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300B1 -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 - Google Patents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300B1
KR101503300B1 KR20150003315A KR20150003315A KR101503300B1 KR 101503300 B1 KR101503300 B1 KR 101503300B1 KR 20150003315 A KR20150003315 A KR 20150003315A KR 20150003315 A KR20150003315 A KR 20150003315A KR 101503300 B1 KR101503300 B1 KR 10150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treatment tank
hole
processing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중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5000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3Filler pip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오하수 또는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하부에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3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및 제3 처리관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는 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재는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제2 및/또는 제3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처리조는 원통 형상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설치되는 수질정화 처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처리조의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처리조는 격벽이 설치되되, 상기 격벽에 의해 부패실과 침출수실로 나누어지며,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패실의 상부에는 투입구와, 부패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실의 상부에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상단부가 설치되며, 침출수는 부패실에서 격벽의 통공을 거쳐 침출수실로 이동되며,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처리조는 원통 형상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설치되는 수질정화 처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처리조의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는 투입구와, 처리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구와, 수질정화 처리기의 상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침출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nd Bath}
본 발명은 수질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등이 발생함에 따라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 조류를 살처분하고 땅에 구덩이를 파서 매립하고 있다. 그런데 매립된 사체로부터 생성되는 침출수는 주변 매몰지의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살처분된 사체를 밀폐된 처리조에 투입하고 부패가 완료되면 침출수를 정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폐사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는 폐사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사체의 부패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과 부패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처리조에 수용된 사체의 하부에는 침출수가 고이게 되는데 침출수를 사체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배출하여야 한다. 그런데 처리조에는 사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이물질, 고형물 등으로 부터 침출수만을 분리하기는 쉽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3714호 등록특허공보 제20-045707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693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22444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정화하기 위한 수질정화 처리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폐사체의 부패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처리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오하수 또는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하부에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처리관의 외측이 이루는 공간부에 구비되는 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재는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오하수 또는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하부에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3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및 제3 처리관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는 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재는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제2 및/또는 제3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로 유입된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제2 처리관 또는 제3 처리관은 압축 공기를 불어내는 블로워를 설치하여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처리조는 원통 형상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설치되는 수질정화 처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처리조의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처리조는 격벽이 설치되되, 상기 격벽에 의해 부패실과 침출수실로 나누어지며,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패실의 상부에는 투입구와, 부패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실의 상부에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상단부가 설치되며, 침출수는 부패실에서 격벽의 통공을 거쳐 침출수실로 이동되며,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보강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패실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여재를 채워 여재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처리조는 원통 형상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설치되는 수질정화 처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처리조의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는 투입구와, 처리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구와, 수질정화 처리기의 상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침출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보강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처리조의 내면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여재를 채워 여재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질정화 처리기의 관통홀과 여재에 의해 처리조의 하부에 모여진 침출수를 쉽게 처리하여 반출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에 격벽을 설치하여 부패실과 침술수실로 분리하고, 폐사체로부터 생성되는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 고형물 등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처리조에 보강링을 설치함으로써, 토압으로부터 처리조를 강건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질정화 처리기를 침출수 처리조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질정화 처리기를 침출수 처리조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오하수 또는 침출수와 같은 오염된 물을 정화처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100)는 내부에 수용부(A)를 갖으며, 하부에 제1 관통홀(111)을 구비하는 제1 처리관(110)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처리관은 마치 시험관(test tube)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처리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오염된 물은 제1 처리관의 외측에서 제1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로 유입된다.
한편, 수질정화 처리기는 오하수 또는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에 설치되는데, 제1 관통홀은 처리조의 높이에서 1/5 내지 1/3 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처리조에 사체를 투입하는 경우 사체로부터 침출수가 생성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처리관의 수용부로 유입된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최종적으로 별도의 흡입기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1 처리관(110)과 제2 처리관(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처리관은 제1 처리관의 내부에 끼워지며,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는 여재가 개재된다.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은 모두 시험관과 같은 형상을 갖으며, 제2 처리관은 제1 처리관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1 처리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관통홀의 형성 영역은 제1 처리관을 처리조에 설치하였을 때, 설치된 처리조의 1/5 내지 1/3에 이르는 높이의 위치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통홀은 오하수 또는 침출수 내에 포함되는 고형물, 이물질 등을 분리한다.
