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238B1 -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238B1
KR101503238B1 KR20140186012A KR20140186012A KR101503238B1 KR 101503238 B1 KR101503238 B1 KR 101503238B1 KR 20140186012 A KR20140186012 A KR 20140186012A KR 20140186012 A KR20140186012 A KR 20140186012A KR 101503238 B1 KR101503238 B1 KR 10150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in
bar
door
switch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8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근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2014018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발생 시 배전반 전·후면에 부착된 손잡이 도어 잠금 장치를 도어 락 시스템으로 한번 더 잠가 지진에 의해 배전반 도어가 파손되거나 개방됨으로써 인명 사고가 발생되거나 타 설비가 파손됨을 방지한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도어 락 본체와, 상기 도어 락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잡아 당겨졌을 때 쇄정 장치를 잠금 해제하여 배전반 도어를 열고 잡아 당겨지지 않았을 때 쇄정 장치를 이용하여 배전반 도어를 잠그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결합되어 손잡이가 당겨졌을 때 손잡이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몸체, 배전반 도어를 마주보는 가이드 몸체의 뒷면에서 가이드 몸체의 안쪽 방향으로 들어가 가이드 몸체 안쪽에 공간부를 형성한 락 핀 삽입홈, 상기 가이드 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키(Key)에 의한 잠금 설정 시 상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 걸림턱에 걸쳐 가이드 몸체가 손잡이를 따라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를 잠그고 키에 의한 잠금 해제 시 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 안쪽으로 들어감과 더불어 하단이 락 핀 삽입홈 안으로 들어와 가이드 몸체가 손잡이를 따라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이동 락 바, 상기 락 핀 삽입홈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의 한쪽 면에 장착되어 락 핀 삽입홈에 끼워지는 바(Bar) 형태의 락 핀을 구비하고 코일에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전자석 원리에 의해 락 핀을 잡아 당겨 락 핀 삽입홈으로 들어간 락 핀을 빼내고 코일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었을 때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락 핀 삽입홈으로 락 핀을 밀어넣는 솔레노이드 모듈, 배전반에 장착되어 배전반에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 진동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는 진동 스위치,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 스위치가 폐쇄되면 솔레노이드 모듈에 갖추어진 코일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 밀어넣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모듈에 갖추어진 코일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 삽입홈으로 들어간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부터 빼내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반 도어가 키에 의해 잠겨 이동 락 바가 상승되어 이동 락 바의 상단이 가이드 몸체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 걸림턱에 걸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해 배전반으로 진동이 전달되면 진동 스위치가 폐쇄되고 제어 회로는 솔레노이드 모듈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 밀어넣어 이동 락 바가 하강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잠겨진 배전반 도어를 한번 더 잠그고 지진이 사라진 다음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 회로가 솔레노이드 모듈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부터 빼내고 이동 락 바는 키 조작에 의해 하강되며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손잡이를 따라 가이드 몸체가 따라 나오면서 쇄정 장치가 잠금 해제되어 배전반 도어가 열린다.

