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704B1 - 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704B1
KR101501704B1 KR20140137481A KR20140137481A KR101501704B1 KR 101501704 B1 KR101501704 B1 KR 101501704B1 KR 20140137481 A KR20140137481 A KR 20140137481A KR 20140137481 A KR20140137481 A KR 20140137481A KR 101501704 B1 KR101501704 B1 KR 10150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upling
members
portion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창
한성우
정건혁
Original Assignee
알루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루텍 (주) filed Critical 알루텍 (주)
Priority to KR2014013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관을 서로 연결할때 무용접이면서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진동에 의한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관(200)(210)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하면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양쪽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11)(121)(112)(122)가 형성되는 한쌍의 연결구(110)(120)와;
상기 한쌍의 연결구(110)(120)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체결부(111,112)(121,122)를 관통하여 체결,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130)(140);
를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체결부(111,112)(121,122)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130)(140)에 의해 연결구(110)(120)의 체결시 압착되는 압착부재(134)(135)(144)(145)가 구비되며, 상기 압착부재(134)(135)(144)(145)는, 볼트(131)(141)가 통과되도록 하는 장공(134a)(135a)(144a)(145a)이 형성되고, 한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134b)(135b)(144b)(145b)가 형성되며, 반대면은 상기 체결부(111,112)(121,122)의 개방가능한 끝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134c)(144c)(135c)(145c)을 가지고,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11)(121)(112)(122)의 서로 마주보는 내부면에는, 상기 압착부재(134)(135)(144)(145)의 돌기(134b)(135b)(144b)(145b)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11c)(121c)(112c)(122c)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 이음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관을 서로 연결할때 무용접이면서 균일한 체결력을 제공하면서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진동에 의한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관, 예를 들어 배수관을 연결할때에는 용접을 통해 연결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와 같은 용접에 의한 배수관의 연결은 예를 들어 교량에 설치되는 배수관인 경우에는 교량의 하부 벽체 및 교각에 따라 배수관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하기 때문에, 용접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어 용접 품질이 양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접 방식에 의한 관 이음 대신에, 무용접 방식으로서 이음장치를 통해 배수관을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관 이음장치의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 10-77060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된 교량용 배수관 이음장치가 있는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쪽 이음 고정판(12a)에 종방향으로 종고정볼트(34)가 체결,통과되어 종 고정너트(36)로서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통과공(16a)(16b)이 관통된 종설 브래킷(14a)(14b)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이음 고정판(12b)에는 상기 종고정볼트(34)가 통과되는 볼트 통과공(32)이 관통된 횡 고정볼트(30)가 횡방향으로 체결 통과되어 횡 고정너트(26)로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 통과공(28)이 형성된 횡설 브래킷(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이음고정판(12a)과 다른 한쪽 이음 고정판(12b)에 볼트통과공이 관통된 수힌지구(40)와 암힌지구(50)가 돌출되어 서로 끼움 체결되면서 이들 수힌지구(40)와 암힌지구(50)의 볼트 통과공으로 힌지체결볼트(44)가 체결되어 힌지체결너트(46)로서 힌지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음장치는, 한쪽에서 2개의 이음 고정판(12a)(12b)가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그 반대편에서 종고정볼트(34)와, 이 종고정볼트(34)가 관통되는 볼트 통과공(32)을 가지는 횡고정볼트(30)를 통해 체결한 구조이므로, 배수관(70)의 한쪽에서 체결력이 작용하여 불균일한 체결력이 가해져서 배수관(70)의 이음부에 불균일한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사용중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음장치는, 반복적인 진동을 받을 경우, 체결용 볼트가 진동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서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70604호(공고일 : 2007.10.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종 관을 서로 연결할때 무용접이면서 균일한 체결상태를 유지하면서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진동에 의한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하면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양쪽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연결구와; 상기 한쌍의 연결구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체결부를 관통하여 체결,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체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구의 체결시 압착되는 압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팩킹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는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보강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연결하는 관의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경우,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결구의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의 양쪽에 체결되어 연결구를 연결시키는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구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의 결합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이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압착부재는, 볼트가 통과되도록 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한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며, 반대면은 체결부의 개방가능한 끝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이다.
