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284B1 -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284B1
KR101501284B1 KR20140025885A KR20140025885A KR101501284B1 KR 101501284 B1 KR101501284 B1 KR 101501284B1 KR 20140025885 A KR20140025885 A KR 20140025885A KR 20140025885 A KR20140025885 A KR 20140025885A KR 101501284 B1 KR101501284 B1 KR 101501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welding
railway
welding mem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이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진 filed Critical 이영진
Priority to KR2014002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284B1/ko
Priority to MYPI2016703223A priority patent/MY185688A/en
Priority to PCT/KR2015/001143 priority patent/WO201513373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5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23K35/308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containing Ni or 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23K9/044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 B23K9/046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on surfaces of revolution
    • B23K9/048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on surfaces of revolution on cylind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6/00Restoring or recondition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9/00Railway vehicle profile gauges; Detecting or indicating overheating of components; Apparatus on locomotives or cars to indicate bad track sections; General design of track recording vehicles
    • B61K9/12Measuring or surveying wheel-rim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G01M17/10Suspensions, axles or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26Railway- or like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사용되는 탄소 0.05~0.1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0.6~1.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제1용접부재, 탄소 0.1~0.2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1.0~2.0 중량%, 몰리브덴 0.2~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제2용접부재 및 마모된 철도 차륜을 상기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육성된 철도 차륜을 상기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륜을 원래 크기로 육성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며, 표면 경화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통해 재생된 철도 차륜의 초기 마모 시간을 늦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재는 차륜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면서도 육성용 용접부재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조성을 가지고, 경도가 높아, 차륜의 표면 경화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Welding base metal for recycling of Railway wheel and method for recycling of Railway whe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마모된 철도 차륜에 용접함으로써 철도 차륜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운행에 의해 차륜이 레일과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마모되고, 특히, 차량의 하중 또는 기타의 요인에 의해 차륜은 마모 상태가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고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륜이 편마모 되는 경우, 차량의 운행에 있어 승차감을 저하하는 것은 물론 안전상 문제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편마모 상태가 일정 범위를 넘는 차륜은 교체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때, 차륜의 교체로 인한 비용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편마모된 차륜을 검사하여 내부크랙이 존재하지 않는 재생 가능한 차륜은 편마모 상태를 제거하기 위한 절삭가공 등을 통해 재생하여 다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절삭 가공을 통해 재생된 휠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절삭 가공을 통한 차륜의 재생기술은 그 기술력이 미미한 상황이다.
철도 차륜 재생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1732호에서는 철도차량 차륜 내부 크랙 확인용 탐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륜 재생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가능한 차륜(1)인지 확인을 위하여 차륜(1)의 내부 결합을 검사하는 탐상장치(100)와; 재생 가능한 차륜(1)이 얹혀진 상태에서 레일(4)과 접하는 면을 절삭 가공하여 변형된 차륜(1)을 재생시키는 절삭가공장치(200)로 구성되고, 상기 탐상장치(100)는 레일(4)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레일(4)의 폭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대차(120)와; 상기 이동 대차(120) 상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4)의 폭 방향으로 하는 회전과 레일(4)의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는 위치 가변부(130)와; 차륜(1)의 탐상면에 접하여 차륜(1)의 불량 상태를 초음파 탐상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 가변부(13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탐상부(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차륜 내부 크랙 확인용 탐상장치를 구비한 차륜 재생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장치는 철도 차륜의 탐상과 철도차량의 차륜 재생을 위한 절삭가공이 단일 작업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지만, 여전히 절삭 가공으로 차륜 재생을 수행하여 휠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편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된 차륜을 재생하되, 상기 재생에 따른 수명 감소를 해결할 수 있는 재생방법을 연구하던 중, 철도 차륜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어 차륜의 육성용재로 적합한 용접부재를 이용하여 차륜을 재생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 차륜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생방법을 통해 재생된 철도 차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사용되는 제1용접부재로서,
상기 제1용접부재는 탄소 0.05~0.1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0.6~1.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철도 차륜 재생용 제1용접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사용되는 제2용접부재로서,
상기 제2용접부재는 탄소 0.1~0.2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1.0~2.0 중량%, 몰리브덴 0.2~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철도 차륜 재생용 제2용접부재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항의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항의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륜을 고정하는 포지셔너(positioner)부;
상기 차륜의 각도를 맞추는 틸팅(tilting)부;
상기 포지셔너부에 고정된 차륜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차륜의 표면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용접부재로 철도 차륜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재생방법을 통해 재생된 철도 차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은, 종래 철도 차륜을 절삭하는 재생방식이 차륜이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폐기하였던 것과 달리, 차륜을 원래 크기로 육성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며, 다시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게 되더라도 재육성시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표면 경화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통해 재생된 철도 차륜의 초기 마모 시간을 늦출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1용접부재는 차륜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면서도 육성용 용접부재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조성을 가지며, 제2용접부재 또한, 차륜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면서도 경도가 높아, 차륜의 표면 경화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단계 1의 육성 용접 중의 차륜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실시예 1의 단계 1의 육성 용접이 수행된 차륜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의 포지셔너부를 나타낸 설계도이고;
도 5는 실시예 1의 단계 2에 따른 CNC 선반 기계를 이용한 차륜의 가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사용되는 제1용접부재로서,
상기 제1용접부재는 탄소 0.05~0.1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0.6~1.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철도 차륜 재생용 제1용접부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용 제1용접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는, 마모된 철도 차륜을 재생하기 위하여 차륜을 절삭하여 재사용하였고,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를 폐기하였다.