Description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SWITCHBOARD USING A DOOR LOCK SYSTEM HAVING AN EARTHQUAKE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 시 배전반에 부착된 손잡이 도어 잠금 장치를 도어 락 시스템으로 한번 더 잠근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아파트나, 빌딩, 공장, 및 변전소 등의 전력 수용가 측에 설치되어 특고압의 전력을 수전 및 배전하는 설비로서, 통상적으로, 수배전반을 보호하기 위해 배전반 내부에 부하 개폐기나, 계기용 변류기, 진공 차단기, 및 보호 계전기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배전반에는 최근 한반도 인근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진 재해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진 스프링이나 면진 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장치는 대부분 수배전반 외함이나 베이스에 적용된 제품에 머물고 있어, 지진 발생 시 배전반에서 가장 취약한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수배전반 외함이나 베이스에 적용된 제품은 내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지진 발생 시 면진 모듈을 이용하여 지진 피해를 최소화할 수도 있으나 배전반 자체의 진동에 의한 도어 공진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에 내진 또는 면진 도어 잠금 장치는 기계적 바가 홀에 걸리는 걸고리 형태이거나 기계적 바가 홀에 끼워지는 장치로서 상기와 같이, 바와 홀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바 또는 홀에 일정한 공차가 있어야 상호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공차는 지진이 발생되었을 때 배전반 도어와 배전반 본체 사이에 이격 거리가 생겨 공진이 발생됨으로, 상기 공진으로 인해 배전반 도어가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1409101"호의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가 있는데, 상기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락킹 바와, 상기 락킹 바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에 의해 락킹 바를 전방으로 가압 가능한 회전 부재,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에 결합되어 회전 부재를 후방으로 가압 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며 락킹 바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락킹 바의 전방 일부가 도어에 삽입되어 도어의 개방을 제한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61615 (2012.07.24)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409101 (2014.06.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진이 발생되었을 때 배전반 도어를 도어 락 시스템으로 한번 더 잠금으로써 지진에 의해 배전반 도어가 파손되거나 개방됨으로써 인명 사고가 발생되거나 타 설비가 파손됨을 억제할 수 있는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은 도어 락 본체와, 상기 도어 락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잡아 당겨졌을 때 쇄정 장치를 잠금 해제하여 배전반 도어를 열고 잡아 당겨지지 않았을 때 쇄정 장치를 이용하여 배전반 도어를 잠그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결합되어 손잡이가 당겨졌을 때 손잡이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몸체, 배전반 도어를 마주보는 가이드 몸체의 뒷면에서 가이드 몸체의 안쪽 방향으로 들어가 가이드 몸체 안쪽에 공간부를 형성한 락 핀 삽입홈, 상기 가이드 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키(Key)에 의한 잠금 설정 시 상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 걸림턱에 걸쳐 가이드 몸체가 손잡이를 따라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를 잠그고 키에 의한 잠금 해제 시 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 안쪽으로 들어감과 더불어 하단이 락 핀 삽입홈 안으로 들어와 가이드 몸체가 손잡이를 따라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이동 락 바, 상기 락 핀 삽입홈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의 한쪽 면에 장착되어 락 핀 삽입홈에 끼워지는 바(Bar) 형태의 락 핀을 구비하고 코일에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전자석 원리에 의해 락 핀을 잡아 당겨 락 핀 삽입홈으로 들어간 락 핀을 빼내고 코일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었을 때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 밀어넣는 솔레노이드 모듈, 배전반에 장착되어 배전반에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 진동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는 진동 스위치,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 스위치가 폐쇄되면 솔레노이드 모듈에 갖추어진 코일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 밀어넣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모듈에 갖추어진 코일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 삽입홈으로 들어간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부터 빼내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은 배전반 도어가 키에 의해 잠겨 이동 락 바가 상승되어 이동 락 바의 상단이 가이드 몸체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 걸림턱에 걸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해 배전반으로 진동이 전달되면 진동 스위치가 폐쇄되고 제어 회로는 솔레노이드 모듈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 밀어넣어 이동 락 바가 하강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잠겨진 배전반 도어를 한번 더 잠근다.
반면, 지진이 사라진 다음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 회로가 솔레노이드 모듈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을 락 핀 삽입홈으로부터 빼내고 이동 락 바는 키 조작에 의해 하강되며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손잡이를 따라 가이드 몸체가 따라 나오면서 쇄정 장치가 잠금 해제되어 배전반 도어가 열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은 배전반 도어를 도어 락 시스템으로 한번 더 잠금으로써 지진에 의해 배전반 도어가 파손되거나 개방됨으로써 인명 사고가 발생되거나 타 설비가 파손됨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이 장착된 배전반의 정면도,
도면 2는 도어 락 본체 정면에 갖추어진 키 삽입구를 도시한 도면,
