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468B1 - Foamed sheet - Google Patents

Foamed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468B1
KR101500468B1 KR1020140075675A KR20140075675A KR101500468B1 KR 101500468 B1 KR101500468 B1 KR 101500468B1 KR 1020140075675 A KR1020140075675 A KR 1020140075675A KR 20140075675 A KR20140075675 A KR 20140075675A KR 101500468 B1 KR101500468 B1 KR 10150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oam sheet
impact
sheet accord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4243A (en
Inventor
고헤이 도이
구니오 나가사키
데츠야 오츠카
미카 오카다
가즈미치 가토
히데유키 도쿠야마
츠나키 기타하라
다다오 다카하시
기이치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2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J230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매우 작아도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발휘하는 발포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두께가 30 ㎛∼500 ㎛이고, 밀도가 0.2 g/㎤∼0.4 g/㎤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이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피크 탑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은, 예컨대 10 ㎛∼150 ㎛이다. 상기 발포체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서의 최대값이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am sheet exhibiting excellent impact absorbability even when the thickness is very small.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ness of 30 to 500 占 퐉, a density of 0.2 g / cm3 to 0.4 g / cm3, a loss of a ratio of a storage elastic modulus to a loss elastic modulus at an angular frequency of 1 rad / And a foam having a tangent (tan delta) in the range of -30 DEG C to 30 DEG C inclusive. The average cell diameter of the foam is, for example, 10 m to 150 m.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loss tangent (tan?) Of the foam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is 0.2 or more.

Description

발포 시트{FOAMED SHEET}Foam sheet {FOAMED SHEET}

본 발명은 두께가 작아도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발포 시트, 및 상기 발포 시트가 이용되는 전기·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 sheet excellent in impact absorbability even when the thickness is small, and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oam sheet.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고정된 화상 표시 부재나, 소위 「휴대 전화」, 「스마트 폰」이나 「휴대 정보 단말」 등에 장착된 표시 부재, 카메라,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소정의 부위(예컨대, 케이스 등)에 고정시킬 때에, 발포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포재로서는, 저발포이며 또한 독립 기포 구조를 갖는 미세 셀 우레탄계 발포체나 고발포 우레탄을 압축 성형한 것 외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배율 30배 정도의 폴리에틸렌계 발포체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밀도 0.3 g/㎤∼0.5 g/㎤의 폴리우레탄계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가스켓(특허문헌 1 참조)이나, 평균 기포 직경이 1 ㎛∼500 ㎛인 발포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전기·전자 기기용 시일재(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사용되고 있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image display members fixed to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electroluminescence displays and plasma displays, display members mounted on so-called "mobile phones", "smart phone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BACKGROUND ART A foaming material is used to fix an optical member such as a lens to a predetermined site (e.g., a case). As such a foaming material, a microcellular urethane foam or a low foaming foam having a low foaming property and a closed cell structure is extrusion-molded, and a polyethylene foam having an independent foam and a foaming magnification of about 30 is used. Specifically, for example, a gasket made of a polyurethane foam having a density of 0.3 g / cm 3 to 0.5 g / cm 3 (see Patent Document 1) or a foam structure having an average cell diameter of 1 탆 to 500 탆 A sealing material (see Patent Document 2) and the like are used.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0021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00216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919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02-309198

그러나, 최근, 광학 부재(화상 표시 장치, 카메라, 렌즈 등)가 장착되는 제품이 점점 더 박형화되어 감에 따라, 발포재가 사용되는 부분의 클리어런스가 현저히 감소해 가는 경향에 있다. 이 클리어런스 감소에 따라, 상기 발포 부재의 두께를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의 발포재에서는, 두께를 작게 하면 충분한 충격 흡수성이 발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예컨대, 「스마트 폰」 등의 표시 부재를 갖는 전기·전자 기기를 지면 등에 떨어뜨린 경우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발포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a product to which an optical member (an image display device, a camera, a lens, or the like) is mounted becomes thinner and thinner, the clearance of the portion where the foam member is used tends to be remarkably reduced. As the clearance is reduce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oam membe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am member, if the thickness is reduced, sufficient shock absorbability is not exhibited. For this reason, there is a demand for a foam sheet that absorbs shocks when colliding with an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member such as a " smart phone "

또한, PC(퍼스널 컴퓨터), 타블렛 PC, PDA(개인용의 휴대 정보 단말),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의 고기능화에 따라, 표시 부재 등의 파손 방지를 위해 이용되는 충격 흡수 시트에 그 외의 부재(예컨대, 열전도층)를 적층시켜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최근의 상기 전자 기기의 추가적인 박형화에 따라, 그것에 사용되는 충격 흡수 시트 등의 부재의 추가적인 박층화가 요망되어, 상기 충격 흡수 시트와 그 외의 부재의 적층 시의 점접착층의 박층화, 혹은 점접착층레스가 요망되고 있다.In addition, a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mobile phone become more sophisticated, a shock absorbing sheet used for preventing breakage of a display member, , And a heat conductive layer) are laminated and assembled. It is desired to further thin a member such as an impact-absorbing sheet used in the above-mentioned electronic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further thinning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apparatus,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the time of laminating the above- Is desired.