한편, 철도 차륜은 주조 상태에서 조직의 안정과 경도를 높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고탄소, 저망간, 저크롬으로 설계를 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예를 들어 마모된 철도 차륜은, 탄소 0.01~0.75 중량%, 실리콘 0.15~1.0 중량%, 망간 0.5~0.9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은, 크롬 0.1 내지 0.3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철도 차륜은, 탄소 0.60~0.75 중량%, 실리콘 0.15~0.35 중량%, 망간 0.5~0.9 중량%, 크롬 0.15~0.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용접부재는 조직의 안정 및 경도를 높이기 위해, 저탄소, 고망간, 고크롬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용접부가 철도 차륜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면서도, 육성 용접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조성을 갖기 위하여, 상기 제1용접부재는 탄소 0.05~0.1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0.6~1.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용접부재는 탄소 0.06~0.09 중량%, 실리콘 0.4~0.8 중량%, 망간 1.0~1.5 중량%, 크롬 0.8~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용접부재는 탄소를 0.05~0.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탄소 함량보다 적은 양의 탄소를 첨가하는 경우, 용접 중의 마모된 철도 차륜으로의 탄소의 주입을 막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용접부재가 탄소를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용접부재가 탄소를 0.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접 중에 차륜에 탄소가 주입될 수 있고, 취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는 실리콘을 0.2~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실리콘 함량보다 적은 양의 실리콘을 첨가하는 경우, 용접의 작업성을 높이고, 비드(bead, 용접 작업에서 모재와 용접봉이 녹아서 생긴 띠 모양의 길쭉한 파형의 용착 자국)의 모양, 크기, 연속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용접부재가 실리콘을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경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용접부재가 실리콘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작업성 저하 및 비드의 모양, 크기, 연속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는 망간을 1.0~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망간 함량보다 과량의 망간을 첨가하는 경우, 용접 시 비드의 모양을 퍼지게 하여 용접이 치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용접부재가 망간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탈산제로써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용접부재가 망간을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비드가 퍼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는 크롬을 0.6~1.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크롬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용접된 차륜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이때, 차륜 자체의 경우 높은 탄소 함량이 강도를 높여주는 반면, 용재의 경우 저탄소로 설계되므로,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 크롬을 과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용접부재가 크롬을 0.6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접된 차륜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용접부재가 크롬을 1.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용접부재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불가피한 불순물은 인, 황, 몰리브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용접부재가 탄소 0.1~0.2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1.25~2.0 중량%, 몰리브덴 0.2~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사용되는 제2용접부재로서,
상기 제2용접부재는 탄소 0.1~0.2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1.0~2.0 중량%, 몰리브덴 0.2~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철도 차륜 재생용 제2용접부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용 제2용접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는, 마모된 철도 차륜을 재생하기 위하여 차륜을 절삭하여 재사용하였고,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를 폐기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용 제2용접부재는, 철도 차륜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면서도, 차륜의 표면을 경화할 수 있는 용접용 재료로써 적절한 조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철도 차륜의 표면을 경화하기 위한 용접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의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탄소 0.1~0.2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1.0~2.0 중량%, 몰리브덴 0.2~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용접부재는 탄소 0.1~0.2 중량%, 실리콘 0.3~0.7 중량%, 망간 1.0~1.5 중량%, 크롬 1.3~1.7 중량%, 몰리브덴 0.2~0.7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탄소를 0.1~0.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가 상기 제1용접부재의 탄소 함량보다 많은 양의 탄소를 첨가하는 경우, 경도가 높아 차륜의 표면을 경화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용접부재가 탄소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2용접부재가 탄소를 0.