도면 3a는 솔레노이드 모듈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었을 때 락 핀이 탄성 부재의 탄성 반발력 의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3b는 솔레노이드 모듈로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전자석 원리에 의해 락 핀을 솔레노이드 모듈 안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4a와 도면 4b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도어 락 본체와, 가이드 몸체, 이동 락 바, 락 핀 삽입홈, 락 핀, 솔레노이드 모듈, 손잡이, 및 쇄정 장치가 연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5는 진동 스위치의 결합 사시도,
도면 6은 진동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면 7a와 도면 7b는 진동 스위치의 단면도,
도면 8a는 고정 접점 설치 부재의 횡단면도,
도면 8b는 고정 접점 설치 부재의 종단면도,
도면 9는 본 발명의 제어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면 10은 타이머가 추가 장착된 제어 회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은 도면 1 내지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락 본체(1)와, 상기 도어 락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잡아 당겨졌을 때 쇄정 장치(3)를 잠금 해제하여 배전반 도어(5)를 열고 잡아 당겨지지 않았을 때 쇄정 장치(3)를 이용하여 배전반 도어(5)를 잠그는 손잡이(7), 상기 손잡이(7)와 일체로 결합되어 손잡이(7)가 당겨졌을 때 손잡이(7)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몸체(9), 배전반 도어(5)를 마주보는 가이드 몸체(9)의 뒷면에서 가이드 몸체(9)의 안쪽 방향으로 들어가 가이드 몸체(9) 안쪽에 공간부를 형성한 락 핀 삽입홈(11), 상기 가이드 몸체(9)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키(Key)에 의한 잠금 설정 시 상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9)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1) 걸림턱(28)에 걸쳐 가이드 몸체(9)가 손잡이(7)를 따라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5)를 잠그고 키에 의한 잠금 해제 시 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9) 안쪽으로 들어감과 더불어 하단이 락 핀 삽입홈(11) 안으로 들어와 가이드 몸체(9)가 손잡이(7)를 따라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5)가 열리도록 하는 이동 락 바(13), 및 상기 락 핀 삽입홈(11)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9)의 한쪽 면에 장착되어 락 핀 삽입홈(11)에 끼워지는 바(Bar) 형태의 락 핀(15)을 구비하고 코일(17)에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전자석 원리에 의해 락 핀(15)을 잡아 당겨 락 핀 삽입홈(11)으로 들어간 락 핀(15)을 빼내고 코일(17)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었을 때 탄성 부재(19)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락 핀 삽입홈(11)으로 락 핀(15)을 밀어넣는 솔레노이드 모듈(21)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23)에 장착되어 배전반(23)에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 진동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는 진동 스위치(25)와,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면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 밀어넣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 삽입홈(11)으로 들어간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빼내는 제어 회로(27)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키에 의해 이동 락 바(13)가 상승되어 이동 락 바(13)의 상단이 가이드 몸체(9)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1) 걸림턱(28)에 걸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해 배전반(23)으로 진동이 전달되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고 제어 회로(27)는 솔레노이드 모듈(21)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 밀어넣어 이동 락 바(13)가 하강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잠겨진 배전반 도어(5)를 한번 더 잠근다.
반면, 지진이 사라진 다음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 회로(27)가 솔레노이드 모듈(21)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빼내고 이동 락 바(13)는 키 조작에 의해 하강되며 손잡이(7)를 잡아 당기면 손잡이(7)를 따라 가이드 몸체(9)가 따라 나오면서 쇄정 장치(3)가 잠금 해제되어 배전반 도어(5)가 열린다.
상기 진동 스위치(25)는 도면 5 내지 도면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반(23)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는 스위치 베이스판(20)과,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면서 로드바(22)(Load Bar)가 끼워지도록 로드 바 끼움 홀(24)이 관통되고 도체 재질로 가공되는 수평 상부 고정바(26), 상기 수평 상부 고정바(26)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수평 상부 고정바(26)의 직교 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스위치 베이스판(20)에 고정되며 도체 재질로 가공되는 수직 상부 고정바(29), 상기 로드 바 끼움 홀(24)에 끼워지면서 도체 재질로 가공된 로드바(22), 상기 수평 상부 고정바(26) 위에 배치된 로드바(22)에 장착되면서 도체 재질로 가공된 회전구(31), 상기 수평 상부 고정바(26) 아래에 배치된 로드바(22)에 장착되고 원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측부 둘레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며 도체 재질로 가공된 접점구(33), 상기 접점구(33)를 마주보는 스위치 베이스판(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바(34), 및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서 윗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윗면을 통해 접점구(33)가 삽입되고 내부 측부 둘레면에 도체로 이루어진 고정 접점(40)이 장착되며 고정바(3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접점 설치 부재(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구(31) 상부에 배치된 로드바(22)에는 로드바(22)에 끼워진 회전구(31)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부 고정 너트(36)가 장착되고, 상기 접점구(33) 하부에 배치된 로드바(22)에는 로드바(22)에 끼워진 접점구(33)가 로드바(22)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부 고정 너트(38)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로드 바 끼움 홀(24)의 상부 가장자리(37)는 도면 7a 내지 도면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구(31)가 안착되도록 원호 형태로 가공되며, 상기 로드 바 끼움 홀(24)의 하부 가장자리(39)는 로드 바 끼움 홀(24)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테이퍼(Taper)진다.
