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722B1 -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722B1
KR101501722B1 KR20140048047A KR20140048047A KR101501722B1 KR 101501722 B1 KR101501722 B1 KR 101501722B1 KR 20140048047 A KR20140048047 A KR 20140048047A KR 20140048047 A KR20140048047 A KR 20140048047A KR 101501722 B1 KR101501722 B1 KR 10150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ecking
control signal
time differenc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현
김경환
신윤미
임선용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Priority to KR2014004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01P21/02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 G01P21/025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for measuring speed of fluids; for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6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P3/6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optical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차량을 주행시키지 않고도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를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차량속도 데이터를 구현하여 점검테스트가 가능함으로써 점검 정확도를 점검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반사판이 양측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가 제1, 제2 안내레일의 가이드 홈들 각각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반사판이 안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낙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1, 제2 점검부의 전자석부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차와 제1, 제2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차의 차이가 크지 않아 점검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제1, 제2 점검부의 전자석부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차와 제1, 제2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차의 차이가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2 설정값(TH2) 이하인지를 실시간으로 비교함으로써 점검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appartus for checking portable speed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실제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도 차량 주행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하여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차량속도 산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점검함과 동시에 자체적인 오류 및 보정값을 검출하여 점검의 정확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는 교통자료, 정보 가공처리, 정보 제공까지 상호 의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VDS(Vehicle Detection System, 차량검지기), AVI(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차량번호인식장치)와 같은 현장장비에서 수집되는 자료의 정확도는 교통정보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ITS 교통정보의 품질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ITS 장비, 시스템 및 서비스 도입 전에 시험, 검사 등을 통하여 일정수준의 이상의 품질 및 성능이 확보된 장비를 선정해야 하고, 현장에 장비 설치 시 도로 교통여건을 감안한 장비 및 시스템의(H/W 및 S/W) 준공평가가 필요하며, 운영되고 있는 장비의 성능유지를 위하여 정기적인 검사와 교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 지능형교통체계 성능평가 업무의 근거를 제시하였고, 현재 교통정보 수집 장비에 대한 성능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성능평가를 위하여 이동식 속도측정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는 레이저(Laser)센서를 기반으로 차량속도를 산출한 후 이를 현장에 설치된 차량검지기에서 산출된 차량속도와 비교하여 차량검지기의 속도 검지성능이 정확한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종래의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는 도로 갓길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검지하는 장치이며, 상세하게로는 레이저신호를 송신하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와, 지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진입,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1), (103)들을 지지하는 받침대(105)를 포함하고,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는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는 관리자의 노트북과 같은 단말기에 연결되어 관리자는 단말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로부터 입력된 레이저신호를 분석하여 차량검지 및 검지된 차량의 속도를 산출한다.
즉 관리자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를 이용하여 산출한 차량속도와, 기 설치된 차량검지기에서 측정된 차량속도를 비교하여 차량검지기에서 수집되는 속도가 정확한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
이와 같이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는 휴대가 용이하며, 도로에 매립하거나 고정물에 결합하는 등의 별도의 설치작업 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 설치된 차량검지기의 수집 정보에 대한 평가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는 다양한 방식의 차량검지기들에 대한 점검이 자신이 산출한 차량속도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신의 속도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아직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를 점검하기 위한 장비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진입,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들 각각의 전방에 반사판을 낙하시켜 이동식 속도측정장비가 반사판에 의하여 레이저신호가 반사되는 시점을 차량이 주행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차량을 주행시키지 않고도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를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차량속도(V)에 따라 제1 점검부 및 제2 점검부의 전자석부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시간차(△t)가 결정되고, 제1 점검부 및 제2 점검부의 반사판들은 결정된 시간차(△t)에 따라 낙하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차량속도 데이터를 구현하여 점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반사판의 양측부에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부는 제1 안내레일 및 제2 안내레일의 가이드 홈에 결합됨으로써 반사판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낙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반사판이 낙하되는 지점에 반사판의 낙하여부를 검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센서에 의한 감지신호를 통해 제1, 제2 점검부의 반사판들이 낙하되는 시간차인 낙하시간차(△t′)를 검출하여 검출된 낙하시간차(△t′) 및 상기 제어신호의 시간차(△t)의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을 초과할 때 자체적인 오류로 인하여 속도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다고 판단함으로써 점검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레이저를 송수신하되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진입 레이저부 및 진출 레이저부를 포함하여 주행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를 점검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의 일측 및 상기 진입 레이저부에서 송신되는 레이저신호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진입 레이저부의 레이저신호를 차단하는 제1 점검부; 상기 받침판의 상면의 타측 및 상기 진출 레이저부에서 송신되는 레이저신호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진출 레이저부의 레이저신호를 차단하는 제2 점검부; 기 설정된 차량속도(V)에 대응하는 시간차인 제어신호 시간차(△t)에 