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648B1 -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 Google Patents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648B1
KR101500648B1 KR1020120099244A KR20120099244A KR101500648B1 KR 101500648 B1 KR101500648 B1 KR 101500648B1 KR 1020120099244 A KR1020120099244 A KR 1020120099244A KR 20120099244 A KR20120099244 A KR 20120099244A KR 101500648 B1 KR101500648 B1 KR 10150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uplink radio
mobile terminals
femto base
radio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671A (ko
Inventor
정재호
노위상
지영하
한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9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6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참조주기를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업링크 무선자원을 이동단말로 할당하는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각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참조하여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수행하는 무선자원 재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METHOD FOR ASSIGNING UPLINK RADIO RESOURCE IN FEMTO ACCESS POINT AND FEMTO ACCESS POINT THEREFOR}
본 발명은 펨토 기지국에서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참조주기를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업링크 무선자원을 이동단말로 할당하는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펨토 셀(Femto Cell)은 펨토 기지국(Femto AP)을 통해 기존의 이동통신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펨토 셀은 주로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매크로 셀(Macro Cell)의 전파가 열화되는 지역이나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 내에 설치되어 매크로 셀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래의 특허문헌은 사용자 접근 권한을 공유하는 펨토 기지국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펨토 기지국은 이동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이하 'SRS'로 지칭함)를 매번 참조하여, 이동단말로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한다. 그런데 종래의 펨토 기지국의 자원할당 방식은 이동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SRS를 매번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프로세스 반복함으로써, 변화가 적은 펨토 셀 환경에서 펨토 기지국의 자체 자원(즉, CPU, 메모리 등)을 낭비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01869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SRS를 매번 참조하지 않고 펨토 셀에 위치한 이동단말 수의 변화에 따라 SRS 참조주기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키고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진행하는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각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참조하여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수행하는 무선자원 재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펨토 셀을 형성하고 이동단말로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펨토 기지국은, 상기 펨토 셀에 위치한 이동단말의 수의 변동을 확인하는 접속단말 확인부;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부; 및 상기 주기 설정부에서 설정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래하면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를 통해 상기 펨토 셀에 위치하는 이동단말 개수의 변동을 확인하고, 이 확인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자원 재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펨토 기지국은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SRS를 매번 참조하지 않고, 펨토 셀에 위치한 이동단말의 수의 변동에 따라 SRS 참조주기를 조정하고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 절차를 선택적으로 진행함으로써, CPU, 메모리 등의 자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펨토 기지국은 변화가 적은 펨토 셀 환경을 고려하여 펨토 셀에 위치한 이동단말의 개수가 변동된 경우에만,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 스케줄을 수행함으로써, 이동단말로 업링크 무선자원이 할당될 때 발생되는 부하를 경감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이 설치된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이 설치된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기지국(100)에 의해 서비스되는 매크로 셀(Macro cell)(10)과 펨토 기지국(200)에 의해 서비스되는 펨토 셀(Femto Cell)(20)이 함께 존재한다. 여기서, 펨토 셀(Femto Cell)(20)은 피코 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유비 셀(Ubi cell)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펨토 기지국(200)의 커버리지는 매크로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할 수 있고 또는 매크로 기지국(100)의 커버리지와 일부 중첩하여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는 매크로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밖에 존재할 수도 있다. 펨토 기지국(200)은 실내 또는 실외 음영 지역에 설치되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혼잡 지역 또는 매크로 셀 용량 포화가 발생한 지역에서 데이터 오프로딩(Offloading)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코어망(Core Network; CN)(400)은 접속 게이트웨이와 이동단말(310, 320)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100)은 LTE망, WCDMA망, CDMA망, Wibro망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채택될 수 있다.
이동단말(310, 320)은 매크로 기지국(100) 또는 펨토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무선신호 품질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해당 기지국(100, 200)으로 보고한다. 특히, 이동단말(310, 320)은 펨토 셀(20)에 진입한 경우, 펨토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토대로, 업링크 무선채널별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측정하여 펨토 기지국(200)으로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상기 SRS에는 업링크 채널품질 상태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펨토 기지국(200)은 코어망(400)과 연결되어, 펨토 셀(20)에 위치한 이동단말(310, 320)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펨토 기지국(200)은 펨토 셀(20)로 핸드오버한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무선채널별 SRS를 수신한 후, 이 SRS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310, 320)로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동단말(310, 320)로 제공하고, 더불어 이동단말(310, 320)로 할당한 업링크 무선자원 정보를 저장한다. 즉, 펨토 기지국(200)은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한 무선채널별 SRS를 토대로, 해당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채널 상태를 파악한 후, 통신상태가 양호한 업링크 무선채널에 대한 주파수 영역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펨토 기지국(200)은 설정된 SRS 참조주기 간격으로 각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특히, 펨토 기지국(200)은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현재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되는 SRS를 선택적으로 참조하여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때, 펨토 기지국(200)은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변동되면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를 초기화하고, 접속 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이 없는 경우에 SRS 참조주기를 더 증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200)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자원 할당부(230), 자원 재할당부(240), 접속단말 확인부(250) 및 주기 설정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이동단말(310, 320)과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파일럿 신호 또는 프리앰플(preamble) 신호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출하여, 이동단말(310, 320)의 접속을 유도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펨토 셀(20)에 위치중인 각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무선채널별 SRS를 수신한다.
