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037B1 - 식물유연소기 - Google Patents

식물유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037B1
KR101504037B1 KR20130132817A KR20130132817A KR101504037B1 KR 101504037 B1 KR101504037 B1 KR 101504037B1 KR 20130132817 A KR20130132817 A KR 20130132817A KR 20130132817 A KR20130132817 A KR 20130132817A KR 101504037 B1 KR101504037 B1 KR 10150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lever
vegetable oil
wall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수
Original Assignee
장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수 filed Critical 장지수
Priority to KR2013013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지를 사용하면서도 점성과 인화점이 높은 식물유를 연료로 하여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유연소기는, 상면이 개방된 통체(11)와 상기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12)로 형성되는 연료통(10)과, 상기 연료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는 심지(20)와, 상기 심지를 수직으로 승강시켜주는 승강기구(30) 및 다공형의 외·내부 연소통(40)(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물유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심지(20)는 면직물로 되는 관 형태의 내·외피(21)(21')와, 면직물로 되며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개재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내부심재(22) 및 상기 내·외피와 내부심재(22)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유연소기{Vegetable oil burner}
본 발명은 식물유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지를 사용하면서도 점성과 인화점이 높은 식물유를 연료로 하여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심지를 사용하여 점성과 인화점이 높은 식물유를 연료로 하는 연소기는,심지의 상단에 점화를 하여 식물유가 연소할 때 비록 연소통을 통해서는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었으나 이러한 공기의 공급만으로는 점성이 높은 식물유가 효율적으로 연소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불완전연소가 발생하여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과, 불완전연소로 인체에 유해한 그을음이나 냄새 등이 배출되었음은 물론 타르가 발생하여 심지의 상단에 그대로 엉겨붙어 연소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는 식물유의 공급이 차단되어 상단 전체에서의 고른 연소유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더욱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소화를 시키면 엉겨붙은 타르가 굳어서 심지와 한 덩어리로 되어 제거할 수 없게 되어 신속한 점화와 고른 연소유지가 안 되었기 때문에 그대로는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여 심지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심지의 수명단축에 따른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식물유연소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항상 신속하고도 원활한 점화와 연소는 물론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용이함은 물론 자원과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식물유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식물유를 수용하는 연료통과, 상기 연료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장착되며 면직물로 되는 내·외피와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빙 둘러 수직으로 개재되어 부착되는 다수의 면직물로 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외피와 내부심재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여 연료와 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심지와, 상기 심지를 수직으로 승강시켜주는 승강기구 및 다공성의 외·내부 연소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심지의 상단에 점화를 하면 외·내부 연소통은 물론 심지의 내면에서도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기 때문에 신속한 점화와 고른 연소유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고열과 양질의 화염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식물유연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지를 면직물로 되는 내·외피와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빙 둘러 수직으로 개재시켜 고정하는 다수의 면직물로 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여 연료와 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상부의 상부심지와, 상기 상부심지와 동일한 지름으로 되게 직물로 형성되는 하부의 하부심지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단이 소실되어 상부심지의 길이가 줄어들면 상부심지만 교체하고 하부심지는 계속 사용토록 함으로써 자원과 비용의 낭비 등이 방지되는 식물유연소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기는, 면직물로 되는 내·외피와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빙 둘러 수직으로 개재되어 부착되는 다수의 면직물로 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외피와 내부심재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공기통로를 구비하게 형성되는 심지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흡수되는 식물유는 심지의 상단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어 상단 전체의 점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내부 연소통과 심지의 내면을 통해서도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연소가 더욱 활발하게 촉진되어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고열과 양질이 화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완전연소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심지의 수명단축이 방지되어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용이하고 자원과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지 않게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유연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심지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도 2a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를 발췌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b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를 발췌분리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3a~c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심지의 상승과정을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저면도
도 5a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 적용되는 심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 적용되는 심지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유연소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유연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심지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이며, 도 2a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를 발췌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를 발췌분리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며, 도 3a~c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심지의 상승과정을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저면도이다.