따라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속도(V') 및 상기 기 설정된 차량속도(V)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1 설정값(TH1:Threshold) 이하이면 상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동작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제1 판단부로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들; 상기 수직프레임들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판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자석부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상부가 상기 전자석부에 부착되되 상기 전자석부에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석부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따라 낙하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상기 반사판이 낙하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제1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과 상기 제2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의 시간차인 낙하시간차(△t')를 산출하는 낙하시간차 산출부와, 상기 낙하시간차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낙하시간차(△t') 및 상기 제어신호 시간차(△t)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2 설정값(TH2)을 초과할 때 자체적인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판단부에서 상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동작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판단부에서 자체적인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들 중 어느 하나일 때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중간지점에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이 낙하될 때 상기 반사판의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상기 반사판들이 낙하될 때 상기 진입 레이저부 및 상기 진출 레이저부의 레이저신호가 상기 반사판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속도(V)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신호는 전압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차량을 주행시키지 않고도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를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성능에 대하여 다양한 차량속도 데이터를 구현하여 점검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점검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판이 양측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가 제1, 제2 안내레일의 가이드 홈들 각각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반사판이 안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낙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1, 제2 점검부의 전자석부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차와 제1, 제2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차의 차이가 크지 않아 점검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점검부의 전자석부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차와 제1, 제2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차의 차이가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2 설정값(TH2) 이하인지를 실시간으로 비교함으로써 점검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반사판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전자석부 및 반사판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반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및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설치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2와 3의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전술하였던 도 1의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전방에 설치되며,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차량속도(V)에 따라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가 동작되도록 한 후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에서 산출된 차량속도(V')를 입력된 차량속도(V)에 비교하여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후술되는 도 9의 컨트롤러(9)에 연결되어 컨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고, 컨트롤러(9)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를 제어함과 동시에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분석하여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속도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판(2)과, 받침판(2)의 상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되 도 1의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점검부(3)와, 받침판(2)의 상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되 도 1의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 점검부(5)와,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를 제어하는 컨트롤러(9)로 이루어진다.
제1 점검부(3)는 프레임들이 'H'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부(31)와,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내측으로 가이드 홈(361)이 형성되어 프레임부(31)의 수직 프레임(311), (313)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안내레일(36) 및 제2 안내레일(37)과, 프레임부(31)의 연결 프레임(315)의 상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완충부(32)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고정부(35)의 고정판(351)의 관통공(352)에 삽입되어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33)와, 안내레일(37)에 인접한 수직프레임(313)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자석부(33)가 낙하되는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34)와, 전자석부(33)를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5)와, 두께 및 면적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양측부가 제1 안내레일(36) 및 제2 안내레일(37)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판(3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와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석부(33)의 낙하를 감지하는 센서가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센서의 구성은 적외선 센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석부(33)의 낙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프레임부(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받침판(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311), (313)들과, 수직 프레임(311), (313)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317)과, 수직 프레임(311), (313)들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 지점에 수직 프레임(311), (313)들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31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 프레임(315)이 연결된 지점보다 상향된 수직 프레임(311), (313)을 이하 상부 수직 프레임(311'), (313')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부 수직 프레임(311'), (313')들은 대향되는 측면들에는 제1 안내레일(36) 및 제2 안내레일(37)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연결 프레임(315)의 상부에는 낙하되는 반사판(38)으로부터 전달받은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한 완충부(32)가 설치된다. 이때 완충부(32)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며, 상세하게로는 우레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317)은 하면이 받침판(2)의 상면에 대접되며, 상면의 양단부에는 수직 프레임(311), (313)들이 설치된다.
