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592B1 - 장례용 관 시트 - Google Patents

장례용 관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592B1
KR101504592B1 KR20140032070A KR20140032070A KR101504592B1 KR 101504592 B1 KR101504592 B1 KR 101504592B1 KR 20140032070 A KR20140032070 A KR 20140032070A KR 20140032070 A KR20140032070 A KR 20140032070A KR 101504592 B1 KR101504592 B1 KR 10150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uneral
tube
presen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업순
Original Assignee
김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업순 filed Critical 김업순
Priority to KR2014003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2Linings and vene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신을 관에 입관하는 과정에서 관의 허접한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관의 내부를 차폐시킴과 동시에 장식효과까지 불러 일으켜 장례의 품격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장례용 관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10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관(2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시신(220)이 안치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에서 전·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10)에 안치된 시신(220)을 덮는 덮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2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례용 관 시트{Coffin sheet for funeral}
본 발명은 장례용 관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신을 관에 입관하는 과정에서 관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관의 내부를 차폐시킴과 동시에 시신을 감싸는 장례용 염보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장식효과까지 불러 일으켜 장례의 품격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장례용 관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하는 과정에서 우선 먼저, 시신을 정갈하게 씻긴 후 수의를 입히고 시신의 머리는 창호지를 사용하여 감싸 놓는다.
그런 후 관에 미리 겹겹으로 깔아 놓은 한지 위에 시신을 눕히고, 시신의 양 옆과 상·하쪽에서 연장되어 나와 있는 한지를 이용하여 시신을 감싸게 되는 데, 이때 겹겹으로 깔아 놓은 한지가 낱장으로 되어 있어 시신을 덮기 위해서는 많은 손질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례용 염보가 제안되었다.
도 1의 장례용 염보(10)는 여러 장의 삼베를 중첩하여 형성한 받침부(20)와, 이 받침부(20)의 하측에 발부분을 덮을 수 있는 하단부(11)를 가지고, 받침부(20)의 좌·우측에서 시신을 덮어 올릴 수 있는 좌·우측 날개부(12)(13)를 가지며, 받침부(20)의 상측에 얼굴 부분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14)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염보(10)는 시신을 입관하는 과정에서 염을 마치고 수의를 입힌 시신을 둘러 감싸 마감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한지로 감싸는 것에 비하여 입관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시신을 어느 정도 깨끗한 상태로 감싸서 마감하는 효과는 있으나, 염보(10)로 감싸서 마감한 상태에서도 관(미도시)의 허접한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염보(10)는 염을 마치고 수의를 입힌 시신을 둘러 감싸 마감한 상태에서 염보(10)가 시신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염보(10)에 부착된 별도의 끈(미도시)을 사용하여 시신을 묶거나 동여매고 있어 장례의 품격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유족들이 이를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77259호(2005. 2. 21.) 2)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0514153호(2005. 9. 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관의 허접한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관 내부의 장식효과까지 불러 일으켜 장례의 품격을 높이는 장례용 관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을 마치고 수의를 입힌 시신을 둘러 감싸거나 끈으로 고정하는 일 없이 간단히 안치하는 것만으로도 입관작업을 마감할 수 있는 장례용 관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신이 장례용 관에 안치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없이 자연스럽게 지지되는 장례용 관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관의 내부에 수납되어 시신이 안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전·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안치된 시신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의 내부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의 내측면 상단 둘레를 따라 다수의 수벨크로테이프(velcrotape)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벨크로테이프와 대향되는 위치에 암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 상단 둘레를 따라 외관의 미적 향상을 위한 주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부는 밴드를 통해 연결되어 신축자재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덮개부에는 종교를 표시하는 문양이 나염처리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장례용 관 시트는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첫째, 암·수 벨크로테이프와 밴드의 사용에 의해 관 내부에의 설치가 용이하고, 시신을 입관하는 과정에서 장례용 관 시트가 관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커버링(covering)하는 형태로서 마감처리됨에 따라 관의 허접한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주름부에 의한 장식효과까지 추가되어 장례의 품격을 크게 높인다.
