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468B1 -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468B1
KR101503468B1 KR1020130073344A KR20130073344A KR101503468B1 KR 101503468 B1 KR101503468 B1 KR 101503468B1 KR 1020130073344 A KR1020130073344 A KR 1020130073344A KR 20130073344 A KR20130073344 A KR 20130073344A KR 101503468 B1 KR101503468 B1 KR 10150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minolevulinic acid
red ginse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790A (ko
Inventor
강헌우
강석주
Original Assignee
강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헌우 filed Critical 강헌우
Priority to KR102013007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4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with 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e.g. acetylcholine, acetyl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현저한 여드름 개선, 기미·잡티의 개선, 민감성 피부 및 건성 피부 개선, 피부염, 피부질환 및 피부거침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Description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5-aminolevulinic acid or ester thereof and extract of red ginseng}
본 발명은 천연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여드름을 개선할 수 있는,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기미·잡티의 개선용 조성물, 민감성 피부 및 건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피부염, 피부질환, 피부거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호르몬의 작용, 과도한 피지 분비,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한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의 염증성 질환으로서, 여드름의 원인으로는 우선 신체의 성장과 함께 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 올 수 있는 내분비 기능의 불균형을 들 수 있는데 특히 테스토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은 피지선의 기능을 항진시켜 피부에 지방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령, 성별, 피부 타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사춘기에 가장 피지 분비가 왕성하고 이외에도 유전적으로 피지 분비가 많은 지성 피부, 생활 속의 스트레스도 과도한 피지 분비를 촉진해 여드름의 염증 반응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모공이 막히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는데 피지선에서 생성한 지방이 땀이나 먼지 등과 함께 모공을 막아 여드름이 생성된다. 피부의 모낭 입구에서 각질이 두껍게 쌓여 모공이 막히기도 하고 여드름균, 화농성 세균, 모낭충에 의해서도 막힐 수 있으며 잘못된 화장도 모공을 막을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적당한 양의 세균인 정상 세균은 피부를 항상 산성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피지선과 피부 표면에 세균이 너무 많이 증식한 경우, 오히려 피부를 자극해 여드름이 생성된다. 또한 모낭에 서식하며 피지를 먹고 사는 모낭충이 있는데 피지 분비가 왕성한 코나 T존 부위에 기생하여 피지가 증가하면 모낭충도 따라서 증가하여 모낭 주위에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여드름은 증상에 따라 4단계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1단계인 면포성 여드름은 코, 이마, 볼 등에 나타나는 가벼운 것으로 초기 단계라 할 수 있고, 2단계 구진성 여드름 단계에서는 여드름균이 번식되어 염증 반응이 생기면서 붉은 여드름이 나타나는데 이를 구진이라 하며 적절한 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흉터가 생길 수 있다.
3단계 화농성 여드름은 붉은색 여드름의 염증 반응이 더 심해지면 내부에 고름 주머니가 생기는데 이를 농포라 하며 이 단계에서는 치료 후에도 흉터가 남게 될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마지막 4단계 결절성 여드름은 고름 주머니가 피부 안에서 터져 여드름 환부 주변에 더 많은 염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로 손가락만한 뾰루지가 생기는데 이를 결절이라 하며 염증이 진피까지 파고 들어간 시기로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며 치료 시기도 장기화 될 수 있다.
여드름의 치료는 국소 도포 요법 및 경구 요법과 최근 시행되고 있는 레이저 시술, 박피술 등 수술 요법이 있다. 국소 도포 요법은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작용 목적으로 아젤라산(azela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등의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면포 용해 작용을 위해 벤조일퍼록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외용 연고 타입으로 사용한다.