또한, 연결구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부면에는, 상기 압착부재의 돌기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을 연결하는 관 이음장치로서, 관의 양쪽 측면에서 체결력을 제공하므로, 균일한 가압력이 가해져서 양쪽 관을 확실하게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착탈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어 관의 교체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쌍의 연결구의 양측 체결부의 내부에 서로 접하는 압착부재가 구비되고, 연결구의 내부에는 팩킹부재가 개재되어 양쪽 관의 이음부에서의 밀폐력을 증대시켜서 관의 내부에 물이 통과하는 경우에, 관의 이음부에서의 누수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음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음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종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횡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다른 형태의 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설치상태도로서, 도 8a는 폭이 좁은 연결구의 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의 일례이고, 도 8b는 도 8a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연결구 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이음장치(100)는, 관(200)(210)(예를 들어 배수관 등)을 연결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구(110)(120)와, 상기 한쌍의 연결구(110)(120)의 양쪽에서 각각 체결,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130)(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110)(120)의 내부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팩킹부재(150)가 더 포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팩킹부재(150)는 고무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력이 우수하여 관 이음부에서의 누설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10)(120)는 각각 관(200)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하는 반원형을 이루고, 양쪽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11)(121)(112)(1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1)(121)(112)(122)에는 각각 결합공(111a)(121a)(112a)(122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체결부(111)(121)(112)(122)의 단부에는 경사진 경사부(111b)(121b)(112b)(122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구(110)(120)의 외주면에는 연결구(110)(120)에 보다 강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보강돌기(110a)(120a)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3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10)(120)의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돌기(110b)(120b)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돌기(110b)(120b)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관(200)(2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201)(211)에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200)(210)의 이음부에 도 7a의 연결구(110)(120)의 내부에 걸림돌기(110b)(120b)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b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연결구(110)(12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연결구(110)(12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a에서의 연결구(110)(120)의 내주면에 걸림돌기(110b)(120b)를 형성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110)(120)의 양쪽 측면에 체결되어 연결구(110)(120)를 연결시키는 체결부재(130)(140)는, 상기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11)(112)(121)(122)의 결합공(111a)(112a)(121a)(122a)을 관통하는 볼트(131)(141)와, 이 볼트(131)(141)와 결합되는 너트(132)(142)를 포함한다.
너트(132)(142)와 체결부(121)(122)의 하부에는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와셔(133)(133a)(143)(143a)를 개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131)(141)가 관통되면서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11)(112)(121)(122)의 사이에는 압착부재(134)(135)(144)(145)가 끼워진다.
도 6은 압착부재(134)(14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 5의 A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압착부재(134)(135)(144)(145)는 소정의 길이 즉, 상기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11)(112)(121)(122)의 폭방향 길이에 맞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며, 볼트(131)(141)가 통과되도록 하는 장공(134a)(135a)(144a)(145a)이 형성되고, 한쪽면(도 6에서 상부)에는 압착부재(134)(135)(144)(145)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134b)(135b)(144b)(145b)가 형성되며, 반대면(도 6에서 하부)은 한쪽 방향 즉, 체결부(111)(112)(121)(122)의 개방가능한 끝단부(자유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134c)(144c)(135c)(145c)을 가진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11)(121)(112)(122)의 서로 마주보는 내부면에는 슬라이딩홈(111c)(121c)(112c)(122c)이 형성되어서, 상기 압착부재(134)(135)(144)(145)의 돌기(134b)(135b)(144b)(145b)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된다.
삭제
도 8a는 관(200)(210)에 관 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a에 도시된 관 이음장치(100) 외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10)(120)의 폭을 더 크게 형성한 관 이음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도 8b는 도 8a의 연결구(110)(120) 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밴드 타입 관 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이음장치(100)는, 도 5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200)(210)을 연결하기 위해 결합되는데, 먼저 한쌍을 이루는 연결구(110)(120)를 관(200)(210)의 이음부에 대고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11)(112)(121)(122)에 체결부재(130)(140)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구(110)(120)는 체결부재(130)(140)를 이루는 볼트(131)(141)를 통해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11)(112)(121)(122)의 결합공(111a)(112a)(121a)(122a)을 관통한 다음, 너트(132)(142)로 조이도록 하는데, 이때 체결부(111)(112)(121)(122)의 내부에는 압착부재(134)(135)(144)(145)가 갖추어져 있어, 볼트(131)(141) 및 너트(132)(142)에 의한 결합시, 보다 확실한 결합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31)(141)를 통해 체결부(111)(112)(121)(122)를 관통한 다음, 체결부(111)(112)의 상부에서 너트(132)(142)를 통해 하부 방향 즉, 체결부(111)(112)쪽으로 회전시켜서 조이면, 볼트(131)(141)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너트(132)(142)가 이동하면서 체결부(111)(112)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1)(121)와 체결부(112)(122)의 사이에 구비된 압착부재(134)(144) 및 압착부재(135)(145)가 가압되는데, 상부에 위치하는 압착부재(134)(135)와, 이 압착부재(134)(135)와 맞닿으면서 하부에 위치하는 압착부재(144)(145)는 경사면(134c)(135c)(144c)(145c)을 통해 서로 밀착되면서 모이는 방향으로 배치(서로 대칭되게 접한 상태)되며, 이때, 압착부재(134,144)(135,145)의 일면에는 돌기(134b,144b)(135b,145b)가 돌출,형성되어서 체결부(111,121)(112,122)의 내부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1c,121c)(112c,122c)내에 위치하면서 한쪽 끝단으로 이동하여 압착부재(134,144)(135,145)가 서로 밀착된다.