제1 안내레일 및 제2 안내레일(37)은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가이드 홈(36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안내레일(36) 및 제2 안내레일(37)은 상부 수직 프레임(311'), (313')들의 대향되는 측면들 각각에 설치되어 가이드 홈(361)들이 서로 대향되게 된다.
도 5는 도 2의 반사판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고정부(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352)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수직 프레임(311), (313)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고정판(351)과,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판(351)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353)과, 브라켓(353)에 전자석부(33)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355)로 이루어진다.
고정판(351)은 중앙에 관통공(352)이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수직 프레임(311), (313)들 각각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고정판(351)의 관통공(352)으로 전자석부(33)가 관통되어 전자석부(33)는 하부가 고정판(35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하면에는 반사판(38)이 탈부착된다.
브라켓(353)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판(351)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측 공간에는 전자석부(33)의 상단부가 수용된다.
또한 브라켓(353)의 상부에는 결합부재(355)가 설치되고, 결합부재(355)는 브라켓(353)으로부터 전자석부(33)를 고정시킨다.
전자석부(33)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판(351)의 관통공(352)에 관통되어 양단부가 고정판(351)으로부터 상하부로 돌출되고, 상단부는 결합부재(355)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전자석부(33)는 하면에 반사판(38)이 대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전자석부(33)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상세하게로는 3.3 ~ 5V의 High 신호가 입력되면 전자석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반사판(38)이 부착되게 되고, 0V의 Low 신호가 입력되면 자기장이 발생되지 않아 부착된 반사판(38)이 탈착되어 하부로 낙하되게 된다.
도 6은 도 2의 전자석부 및 반사판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는 전자석부(33)에 전류가 흐를 때 반사판(38)이 부착되며, 전자석부(33)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반사판(38)이 전자석부로부터 탈착되어 제1, 제2 안내레일(36), (37)을 따라 하부로 낙하되고, 이에 따라 진입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1), (103)에서 송신되는 레이저 신호는 낙하되는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기 때문에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는 반사판(38)에 의하여 레이저 신호가 반사되는 시점을 차량이 통과한 시점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7은 도 2의 반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반사판(38)은 두께 및 면적을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사판 몸체(381)와, 반사판 몸체(381)의 양측면에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돌부(383), (383')들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돌부(383), (383')들은 제1, 제2 안내레일(36), (37)의 가이드 홈(361)들 각각으로 삽입된다.
또한 반사판(38)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전자석부(33)에 전류가 흐를 때 상면이 전자석부(33)의 하면에 부착되며, 전자석부(33)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전자석부(33)로부터 탈착되어 제1, 제2 안내레일(36), (37)을 따라 낙하되게 된다.
