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7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178B1
KR101501178B1 KR1020100088249A KR20100088249A KR101501178B1 KR 101501178 B1 KR101501178 B1 KR 101501178B1 KR 1020100088249 A KR1020100088249 A KR 1020100088249A KR 20100088249 A KR20100088249 A KR 20100088249A KR 101501178 B1 KR101501178 B1 KR 10150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ield
protrusion
camera modu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186A (ko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1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어셈블리가 수용되고,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돌기가 압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단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상단부재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면부재를 구비하는 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방해 차폐가 잘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의 본체에 장착될 때, 카메라 모듈은 전자부품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자신호에 대한 전자파가 차폐되도록 실드를 포함한다. 실드가 전자방해 차폐를 이루기 위해서는, 실드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메인기판과 솔더링으로 접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메인기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실드가 후크결합으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하우징과 실드의 설계 및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실드의 한쪽은 메인기판에 접지되어도 다른 한쪽은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양쪽이 메인기판의 상단부에 붕 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전자파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른 불량품 발생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지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어셈블리가 수용되고,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돌기가 압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단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상단부재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면부재를 구비하는 실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모서리를 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드의 내측벽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 가압되는 접촉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실드의 내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드는 상기 메인기판과 접지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드와 메인기판의 접지가 잘 이루어져 전자방해 차폐를 이루게 하므로, 접지불량에 의한 불량품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여기서, 일치는 설계상 제조상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실질적 일치를 의미한다.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110), 렌즈어셈블리(111), 돌기(113) 및 실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메인기판(13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내측 하단에 이미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광원이 이미지센서로 입사되게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에는 렌즈어셈블리(111)가 수용되어 렌즈어셈블리(111)를 통과한 광원이 이미지센서에 도달하게 된다. 하우징(110)의 상단부는 렌즈어셈블리(111)가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하단부는 이미지센서 및 적외선 차단필터(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렌즈어셈블리(11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며, 렌즈를 통하여 외부의 광원이 이미지센서에 집속 되도록 한다. 렌즈어셈블리(111)는 하우징(110)과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렌즈어셈블리(111)의 표면에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내외측이 원통형인 하우징(110) 상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관계를 바탕으로, 렌즈어셈블리(111)는 하우징(110)의 상하방향인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초점 조절에 유리한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렌즈어셈블리(111)가 나사결합된 하우징(110)의 상단부 외측벽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의 돌기(113)가 형성된다. 돌기(113)는 하우징(110)의 중심에서 하우징(110) 하단부 모서리를 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각 모서리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돌기(113)는 90도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돌기(113)가 고정점이 되어 후술되는 실드(120)에 결합된 하우징(110)이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113)는 하우징(110)과 실드(12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돌기(113)의 배치와 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113)는 상하부가 평평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반원의 단부가 실드(120)와 점접촉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기(113)는 돌출 끝단이 실드(120)와 점접촉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볼록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돌기(113)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실드(1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메인기판(130) 등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드(미도시)와 접속되어 전자방해를 차폐한다. 실드(120)는 하우징(110)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직육면체형상으로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측에 실드(120)가 고정되도록, 실드(120)는 돌기(113)가 압입되고 하우징(110)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관통홀(123)이 형성되는 상단부재(121)와, 하우징(110)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상단부재(121)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면부재(125)를 구비한다.
상단부재(121)는 사각형의 판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부재(121)의 모서리에서 이격되게 상단부재(121)의 중심부영역에는 하우징(110) 지름에 상응하여 관통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단부는 관통홀(123)을 관통하여 실드(120)의 외측 상단부로 돌출된다.
측면부재(125)는 하우징(1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인쇄회로기판(115)과 하우징(110)의 외주면을 둘러 싸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실드(120)는 메인기판(130)과 접지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9)를 구비할 수 있는데, 측면부재(125) 하측 모서리에 절곡부(129)가 구비되어 메인기판(130)과 접지되도록 솔더링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면의 측면부재(125) 각각에 한 개씩의 절곡부(129)가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15)은 메인기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115)의 상부에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와이어본딩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15)과 이미지센서가 패키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15)의 상부에 하우징(110)이 접착제나 솔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돌기(113)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상단부재(121)와 함께 실드(120)가 하우징(11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실드(120)는 접촉돌기(127)를 구비할 수 있다.
실드(120)의 내측벽인 측면부재(125)의 내벽에는 하우징(110)의 외측벽에 가압되는 접촉돌기(127)가 포함될 수 있다. 접촉돌기(127)는 실드(120)의 내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면의 측면부재(125) 각각에 한 쌍의 접촉돌기(127)가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접촉돌기(127)는 실드(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의 접촉돌기(127)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외력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하우징(110)과 실드(120)의 결합은 아래와 같이 될 수 있다. 실드(120)가 인쇄회로기판(115)과 하우징(110)을 둘러싸도록, 실드(120)의 내측에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형태로, 실드(120)가 하우징(110)에 끼워진다. 실드(120)가 하우징(110)에 끼워질 때, 실드(120)의 내측벽에 돌출된 접촉돌기(127)가 가압되어, 접촉돌기(127)가 하우징(110)의 측벽을 향하여 밀릴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외측벽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실드(120)의 관통홀(123)의 지름은 하우징(110)의 지름보다는 크고, 돌기(113)의 최단부가 형성되는 지점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실드(120)의 측면부재(125)는 하우징(110)의 외측벽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접촉돌기(127)가 하우징(110)의 외측벽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부재(125)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단부재(121)에서 각각이 절곡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측면부재(125) 각각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돌기에 의해 하우징의 상단부가 실드에 고정되고, 접촉돌기에 의해 하우징의 하단부가 실드에 고정되어, 하우징의 조립위치가 후크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접촉돌기의 슬라이딩되는 위치와 돌기의 가압에 의해 하우징이 실드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후크의 제조오차에 의해 조립위치가 이탈되어 실드가 하우징의 상부로 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드와 메인기판의 접지가 잘 이루어져 전자방해 차폐를 이루게 하므로, 접지불량에 의한 불량품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카메라 모듈
110: 하우징
111: 렌즈어셈블리
113: 돌기
115: 인쇄회로기판
120: 실드
121: 상단부재
123: 관통홀
130: 메인기판