도 1a ~ 도 4에 따른 본 발명 연소기는, 식물유를 수용하는 연료통(10)과, 상기 연료통에 장착되는 심지(20)와, 상기 심지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구(30) 및 다공성의 외·내부 연소통(40)(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통(10)은, 외주벽(111)과 상기 외주벽의 하단에서 중앙으로 수평연장되다 하방과 내측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2단 절곡되는 바닥판(112)과 상기 바닥판의 내단에서 상단이 외주벽의 상단보다 높게 상방으로 수직연장되는 내주벽(113)과 상기 내주벽의 하부와 바닥판의 2단 절곡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심지(20)의 하부가 수용되는 수용실(114) 및 상기 내주벽에 의해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공기공급로(115)를 구비하는 통체(11)와, 외주에 하향연장되는 외벽(121)과 내주에 하향연장되는 내벽(122) 및 상면에 마개로 개폐하는 주입구(123)를 구비하는 덮개(12)로 구성된다.
외벽(121)은 외주벽(111)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게 결속되어 통체(11)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서 식물유가 유출되지 않도록 봉해주고, 내벽(122)은 내주면이 내주벽(113)의 외주면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하향연장되어 이들 사이에 심지(20)를 승강하게 장착하며, 상기 내벽의 하단은 수용실(114)의 상부에 위치하게 한다.
수용실(114)은, 주입구(123)를 통해 연료통(10)에 식물유를 주입하면 먼저 충전됨은 물론 주입된 식물유가 모두 소모되기 전까지도 수용되어 있게 되므로 항상 심지(20)에 흡수되어 있게 한다.
심지(20)는 상단이 연료통(10)의 상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하강시키면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어 소화가 되며, 상기 상단이 외·내부 연소통(40)(40')들 사이에서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들 위치이상으로 상승시키면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점화 및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5a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 적용되는 심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a에 따른 심지(20)는, 면직물로 되는 관 형태의 내·외피(21)(21')와, 면직물로 되며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개재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내부심재(22) 및 상기 내·외피와 내부심재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심지(20)는 일반적인 면직물 원단으로 만드는 것으로서, 먼저 내·외피(21)(21')들 중 어느 하나가 되는 원단을 펼쳐놓고 표면에 원단을 원하는 폭과 두께로 되게 접은 내부심재(22)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그 위에 내·외피들 중 다른 하나가 될 원단을 겹쳐준 상태에서 내부심재가 개재된 부분을 내·외피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재봉하여 한 몸체로 되게 부착시킨 다음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고 양단을 길이방향으로 재봉하여 된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심지(20)는, 내구성과 흡습성이 매우 양호하며 연료를 흡수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착화를 하여 불에 타게 되어도 유독물질이 생성되지 않는 면직물로 되는 것임은 물론 내·외피(21)(21')와 내부심재(22)들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통로(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연료인 식물유의 흡수공급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화하면 상단 전체가 신속하게 점화됨과 동시에 외·내부 연소통(40)(40')은 물론 각 공기통로(23)를 통해서도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연소가 더욱 촉진되어 고열과 양호한 화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심지(20)의 하부는 내부심재(22)들 사이인 공기통로(23)들의 수 개소를 하단에서 소정높이까지 수직으로 절개한 분리선(24)에 의해 하강시키면 하부가 벌어지게 함으로서 상기 심지의 하단이 수용실(114)의 바닥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상승시켜도 연료가 원활하게 흡수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심지의 승강 폭이 커지게 되어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게 함과 동시에 연료의 소진 등으로 심지에 연료가 흡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착화하여 상단이 타서 제거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제거된 정도만큼 더 상승시켜 줄 수 있게 되므로 심지를 자주 교체하지 않고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b는 도 1a의 식물유연소기에 적용되는 심지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b에 따른 심지(20)는, 면직물로 되는 관 형태의 내·외피(21)(21')와, 면직물로 되며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개재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내부심재(22) 및 상기 내·외피와 내부심재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23)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상부심지(20a)와, 상기 상부심지와 동일한 지름으로 되게 직물로 형성되는 하부심지(20b)로 구성된다.
상부심지(20a)는 도 5a에 따른 심지(20)와 동일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며, 상하길이를 하부심지(20b)에 비해 작게 형성하여 하면이 상기 하부심지의 상면과 밀착되어 함께 승강하게 장착한다.
하부심지(20b)는 상부심지(20a)와 동일한 구조로 되게 면직물이 아니라도 흡수성이 양호한 일반직물이면 어떠한 것으로 만들어도 되는 것이며, 상면에 상부심지(20a)의 하면이 밀착되게 설치하는 것이므로 흡수되는 연료를 상기 상부심지에 원활히 공급시켜 주게 된다.