상기 진동 스위치(25)에 진동이 전달되면 로드 바 끼움 홀(24)에 끼워진 로드바(22)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로드바(22)와 일체로 결합된 접점구(33)의 측부 둘레면이 고정 접점 설치 부재(35)의 내부 측부 둘레면에 장착된 고정 접점(40)과 맞닿아 스위치가 폐쇄된다.
한편, 상기 제어 회로(27)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제어 회로(27)로 유입되는 전원 라인을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41)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41)로부터 출력되는 플러스 전기 선로에 어느 한 접점이 연결되어 푸쉬 되었을 때 폐쇄된 스위치를 개방하는 푸쉬 b접점 스위치(43), 상기 푸쉬 b접점 스위치(43)와 직렬 연결되어 진동이 발생되었을 때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는 진동 스위치(25), 코일의 어느 한 접점이 진동 스위치(25)와 직렬 연결되고 코일의 다른 한 접점이 배선용 차단기(41)를 거친 마이너스 전기 선로에 연결되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었을 때 여자(勵磁)되는 제1 릴레이(47), 상기 진동 스위치(25)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 릴레이(47)가 여자되었을 때 스위치가 폐쇄되어 제1 릴레이(47)를 자기 유지하는 제1-1 릴레이 a접점 스위치(49), 및 상기 배선용 차단기(41)로부터 출력되는 플러스 전기 선로에 어느 한 접점이 연결되어 푸쉬 되었을 때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는 푸쉬 a접점 스위치(51)를 구비하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27)는 상기 푸쉬 a접점 스위치(51)와 직렬 연결되어 제1 릴레이(47)가 여자되었을 때 폐쇄된 스위치를 개방하는 제1 릴레이 b접점 스위치(53)와, 코일의 어느 한 접점이 상기 제1 릴레이 b접점 스위치(53)와 직렬 연결되고 다른 한 접점이 배선용 차단기(41)를 거친 마이너스 전기 선로에 연결되어 제1 릴레이 b접점 스위치(53)가 폐쇄된 상태에서 푸쉬 a접점 스위치(51)가 눌렸을 때 여자되는 제2 릴레이(55), 상기 푸쉬 a접점 스위치(51)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릴레이(55)가 여자되었을 때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여 제2 릴레이(55)를 자기 유지시키는 제2-1 릴레이 a접점 스위치(57), 및 상기 배선용 차단기(41)로부터 출력되는 플러스 전기 선로에 어느 한 접점이 연결되어 제2 릴레이(55)가 여자되었을 때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는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59)를 더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은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59)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푸쉬 a접점 스위치(51)를 누르면 배선용 차단기(41)로부터 유입된 전류가 푸쉬 a접점 스위치(51)와 제1 릴레이 b접점 스위치(53) 및 제2 릴레이(55)에 갖추어지 코일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릴레이(55)는 여자됨과 동시에 제2-1 릴레이 a접점 스위치(57)를 폐쇄시켜 제2 릴레이(55)를 자기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59)는 제2 릴레이(55)가 여자됨과 동시에 폐쇄되어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로 전류를 유입시키고, 전류가 유입된 상기 솔레노이드 모듈(21)은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빼내 이동 락 바(13)의 타단이 락 핀 삽입홈(11)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전반(23)에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면 상기 푸쉬 b접점 스위치(43)와 진동 스위치(25)를 통해 제1 릴레이(47)에 갖추어진 코일로 전류가 유입되고 상기 제1 릴레이(47)는 여자됨과 동시에 제1-1 릴레이 a접점 스위치(49)가 폐쇄되어 제1 릴레이(47)를 자기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릴레이 b접점 스위치(53)는 오픈되어 제2 릴레이(55)로 유입되는 전류를 끊고 상기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59)는 개방되어 솔레노이드 모듈(21)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락 핀(15)은 탄성 부재(19)의 복원력에 의해 락 핀 삽입홈(11)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이동 락 바(13)의 하단이 락 핀 삽입홈(11)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키 조작에 의해 이동 락 바(13)가 하강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손잡이(7)를 잡아 당겨 배전반 도어(5)가 잠금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또, 상기 푸쉬 b접점 스위치(43)를 누르면 제1 릴레이(47)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면서 제어 회로(27)가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27)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41)로부터 연장된 플러스 전기 선로에 어느 한 접점이 연결된 제1-2 릴레이 a접점 스위치(61)와, 상기 제1-2 릴레이 a접점 스위치(61)와 직렬 연결되어 제1-2 릴레이 a접점 스위치(61)가 폐쇄되었을 때 유입된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램프(63)가 갖추어져, 상기 배전반(23)으로 전달된 진동에 의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고 제1 릴레이(47)가 여자되면 제1-2 릴레이 a점점 스위치(61)가 폐쇄되면서 램프(63)가 점등된다.