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취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실리콘을 0.2~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실리콘 함량보다 적은 양의 실리콘을 첨가하는 경우, 용접의 작업성을 높이고, 비드의 모양, 크기, 연속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용접부재가 실리콘을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경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용접부재가 실리콘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작업성 저하 및 비드의 모양, 크기, 연속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망간을 1.0~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망간 함량보다 과량의 망간을 첨가하는 경우, 용접 시 비드의 모양을 퍼지게 하여 용접이 치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용접부재가 망간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탈산제로써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2용접부재가 망간을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비드가 퍼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크롬을 1.0~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크롬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용접된 차륜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이때, 차륜 자체의 경우 높은 탄소 함량이 강도를 높여주는 반면, 용재의 경우 저탄소로 설계되므로,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 크롬을 과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용접부재가 크롬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접된 차륜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몰리브덴을 0.2~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용접부재가 몰리브덴을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접시 순간적으로 3000 ℃에 육박하는 경우에, 고온에서의 내마모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2용접부재가 몰리브덴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몰리브덴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용접부재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불가피한 불순물은 인, 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항의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항의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항의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상기 제1용접부재로 용접을 수행하여, 마모되기 전의 철도 차륜의 크기로 육성하여 그 크기를 성장시키는 단계이다.
종래에는 철도 차륜의 재생에 있어서,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재생하여 사용하였고, 계속 절삭을 하며 사용하다 차륜이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폐기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원래 크기로 육성시켜 재생하며, 재마모가 일어나더라도 이를 폐기하지 않고 계속 육성할 수 있으므로, 휠의 사용주기가 늘어나 새로운 휠 제작에 소모되는 각종 원자재와 제작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성된 차륜에 표면 경화층을 형성하여 초기 마모시간을 늦출 수 있어, 휠의 사용주기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1의 용접은 가스 실드 용접, 오픈 아크 용접 및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가스 실드 용접(Gas sheil welding)은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lux cored arc welding)이라고도 불리며, 용접봉의 크기가 1.2 또는 1.6φ 일 때 사용하는 방법이며, 아크의 보호막은 실드 가스(shield gas, CO2 가스 또는 N2 가스)가 그 역할을 하며, 입열이 적은 장점이 있다.
오픈 아크 용접(Open arc welding)은 용접봉의 크기가 2.4 내지 3.2 φ 일 때 사용하는 방법이며, 가장 현대적이 방법이다. 작업성이 가장 좋고 대용량 용접시 사용할 수 있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은 용접봉의 크기가 2.4 내지 4.8 φ 일때 사용하며, 작업성이 좋지만, 보호막 플럭스(flux)를 사용할 때, 낭비 시간(dead time)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픈 아크 용접보다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1의 용접은 바람직하게는 가스 실드 용접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용접은 자동용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용접은 수평면, 원면을 디지털화된 수치에 의해 자동으로 형상을 따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동 용접은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작동시켜 자동 용접과 용착 상태 감시를 융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판단확률이 높고, 실시간 전수검사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 용접은 용착 상태 감시장비(monitering system)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자동용접 장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항의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1에서 크기가 키워진 철도 차륜에, 상기 제2용접부재로 표면을 경화하여 철도의 레일 보다는 경도를 낮게 만들고, 기존에 재생된 철도 차륜에 비하여는 강한 경도를 갖게 하는 표면 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1의 용접은 가스 실드 용접, 오픈 아크 용접 및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스 실드 용접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단계 2의 용접은 자동용접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은 상기 단계 1의 수행 전, 상기 단계 1의 마모된 철도 차륜을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 차륜의 예열을 통하여, 금속의 용융접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용접 후의 잔류 응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열은 180 내지 220 ℃ 의 온도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철도 차륜의 예열을 180 ℃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용융 접합이 용이한 효과 및 용접 후 잔류 응력 경감 효과가 저하되고, 용접 후 균열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철도 차륜의 예열을 22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 내에서의 예열로 인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은 상기 단계 1의 수행 전, 차륜의 균열 정도 및 