저장부(220)는 각 이동단말(310, 320)로 할당한 업링크 무선자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업링크 무선자원 정보에는 각 이동단말(310, 320)로 할당한 업링크 채널 정보, 무선전력 정보 등이 기록된다.
자원 할당부(230)는 펨토 셀(20)에 진입하거나 이탈한 이동단말(310, 320)의 무선자원을 초기 할당하거나 할당된 무선자원을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자원 할당부(230)는 이동단말(310, 320)이 펨토 셀(20)에 새롭게 진입하면, 이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된 SRS 및 저장부(220)에 저장된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310, 320)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초기 할당하고, 이 할당된 업링크 무선자원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즉, 자원 할당부(230)는 기존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로 할당한 업링크 무선채널을 저장부(220)에서 확인하고 이 확인된 업링크 무선채널을 제외한 여분의 업링크 무선채널 중에서, 펨토 셀(20)에 새롭게 진입한 이동단말(310, 320)이 가장 양호하게 측정한 업링크 무선채널을 상기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한 SRS를 토대로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한 업링크 무선채널을 상기 이동단말(310, 320)을 위한 업링크 무선채널로서 설정하며 더불어 상기 SRS를 토대로 데이터 수신율, 전력 파워 등을 결정함으로써 업링크 무선자원을 이동단말(310, 320)로 할당한다. 또한, 자원 할당부(230)는 펨토 기지국(200)과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이 펨토 셀(20)에서 이탈하면, 이 이동단말(310, 320)로 할당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회수하고 상기 펨토 셀(20)에서 이탈한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 정보를 저장부(220)에서 삭제한다.
자원 재할당부(240)는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자원 재할당부(240)는 현재 설정된 SRS 참조 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접속단말 확인부(250)로 상기 펨토 셀(20)에 위치한(즉,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 수의 변동에 대한 확인을 요청한다. 나아가, 자원 재할당부(240)는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250)에서 확인한 결과에 따라 펨토 기지국(200)과 접속중인 각 이동단말(310, 320)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선택적으로 재할당한다. 즉, 자원 재할당부(240)는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250)의 확인 결과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변동이 없는 경우, 펨토 셀(20)에 위치한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한 SRS를 참조하지 않고 더불어 이동단말(310, 320)의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절차를 생략하고 다음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반면에, 자원 재할당부(240)는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250)의 확인 결과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변동된 경우, 통신부(210)를 통해 각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되는 SRS를 참조하여, SRS를 송신한 각 이동단말(310, 320)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한다. 즉, 자원 재할당부(240)는 각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한 SRS를 참조하여, 펨토 셀(20)에 위치한 각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다시 결정하고, 이렇게 재결정한 업링크 무선자원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영역을 스케줄링한다. 또한, 자원 재할당부(240)는 재할당한 단말별 업링크 무선자원을 저장부(220)에 저장함으로써, 저장부(220)의 업링크 무선자원 정보를 갱신한다.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변동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현재 SRS 참조주기에서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와 바로 직전의 SRS 참조주기에서 접속한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를 비교하여,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이동단말(310, 320)이 송출한 SRS에서 각 이동단말(310, 320)의 식별정보를 카운팅함으로써,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코어망(400)에 위치한 위치등록 장치(예컨대, 홈위치등록기, 홈가입자 서버 등)로부터 펨토 셀(20)로 위치등록한 이동단말(310, 320)의 식별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주기 설정부(260)는 SRS 참조주기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주기 설정부(260)는 접속단말 확인부(250)와 연동하여,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변동되었음을 접속단말 확인부(250)로부터 통보받으면,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를 초기화한다. 예컨대, 주기 설정부(260)는 접속단말 확인부(250)로부터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변동되었음을 통보받으면,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를 최초의 참조주기(예컨대, 100ms)로 재설정한다. 한편, 주기 설정부(260)는 접속단말 확인부(250)로부터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이 없음을 통보받으면, 현재 설정된 참조주기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컨대, 200ms)만큼 더 길게 재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펨토 기지국(200)의 자원 재할당부(240)는 주기 설정부(260)에서 설정한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는 여부를 확인한다(S301). 즉, 자원 재할당부(240)는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기 위한 SRS 참조주기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자원 재할당부(240)는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 수의 변동에 대한 확인을 접속단말 확인부(250)로 요청한다.