이렇게 심지(20)를 상부심지(20a)와 하부심지(20b)로 분리되게 구성하면, 연료가 연소하게 되는 부분인 상기 상부심지에 연료가 흡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착화하여 상단이 타서 제거되는 현상의 발생으로 그 길이가 많이 줄어들게 되었을 때 상부심지만 간단히 분리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심지(20)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 및 유지관리가 더욱 간편·용이하고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하부심지(20b)는 연료를 흡수전달만 하면 되기 때문에 면직물이 아닌 일반직물로 만들어도 되므로 비용절감효과도 얻게 된다.
이러한 하부심지(20b)는, 그 지름과 두께를 상부심지(20a)와 동일하게 형성함은 물론 하부에는 하단에서 소정높이까지 수 개소를 수직으로 절개한 분리선(24)에 의해 하강시키면 하부가 벌어지게 한다.
승강기구(30)는, 관 형태로 된 회전부재(31)와 링 형태로 된 상·하 승강부재(32)(32')와 링 형태로 된 자석(33) 및 레버(34)와 회전축(35)을 구비하여 된다.
회전부재(31)는 내벽(122)의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설치되며, 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공(311)이 일정간격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하 승강부재(32)(32')는 내벽(122)의 내면에 승강하게 결합설치되며, 상기 하부 승강부재의 외면에는 외단부가 복수의 가이드공(311)을 각각 관통하게 결합되는 연동핀(321)들이 수평으로 부설된다.
이러한 연동핀(321)들이 내벽(122)의 내면에서 각 가이드공(311)에 관통결합되게 하기 위해, 상기 내벽에는 각 가이드공에 대응하는 부위에 경사방향이 가이드공과 반대로 되어 서로 교차하게 되는 복수의 승강안내공(1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동핀(321)은 승강안내공(124)과 가이드공(311)이 서로 교차하게 되는 부분을 관통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안내공과 가이드공의 하단이 서로 교차하게 일치되면 연동핀은 승강안내공과 가이드공의 하단에 위치(도 3a 참조)하게 되므로 승강부재(32)(32')는 내벽(122)의 하단위치로 완전히 하강한 상태가 되고, 반대로 상기 승강안내공과 가이드공의 상단이 서로 교차하게 일치되면 연동핀은 승강안내공과 가이드공의 상단에 위치(도 3c 참조)하게 되므로 승강부재들은 내벽의 상단위치로 완전히 상승한 상태가 된다.
즉, 고정상태인 내벽(122)에 회전부재(31)가 회전만 하게 결합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주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안내공(124)과 가이드공(311)이 서로 교차하게 되는 부분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교차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연동핀(32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석(33)의 자력에 의해 한 몸체와 같이 부착설치되어 있는 승강부재(32)(32')는 함께 회전하면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승강부재(32)(32')는 내면의 지름이 서로 동일하게 되며, 각각 복수의 결속핀(322)을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심지(20)에 박히게 하므로 상기 결속핀들에 의해 심지가 승강부재들의 내면에 밀착결속되어 한 몸체로 승강하게 된다.
자석(33)은 승강부재(33)(32')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승강부재(32')에 장착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들이 한 몸체로 부착되어 승강하게 하며, 이때 자력이 연료통(10)과 승강기구(30) 및 외·내부 연소통(40)(40')에는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들은 알루미늄 등의 비 자성체로 제작한다.
한편, 심지(20)가 상·하부심지(20a)(20b)로 분리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심지는 하면이 승강부재(32)의 하방으로 조금 노출되는 정도로 관통하게 결합하여 결속핀(322)에 의해 결속되게 장착하고, 상기 하부심지는 상면이 승강부재(32')의 상단으로 조금 노출되는 정도로 관통하게 결합하여 결속핀(322)에 의해 결속되게 장착한다.
이렇게 하면, 승강부재(33)(32')들이 자석(33)의 자력에 의해 서로 한 몸체와 같이 부착되기 때문에 상·하부심지(20a)(20b)의 하면과 상면도 한 몸체와 같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하부심지에서 흡수되는 연료는 상부심지로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단 일체로 된 심지와 동일하게 된다.