항균제로 사용하는 약제들은 효과 면에서는 우수한 편이나 내성균의 유발, 빛에 의한 과민 작용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호르몬 제제는 모세혈관을 증가시키고 모공을 넓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경구 요법은 피지선의 기능 억제와 모낭벽 파괴 억제 목적으로 레티노이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을 이용한다. 이들 제제는 과량 도포시 피부 발진, 피부 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있고 개인에 따라 알러지 현상이 유발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을 원료로 한 조성물이 햇빛에 반응하면서 여드름균을 억제시키고 여드름의 원인인 피지선이 작아져서 피지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탁월한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품 또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미·잡티의 개선 및 예방, 민감성 피부, 건성 피부, 피부 거침, 피부염, 피부질환의 개선 및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화장품 또는 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아미노레불린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56968912-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3056968912-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합물은 R이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4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홍삼추출물은 1:0.25~1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소목추출물을 추가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거나, 이 성분에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을 추가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세하게, 상기 홍삼추출물:소목추출물은 1:0.5~1.2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홍삼추출물: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은 1:1.0~1.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히아루론산, 세테아릴알코올, 비즈왁스,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호호바씨오일, 살구씨오일, 우엉추출물, 레몬추출물, 호프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카렌둘라꽃추출물, 비누풀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디소듐아데노신트리포스페이트, 알긴, 파파야열매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트리데세스-6, 디소듐이디티에이,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디메치콘, 나이아신아마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및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 기미·잡티의 개선, 민감성 피부 및 건성 피부 개선, 피부염, 피부질환 및 피부거침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비비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향 보충용 식품, 음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및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이러한 화합물이 대사되어 프로토포피린(protoporphyrin)을 함유하게 되어 햇빛에 반응하면서 여드름균을 억제시키고 여드름의 원인인 피지선이 작아져서 피지 배출을 줄일 수 있어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탁월하므로,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품 또는 식품 등으로 개발 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은 히아루론산, 세테아릴알코올, 비즈왁스,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호호바씨오일, 살구씨오일, 우엉추출물, 레몬추출물, 호프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카렌둘라꽃추출물, 비누풀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디소듐아데노신트리포스페이트, 알긴, 파파야열매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트리데세스-6, 디소듐이디티에이,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디메치콘, 나이아신아마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및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및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2-프로필기, 3-부틸기, 4-펜틸기, 5-헥실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a) 상기 화학식 2 화합물을 치오닐 클로라이드 및 N,N-디메칠포름아마이드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물질을 3-부탄올(3-butanol), 4-펜탄올(4-pentanol), 5-헥산올(5-hexanol)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포화 알코올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상기 5-아미노레불린산 포화 알킬 에스터의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인삼 (Panaxginseng C.A. Meyer)은 오가피나무과 (Araliaceae) 인삼속 (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한방에서는 그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Ha et al., 2005),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적어도 2천년 이상의 오랜 약용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생약 중 가장 고귀한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약물로서 인삼은 많은 과학적 연구 결과에 의해 다양한 효능이 입증되어 감에 따라 건강 증진을 위한 인삼의 가치는 동양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인정되어 지금은 세계 각국에서 의료용 또는 건강식품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인삼의 종류로는 수삼, 백삼, 홍삼, 태극삼 등으로 분류되는데, 수삼은 재배한 인삼으로 70∼8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인삼으로서 일명 생삼이라 하고, 백삼은 수삼을 원료로 껍질을 벗기거나 그대로 햇볕, 열풍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건조한 것으로 말린 형태에 따라 직삼, 반곡삼, 곡삼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홍삼은 수삼을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세삼 후 증숙, 건조, 가공공정 등을 거쳐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것을 말하며, 수삼을 찌고 말리는 과정에서 화학작용이 발생되어 특정 사포닌과 유효성분의 함량이 일반 인삼에 비해 증가한다.
홍삼 등 인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는 ginsenosides, polyacetylenes, 산성다당체, 페놀성 물질 등이 알려져 있으며, 주요 효능으로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Tagaki, 1972), 뇌기능 항진 효능 (Zhang et al., 1990), 항발암작용과 항암활성 (Kumar, 1993), 면역기능 조절 작용 (Brekhman, 1969), 항당뇨작용 (Kimura et al., 1985), 간기능 항진효능(Yamamoto et al., 1988), 혈압조절작용 (Takagi et al., 1974),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Fushitani et al., 1995) 등이 보고되었다.