또한 반사판(38)은 전자석부(33)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석부(33)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센서(34)는 안내레일(37)에 인접한 수직프레임(3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반사판(38)이 낙하되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적외선 센서(34)에 의해 측정된 감지신호는 컨트롤러(9)로 입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외선 센서(34)가 안내레일(37)에 인접한 수직프레임(3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적외선 센서(34)의 설치 위치는 설계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은 도 2의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및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설치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전방에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세하게로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에서 송신되는 레이저 신호가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반사판(38)이 낙하될 때 반사판(38)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컨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제1 점검부(3)의 전자석부(33)로 제어신호(Low 신호, 0V)가 입력되면 제1 점검부(3)의 반사판(38)이 낙하되고, 반사판(38)이 낙하되면 반사판(38)은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에서 송신되는 레이저 신호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여 레이저 신호를 반사시켜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는 반사판(38)이 낙하되는 시점을 차량이 통과한 시점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어신호가 제어신호 발생부(95)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어신호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이격거리(x1)가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의 거리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제1 점검부(3) 및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의 이격거리(x2) 또는 제2 점검부(5)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의 이격거리(x3)는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이격거리(x1)와 유사한 길이로 이격된다. 이때 제1 점검부(3) 및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의 이격거리(x2)와 제2 점검부(5)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의 이격거리(x3)의 거리차는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의 거리가 700mm인 경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이격거리(x1)가 700mm, 제1 점검부(3) 및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의 이격거리(x2) 또는 제2 점검부(5)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의 이격거리(x3)가 700 ~ 900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반사판(38)들이 낙하될 때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의 레이저신호가 반사판(38)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레이저신호의 반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9는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의 컨트롤러(9)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91)와,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92)와,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에 적용될 차량속도(V)를 입력받는 입력부(93)와,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받은 차량속도(V)에 대응하는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전자석부(33)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차인 제어신호 시간차(△t)를 산출하는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와,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에 제어신호 시간차(△t)에 대응하여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전자석부(33)들 각각으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발생부(95)와, 통신 인터페이스부(92)를 통해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로부터 입력받은 차량속도(V‘)와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받은 차량속도(V)를 비교하여 두 데이터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Threshold1) 이내인지에 따라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의 차량속도 산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96)와, 통신 인터페이스부(92)를 통해 적외선 센서(34), (34')들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들을 통해 제1, 제2 점검부(3), (5)의 반사판(38)이 낙하되는 시간차인 낙하시간차(△t')를 산출하는 낙하시간차 산출부(97)와,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에서 산출된 제어신호 시간차(△t)를 낙하시간차 산출부(97)에서 산출된 낙하시간차(△t')에 비교하여 두 데이터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 이내인지에 따라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98)와,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99)와, 이들 제어대상(91), (92), (93), (94), (95), (96), (97), (98), (99)들을 제어하는 제어부(9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90)는 컨트롤러(9)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91), (92), (93), (94), (95), (96), (97), (98), (9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실시간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92)를 크롤링(Crawling)하여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았는지를 탐색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입력부(93)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차량속도(V)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차량속도(V) 데이터를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에 의해 산출된 제어신호 시간차(△t)를 제어신호 발생부(9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제어신호 발생부(95)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가 전자석부(33)로 전송된 후 통신 인터페이스부(92)를 통해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속도(V',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에 의해 산출됨)를 제1 판단부(96)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적외선 센서(34), (34')들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을 낙하시간차 산출부(97)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제1 판단부(96) 및 제2 판단부(98)에 의해 결정된 판단정보를 를 디스플레이부(99)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부(91)에는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된 차량속도(V)와,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속도(V')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91)에는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이격거리(x1)와, 제1 점검부(3) 및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의 이격거리(x2)와, 제2 점검부(5)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의 이격거리(x3)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91)에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에 의해 측정된 차량속도(V') 및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된 차량속도(V)가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최대 오차범위인 제1 설정값(TH1:Threshold)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91)에는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에 의해 산출된 제어신호 시간차(△t) 및 낙하시간차 산출부(97)에 의해 산출된 낙하시간차(△t')의 차이값이 보정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할 수 있는 최대 오차범위인 제2 설정값(TH2)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입력부(93)는 관리자로부터 차량속도(V)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차량속도(V)를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로 입력한다.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는 입력부(93)로부터 입력된 차량속도(V)에 대응하여 진입로 및 진출로에서 차량이 감지되는 시간차, 상세하게로는 제1 점검부(3)의 전자석부(33)로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간 및 제2 점검부(5)의 전자석부(33)로 제어신호가 입력된 시간의 시간차인 제어신호 시간차(△t)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에 의해 산출된 제어신호 시간차(△t)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 발생부(95)로 입력된다.