또한, 최근, 스마트 폰, 휴대 단말 등의 터치 패널 탑재 기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의 지그(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화면에 닿거나, 누르거나 하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이들 터치 패널 탑재 기기는 박형화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을 구성하는 부재(예컨대, LCD 패널로 대표되는 표시 패널이나 닿은 곳을 관지하는 터치 패널 등)도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화면을 눌렀을 때에 표시 패널이나 터치 패널이 매우 휘기 쉽게 되어 있다. 휘어짐이 발생하면, 그 휘어짐에 따라 표시 패널이 내부의 그 외의 부재(예컨대, 회로 기판, 전지 등)와 간섭하여, 표시 패널에 표시 얼룩(파문형의 번짐 모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 얼룩의 발생 원인으로서는, 표시 패널이 내부의 그 외의 부재에 압박되어, 표시 패널에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액정 분자의 배향이 흐트러지는 것이 고려된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with the spread of devices equipped with touch panels such as smart phones and portable terminals, opportunities for users to touch or press the screen using a jig (a stylus) such as a finger or a touch pen are increasing. In addition, these touch panel-mounted devices are progressively thinned, and members making up these devices (for example, a display panel typified by an LCD panel or a touch panel touching the touch panel) are becoming thinner.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screen, the display panel or the touch panel becomes very flexible. When warping occurs, the display panel interferes with other members (for example, a circuit board, a battery,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warping, and display unevenness (wavy form of a ripple) may occur on the display panel. As a cause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t is considered that the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s disturbed by stressing the display panel by the display panel being pressed by other members inside.

이 표시 패널에 응력이 이러한 일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있는 표시 얼룩(파문형의 번짐 모양)의 문제에 대하여, 표시 패널 주변에 갭을 마련하여, 표시 패널이 변형되어도, 표시 패널에 응력이 가해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나,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의 설계를 변경하여, 두껍게 함으로써, 휘기 어렵게 하는 것이나, 터치 패널 탑재 기기의 케이스의 강성을 크게 함으로써, 변형되기 어렵게 하는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터치 패널 탑재 기기가 두꺼워지고, 무거워진다고 하는 폐해가 있다. 이 때문에,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서는,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는 박형화에 대응하면서, 표시 패널에 응력이 이러한 일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있는 표시 얼룩(파문형의 번짐 모양)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A gap is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isplay unevenness (a blurred form of a ripple) which may be caused by stress in the display panel, and even if the display panel is deformed,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desig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touch panel is changed so as to make it harder to be bent by increasing the thickness and the rigidity of the case of the touch panel mounted device is increased to make it difficult to be deform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device with a touch panel becomes thick and becomes heavy. For this reason, in touch panel-mounted devices, it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of display unevenness (blurred form of a ripple type) in which stress is caused in such a situation on the display panel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markably progressive thinning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매우 작아도,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발휘하는 발포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am sheet exhibiting excellent impact absorbability even when the thickness is very sm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에 더하여, 타부재를 적층할 때에, 점접착층을 갖지 않아도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발포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am sheet which, in addition to the above properties, is capable of preventing positional deviation even when other members are laminated withou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소형화, 박형화되어 있어도, 낙하 시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어려운 전기·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breakage due to an impact at the time of dropping, even if the device is downsized and thin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가 매우 작아도,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발휘하며,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이용되었을 때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른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는 발포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high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a display portion according to a user's touch operation when used in a touch panel- Sheet.

본 발명의 또 다른 별도의 목적은, 낙하 시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어렵고, 더구나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른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이 고도로 억제되어 있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panel mounted device which is less likely to be damaged by an impact upon dropping, and in which occurrence of display irregularities in a display portion due to a user's touch operation is highly suppressed.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저밀도이며, 또한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이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피크 탑을 갖는 발포체에 의해 발포 시트를 구성하면, 30 ㎛∼500 ㎛라고 하는 얇은 두께여도, 충격 흡수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 그 때문에 이러한 발포 시트를 이용한 전기·전자 기기에서는, 지면 등에 떨어뜨려도 충격 등에 의한 표시 장치 등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것, 또한, 약한 충격이라도 충격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상기 발포 시트를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이용한 경우에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가 얇아도,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른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intensive investigatio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s a result, they have found that the loss tangent (tan?),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to the loss elastic modulus at an oscillating speed of 1 rad / s i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 C or less, a foamed sheet having a peak top in the range of 30 to 500 ° C is remarkably superior in impact absorbability even when the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30 to 500 占 퐉. Therefore, in an electric / electronic appliance using such a foamed sheet, Even if the touch panel mounted device is thin, it is difficult to damage the display device due to impact or the like, and even if the impact is low, the impact absorption rate is hig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igh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the display section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It was.

