로 이루어진 한쌍의 물체감지수단 및 상기 스크린의 좌, 우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체감지수단은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반도체레이저와 상기 반도체레이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라인빔으로 만들기 위한 원통렌즈 및 상기 원통렌즈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라인빔을 확대하기 위한 어안렌즈로 구성된 발광부와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라인빔을 수광하여 집광하기위한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을 집속하여 레이저빔의 세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받은 상기 레이저빔의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위치좌표를 계산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된 수광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Optical touch screen of location-aware devices}
본 발명은 광학 터치스크린에서 소정의 지점에 손가락이나 지시봉 등을 갖다 대었을 때, 그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를 인식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ATM시스템 이나, 박물관 등에서 안내를 위해 사용되어온 기술로,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확산에 따라 일반인에게 더욱 친숙한 기술로 다가오고 있다. 휴대폰, PC, 스마트TV 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터치스크린 기술은 저항막, 정전용량 및 광학방식 기술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저항막방식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컨트롤러와 특별 코팅 유리판을 사용하여 터치 연결을 생성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2개의 얇은 전기 전도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판은 좁은 틈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으며, 손가락 등의 입력 수단으로 패널의 외부 표면에 특정 지점을 누르면 두 판이 연결된 후 전기 전류에 터치 이벤트로 인식되는 변화를 야기한다.
저항막방식의 장점은 손가락(장갑 착용에 관계없이), 펜, 스타일러스 또는 딱딱한 물체를 사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는 것이나, 이미지 선명도가 저하되고 저항막판의 마모로 인해 주기적으로 재보정이 필요하며 잘긁히는 점 때문에 공공장소에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며, 파손되기 쉽고 저항막판이 깨지거나 흠집이 생기면 터치가 인식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정전용량 터치스크린은 모두 유리로 되어 있으며 저항막 기술보다 선명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다. 센서전극과 손가락 사이에 정전용량변화에 따라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여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노이즈 신호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나, 환경적 신뢰성에 강하고 상부 Barrier Layer를 변경함에 따라 기계적 신뢰성도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정전용량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만 활성화되므로, 스크린 코팅을 긁으면 화면에 데드 스팟이 생겨 장갑을 낀 손가락, 펜, 스타일러스 또는 딱딱한 물체를 인식하지 않는 문제와 대형 화면으로 쉽게 확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광학방식 터치스크린은 스크린 표면에 수평으로 방출되는 광원과 두 개의 광학 센서가 광원의 간섭을 감지하여 화면에 인접한 모든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손가락으로 누르지 않아도 매우 정확하게 대상을 인식하고, 특수한 코팅이나 필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흠집이 생기거나 마모 또는 흐려질 일이 없다. 화면의 양쪽 모서리 또는 특정 면에 광학 센서를 탑재한 광학터치는 양쪽 각도에서 스크린을 터치하는 물체를 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광학방식 터치기술은 탁월한 정밀도로 인하여 손가락, 펜, 신용카드 등 무엇으로든 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고, 살짝만 눌러도 인식이 된다. 또한, 광학터치 기술은 어떤 디스플레이에도 터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으로, 스크린의 크기에 상관없이 대형 및 소형 스크린에 동일 기술을 사용하므로 대형 스크린에서 특히 뛰어난 비용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광학방식은 기존 디스플레이의 품질과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경제적이고 손쉽게 일반 디스플레이를 터치스크린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데스크탑 PC 또는 전자 칠판에 부가하여 설치 가능한 기술이기도 하다. 악조건의 환경이나 실외에서도 터치 정확도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4674호와 같이 기존 디스플레이에 부가하여 설치하는 터치스크린용 광학장치의 경우, 스크린 면을 지나는 광과 스크린면 사이의 간격이 커서 정확도 및 안정성이 떨어지고, 미관상 보기 안좋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용 광학장치를 얇은 두께로(박형화)하여 출사되는 광이 스크린에 근접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물체감지수단에 모터를 제거하고, 집광렌즈와 45도반사미러를 일체화하여 광이 스크린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감지수단의 전면에 어안렌즈를 부착하여 물체감지수단의 배치위치를 다양하게 하고, 물체감지수단을 박형화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수단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수광하고,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시간에 따른 광량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린의 평면상에 지시물체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도록 2개로 이루어진 한쌍의 물체감지수단 및 상기 스크린의 좌, 우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체감지수단은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반도체레이저와 상기 반도체레이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라인빔으로 만들기 위한 원통렌즈 및 상기 원통렌즈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라인빔을 확대하기 위한 어안렌즈로 구성된 발광부와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라인빔을 수광하여 집광하기위한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을 집속하여 레이저빔의 세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받은 상기 레이저빔의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위치좌표를 계산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된 수광부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는 스크린 면을 지나는 광과 스크린 면 사이의 간격을 줄여 정확도 및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감지수단을 박형으로 만들 수 있어, 미관상 보기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수단이 장착된 광학 터치스크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수단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수단에서 송광되는 라인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수단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귀반사필름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회귀반사필름 상세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수단이 장착된 광학 터치스크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인식장치는 스크린(50), 텔레비젼 모니터, 데스크탑 모니터 등 터치스크린이 적용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광학 방식을 이용하여 터치하는 지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는 스크린(5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수단(200)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반사수단(200)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고, 회귀반사되는 레이저빔의 시간에 따른 광량 변화를 분석하여 스크린(50)의 평면상에 지시물체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도록 2개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물체감지수단(100)과 스크린의 좌, 우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물체감지수단(100)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을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감지수단(100)은 레이저빔을 송광하는 발광부(110)와 반사수단(200)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수광부(120)로 이루어진다.