마모량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륜 내에 균열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1의 육성단계가 불가능하므로, 균열 정도를 검사할 수 있으며, 마모량을 검사하여 육성해야 할 용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자동 자기 시스템(Ultra sonic auto system)을 사용하여 균열 정도 및 마모량을 검사할 수 있으나, 상기 검사 장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은 상기 단계 1의 수행 전, 차륜의 압면 부위를 절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마모된 철도 차륜은 오랜 기간 동안 철도 레일과 접촉하여, 표면의 경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위를 절삭하여 제거함으로써 용접 부위간의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은 상기 단계 2의 수행 후, 상기 단계 2의 용접된 차륜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용접 중에 발생한 잔류 응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처리는 500 내지 600 ℃의 온도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열처리를 수행한 후, 300 내지 350 ℃까지 노냉한 후, 대기 서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열처리를 500 ℃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효과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열처리를 60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재생된 차륜의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상기 열처리를 4 시간 미만 동안 수행하는 경우에는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효과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열처리를 6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경우에는 재생된 차륜의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수행 후, 열처리가 수행된 차륜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생된 철도 차륜의 디멘션(dimension), 조도 및 진원도를 만족시키도록 상기 철도 차륜을 가공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은 CNC 선반 기계(CNC TURNING)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연삭장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륜을 고정하는 포지셔너(positioner)부;
상기 차륜의 각도를 맞추는 틸팅(tilting)부;
상기 포지셔너부에 고정된 차륜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차륜의 표면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용접부재로 철도 차륜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는 철도 차륜의 재생에 있어서,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재생하여 사용하였고, 계속 절삭을 하며 사용하다 차륜이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폐기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장치는, 철도 차륜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면서도, 육성용접하기에 적절하고 차륜의 표면을 경화할 수 있는 조성을 가진 상기 제1용접부재 또는 제2용접부재를 이용하여 차륜을 고정하는 포지셔너부; 상기 포지셔너부에 고정된 차륜을 용접하기 적절한 각도로 조절하는 틸팅부; 상기 포지셔너부에 고정되고 틸팅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차륜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차륜의 표면을 용접하는 용접부로 차륜을 회전시키며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마모된 철도 차륜을 원래 크기로 육성시켜 재생하며, 재마모가 일어나더라도 이를 폐기하지 않고 계속 육성할 수 있으므로, 휠의 사용주기가 늘어나 새로운 휠 제작에 소모되는 각종 원자재와 제작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성된 차륜에 표면 경화층을 형성하여 초기 마모시간을 늦출 수 있어, 휠의 사용주기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장치는 포지셔너부; 틸팅부; 회전부; 및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모된 철도 차륜은 차륜의 재생을 위한 작업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포지셔너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지셔너부에 고정된 차륜이 적절한 각도로 용접될 수 있도록 틸팅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셔너부에 고정되고, 틸팅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차륜이 회전을 통해 용접될 수 있도록 회전부에서 차륜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용접부에서는 상기 회전하는 차륜이 상기 제1용접부재 또는 제2용접부재에 의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용접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셔너부의 일례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포지셔너부를 이용하는 경우, 차륜과 축을 분리하지 않고 포지셔너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장치는 상기 차륜의 절삭 및 연삭을 수행하는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에서는 마모된 차륜을 용접하기 전, 오랫동안 철도의 레일과 접촉하여 표면의 경화가 발생한 차륜의 압면의 절삭을 수행할 수 있고, 재생된 차륜의 디멘션, 조도 및 진원도를 만족하도록 연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장치는 상기 차륜의 열처리를 수행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에서는 마모된 차륜을 용접하기 전, 용접 후의 잔류 응력을 줄이고, 용융 접합이 용이하도록 차륜을 180 내지 220 ℃의 온도로 예열을 수행할 수 있고, 차륜의 재생 후, 잔류 응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500 내지 600 ℃의 온도로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륜 재생상치는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균열 정도 및 마모량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용접 중에 용접면을 검사하는 용착상태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철도의 재생방법을 통해 재생된 철도 차륜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재생된 철도 차륜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재생된 것이며, 이를 계속 절삭을 하며 사용하다 차륜이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폐기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재생된 철도 차륜은, 마모된 철도 차륜을 원래 크기로 육성시켜 재생하며, 재마모가 일어나더라도 이를 폐기하지 않고 계속 육성할 수 있으므로, 휠의 사용주기가 늘어나 새로운 휠 제작에 소모되는 각종 원자재와 제작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성된 차륜에 표면 경화층을 형성하여 초기 마모시간을 늦출 수 있어, 휠의 사용주기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도차륜은 240 내지 340 HV의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철도 레일보다는 낮은 경도이며, 기존의 재생된 철도 차륜에 비해서는 높은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된 철도 차륜은, 화차뿐만 아니라 객차, 도시철도, 지하철 및 KTX의 마모된 철도 차륜을 상기 방법으로 재생시킨 철도 차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모된 철도 차륜의 용접부재로서 제3용접부재를 제공하며,