소목(Caesalpinia sappan L.)은 상록성 작은 교목으로 높이가 5-10m에 달한다. 줄기에는 가지가 있고 작은 가지는 회녹색이며 원형의 돌출된 껍질눈이 있다. 새 가지에는 짧게 부드러운 털이 있지만 나중에 탈락한다. 1년 중 아무 때나 채취하여 수피와 변재를 제거하고 심재를 취하여 볕에 말린 후 한약재로 사용한다(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당, 1989). 소목은 혈을 순환시키고 어혈을 잘 없애 주며 부은 것을 내리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재로, 약화된 심장의 수축력을 회복시키며 심장과 혈관에 대한 작용, 항균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다.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40cm내외, 산지 건조한 개방지 초원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꽃은 4월 - 5월에 적자색으로 피고, 열매는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두통, 부종, 이질, 심장병, 학질, 위염 등에 약으로 쓴다. 특히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 신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할미꽃 뿌리를 잘 법제해서 사용하면 뇌종양을 비롯해 갖가지 암을 고칠 수 있다. 지금까지 할미꽃 뿌리에 대한 연구가 일부 있으나 지상부 추출물에 대한 진통효능에 대한 연구가 보고 된 바 없다.
어스니어(Usnea longissima)는 노란색 또는 녹색이 도는 관목상 지의로, 긴 줄기와 뒤엉킨 실타래처럼 생긴 원판 모양의 부착기를 갖는다. 주로 한방에서 이뇨제, 해열제, 거담제로 쓴다. 온대 지방의 높은 산에서 한대에 걸쳐 자라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또한 어스니어는 북극지방에서부터 열대지역에 걸쳐 볼 수 있는데 이들 지역에서는 야생동물의 먹이나 사료로 쓰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각 식물 원료의 추출물은 건조상태 또는 자연상태의 원료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절 또는 분쇄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식물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열매, 잎, 꽃, 줄기, 가지 및 껍질 등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 등을 추출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된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홍삼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을 동시에 포함할 때 각 재료의 유용성분 간에 상승작용이 발생하여 노화 방지, 염증 억제,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일정 조성비로 포함할 때, 이러한 효능을 더욱 월등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홍삼추출물을 1:0.25~1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비 범위에서 피부 자극 없이 항균, 피부 재생, 피지 분비 억제, 피부 진정 및 미백 기능 증진을 통한 탁월한 여드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 비율을 벗어나면 여드름 개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홍삼추출물:소목추출물은 1:0.5~1.2의 중량비로 배합되었을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홍삼추출물: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은 1:1.0~1.5의 중량비로 배합되었을 때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홍삼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외에도 본 발명의 유효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드름 개선을 위해 상기 히아루론산 등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 기미·잡티의 개선, 민감성 피부 및 건성 피부 개선, 피부염, 피부질환 및 피부거침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비비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향 보충용 식품, 음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을 보다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체 피부에 보다 친화적인 천연물 및 한약재 추출물들에 대해 연구한 결과,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및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로 구성된 조성물이 햇빛에 반응하면서 여드름을 억제시키고 여드름의 원인인 피지선이 작아져서 피지 배출울 줄일 수 있다는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 결과에 기초할 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또는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 을 사용 할 때와 비교하여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또는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혼합물로 사용 시 여드름 개선 효과가 놀라울 정도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하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90%에 가까운 실험자가 여드름 개선 효과를 보이는 놀라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실험예 1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여드름 완화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크게 개선' 및 '약간 개선'을 보인 시험자의 비율(여드름개선효율)이 70~90% 사이를 나타내며 특히,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이 모두 함유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놀랍게 향상된 여드름 완화효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실험예 2에 의하면, 비교예 1 에서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시험자의 비율이 62.5%에 불과하여 상기 추출물이 함유된 경우에 비해 여드름 개선 효과가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또한, 비교예 2와 비교예 3을 통해 홍삼추출물이 여드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중량%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4와 비교에 5를 통해 소목추출물이 여드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중량%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놀라운 여드름 개선 효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1 중량%의 MAL(methyl aminolevulinic acid)와 0.8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소목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소목추출물 0.8 중량%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 중량%의 MAL와 0.8 중량% 홍삼추출물, 1.0 중량%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1.0 중량%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 중량%의 MAL과 0.8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소목추출물, 1.0 중량%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소목추출물 0.8 중량%,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1.0 중량%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 중량%의 MAL과 0.8 중량% 홍삼추출물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 중량%의 MAL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 중량%의 MAL과 0.1 중량% 홍삼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0.1 