그러면,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현재 접속된 이동단말(310, 320)의 수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현재 접속중인 단말의 수가 바로 직전의 SRS 참조주기에서 확인한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다음으로,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상기 접속된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감소되었거나 증가된 경우, 자원 재할당부(240)와 주기 설정부(260)로 접속 단말의 수가 변동되었음을 통보한다(S305).
그러면, 자원 재할당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각 이동단말(310, 320)의 SR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고, 주기 설정부(260)는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단말 개수가 변동됨에 따라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를 초기화한다(S307, S309). 즉, 자원 재할당부(240)는 특정 이동단말(310, 320)이 펨토 셀(20)에서 이탈하거나 특정 이동단말(310, 320)이 펨토 셀(20)에 신규로 진입함에 따라 접속 단말의 개수가 변동되었음을 접속단말 확인부(250)로부터 통보받으면, 현재 펨토 셀(20)에 위치한 각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한 SRS를 참조하여 상기 각각의 이동단말(310, 320)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한다.
부연하면,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310, 320)이 펨토 셀(20)에서 이탈된 경우(즉, 이동단말이 펨토 기지국과의 접속이 해제된 경우), 자원 할당부(230)가 상기 이동단말(310, 320)로 할당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회수하고, 자원 재할당부(240)는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되었음을 접속단말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한다. 그리고 자원 재할당부(240)는 자원 할당부(230)가 회수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된 SRS를 토대로 펨토 셀(20)에 위치한 이동단말(310, 320)로 재할당한다. 예컨대, 자원 할당부(230)가 접속 해제된 특정 이동단말(310, 320)의 ch1 업링크 무선채널을 회수한 경우, 자원 재할당부(240)는 각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한 SRS를 참조하여, 이 ch1 업링크 무선채널에서 양호한 업링크 품질을 가지는 다른 이동단말(310, 320)로 상기 ch1 업링크 무선채널을 재할당할 수 있다.
또한, 펨토 셀(20)에 특정 이동단말(310, 320)이 신규로 진입한 경우, 자원 할당부(230)는 업링크 무선자원을 상기 이동단말(310, 320)로 초기 할당하고, 자원 재할당부(240)는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되었음을 접속단말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한다. 그리고 자원 재할당부(240)는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된 SRS를 토대로 이동단말(310, 320)별 업링크 무선채널의 품질 상태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각 무선채널의 품질 상태를 토대로 각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한다. 이때, 자원 자원할당부(240)는 자원 할당부(230)에서 초기 할당한 해당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S305 단계에서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현재 접속된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변동이 없으면, 자원 재할당부(240)와 주기 설정부(260)로 접속 단말의 수가 변동되지 않았음을 통보한다. 그러면, 주기 설정부(260)는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컨대, 200ms)만큼 더 길게 재설정하여, SRS 참조주기를 증가시킨다(S311). 그리고 자원 재할당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각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SRS가 수신되더라도, 이 SRS를 참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310, 320)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과정도 생략하고, 다음 SRS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정리하면, 접속단말 확인부(250)는 SRS 참조주기 간격으로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무선자원 재할당부(240)와 주기 설정부(260)로 통보하고, 무선자원 재할당부(240)는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된 경우에만 각 이동단말(310, 320)로부터 수신한 SRS를 선택적으로 참조하여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더불어 주기 설정부(260)는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를 초기화한다. 즉, 펨토 기지국(200)은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된 경우에, SRS를 참조주기를 최초로 설정된 SRS 참조주기로 재설정하고 더불어 펨토 셀(20)에 위치등록한 이동단말(310, 320)로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기 위하여 SRS를 참조한다.