상기 제2 처리관(120)은 제1 처리관과 같이 하부에 복수 개의 제2 관통홀(121)이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2 관통홀은 제1 관통홀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2 관통홀의 형성 영역은 제1 관통홀의 형성 영역과 비교하여 적어도 동일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통홀은 오하수 또는 침출수 내에 포함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고형물, 이물질 등을 분리한다. 이에 반해 제1 관통홀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고형물, 이물질 등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오하수 또는 침출수의 이물질, 고형물 등의 포함 정도에 따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는 여재가 채워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는 공간부(V)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에는 복수 개의 여재가 채워진다. 여재(150)는 섬유재(151)와 복수 개의 홀(152h)을 갖는 몸체(152)로 이루어진다. 몸체의 내부에는 섬유재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원통 형상으로 한정하지 아니하고 내부에 섬유재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재의 크기는 제1 처리관의 제1 관통홀 및 제2 처리관의 제2 관통홀의 크기 보다 크다. 따라서 공간부(V)에 채워진 여재(150)는 제2 처리관의 내부로 또는 제1 처리관의 외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1 관통홀에 의해 1차로 걸러진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여재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이어서 제2 관통홀에 의해 2차로 걸러진다. 따라서 여재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높이보다 적어도 높게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되돌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제2 처리관을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 스페이스(S)가 구비된다. 만약 2개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처리관을 제1 처리관에 고정하려 한다면 2개의 스페이스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페이스로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을 고정한 이후에 스페이스를 투입한다면, 스페이스에는 여재의 투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처리관의 수용부(A)에는 처리된 오하수 또는 침출수가 모여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별도의 흡입기를 통해 제2 처리관의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반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2 실시예의 수질정화 처리기의 제1 처리관, 제2 처리관 및 여재는 동일하지만, 제1 처리관 내부에 제2 처리관과 더불어 제3 관통홀(131)을 구비한 제3 처리관(130)이 더욱 형성된다. 제2 처리관과 제3 처리관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처리관의 단면 형상과 제2 처리관의 단면 형상은 다르게 도시되어 있으나, 제3 실시예에서도 제1 처리관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및 제3 수집관의 외측이 이루는 공간부(V)에는 여재가 채워진다. 제2 처리관의 제2 관통홀 또는 제3 처리관의 제3 관통홀에는 고형물, 이물질 등으로 인해 막힐 수 있다. 제2 처리관의 제2 관통홀이 막힌다면 제3 처리관은 예비관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3 처리관의 제3 관통홀이 막힌다면 제2 처리관은 예비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또는 제3 처리관은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또는 제3 처리관 중 어느 하나의 처리관은 오하수 또는 침출수를 처리하는 정화 처리관의 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 하나의 처리관은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워(미도시)가 나머지 하나의 수집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처리관과 제2 및 제3 처리관 사이에는 스페이스가 구비된다.
한편,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제2 처리관 및/또는 제3 처리관의 수용부(A)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별도의 흡입기를 통해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반출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설치한 침출수 처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폐사체가 투입된 처리조에 설치된다. 처리조는 땅에 일부분 또는 전부가 매립된다. 처리조의 내부에는 폐사체가 담겨지는 저장 공간을 갖으며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처리조를 드럼통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질정화 처리기를 침출수 처리조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원통 형상의 처리조가 눕혀져 일부가 땅에 매립되어 있다. 즉, 처리조의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처리조의 원통 내부에는 링 형상의 보강링(19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보강링은 처리조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는 격벽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P)에 의해 부패실(AP)과 침출수실(BP)로 나뉘어 진다. 격벽의 하부에는 침출수가 부패실에서 침출수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공(PH)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부패실에 쌓여지는 폐사체로부터 침출수가 상기 침출수실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부패실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여재(150)가 투입되어 여재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활한 침출수의 이동을 위해 여재의 몸체만으로 하여 여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여재층의 상측에 폐사체가 쌓여지므로, 폐사체로부터 생성되는 침출수는 여재층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격벽의 통공을 지나 침출수실로 이동한다.
침출수실에는 수질정화 처리기가 설치되어 있다. 침출수실로 이동한 침출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에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에 있는 침출수는 별도로 마련된 흡입기를 사용하여 이송처리된다. 여기서,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에 있는 침출수라 함은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처리관의 수용부(A)로 유입된 침출수를 말하며,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처리관의 수용부로 유입된 침출수를 말하며, 제3 실시예의 경우 제2 및/또는 제3 처리관의 수용부로 유입된 침출수를 말한다.
한편, 부패실(AP)의 상면에는 부패실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관(170)과 투입구(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에는 덮개(180)가 구비되어 있고, 침출수실(BP)의 상면에는 침출수 처리기의 상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커버가 덮혀져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처리조 내부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은 폐사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질정화 처리기를 침출수 처리조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처리조(200)는 수직으로 땅에 매립되어 있다. 즉, 원통 형상의 처리조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된다. 처리조의 상면에는 직사각 형상의 투입구(160)가 덮개(180)에 덮혀져 있고, 투입구의 일측에는 가스 배출관(170)이 구비되며, 투입구의 타측에는 커버(C)가 수질정화 처리기의 상단부에 덮혀져 있다.