발광부(110)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반도체레이저(111)와 반도체레이저(111)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을 라인빔 형태로 만들기 위한 원통렌즈(112)로 구성된다. 원통렌즈(112)는 반도체레이저(111)의 전면에 위치하고, 원통렌즈(112)를 통과한 레이저빔은 라인빔으로 바뀌고, 라인빔은 원통렌즈(112) 전면에 위치한 어안렌즈(113)를 지나면 스크린(50)의 전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의 라인빔으로 바뀌게 된다.
어안렌즈(113)에 의해 확대된 라인빔은 스크린(50)과 평행을 이뤄 반사수단(200)까지 진행하게 되고, 확대된 라인빔의 길이 때문에, 물체감지수단(100)을 포함한 위치인식장치는 스크린의 상부 어느 곳이든 위치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되던 발광부(110)는 스크린(50)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해 모터를 반도체레이저(111)에 장착하거나, 반도체레이저(111)의 전면에 모터를 부착한 미러를 구비하였다. 모터를 구비할 경우 추가전원이 필요하고, 소음이 발생되며, 위치인식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대신 원통렌즈(112)와 어안렌즈(113)를 사용하여 레이저빔을 라인빔으로 바꾸고, 라인빔이 스크린(50)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수광부(120)는 반사수단(200)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라인빔을 수광하여 집광하기위한 집광렌즈(121)와 집광된 레이저빔을 집속하여 레이저빔의 세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122) 및 광검출기(122)로부터 받은 레이저빔의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위치좌표를 계산하는 마이콤(123)으로 구성된다. 집광렌즈(121)는 반사수단(200)으로부터 회귀되는 라임빔을 수광하여 집광하기 위해 전면부는 볼록렌즈 형태를 가지고, 후면부는 45도커팅된 구조를 가져, 집광된 레이저빔을 광검출기(122)로 전달하게 한다. 집광렌즈(121)로 수광되는 라인빔은 볼록렌즈 형태의 집광렌즈에 의해 집광렌즈(121) 후면에 라인빔이 레이저빔 형태로 집광되고, 집광된 레이저빔은 45도커팅된 집광렌즈(121)의 후면구조에 의해 별도의 굴절수단없이 집광된 라인빔을 광검출기(122)로 전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물체감지수단에서 송광되는 라인빔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물체감지수단(100) 발광부(110)에서 송광되는 라인빔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50) 전체를 커버할 수 있을 만큼 길이가 길어지며, 반사수단(200)까지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반사수단(200)에서 회귀반사된 라인빔은 한쌍의 물체감지수단(100) 수광부(120)로 수광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수단(200)은 스크린의 좌, 우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물체감지수단(100)으로부터 조사되는 라인빔을 다시 물체감지수단(100)으로 회귀반사하도록 형성된다. 반사수단(200)은 스크린(50)의 테두리에 설치되며 스크린(50)의 크기에 맞게 잘라 쓸수 있도록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사각막대기형상의 스펀지(210)와 스펀지(210)의 상면에 형성되어 물체감지수단(100)으로부터 입사받은 레이저빔을 다시 물체감지수단(100)으로 회귀반사시키기 위한 희귀반사필름(230)과 희귀반사필름(230)이 형성되는 면과 교차되는 면에 그 희귀반사필름(230)보다 높게 설치되며 회부에서 유입되는 빛이 회귀반사필름(230)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라인빔의 산란광이 전면으로 향하여 사람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호필름(250)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귀반사필름의 상세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귀반사필름(230)은 톱날형상의 베이스필름층(231)과 그 베이스필름층(231)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층(233)과 그 반사층(233)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층(250)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회귀반사필름 상세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귀반사필름(230)은 베이스필름층(231)과 그 베이스필름층(231)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층(233)과 그 반사층(233)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굴절유리알층(237)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50 : 스크린 100 : 물체감지수단
110 : 발광부 111 : 반도체레이저
112 : 원통렌즈 113 : 어안렌즈
115 : 송광 라인빔 116 : 수광 라인빔
120 : 수광부 121 : 집광렌즈
122 : 광검출기 123 : 마이콤
200 : 반사수단 210 : 스펀지
230 : 회귀반사필름 231 : 베이스필름층
233 : 반사층 235 : 보호층
237 : 고굴절유리알층 250 : 보호필름

Claims (8)

  1.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수단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수광하고,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시간에 따른 광량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린의 평면상에 지시물체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도록 2개로 이루어진 한쌍의 물체감지수단; 및