상기 압착부재(134,144)(135,145)에는 각각 장공(134a,144a)(135a,145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공(134a,144a)(135a,145a)을 통과하고 있는 볼트(131)(141)는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부재(134,144)(135,145)는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착부재(134,135)(144,145)가 밀착됨에 따라,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11,121)(112,122)간에 서로 근접되는데, 상기 체결부(111,121)(112,122)의 단부에는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경사부(111b,121b)(112b,122b)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연결구(110)(120)의 내부에 구비된 팩킹부재(150) 및 관(200)(210)의 이음부를 가압하게 되어서 확실한 결합 및 관(200)(210) 이음부의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쌍을 이루는 연결구(110)(120)의 양쪽 측면에서 체결부재(130)(140)를 통해 체결하여 가압되게 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관(200)(210)의 이음부에서의 체결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연결구(110)(120) 내부에 구비된 팩킹부재(150)에 의해 밀폐력이 향상되어서 관(200)(210)의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경우, 관(200)(210)의 이음부에서의 누수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쌍의 연결구(110)(120)는 연결구(110)(120)의 양쪽에 형성되어 근접된 체결부(111,121)(112,122)의 내부에 구비된 압착부재(134,144)(135,145)가 서로 밀착되어 배치되어 있는데, 서로 접하고 있는 경사면(134c)(144c)(135c)(145c)로 인해 반대방향(도 6에서 좌측방향)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부의 진동에 의해 쉽게 풀리는 현상(역전현상에 의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압착부재(134,144)의 경사면(134c,144c)(도 5에서 연결구(110)(120)의 좌측 부분에 위치)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압착부재(135,145)의 경사면(135c,145c)(도 5에서 연결구(110)(120)의 우측 부분에 위치)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경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압착부재(134,144)(135,145)가 이동하기 어렵고, 따라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압착부재(134,144)(135,145)가 경사면(134c,144c)(135c,145c)의 경사진 반대방향 이동에 의한 체결부(111,121)(112,122)간의 벌어짐(도 5 및 도 6에서 세로방향)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볼트(131)(141)에 체결된 너트(132)(142)도 풀리는 방향(도 5 및 도 6에서 상부 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아서 쉽게 풀리지 않고,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된 관(200)(210)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체결부재(130)(140)를 이루는 너트(132)(142)를 풀고, 볼트(131)(141)를 분리하면, 가압되어 있던 체결부(111,121)(112,122)가 탄성력에 의해 약간 벌어지게 되고, 이때 분할되어 조립된 한쌍의 연결구(110)(120)를 분리하면 된다.
이때, 물론, 체결부(111,121)(112,122)의 내부에 서로 접하면서 구비된 압착부재(134,144)(135,145)도 분리하고, 새로운 관(200)(210)을 교체한 다음, 다시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 관 이음장치
110,120 : 연결구
110a,120a : 보강돌기
110,120b : 걸림돌기
111,112,121,122 : 체결부
111a,112a,121a,122a : 결합공
111b,112b,121b,122b : 경사부
111c,112c,121c,122c : 슬라이딩홈
130,140 : 체결부재
131,141 : 볼트
132,142 : 너트
133,133a,143,143a : 와셔
134,135,144,145 : 압착부재
134a,135a,144a,145a : 장공
134b,135b,144b,145b : 돌기
134c,135c,144c,145c : 경사면
150 : 팩킹부재
200,210 : 관(pipe)
201,211 : 걸림홈

Claims (8)

  1. 연결하고자 하는 관(200)(210)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하면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양쪽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11)(121)(112)(122)가 형성되는 한쌍의 연결구(110)(120)와;
    상기 한쌍의 연결구(110)(120)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체결부(111,112)(121,122)를 관통하여 체결,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130)(140);
    를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체결부(111,112)(121,122)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130)(140)에 의해 연결구(110)(120)의 체결시 압착되는 압착부재(134)(135)(144)(145)가 구비되며,
    상기 압착부재(134)(135)(144)(145)는, 볼트(131)(141)가 통과되도록 하는 장공(134a)(135a)(144a)(145a)이 형성되고, 한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134b)(135b)(144b)(145b)가 형성되며, 반대면은 상기 체결부(111,112)(121,122)의 개방가능한 끝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134c)(144c)(135c)(145c)을 가지고,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11)(121)(112)(122)의 서로 마주보는 내부면에는, 상기 압착부재(134)(135)(144)(145)의 돌기(134b)(135b)(144b)(145b)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11c)(121c)(112c)(12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120)의 내부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팩킹부재(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1)(121)(112)(122)의 단부에는 경사진 경사부(111b)(121b)(112b)(12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120)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보강돌기(110a)(120a)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하는 관(200)(210)의 외주면에 걸림홈(201)(211)이 형성되는 경우,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결구(110)(120)의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돌기(110b)(120b)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120)의 양쪽에 체결되어 연결구(110)(120)를 연결시키는 체결부재(130)(140)는, 상기 연결구(110)(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11)(112)(121)(122)의 결합공(111a)(112a)(121a)(122a)을 관통하는 볼트(131)(141)와, 이 볼트(131)(141)와 결합되는 너트(132)(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7. 삭제