둘째, 염을 마치고 수의를 입힌 시신을 간단히 안치하는 것만으로 입관작업이 마감처리됨에 따라, 염을 마치고 수의를 입힌 시신을 다시 염보로 둘러 감싼 후 그 염보가 시신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끈을 사용하여 염보를 시신에 고정시키는 종래기술에 의한 염보의 사용상 번거로움을 해소함으로써 입관작업의 마감처리를 간편하게 한다.
셋째, 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므로 시신이 장례용 관 시트에 안치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없이 자연스럽게 지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염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부분 확대도 및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에 시신이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에 시신이 안치된 상태에서 관 시트의 덮개부로 시신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의 부분 확대도 및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에 시신이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에 시신이 안치된 상태에서 관 시트의 덮개부로 시신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100)는 크게 본체부(110) 및 덮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서 관(2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시신(220)이 안치되며, 재질로서는 공단(貢緞), 인견(人絹), 면(綿)을 포함하여 다양한 섬유재질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감소하여 대략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신(220)이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외측면 상단 둘레를 따라 관 내부의 미적 향상을 위한 주름부(11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이 주름부는 밴드(band)(11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본체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伸縮)이 자재하다.
이에 따라 일반관이나 특관 등, 관(20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관의 내부에 탈·착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10)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벨크로테이프(velcrotape)(202)와 대향되는 위치에 암벨크로테이프(1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120)는 사각 형태로서 일단부가 본체부(110)의 상단에서 재봉 등을 통해 고정 부착되어 있어서 전·후 회동가능하며, 본체부(110)에 안치된 시신(220)을 덮는데 사용된다.
이때, 덮개부(120)는 시신을 충분히 덮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도 1의 종래기술에 의한 염보(10)에서 설명한 하단부(11)의 형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에는 유교, 불교, 천주교, 기독교 등 고인의 종교를 나타내는 문양(122)이 나염(textile printing)처리를 통해 구비된다. 또한,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본체부의 내부로 처지게 되나 이를 도면(선)으로 표시하는 경우, 형태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으므로 편의상 도 2에서는 덮개부(120)가 편평한 형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관(200)의 내측면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암벨크로테이프(116)에 탈착되는 다수의 수벨크로테이프(velcrotape)(202)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관(200)에 수벨크로테이프(202), 본체부(110)에 암벨크로테이프(116)가 구비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200)에 암벨크로테이프(116), 본체부(110)에 수벨크로테이프(202)를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벨크로테이프를 대신하여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2중 미설명 부호 212는 문양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관(200)의 내부에 장례용 관 시트(100)를 설치한다. 즉 관(200)의 내부에 장례용 관 시트(100)를 수납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암벨크로테이프(116)를 관(2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벨크로테이프(202)에 각각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각 둘레는 관(20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본체부(110)의 바닥면은 관(2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부(120)를 후방향으로 젖히고 정갈하게 씻겨서 염을 마친 시신(220)을 수의를 입힌 상태에서 본체부(110)에 눕힌다. 이때 시신(220)은 전술한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자연스럽게 안치된다.
이후, 덮개부(120)를 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시신(220)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 관뚜껑(210)을 닫는다.
본 발명의 장례용 관 시트(100)는 암·수 벨크로테이프(116, 202)와 밴드(114)의 사용에 의해 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관 내부에의 설치가 용이하고, 시신(220)을 입관하는 과정에서 장례용 관 시트(100)가 관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커버링(covering)하는 형태로서 마감처리됨에 따라 관의 허접한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주름부(112)에 의한 장식효과까지 추가되어 장례의 품격을 크게 높인다.
또한, 염을 마치고 수의를 입힌 시신을 간단히 안치하는 것만으로 입관작업이 마감처리됨에 따라, 염을 마치고 수의를 입힌 시신을 다시 염보(10)로 둘러 감싸고 또한 그 염보(10)가 시신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끈을 사용하여 염보(10)를 시신에 고정시키는 종래기술에 의한 염보(10)의 사용상 번거로움을 해소함으로써 입관작업의 마감처리를 간편하게 한다.