    상기 스크린의 좌, 우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체감지수단은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반도체레이저와 상기 반도체레이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라인빔으로 만들기 위한 원통렌즈 및 상기 원통렌즈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라인빔을 확대하기 위한 어안렌즈로 구성된 발광부와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라인빔을 수광하여 집광하기위한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로부터 상기 레이저빔을 집속하여 레이저빔의 세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받은 상기 레이저빔의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위치좌표를 계산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된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크기에 맞게 잘라쓸 수 있도록 한 사각막대기형상의 스펀지;
    상기 스펀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부터 입사받은 레이저빔을 다시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회귀반사필름; 및
    상기 회귀반사필름보다 높게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이 상기 회귀반사필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이저빔의 산란광이 전면으로 향하여 사람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보호필름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반사필름은 톱날형상의 베이스필름층과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반사필름은 톱날형상의 베이스필름층과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굴절유리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틀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렌즈는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원통렌즈를 지나면 길이가 길어진 라인빔의 형태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안렌즈는 상기 원통렌즈를 지난 라인빔을 확대시키며, 상기 어안렌즈에 의해 확대된 상기 라인빔은 상기 스크린의 전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되는 상기 라인빔을 수광하여 집광하기 위해 전면부는 볼록렌즈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에 의해 집광된 레이저빔을 상기 광검출기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집광렌즈의 후면부는 45도커팅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KR1020130070443A 2013-06-19 2013-06-19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KR20140147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43A KR20140147355A (ko) 2013-06-19 2013-06-19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43A KR20140147355A (ko) 2013-06-19 2013-06-19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55A true KR20140147355A (ko) 2014-12-30

Family

ID=5267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443A KR20140147355A (ko) 2013-06-19 2013-06-19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3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956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JP5346081B2 (ja) ペントラッキングを組み込んだマルチタッチ式タッチスクリーン
WO2015192621A1 (zh) 触摸感应器、触摸感应设备、指纹图像采集器及电子设备
US9176628B2 (en) Display with an optical sensor
TWI571769B (zh) 非接觸輸入裝置及方法
EP2498169A2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n indicating object
JP2011527478A (ja) ペントラッキングを組み込んだマルチタッチ式タッチスクリーン
CN101971123A (zh) 具有可切换漫射体的交互式表面计算机
US20150035799A1 (en) Optical touchscreen
WO2005031554A1 (ja) 光学式位置検出装置
US20130016066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module thereof
KR101504608B1 (ko)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KR20110062824A (ko) 관심 영역 내 이벤트의 좌표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시큐리티 장치 및 전자 칠판
JP2010282463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CN102063228B (zh) 光学侦测系统及应用该光学侦测系统的触摸屏
KR20140147355A (ko)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KR20140147347A (ko)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KR20130086727A (ko)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KR101409818B1 (ko)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5659193A (zh) 多功能人机交互设备
KR101322281B1 (ko) 투과렌즈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KR20130084734A (ko) 반사거울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KR101598634B1 (ko) 광학 터치 시스템
KR101309623B1 (ko) 대칭 반사거울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TWI406161B (zh) Touch panel with a single detection module location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