제어신호 발생부(95)는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제1 점검부(3)의 전자석부(33)로 제어신호를 전송한 후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에 의해 산출된 제어신호 시간차(△t)가 경과하면 제2 점검부(5)의 전자석부(33)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0V 전압의 Low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신호 발생부(95)는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된 차량속도(V)에 대응되는 시간차(△t)에 따라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전자석부(33)로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제1 점검부(3) 및 제2 점검부(5)의 반사판(38)을 낙하시킴으로써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는 진입 레이저 송수신부(101) 및 진출 레이저 송수신부(103)가 낙하되는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는 레이저신호를 통해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점을 차량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속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는 산출된 차량속도(V') 데이터를 컨트롤러(9)의 통신 인터페이스부(92)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의 제어부(90)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속도(V') 데이터를 제1 판단부(96)로 입력한다.
도 10은 도 9의 제1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1 판단부(9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93)를 통해 입력된 차량속도(V) 및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에서 산출된 차량속도(V')의 차이값인 차량속도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량속도 차이값 산출모듈(961)과, 차량속도 차이값 산출모듈(961)에 의해 산출된 차량속도 차이값을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1 설정값(TH1)에 비교하는 비교모듈(963)과, 비교모듈(963)에 의해 차이값이 제1 설정값(TH1) 이하일 때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속도산출을 '정상'으로, 차이값이 제1 설정값(TH1)을 초과할 때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속도산출은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판단모듈(965)로 이루어진다.
즉 제1 판단부(96)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에서 산출된 차량속도(V')와, 입력부(93)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차량속도(V)를 비교하여 두 데이터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 이하인지를 비교하여 이동식 속도측정장비(100)의 속도산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낙하시간차 산출부(97)는 제1, 제2 점검부(3), (5)들 각각의 적외선 센서(34), (34')들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실제 제1, 제2 점검부(3), (5)들의 반사판(38)들이 낙하되는 시간차인 낙하시간차(△t')를 산출한다.
제2 판단부(98)는 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94)에서 산출된 제어신호 시간차(△t) 및 낙하시간차 산출부(97)에서 산출된 낙하시간차(△t')의 차이값(△t-△t')을 산출한 후 차이값이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며, 만약 두 데이터의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하일 때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며, 만약 두 데이터의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를 초과할 때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1)는 반사판(38)들이 실제 낙하되는 시간차인 낙하시간차(△t')와, 제어신호 발생부(95)에 의하여 전자석부(33)들로 입력된 제어신호 시간차(△t)를 비교하여 두 데이터의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을 초과할 때 자체적인 오류로 인해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관리자는 제2 판단부(98)에 의해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장비를 재점검하여 낙하시간차(△t) 및 실제 낙하시간차(△t')의 차이값을 제2 설정값(TH2) 이하로 보정시킬 수 있다.