또, 상기 제2 릴레이(55)에는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65)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1 릴레이 b접점 스위치(53)와 제2 릴레이(55) 사이에는 한시동작 순시복귀 되는 타이머 b접점 스위치(67)가 직렬 연결되어, 상기 푸쉬 a접점 스위치(51)를 누르면 타이머(65)와 제2 릴레이(55)에 전류가 유입되면서 솔레노이드 모듈(21)에 전류가 유입되어 락 핀(15)이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에 따라 키와 손잡이(7)을 조작하여 배전반(23)을 열거나 잠글 수 있다.
또, 상기 타이머(65)에 설정된 시간이 지난 다음에 타이머 b접점 스위치(67)가 개방되어 제2 릴레이(55)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59)가 개방되면서 솔레노이드 모듈(21)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락 핀(15)은 락 핀 삽입홈(11)으로 들어가 손잡이(7) 조작을 억제함으로써 잠겨진 배전반(23)이 열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푸쉬 b접점 스위치(43)의 앞단 또는 뒷단에는 푸쉬 b접점 스위치(43)와 직렬 연결되면서 원격 조정에 의해 개폐되어 제1 릴레이(47)로 유입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 원격 제어 스위치(69)가 장착되고, 상기 제2-1 릴레이 a접점 스위치(57)에는 제2-1 릴레이 a접점 스위치(57)에 병렬 연결되어 원격 조정에 의해 개폐되어 제2 릴레이(55)로 유입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원격 제어 스위치(71)가 장착되어, 제2 원격 제어 스위치(71)가 폐쇄되면 제2 릴레이(55)가 구동되면서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59)가 폐쇄되어 락 핀(15)이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빠져나와 키와 손잡이(7)을 조작하여 배전반 도어(5)를 잠그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격 제어 스위치(69)를 개방시키면 제1 릴레이(47)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면서 제어 회로(27)가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은 지진으로 인해 발생된 진동이 배전반(23)으로 전달되면, 전달된 진동에 의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고 상기 진동 스위치(25)는 제어 회로(27)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한편, 솔레노이드 모듈(21)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락 핀(15)이 탄성 부재(1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락 핀 삽입홈(11)으로 삽입되고, 이동 락 바(13)는 락 핀(15)에 의해 하강할 수 없기 때문에 키에 의해 이동 락 바(13)를 하강시킬 수 없어 이동 락 바(13)에 의해 잠겨진 배전반 도어(5)를 한번 더 잠그게 된다.
반면, 푸쉬 b접점 스위치(43)를 눌러 제어 회로(27)를 초기화시킨 다음, 배전반(23)에 장착된 푸쉬 a접점 스위치(51)를 누르면, 제2 릴레이(55)에 전류가 유입되면서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59)가 폐쇄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로 전류가 유입되어 락 핀(15)이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키에 의해 이동 락 바(13)가 하강되고, 손잡이(7)를 잡아 당겨 배전반 도어(5)를 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은 배전반 도어(5)를 도어 락 시스템으로 한번 더 잠금으로써 지진에 의해 배전반 도어(5)가 파손되거나 개방됨으로써 인명 사고가 발생되거나 타 설비가 파손됨을 억제할 수 있다.