Claims (7)

  1. 렌즈어셈블리가 수용되고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상단부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돌기가 압입되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상기 상단부재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면부재를 구비하는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단부재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상단부의 횡단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하단부의 종방향 모서리를 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의 내측벽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 가압되는 접촉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실드의 내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00088249A 2010-09-09 2010-09-09 카메라 모듈 KR10150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49A KR101501178B1 (ko) 2010-09-09 2010-09-0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49A KR101501178B1 (ko) 2010-09-09 2010-09-0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186A KR20120026186A (ko) 2012-03-19
KR101501178B1 true KR101501178B1 (ko) 2015-03-10

Family

ID=4613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249A KR101501178B1 (ko) 2010-09-09 2010-09-0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097B1 (ko) 2015-01-19 2022-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859A (ja) * 2001-12-04 2003-06-20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63800B1 (ko) * 2007-06-29 2008-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859A (ja) * 2001-12-04 2003-06-20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63800B1 (ko) * 2007-06-29 2008-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186A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624942B (zh) 相机模块
KR101128931B1 (ko) 카메라 모듈
US9692167B2 (en) Connector mountable on a circuit board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coupling an enclosing portion with a housing
JP4562538B2 (ja)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US7227577B2 (en) Solid-state imaging module with frictionally attached shield cap
GB2413435A (en) Camera lens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9215360B2 (en) Camera module having shield can
TWI447612B (zh) 具有至少一感光器電路的光電模組
KR101943946B1 (ko) 커넥터
US8848396B2 (en) Electronic device
JP20051761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実装構造
JP2021190375A (ja) シールド部材、シールド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US20120276757A1 (en) Shield and circuit board module having the same
JP2019117303A (ja) 撮像装置
KR101501178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108668A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US20080242126A1 (en) Circuit board assembly
JP2015170526A (ja) 電子機器用コネクタ
KR20100009410A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122065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469902B1 (ko) 카메라 모듈용 필터 패키지 및 카메라 모듈
KR20080088718A (ko) 카메라 모듈
KR101693028B1 (ko) 진동환경용 신호전달을 위한 스프링 연결 단자
KR101730270B1 (ko) 카메라 모듈
KR102005479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