1: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2:받침판
3:제1 점검부 5:제2 점검부 9:컨트롤러
31:프레임부 33:전자석부 34:적외선 센서
35:고정부 36:제1 안내레일 37:제2 안내레일
38:반사판 90:제어부 91:데이터베이스부
92:통신 인터페이스부 93:입력부
94:제어신호 시간차 산출부 95:제어신호 발생부
96:제1 판단부 97:낙하시간차 산출부
98:제2 판단부 99: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레이저를 송수신하되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진입 레이저부 및 진출 레이저부를 포함하여 주행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를 점검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의 일측 및 상기 진입 레이저부에서 송신되는 레이저신호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진입 레이저부의 레이저신호를 차단하는 제1 점검부;
    상기 받침판의 상면의 타측 및 상기 진출 레이저부에서 송신되는 레이저신호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진출 레이저부의 레이저신호를 차단하는 제2 점검부;
    기 설정된 차량속도(V)에 대응하는 시간차인 제어신호 시간차(△t)에 따라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속도(V') 및 상기 기 설정된 차량속도(V)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1 설정값(TH1:Threshold) 이하이면 상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동작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제1 판단부로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들;
    상기 수직프레임들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판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자석부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상부가 상기 전자석부에 부착되되 상기 전자석부에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석부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따라 낙하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상기 반사판이 낙하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제1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과 상기 제2 점검부의 반사판이 낙하되는 시간의 시간차인 낙하시간차(△t')를 산출하는 낙하시간차 산출부와, 상기 낙하시간차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낙하시간차(△t') 및 상기 제어신호 시간차(△t)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한계치인 제2 설정값(TH2)을 초과할 때 자체적인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판단부에서 상기 이동식 속도측정장비의 동작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판단부에서 자체적인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들 중 어느 하나일 때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5.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중간지점에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이 낙하될 때 상기 반사판의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6.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점검부 및 상기 제2 점검부는 상기 반사판들이 낙하될 때 상기 진입 레이저부 및 상기 진출 레이저부의 레이저신호가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속도(V)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어신호는 전압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KR20140048047A 2014-04-22 2014-04-22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KR10150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047A KR101501722B1 (ko) 2014-04-22 2014-04-22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047A KR101501722B1 (ko) 2014-04-22 2014-04-22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722B1 true KR101501722B1 (ko) 2015-03-11

Family

ID=5302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8047A KR101501722B1 (ko) 2014-04-22 2014-04-22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0652A (zh) * 2021-10-20 2022-01-25 陕西鼎泰光宇科技有限公司 激光传感模拟测速方法、系统、计算机设备、终端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834A (ja) * 2005-03-14 2006-09-21 Shinko Electric Co Ltd 速度測定装置の検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32685B1 (ko) * 2001-12-19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저 속도계용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685B1 (ko) * 2001-12-19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저 속도계용 시뮬레이터
JP2006250834A (ja) * 2005-03-14 2006-09-21 Shinko Electric Co Ltd 速度測定装置の検定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0652A (zh) * 2021-10-20 2022-01-25 陕西鼎泰光宇科技有限公司 激光传感模拟测速方法、系统、计算机设备、终端及介质
CN113970652B (zh) * 2021-10-20 2024-05-28 陕西鼎泰光宇科技有限公司 激光传感模拟测速方法、系统、计算机设备、终端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02015031507A2 (pt) método para reconhecimento do tipo de veículo, e, sistema para reconhecimento rápido do tipo de veículo
KR101291301B1 (ko) 영상 및 레이더를 이용한 차량 속도 측정시스템
BRPI0622243A2 (pt) mÉtodos e sistemas para identificar um objeto màvel, e para inspecionar um objeto màvel por formaÇço de imagem por radiaÇço
RU200614556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быстр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контроля подвижного объекта
CN104050806A (zh) 用于通过利用雷达仪器车尾测量检测交通灯区域内的交通违章的方法
KR20090108363A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이동식 차량 검지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32528B1 (ko) 장력 조정 장치
KR101501722B1 (ko) 이동식 속도측정장비 점검장치
CN106643838A (zh) 一种基于光纤环双向探测的撞击部位测量系统和方法
KR102106130B1 (ko) 정확성을 높인 이동식 속도검지기 점검 장치
CN207703327U (zh) 一种平台秤
KR20190142216A (ko) 마킹의 딥러닝 인식을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KR102161751B1 (ko) 교량 조인트부 원격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058179B1 (ko) 레이저신호를 이용한 무인 교통단속 시스템
KR20080100859A (ko) 휴대용 교통자료 수집장치의 검지능력 평가장치 및 그의처리방법
CN116608907A (zh) 一种用于医药冷链的故障监测系统
KR101950343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101082009B1 (ko) 다차로 이동 기준검지기
CN108303053B (zh) 自动寻找集装箱凹槽中心和底梁的方法及系统
KR101683599B1 (ko) 차량진입감지장치
KR101950345B1 (ko)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EP3910301A1 (en) Rail fracture decision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rail fracture using the same
KR101950344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
US7793533B2 (en) Test device for metal detector portal structure
KR20180115041A (ko)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