상기 제3용접부재는 탄소 0.03~0.1 중량%, 실리콘 0.3~1.0 중량%, 망간 4.0~8.0 중량%, 크롬 14.5~23.7 중량%, 몰리브덴 0.08~0.33 중량%, 니켈 6.2~12.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용접부재는 마모된 철도 차륜의 육성 및 표면 경화단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용접부재의 용접은 가스 실드 용접, 오픈 아크 용접 및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오픈 아크 용접 또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는 탄소를 0.03~0.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탄소 함량보다 적은 양의 탄소를 첨가하는 경우, 용접 중의 마모된 철도 차륜으로의 탄소의 주입을 막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용접부재가 탄소를 0.03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3용접부재가 탄소를 0.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접 중에 차륜에 탄소가 주입될 수 있고, 취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는 실리콘을 0.3~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실리콘 함량보다 적은 양의 실리콘을 첨가하는 경우, 용접의 작업성을 높이고, 비드(bead, 용접 작업에서 모재와 용접봉이 녹아서 생긴 띠 모양의 길쭉한 파형의 용착 자국)의 모양, 크기, 연속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용접부재가 실리콘을 0.3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경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3용접부재가 실리콘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작업성 저하 및 비드의 모양, 크기, 연속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는 망간을 4.0~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망간 함량보다 과량의 망간을 첨가하는 경우, 용접 시 비드의 모양을 퍼지게 하여 용접이 치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용접부재가 망간을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탈산제로써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3용접부재가 망간을 8.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비드가 퍼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는 크롬을 14.5~23.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가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의 크롬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용접된 차륜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이때, 차륜 자체의 경우 높은 탄소 함량이 강도를 높여주는 반면, 용재의 경우 저탄소로 설계되므로,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 크롬을 과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용접부재가 크롬을 14.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접된 차륜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3용접부재가 크롬을 23.7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는 몰리브덴을 0.08~0.33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용접부재가 몰리브덴을 0.08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접시 순간적으로 3000 ℃에 육박하는 경우에, 고온에서의 내마모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3용접부재가 몰리브덴을 0.3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몰리브덴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는 니켈을 6.2~12.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가 니켈을 포함함으로써 용접된 차륜의 강도 및 경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3용접부재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불가피한 불순물은 인, 황,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3용접부재로 마모된 철도차륜을 용접하여 철도차륜을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지름 810 mm의 마모된 철도 차륜(탄소 0.66 중량%, 실리콘 0.22 중량%, 망간 0.7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용접 토치 및 마모된 철도 차륜이 수직이 되도록 장착하였다.
상기 마모된 차륜의 균열의 유무 및 마모량을 검사하여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와, 용접을 수행할 정도를 결정하였다.
상기 마모된 차륜에 표면 경화가 발생한 부분을 절삭으로 제거하였다.
차륜을 축과 분리하여, 차륜 단독으로 포지셔너(positioner)에 장착하고,
상기 마모된 차륜을 용접이 용이하도록 200 ℃로 예열하였다.
콘트롤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마모된 차륜을 선 속도가 분당 최소 600 mm가 되도록 회전시키면서 상기 마모된 차륜의 상부 외연의 모재상에 제1용접부재(탄소 0.09 중량%, 실리콘 0.51 중량%, 망간 1.32 중량%, 크롬 0.9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를 용접재료로 용접 두께가 15 내지 20 mm가 되도록 육성 용접을 실시하였다.
용접조건은 전압 26~35V, 전류 350~450A, 와이어 팁(wire tip) 및 상부 외연 모재 표면과의 간격은 25~35 mm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용접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단계 1의 육성 용접이 실시된 차륜에 제2용접부재(탄소 0.19 중량%, 실리콘 0.42 중량%, 망간 1.29 중량%, 크롬 1.45 중량%, 몰리브덴 0.44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를 용접재료로 용접두께가 9 ~10 mm가 되도록 표면 경화 층 용접을 실시하였다.