또한, 장례용 관시트(100)가 관(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므로 시신(220)이 장례용 관시트(100)의 바닥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없이 자연스럽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례용 관 시트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염보
100 : 장례용 관 시트 110 : 본체부
112 : 주름부 114 : 밴드
116 : 암벨크로테이프 120 : 덮개부
122,212 : 문양 200 : 관
202 : 수벨크로테이프 210 : 관뚜껑
220 : 시신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관(2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시신(220)이 안치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에서 전·후 회동가능하게 고정 부착되어 상기 본체부(110)에 안치된 시신(220)을 덮는 덮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120)가 부착된 상기 본체부(110)가 상기 관(2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110)가 상기 관(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200)의 내측면 상단 둘레를 따라 다수의 수벨크로테이프 (velcrotape)(20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벨크로테이프(202)와 대향되는 위치에 암벨크로테이프(1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면 상단 둘레를 따라 외관의 미적 향상을 위한 주름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부(112)는 밴드(114)를 통해 연결되어 신축자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시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20)에는 종교를 표시하는 문양(122)이 나염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시트.




KR20140032070A 2014-03-19 2014-03-19 장례용 관 시트 KR10150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070A KR101504592B1 (ko) 2014-03-19 2014-03-19 장례용 관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070A KR101504592B1 (ko) 2014-03-19 2014-03-19 장례용 관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592B1 true KR101504592B1 (ko) 2015-03-20

Family

ID=5302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2070A KR101504592B1 (ko) 2014-03-19 2014-03-19 장례용 관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16A (ja) * 1997-11-26 1999-06-15 Bagaajushima:Kk ペット用棺
JP2001145673A (ja) * 1999-11-24 2001-05-29 Zentaro Kojima
KR200323349Y1 (ko) * 2003-05-20 2003-08-14 권도형 장례용 관 보호덮개
WO2010126145A1 (ja) * 2009-04-30 2010-11-04 株式会社吉田木工所 棺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16A (ja) * 1997-11-26 1999-06-15 Bagaajushima:Kk ペット用棺
JP2001145673A (ja) * 1999-11-24 2001-05-29 Zentaro Kojima
KR200323349Y1 (ko) * 2003-05-20 2003-08-14 권도형 장례용 관 보호덮개
WO2010126145A1 (ja) * 2009-04-30 2010-11-04 株式会社吉田木工所 棺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62557A1 (en) Partially fitted sheet
KR101355247B1 (ko) 코 마스크
US10863826B1 (en) Hooded neck pillow with adjustable face covering
US9596888B2 (en) Baby wrap
US20170360138A1 (en) Shower Cap with Wide Band
US20130254990A1 (en) Fitted Sheet
KR101504592B1 (ko) 장례용 관 시트
US20080216401A1 (en) Waterproof plant pot holder
KR101024063B1 (ko) 3면 지퍼를 구성한 상하 분리형 침대매트리스 커버
USD809735S1 (en) Pet burial or cremation bag
CN205285776U (zh) 床笠式拉链床单
KR200456063Y1 (ko) 전기매트용 커버
USD814138S1 (en) Pet burial or cremation bag
CN208550843U (zh) 复合型枕具
KR200480036Y1 (ko) 아기캐리어 커버
KR200292849Y1 (ko) 시신보
JP2016088142A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TWM563228U (zh) 複合型枕具
KR102599070B1 (ko) 기능성 한복 속바지
KR101365707B1 (ko) 귀마개 착탈형 넥워머
KR100815266B1 (ko) 남성용 이불
KR200450744Y1 (ko) 매트리스시트 착탈식 침대이불
KR200310415Y1 (ko) 침대프레임의 커버 결합구조
KR200488901Y1 (ko) 신발과 베게가 부착된 인체형 침낭
JP2006271858A (ja) 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