반면에, 이동단말(310, 320)의 개수가 변동되지 않은 경우, 무선자원 재할당부(240)는 이동단말(310, 320)로 수신되는 SRS를 참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310, 320)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과정도 생략하고, 주기 설정부(260)는 현재 설정된 SRS 참조주기를 더 길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펨토 기지국(20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310, 320)의 수가 동일하게 유지된 경우에 상기 SRS 참조주기는 점점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펨토 기지국(200)에서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주기가 더 길게 벌어짐으로써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될 때 소비되는 펨토 기지국(200)의 자체 자원(예컨대, CPU, 메모리)이 절약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매크로 기지국 200 : 펨토 기지국
210 : 통신부 220 : 저장부
230 : 자원 할당부 240 : 자원 재할당부
250 : 접속단말 확인부 260 : 주기 설정부
310, 320 : 이동단말 400 : 코어망

Claims (6)

  1.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 및
    상기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가 변동된 것으로 판별되면 각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참조하여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 중인 이동단말의 수가 변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무선자원 재할당을 생략하여 이전 참조주기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을 유지하는 무선자원 재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2. 펨토 기지국에서 이동단말의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각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참조하여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수행하는 무선자원 재할당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개수가 변동없이 유지되면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를 더 길게 재설정하고,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개수가 변동되면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직전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에서 확인한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와 상기 펨토 기지국에 현재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과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4. 펨토 셀을 형성하고 이동단말로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펨토 기지국으로서,
    상기 펨토 셀에 위치한 이동단말의 수의 변동을 확인하는 접속단말 확인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부; 및
    상기 주기 설정부에서 설정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래하면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를 통해 상기 펨토 셀에 위치하는 이동단말 개수의 변동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단말 개수의 변동이 있으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단말 개수의 변동이 없으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생략하여 이전 참조주기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을 유지하는 자원 재할당부;를 포함하는 펨토 기지국.
  5. 펨토 셀을 형성하고 이동단말로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펨토 기지국으로서,
    상기 펨토 셀에 위치한 이동단말의 수의 변동을 확인하는 접속단말 확인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부; 및
    상기 주기 설정부에서 설정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래하면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를 통해 상기 펨토 셀에 위치하는 이동단말 개수의 변동을 확인하고, 이 확인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에 대한 업링크 무선자원 재할당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자원 재할당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기 설정부는,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펨토 셀에 위치중인 이동단말의 개수가 변동없이 유지되면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를 더 길게 설정하고,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펨토 셀에 위치중인 이동단말의 개수가 변동되면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참조주기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재할당부는,
    상기 접속단말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펨토 셀에 위치중인 이동단말의 개수가 변동되면, 상기 펨토 셀에 위치중인 각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딩 기준 신호를 참조하여 이동단말별 업링크 무선자원을 재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KR1020120099244A 2012-09-07 2012-09-07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KR10150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44A KR101500648B1 (ko) 2012-09-07 2012-09-07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44A KR101500648B1 (ko) 2012-09-07 2012-09-07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71A KR20140032671A (ko) 2014-03-17
KR101500648B1 true KR101500648B1 (ko) 2015-03-09

Family

ID=5064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244A KR101500648B1 (ko) 2012-09-07 2012-09-07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6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570A (ko) * 2009-06-10 2010-12-20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기지국과 릴레이 간의 이동성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10044508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셀간 협력을 위한 통신 시스템
KR20120000482A (ko) *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팬택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주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85701A (ko) * 2012-01-20 2013-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570A (ko) * 2009-06-10 2010-12-20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기지국과 릴레이 간의 이동성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10044508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셀간 협력을 위한 통신 시스템
KR20120000482A (ko) *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팬택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주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85701A (ko) * 2012-01-20 2013-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71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6516B2 (ja) ワイヤレスofdmaシステムに適用する動的資源トランザクションのメカニズム
KR101756638B1 (ko) 셀룰라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을 통해 셀간 간섭 조율하는 방법
US9319167B2 (en) Technique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AU2006350924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10314055B1 (en) Component carrier assignment using sector power ratio
EP2708061B1 (en) Access point for mobile station-assisted interference mitigation
EP3468242B1 (en) Base station, small cell, and method for scheduling communications link resource
US20110143674A1 (e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29807A (ko) 셀룰러 통신을 위한 중계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6652636B2 (ja) 通信を制御する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US20120015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08054B1 (en) Mobile station-assisted interference mitigation
KR1019498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1259424A (ja) フェムトセルにおける無線資源管理
JP2011259425A (ja) フェムトセルにおける無線資源管理
EP27080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assisted interference mitigation
JP5801922B2 (ja) 仮想的なユーザプレーンセルを構築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装置、制御プレーン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90004164A (ko) 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40118356A (ko) 3GPP LTE 이종망에서 QoE 우선권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704524B2 (ja) 無線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620071B1 (ko)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EP33467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cell resources of a device to device system
KR101500648B1 (ko) 펨토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KR101801487B1 (ko) Ps­lte시스템에서 공공 안전 사용자 우선순위 기반 자원 할당 및 로드 밸런싱을 위한 사용자 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101500639B1 (ko) 펨토 기지국에서의 다운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