1. 도어 락 본체 3. 쇄정 장치
5. 배전반 도어 7. 손잡이
9. 가이드 몸체 11. 락 핀 삽입홈
13. 이동 락 바 15. 락 핀
17. 코일 19. 탄성 부재
20. 스위치 베이스판 21. 솔레노이드 모듈
22. 로드바 23. 배전반
24. 로드 바 끼움 홀 25. 진동 스위치
26. 수평 상부 고정바 27. 제어 회로
28. 걸림턱 29. 수직 상부 고정바
33. 접점구 34. 고정바
35. 고정 접점 설치 부재 36. 상부 고정 너트
37. 상부 가장자리 38. 하부 고정 너트
39. 하부 가장자리 41. 배선용 차단기
43. 푸쉬 b접점 스위치 47. 제1 릴레이
49. 제1-1 릴레이 a접점 스위치 51. 푸쉬 a접점 스위치
53. 제1 릴레이 b접점 스위치 55. 제2 릴레이
57. 제2-1 릴레이 a접점 스위치 59. 제2-2 릴레이 a접점 스위치
61. 제1-2 릴레이 a접점 스위치 63. 램프
65. 타이머 67. 타이머 b접점 스위치
69. 제1 원격 제어 스위치 71. 제2 원격 제어 스위치

Claims (2)

  1. 도어 락 본체(1)와;
    상기 도어 락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잡아 당겨졌을 때 쇄정 장치(3)를 잠금 해제하여 배전반 도어(5)를 열고 잡아 당겨지지 않았을 때 쇄정 장치(3)를 이용하여 배전반 도어(5)를 잠그는 손잡이(7);
    상기 손잡이(7)와 일체로 결합되어 손잡이(7)가 당겨졌을 때 손잡이(7)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몸체(9);
    배전반 도어(5)를 마주보는 가이드 몸체(9)의 뒷면에서 가이드 몸체(9)의 안쪽 방향으로 들어가 가이드 몸체(9) 안쪽에 공간부를 형성한 락 핀 삽입홈(11);
    상기 가이드 몸체(9)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키(Key)에 의한 잠금 설정 시 상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9)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1) 걸림턱(28)에 걸쳐 가이드 몸체(9)가 손잡이(7)를 따라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5)를 잠그고 키에 의한 잠금 해제 시 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단이 가이드 몸체(9) 안쪽으로 들어감과 더불어 하단이 락 핀 삽입홈(11) 안으로 들어와 가이드 몸체(9)가 손잡이(7)를 따라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5)가 열리도록 하는 이동 락 바(13);
    상기 락 핀 삽입홈(11)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9)의 한쪽 면에 장착되어 락 핀 삽입홈(11)에 끼워지는 바(Bar) 형태의 락 핀(15)을 구비하고 코일(17)에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전자석 원리에 의해 락 핀(15)을 잡아 당겨 락 핀 삽입홈(11)으로 들어간 락 핀(15)을 빼내고 코일(17)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었을 때 탄성 부재(19)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락 핀 삽입홈(11)으로 락 핀(15)을 밀어넣는 솔레노이드 모듈(21);
    배전반(23)에 장착되어 배전반(23)에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 진동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하는 진동 스위치(25);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면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 밀어넣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모듈(21)에 갖추어진 코일(17)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 삽입홈(11)으로 들어간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빼내는 제어 회로(27)로 이루어져,
    키에 의해 이동 락 바(13)가 상승되어 이동 락 바(13)의 상단이 가이드 몸체(9)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도어 락 본체(1) 걸림턱(28)에 걸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해 배전반(23)으로 진동이 전달되면 진동 스위치(25)가 폐쇄되고 제어 회로(27)는 솔레노이드 모듈(21)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 밀어넣어 이동 락 바(13)가 하강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잠겨진 배전반 도어(5)를 한번 더 잠그고 지진이 사라진 다음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 회로(27)가 솔레노이드 모듈(21)로 전류를 유입시켜 락 핀(15)을 락 핀 삽입홈(11)으로부터 빼내고 이동 락 바(13)는 키 조작에 의해 하강되며 손잡이(7)를 잡아 당기면 손잡이(7)를 따라 가이드 몸체(9)가 따라 나오면서 쇄정 장치(3)가 잠금 해제되어 배전반 도어(5)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위치(25)는 배전반(23)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는 스위치 베이스판(20)과,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면서 로드바(22)(Load Bar)가 끼워지도록 로드 바 끼움 홀(24)이 관통되고 도체 재질로 가공되는 수평 상부 고정바(26),
    상기 수평 상부 고정바(26)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수평 상부 고정바(26)의 직교 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스위치 베이스판(20)에 고정되며 도체 재질로 가공되는 수직 상부 고정바(29),