상기 재생된 철도 차륜을 580 ℃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 한 후, 320 ℃까지 노냉 한 후, 대기에서 서냉하여 용접 후의 응력을 제거하였다.
상기 열처리가 수행된 철도 차륜을 디멘션, 조도 및 진원도를 만족하도록 CNC 선반 기계로 가공을 실시하여 철도 차륜을 재생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의 마모된 철도 차륜은 탄소 0.7 중량%, 실리콘 0.25 중량%, 망간 0.7 중량%, 크롬 0.17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이고,
제1용접부재는 탄소 0.07 중량%, 실리콘 0.5 중량%, 망간 1.1 중량%, 크롬 0.9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이고,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의 제2용접부재는 탄소 0.1 중량%, 실리콘 0.4 중량%, 망간 1.1 중량%, 크롬 1.4 중량%, 몰리브덴 0.5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철도 차륜을 재생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의 제1용접부재가 탄소 0.06 중량%, 실리콘 0.4 중량%, 망간 1.0 중량%, 크롬 0.8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이고,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의 제2용접부재가 탄소 0.1 중량%, 실리콘 0.3 중량%, 망간 1.0 중량%, 크롬 1.3 중량%, 몰리브덴 0.2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철도 차륜을 재생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의 제1용접부재가 탄소 0.09 중량%, 실리콘 0.8 중량%, 망간 1.5 중량%, 크롬 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이고,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의 제2용접부재가 탄소 0.2 중량%, 실리콘 0.7 중량%, 망간 1.5 중량%, 크롬 1.7 중량%, 몰리브덴 0.7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조성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철도 차륜을 재생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마모된 철도 차륜의 재생과정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모된 철도 차륜은 장기간 레일과의 접촉으로 인해 상당량의 마모가 발생한 상태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된 표면을 절삭으로 커팅(cutting)한 면에 용접이 진행되면서 비드가 적절한 용접 전압(amp volt)로 용접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1의 용접이 수행되고 난 뒤에, 비드의 모양 및 크기가 적절하게 형성되었고, 비드의 연속성이 있어 용접이 균일하게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2 열처리 후, CNC 선반기계로 차륜의 표면을 디멘션, 조도 및 진원도를 만족하도록 가공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재생방법에 따라 차륜이 재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9)

  1. 마모된 철도 차륜을 제1용접부재로 용접하여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육성된 철도 차륜을 제2용접부재로 용접하여 표면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용접부재는 탄소 0.05~0.1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0.6~1.2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용접부재는 탄소 0.1~0.25 중량%, 실리콘 0.2~1.0 중량%, 망간 1.0~2.0 중량%, 크롬 1.4~2.0 중량%, 몰리브덴 0.2~1.0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도 차륜은 화차, 객차, 도시철도 및 지하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차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은,
    탄소 0.01~0.75 중량%, 실리콘 0.15~1.0 중량%, 망간 0.5~0.9 중량%, 불가피한 불순물 및 잔부 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된 철도 차륜은,
    크롬 0.1 내지 0.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단계 2의 용접은 가스 실드 용접, 오픈 아크 용접 및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수행 전, 상기 단계 1의 마모된 철도 차륜을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은 120 내지 180 ℃ 의 온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수행 후, 상기 단계 2의 용접된 차륜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500 내지 600 ℃의 온도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수행 후, 열처리가 수행된 차륜을 절삭가공 또는 연삭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가공 또는 연삭가공은 CNC 선반 기계(CNC turning)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16. 차륜을 고정하는 포지셔너(positioner)부;
    상기 차륜의 각도를 맞추는 틸팅(tilting)부;
    상기 포지셔너부에 고정된 차륜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차륜의 표면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절삭 및 연삭을 수행하는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의 재생방법을 통해 재생된 철도 차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철도차륜은 240 내지 340 HV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륜.