중량% 홍삼추출물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1 중량%의 MAL과 1.2 중량% 홍삼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1.2 중량% 홍삼추출물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1 중량%의 MAL와 0.8 중량% 홍삼추출물, 0.2 중량% 소목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소목추출물 0.2 중량%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1 중량%의 MAL와 0.8 중량% 홍삼추출물, 1.5 중량% 소목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70.0 중량%, MAL 1.0 중량%, 홍삼추출물 0.8 중량%, 소목추출물 1.5 중량%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중량%로 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 효과 검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조성물의 여드름 완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여드름을 가지고 있는 20세에서 30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80명에 대하여 블라인드 테스트(blind test)를 실시하였다. 80명의 남녀에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조성물 각각을 1일 2회씩 2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2주 간격으로 여드름 증상의 악화 및 완화 여부에 대한 피시험자의 설문 조사와 피부과 의사 2명의 육안적 소견을 종합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종 2개월차에 평가를 완료하였다. 그 결과를 (i) 크게 개선, (ii) 약간 개선, (iii) 개선효과없음으로 각각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험예 2)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 효과 검토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따른 조성물의 여드름 완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다른 조건은 실험예 1과 같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른 결과는 각각 표 1, 표 2와 같다.
[표 1]
Figure 112013056968912-pat00003
[표 2]
Figure 112013056968912-pat00004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아미노레불린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과 홍삼추출물; 소목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홍삼추출물은 1:0.25~1의 중량비로 배합되고, 상기 홍삼추출물:소목추출물은 1:0.5~1.2의 중량비로 배합되며, 상기 홍삼추출물:할미꽃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은 1:1.0~1.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92319463-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4092319463-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이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4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아루론산, 세테아릴알코올, 비즈왁스,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호호바씨오일, 살구씨오일, 우엉추출물, 레몬추출물, 호프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카렌둘라꽃추출물, 비누풀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디소듐아데노신트리포스페이트, 알긴, 파파야열매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트리데세스-6, 디소듐이디티에이,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디메치콘, 나이아신아마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및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 조성물.
  9. 삭제
  10. 제 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비비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음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30073344A 2013-06-25 2013-06-25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0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44A KR101503468B1 (ko) 2013-06-25 2013-06-25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44A KR101503468B1 (ko) 2013-06-25 2013-06-25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90A KR20150000790A (ko) 2015-01-05
KR101503468B1 true KR101503468B1 (ko) 2015-03-18

Family

ID=5247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344A KR101503468B1 (ko) 2013-06-25 2013-06-25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4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61A (ko) * 2007-11-28 2009-06-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20110138709A (ko) * 2010-06-21 2011-12-28 백경석 5-아미노레불린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61A (ko) * 2007-11-28 2009-06-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20110138709A (ko) * 2010-06-21 2011-12-28 백경석 5-아미노레불린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피부과학회 제42차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북(구 초록집). 1990. 42권 2호, pp. 35 *
대한피부과학회 제42차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북(구 초록집). 1990. 42권 2호, pp. 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90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878B1 (ko)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20110086894A (ko) 폐각의 알카리성 분말 그리고 칼슘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0160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Baldi et al. Synergistic use of bioactive agents for the management of different skin conditions: an overview of biological activities.
KR20070067256A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천연 복합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7577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1517929A (zh) 使用黑莓萃取物用於增進髮質之方法及組成物
KR10125256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1176A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20160015074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보호용 조성물
KR101503468B1 (ko)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42819B1 (ko)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한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5445B1 (ko)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