  8. 삭제
KR20140137481A 2014-10-13 2014-10-13 관 이음장치 KR10150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481A KR101501704B1 (ko) 2014-10-13 2014-10-13 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481A KR101501704B1 (ko) 2014-10-13 2014-10-13 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704B1 true KR101501704B1 (ko) 2015-03-12

Family

ID=5302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7481A KR101501704B1 (ko) 2014-10-13 2014-10-13 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7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818A (zh) * 2019-12-11 2020-03-24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一种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25213A (zh) * 2019-12-11 2020-03-27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具有多管路的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25212A (zh) * 2019-12-11 2020-03-27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25214A (zh) * 2019-12-13 2020-03-27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一种具有软连接管路的油冷压缩机及检测方法
CN111076007A (zh) * 2019-12-11 2020-04-28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油冷压缩机用软连接管路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46B1 (ko) * 1990-10-20 1999-06-15 이즈 레이얼 슈차트 파이프 커플링 및 이에 대한 커플링 체결 돌기의 플러그
KR100652878B1 (ko) * 2005-06-20 2006-12-01 주식회사 디씨피 클램프 구조
US20080290652A1 (en) * 2004-05-14 2008-11-27 Victaulic Company Mechanical Pipe Coupling Having Spacers
KR20110056763A (ko) * 2009-11-23 2011-05-31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유동성 파이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46B1 (ko) * 1990-10-20 1999-06-15 이즈 레이얼 슈차트 파이프 커플링 및 이에 대한 커플링 체결 돌기의 플러그
US20080290652A1 (en) * 2004-05-14 2008-11-27 Victaulic Company Mechanical Pipe Coupling Having Spacers
KR100652878B1 (ko) * 2005-06-20 2006-12-01 주식회사 디씨피 클램프 구조
KR20110056763A (ko) * 2009-11-23 2011-05-31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유동성 파이프 연결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818A (zh) * 2019-12-11 2020-03-24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一种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25213A (zh) * 2019-12-11 2020-03-27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具有多管路的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25212A (zh) * 2019-12-11 2020-03-27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1076007A (zh) * 2019-12-11 2020-04-28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油冷压缩机用软连接管路及检测方法
CN111076007B (zh) * 2019-12-11 2021-06-08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油冷压缩机用软连接管路及检测方法
CN110925213B (zh) * 2019-12-11 2021-09-03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具有多管路的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05818B (zh) * 2019-12-11 2021-09-14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一种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25212B (zh) * 2019-12-11 2022-02-18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油冷压缩机及控制方法
CN110925214A (zh) * 2019-12-13 2020-03-27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一种具有软连接管路的油冷压缩机及检测方法
CN110925214B (zh) * 2019-12-13 2021-09-03 江西风石压缩机有限公司 一种具有软连接管路的油冷压缩机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704B1 (ko) 관 이음장치
US6957741B2 (en) Screening arrangement
KR100904419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CA2087714C (en) Pipe coupling
US6062610A (en) Device for the coupling together of pipes
CA2858717A1 (en) Clamp assembly with annular clamps and bridge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0127996B1 (ko) 테두리에 에지웨브가 형성된 성형판넬
JP4394703B2 (ja) 道路橋用伸縮継手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16641A (ko)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KR100193346B1 (ko) 파이프 커플링 및 이에 대한 커플링 체결 돌기의 플러그
EP0667476B1 (en) Pipe coupling
JP2014205997A (ja) 縦目地伸縮装置
KR20100135637A (ko) 관 연결장치
KR1013262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WO2020225986A1 (ja) 建設機械の油圧配管クランプ装置
KR101854417B1 (ko)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41138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KR102522327B1 (ko) 파이프 결속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결속기구
KR100746968B1 (ko) 배관용 커플링
JP2000035180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用の樹脂管又は樹脂製管状物
KR102626382B1 (ko) 방수재 연결 슬리브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US4194712A (en) Clamping structure
KR102121019B1 (ko) 신축이음장치용 우수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