그리고 도 6(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처리조의 내부에는 흙의 외압을 견딜 수 있도록 링 형상의 보강링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투입구에 폐사체을 투입하면 폐사체는 처리조의 하부에서부터 쌓이게 되는데, 폐사체에 의해 수질정화 처리기가 내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밀려져 변형되거나 심지어는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질정화 처리기는 처리조의 내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이 지나 폐사체가 부패되어 처리조의 하부에 침출수가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침출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침출수는 별도의 흡입기를 이송되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에 있는 침출수라 함은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처리관의 수용부(A)로 유입된 침출수를 말하며,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처리관의 수용부로 유입된 침출수를 말하며, 제3 실시예의 경우 제2 및/또는 제3 처리관의 수용부로 유입된 침출수를 말한다.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처리조의 하부에 여재를 소정 높이로 채워 여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재층을 형성하는 여재는 여재의 몸체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재층에는 침출수가 모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처리장치는 침출수의 처리뿐만이 아니라, 오하수, 빗물, 폐수 등 이물질, 고형물 등을 포함하는 물의 처리, 정화를 필요로 하는 물의 처리, 오염된 물의 처리를 위한 처리조 또는 처리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수질정화 처리기
110, 120, 130 : 제1~3 처리관
111, 121, 131 : 제1~3 관통홀
150 : 여재
151 : 몸체
151h : 홀
152 : 섬유재
160 : 투입구
170 : 가스 배출관
180 : 덮개
190 : 보강링
200 : 처리조
A : 수용부
V : 공간부
S : 스페이스
C : 커버
P : 격벽
PH : 통공
AP : 부패실
BP : 침출수실

Claims (11)

  1. 삭제
  2. 오하수 또는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수질정화 처리기로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하부에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처리관의 외측이 이루는 공간부에 채워지는 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재는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처리기.
  3. 오하수 또는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수질정화 처리기로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하부에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갖으며 하부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3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및 제3 처리관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는 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재는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오하수 또는 침출수는 제2 및/또는 제3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처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관 또는 제3 처리관에는 압축 공기를 불어내는 블로워를 설치하여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처리기.
  5.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침출수 처리조로서,
    상기 침출수 처리조는,
    원통 형상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설치되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처리조의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처리조는 격벽이 설치되되, 상기 격벽에 의해 부패실과 침출수실로 나누어지며,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패실의 상부에는 투입구와, 부패실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실의 상부에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상단부가 설치되며,
    침출수는 부패실에서 격벽의 통공을 거쳐 침출수실로 이동되며,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처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보강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처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패실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여재를 채워 여재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처리조.
  8.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침출수 처리조로서,
    상기 침출수 처리조는,
    원통 형상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설치되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처리조의 중심축이 중력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는 투입구와, 처리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구와, 수질정화 처리기의 상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침출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처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보강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처리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처리조의 내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처리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여재를 채워 여재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처리조.
KR20150003315A 2015-01-09 2015-01-09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 KR101503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3315A KR101503300B1 (ko) 2015-01-09 2015-01-09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3315A KR101503300B1 (ko) 2015-01-09 2015-01-09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300B1 true KR101503300B1 (ko) 2015-03-18

Family

ID=5302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03315A KR101503300B1 (ko) 2015-01-09 2015-01-09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15A (ko) 2018-04-09 2019-10-18 이성기 살처분된 가축의 부숙 촉진용 세균공동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926A (ko) * 2011-02-24 2012-11-01 윤석주 조립식 동물 사체 처리 조
KR101249741B1 (ko) * 2012-02-29 2013-04-05 이종길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926A (ko) * 2011-02-24 2012-11-01 윤석주 조립식 동물 사체 처리 조
KR101249741B1 (ko) * 2012-02-29 2013-04-05 이종길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15A (ko) 2018-04-09 2019-10-18 이성기 살처분된 가축의 부숙 촉진용 세균공동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3086A (zh) 高效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1503300B1 (ko) 수질정화 처리기 및 이를 구비한 침출수 처리조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JP2018534128A (ja) 浸透型の濾過装置
CN205328760U (zh) 医疗污水处理设备
JP2008080191A (ja) 超音波殺菌装置
CN204474485U (zh) 神经外科医用多层次高效废水过滤装置
KR101546462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CN204320012U (zh) 医用真空泵废气净化装置
CN106277104A (zh) 一种用于城乡河道水质提升的排污口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205164237U (zh) 一种水处理池悬浮过滤装置
CN105036497B (zh) 一种具有分水板的污水处理设备
EP3238801B1 (en) Hybrid coalescing separator
CN206799313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7659145U (zh) 一种玻璃钢隔油池
CN206915954U (zh) 一种无动力生物酶污水处理装置
CN205398368U (zh) 微生物过滤器
JP3057147U (ja) 浄化槽
CN105498352B (zh) 一种自来水厂沉降装置
KR101507653B1 (ko) 중수 재활용을 위한 고비중 이물질 처리장치
JP6203646B2 (ja) 排水システム
KR102540896B1 (ko) 정수 기능을 갖춘 큐드럼
EP3361862A1 (en) Microorganism filter
CN218810426U (zh) 一种供暖管道排污装置
TW201313296A (zh) 雨水離心過濾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