    상기 로드 바 끼움 홀(24)에 끼워지면서 도체 재질로 가공된 로드바(22),
    상기 수평 상부 고정바(26) 위에 배치된 로드바(22)에 장착되면서 도체 재질로 가공된 회전구(31),
    상기 수평 상부 고정바(26) 아래에 배치된 로드바(22)에 장착되고 원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측부 둘레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며 도체 재질로 가공된 접점구(33),
    상기 접점구(33)를 마주보는 스위치 베이스판(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바(34),
    및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서 윗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윗면을 통해 접점구(33)가 삽입되고 내부 측부 둘레면에 도체로 이루어진 고정 접점(40)이 장착되며 고정바(3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접점 설치 부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 바 끼움 홀(24)의 상부 가장자리(37)는 회전구(31)가 안착되도록 원호 형태로 가공되며,
    상기 로드 바 끼움 홀(24)의 하부 가장자리(39)는 로드 바 끼움 홀(24)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테이퍼(Taper)져,
    상기 진동 스위치(25)에 진동이 전달되면 로드 바 끼움 홀(24)에 끼워진 로드바(22)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로드바(22)와 일체로 결합된 접점구(33)의 측부 둘레면이 고정 접점 설치 부재(35)의 고정 접점(40)과 맞닿아 스위치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KR20140186012A 2014-12-22 2014-12-22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KR10150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6012A KR101503238B1 (ko) 2014-12-22 2014-12-22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6012A KR101503238B1 (ko) 2014-12-22 2014-12-22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238B1 true KR101503238B1 (ko) 2015-03-18

Family

ID=5302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86012A KR101503238B1 (ko) 2014-12-22 2014-12-22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2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936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도어 잠금장치
KR101088807B1 (ko) 2010-05-27 2011-12-01 주식회사 솔모정보기술 수배전반용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936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도어 잠금장치
KR101088807B1 (ko) 2010-05-27 2011-12-01 주식회사 솔모정보기술 수배전반용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7467B1 (en) Shutter do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anel
US9806459B2 (en) Plug connector part with a latching element
ZA201006059B (en) Functional unit for low-voltage panel with test position
KR20130089013A (ko) 배전반 안전장치
JP2008092669A (ja) 引出し形受配電機器の鎖錠装置
KR101503238B1 (ko) 지진 감응 장치가 장착된 도어 락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KR20110091205A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KR101604280B1 (ko) 배전반
KR101602920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CN103515845B (zh) 用于将电气设备锁定在导轨上的装置以及电气开关设备
KR101690133B1 (ko) 링메인유닛(rmu)의 인터록 장치
CN202488017U (zh) 出线柜与变压器柜的机械联锁装置
US10475613B2 (en) Trip for electrical switching device and electrical switching device comprising such a trip
RU2619763C2 (ru) Выдвижная ра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а также блок из выдвижной рамы 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US8299377B2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breakers
KR100618568B1 (ko) 수배전반의 후면도어 인터록장치
US9218920B2 (en) Flexible cable assembly providing local lockout
CA23843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locking
CN101553637A (zh) 锁装置
CN110167299B (zh) 一种防误开的网络安全机柜
CN210956575U (zh) 万能式断路器分、合闸按钮锁定装置
EP1075702B1 (en) Relay
CN112186541B (zh) 一种安全性能高的电力控制柜
CN212209388U (zh) 一种五防连锁结构及其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