KR20140025885A 2013-09-24 2014-03-05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KR101501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5885A KR101501284B1 (ko) 2013-09-24 2014-03-05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MYPI2016703223A MY185688A (en) 2014-03-05 2015-02-04 Welding member for recycling railway wheels and method for recycling railway wheels using same
PCT/KR2015/001143 WO2015133736A1 (ko) 2014-03-05 2015-02-04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417 2013-09-24
KR20130113417 2013-09-24
KR20140025885A KR101501284B1 (ko) 2013-09-24 2014-03-05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284B1 true KR101501284B1 (ko) 2015-03-09

Family

ID=5406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5885A KR101501284B1 (ko) 2013-09-24 2014-03-05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1284B1 (ko)
MY (1) MY185688A (ko)
WO (1) WO201513373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952B1 (ko) 2016-10-24 2018-04-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운행 차륜의 경도 및 잔류응력 복원을 위한 고주파 열처리 장치
KR101916262B1 (ko) * 2017-05-19 2018-11-07 주식회사 포스코 샤프트 보수방법 및 이에 의한 샤프트
KR102108350B1 (ko) * 2019-11-26 2020-05-07 주식회사 아세아테크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KR20240009229A (ko) 2022-07-13 2024-01-22 최형오 크레인 휠용 용접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569A (ja) * 1991-09-27 1993-04-06 Kobe Steel Ltd 中・高炭素鋼の下盛溶接方法
KR101151732B1 (ko) * 2009-12-10 2012-06-15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철도차량 차륜 내부 크랙 확인용 탐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륜 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944A (ja) * 2000-05-11 2001-11-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曲管溶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569A (ja) * 1991-09-27 1993-04-06 Kobe Steel Ltd 中・高炭素鋼の下盛溶接方法
KR101151732B1 (ko) * 2009-12-10 2012-06-15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철도차량 차륜 내부 크랙 확인용 탐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륜 재생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ffer layer and welding repairs. Goodweld Corporation. 2013.03.07. *
Buffer layer and welding repairs. Goodweld Corporation. 2013.03.07.*
Hardfacing and Wear Resistnant Use . Goodweld Corporation. pp.D6-D7. 2012.05.25. *
Hardfacing and Wear Resistnant Use . Goodweld Corporation. pp.D6-D7. 2012.05.25.*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952B1 (ko) 2016-10-24 2018-04-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운행 차륜의 경도 및 잔류응력 복원을 위한 고주파 열처리 장치
KR101916262B1 (ko) * 2017-05-19 2018-11-07 주식회사 포스코 샤프트 보수방법 및 이에 의한 샤프트
KR102108350B1 (ko) * 2019-11-26 2020-05-07 주식회사 아세아테크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WO2021107295A1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아세아테크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US20230272501A1 (en) * 2019-11-26 2023-08-31 Asiatech Co., Ltd. Welding base metal for recycling railway wheel and method for recycling railway wheel using the same
KR20240009229A (ko) 2022-07-13 2024-01-22 최형오 크레인 휠용 용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5688A (en) 2021-05-30
WO2015133736A1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284B1 (ko)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CN110273155A (zh) 一种激光熔覆再造工艺
US10086462B2 (en) Hardfacing with low carbon steel electrode
US86623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eading track wheel
EP1737602A1 (en) Method of repairing a rail
JP5531845B2 (ja) フラッシュバット溶接部近傍の後熱処理方法
CA2822396C (en) Re-manufacture and apparatus of worn railroad freight car and locomotive wheels by rotational continuous longitudinal welding
US86623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eading track wheel
CN101890609B (zh) 轧机主轴无衬板扁头套的修复方法
KR102108350B1 (ko) 철도 차륜 재생용 용접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륜의 재생방법
CN2487620Y (zh) 一种激光强化的铁道车辆车轮
CN114012227A (zh) 一种钢轨的焊接方法
CN103192225B (zh) 冶金车轮对的修复方法
CN112589105B (zh) 一种冷轧支承辊的修复方法
CN115007966A (zh) 一种铁路辗钢车轮的表面耐磨堆焊的方法
JP2011251335A (ja) レール鋼のフラッシュバット溶接方法
RU2487001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обода колеса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A2872008C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eading track wheel
CN114941102B (zh) 一种高锰钢辙叉激光熔覆修复用的材料及修复方法
CN107190258B (zh) 定制式激光智能快速沉积再造铁路列车轮对的方法
RU2096155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деталей
CN113618210B (zh) 辙叉制造工艺和辙叉
Cojocaru et al.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Extension of the Service Life of Metal Wear Components from Urban Means of Rail Transport
Faizibaev et al. Multilayer surfacing of a freight car wheel Rim
CN112647024A (zh) 高碳微合金化热处理钢轨及其焊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