레버(34)는, 외단을 회전축(35)의 하단에 축 고정하는 제1레버(341)와 외단을 상기 제1레버의 내단에 축 결합하는 제2레버(342) 및 외단은 상기 제2레버의 내단에 축 결합하고 내단은 회전부재(31)의 외면 상측에 고정하는 제3레버(343)로 형성된다.
즉, 레버(34)는 다관절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35)과 회전부재(31)의 사이 간격이 크지 않아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부재를 원활하게 정·역회전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레버는 연료통(1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회전축(35)은 상단부가 덮개(12)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단에 결착하는 노브(36)를 조작하여 정·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심지(2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상승시켜 줄 때에는 노브(36)를 정 회전시켜주면 회전축(35)의 하단에 축 고정된 제1레버(341)가 정 회동하면서 그 내단이 제2레버(342)의 외단을 정 회동방향으로 당겨 이동시켜 주면서 회동하므로 상기 제2레버의 내단이 제3레버(343)의 외단을 정 회동방향으로 당겨 이동시키면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3레버의 내단은 회전부재(31)의 외면에 고정되어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3레버에 의해 회전부재가 정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부재(31)가 정 회전하는 초기에는 승강부재(32')의 연동핀(321)들은 내벽(122)과 회전부재(31)에 형성된 승강안내공(124)과 가이드공(311)의 서로 일치하는 하단에 위치(도 3a참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정 회전함에 따라 연동핀이 관통하는 승강안내공과 가이드공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가 점차 상승하므로 연동핀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연동핀(321)이 상승하면, 승강부재(32')가 승강부재(32)를 밀어올리면서 동시에 상승하기 때문에 심지(20)도 상승하여 그 상단이 식물유의 유면 위로 노출되어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외·내부 연소통(40)(4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회전축(34)의 정 회전을 중단한 다음 외부 연소통(40)의 일부를 들어올리고 상기 심지의 상단에 점화를 한 다음 외부 연소통을 다시 안착시키면 외·내부 연소통은 물론 심지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통로(23)를 통해서도 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심지를 완전히 상승시키면(도 3c 참조) 화력이 최대로 된다.
이후, 연소를 중단시킬 때에는 노브(36)를 역 조작하면 회전축(35)에 의해 레버(34)가 역 회동하여 회전부재(31)를 역회전시켜 주므로 연동핀(321)이 승강안내공(124)과 가이드공(311)을 따라 하강하기 때문에 승강부재(32')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부재(32)는 자석(33)의 자력에 의해 승강부재(32')에 한 몸체와 같이 부착되어 있어 함께 하강하면서 심지(20)를 하강시켜 준다.
이렇게 하여, 심지(20)의 상단을 외·내부 연소통(40)(40')의 하단부에서 외부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하방으로 하강시켜 공기공급이 차단되게 하거나 연료에 잠기게 하면 소화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기는, 면직물로 되는 내·외피(21)(21')와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부착되는 면직물로 되는 내부심재(22)와 상기 내·외피와 내부심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공기통로(23)로 구성되는 심지(20)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식물유가 항상 상단으로 원활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상단 전체의 점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내부 연소통(40)(40')과 상기 다수의 공기통로를 통해서도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됨에 따라 연소가 더욱 촉진되어 완전연소가 이루어져 고열과 양질이 화염을 제공하게 되므로 식물유를 취사용은 물론 난방용의 연료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연료통 20 : 심지
20a,20b : 상·하부심지 21 ,21' : 내·외피
22 : 내부심재 23 : 공기통로
30 : 승강기구 31 : 회전부재
32,32' : 상·하 승강부재 33 : 자석
34 : 레버 35 : 회전축
122 : 내벽 124 : 승강안내공
311 : 가이드공 321 : 연동핀

Claims (2)

  1. 삭제
  2. 상면이 개방된 통체(11)와 상기 통체(11)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며 내주에 내벽(122)이 하향연장된 덮개(12)로 형성되는 연료통(10)과, 상기 연료통(10)의 내부에 장착설치되는 심지(20)와, 상기 심지(20)를 수직으로 승강시켜주는 승강기구(30) 및 다공형으로 되는 외·내부 연소통(40)(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물유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심지(20)는, 면직물로 되는 관 형태의 내·외피(21)(21')와, 면직물로 되며 상기 내·외피(21)(21')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개재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내부심재(22)와, 상기 내·외피(21)(21')와 내부심재(22)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23)로 되는 상부심지(20a) 및 상기 상부심지(20a)와 동일한 지름의 관 형태로 되는 하부심지(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기구(30)는, 상기 내벽(122)에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승강안내공(124)과, 상기 내벽(122)의 외면에 회전하게 결합설치되며 승강안내공(124)과 서로 교차하게 가이드공(311)들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관 형태의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벽(122)의 내면에 승강하게 결합설치되며 외면에는 승강안내공(124)과 가이드공(311)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연동핀(321)들이 부설된 링 형태의 하부 승강부재(32')와, 상기 하부승강부재(32')와 동일한 지름으로 되며 하면이 하부 승강부재(32')의 상면과 밀착되게 내벽(122)의 내면에 승강하게 결합설치되는 상부 승강부재(32)와, 상기 상·하 승강부재(32)(32')의 내면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어 심지(20)에 박히는 결속핀(322)들과, 상기 하부 승강부재(32')에 장착되어 상부 승강부재(32)를 한 몸체로 되게 부착시키는 자석(33)과, 제1레버(341)와 외단을 상기 제1레버(341)의 내단에 축 결합하는 제2레버(342)와 외단은 상기 제2레버(342)의 내단에 축 결합하고 내단은 회전부재(31)의 외면 상측에 고정하는 제3레버(343)로 형성되는 레버(34) 및 상단부가 상기 덮개(12)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제1레버(341)의 외단을 축 고정하는 회전축(3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유연소기.
KR20130132817A 2013-11-04 2013-11-04 식물유연소기 KR10150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817A KR101504037B1 (ko) 2013-11-04 2013-11-04 식물유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817A KR101504037B1 (ko) 2013-11-04 2013-11-04 식물유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037B1 true KR101504037B1 (ko) 2015-03-18

Family

ID=5302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2817A KR101504037B1 (ko) 2013-11-04 2013-11-04 식물유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539A (ko) * 2015-05-28 2016-12-07 강경임 초음파 가습기의 물 흡수 필터 고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144Y1 (ko) * 1985-02-27 1988-03-08 최길응 석유난로(곤로)의 화력 조절 장치
KR920021923A (ko) * 1991-05-28 1992-12-19 히데이찌 히라마쓰 연소기구용 심지
KR20130010418A (ko) * 2011-07-18 2013-01-28 안형근 연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144Y1 (ko) * 1985-02-27 1988-03-08 최길응 석유난로(곤로)의 화력 조절 장치
KR920021923A (ko) * 1991-05-28 1992-12-19 히데이찌 히라마쓰 연소기구용 심지
KR20130010418A (ko) * 2011-07-18 2013-01-28 안형근 연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539A (ko) * 2015-05-28 2016-12-07 강경임 초음파 가습기의 물 흡수 필터 고정 장치
KR101699161B1 (ko) * 2015-05-28 2017-01-23 강경임 초음파 가습기의 물 흡수 필터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936B1 (ko) 연소기
KR101504037B1 (ko) 식물유연소기
KR101270320B1 (ko) 연소기
KR101479632B1 (ko) 목재 펠릿 버너
KR101156692B1 (ko) 다용도 숯불 점화기
CN104748132B (zh) 升降式微正压保持聚能火炬燃烧器
KR100908899B1 (ko) 연소장치
KR101487242B1 (ko) 연소장치
KR102447702B1 (ko) 파이프식 연소장치
KR101283765B1 (ko) 연소기
KR101171487B1 (ko) 폐유를 이용한 보일러
KR101525738B1 (ko) 연소기
KR102640966B1 (ko) 석유난로용 소화장치
CN103486586B (zh) 一种家用燃气燃烧器的内火盖及应用该内火盖的燃烧器
KR200349280Y1 (ko) 고형파라핀의 연소장치
KR101254192B1 (ko) 연소장치
CN204063124U (zh) 一种用于木炭的点火熄火装置
KR101225813B1 (ko) 연소기구
CN205026662U (zh) 燃烧器
CN205939141U (zh) 内焰式聚能立管引射精准点火燃气燃烧器
KR101393174B1 (ko) 식물유연소기
CN203501180U (zh) 一种家用燃气燃烧器的内火盖及应用该内火盖的燃烧器
KR101184567B1 (ko) 연소장치
KR930011417B1 (ko)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KR200163043Y1 (ko) 고형 파라핀의 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