즉, 본 발명은, 두께가 30 ㎛∼500 ㎛이고, 밀도가 0.2 g/㎤∼0.4 g/㎤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이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피크 탑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를 제공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dynamic viscoelasticity, which has a thickness of 30 탆 to 500 탆, a density of 0.2 g / cm 3 to 0.4 g / cm 3, a loss tangent of a ratio of a storage elastic modulus to a loss elastic modulus at an oscillating speed of 1 rad / (tan?) of from -30 占 폚 to 30 占 폚 and having a peak top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이 발포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에 있어서의 평균 셀 직경은 10 ㎛∼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체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서의 최대값이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oam sheet,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cell diameter of the foam is 10 mu m to 150 mu m.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loss tangent (tan?) Of the foam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is 0.2 or more.

또한, 23℃ 환경 하에서 인장 속도 300 ㎜/min에서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발포체의 초기 탄성률이 5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oam in a tensile test at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under an environment of 23 캜 is 5 N / mm 2 or less.

또한, 진자형 충격 시험기를 이용한 충격 흡수성 시험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충격 흡수율(%)을 발포 시트의 두께(㎛)로 나눈 값(R)이, 충격자의 무게 28 g, 스윙업 각도 30°인 경우에 0.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mpact absorbability test using the pendulum type impact tester, the value (R) obtained by dividing the impact absorption rate (%)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by the thickness (占 퐉) of the foam sheet was 28 g, °, it is preferably at least 0.15.

충격 흡수율(%)={(F0-F1)/F0}×100Impact absorption rate (%) = {(F 0 -F 1 ) / F 0 } × 100

상기 식에서, F0은 지지판에만 충격자를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력이며, F1은 지지판과 발포 시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지지판 상에 충격자를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력이다.Wherein, F 0 is the impact force of collision when sikyeoteul cut impact only the supporting plate, the impact force F 1 is the time of the collision sikyeoteul cut impact on the support plate of the structure formed of a support plate and a foam sheet.

상기 발포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23℃, 인장 속도 50 ㎜/min)은 0.5 N/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ar adhesive strength (23 DEG C, tensile speed 50 mm / min)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oam to the SUS304BA plate is preferably 0.5 N / 100 mm < 2 >

상기 발포체는,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 우레탄계 폴리머,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The foam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resin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based polymer, a rubber, a urethane-based polymer, and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상기 발포체는,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기계적으로 발포시키는 공정(A)을 거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발포체는, 기계적으로 발포시킨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여 건조하는 공정(B)을 더 거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공정(B)은, 기재 상에 도포한 기포 함유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50℃ 이상 125℃ 미만에서 건조하는 예비 건조 공정(B1)과, 그 후 125℃ 이상 200℃ 이하에서 더 건조하는 본건조 공정(B2)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The foam may be formed through a step (A) of mechanically foaming the emulsion resin composition. The foam may be formed by further adding a step (B) of coating a mechanically foamed emulsion resin composition onto a base material and drying the base material. The step (B) comprises a preliminary drying step (B1) of drying the bubble-containing emulsion resin composition coated on the substrate at a temperature of not lower than 50 ° C and lower than 125 ° C, (B2).

상기 발포 시트는, 발포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The foam sheet may ha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oam.

또한, 상기 발포 시트는, 전기·전자 기기용 충격 흡수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시트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이용되는 발포 시트여도 좋다.The foam sheet may be used as an impact-absorbing sheet for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The foam sheet may be a foam sheet used in a touch panel-mounted devic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포 시트가 이용되는 전기·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이 전기·전자 기기에는, 표시 부재를 구비한 전기·전자 기기로서, 상기 발포 시트가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와 상기 표시 부재 사이에 협지된 구조를 갖는 전기·전자 기기가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foam sheet is used. The electric / electronic apparatus includes an electric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splay member, wherein the foam sheet has a structure sandwiched between a case of the electric or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display memb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포 시트가 이용되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를 제공한다. 이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발포 시트,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을 가지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측의 스페이스에 상기 발포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ouch panel mounted device using the foam sheet. In this touch panel mounted device, the foam sheet may have the foam sheet, the display panel, and the touch panel, and the foam sheet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저밀도이며, 또한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이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피크 탑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도,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발포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0.5 N/100 ㎟ 이상인 것은, 타부재(예컨대, 열전층 등)를 적층할 때에, 점접착층을 갖지 않아도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포 시트를 이용한 전기·전자 기기가 지면 등에 낙하하여도, 충격에 의한 디스플레이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density and has a loss tangent (tan delta), which is a ratio of a storage elastic modulus and a loss elastic modulus at an oscillating frequency of 1 rad / s, in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of -30 ° C to 30 ° C. It is excellent in impact absorbability even if the thickness is thin. Further, when the shear adhesive force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oamed body with respect to the SUS304BA plate is 0.5 N / 100 mm2 or more, positional shift can be prevented even when other members (e.g., thermoelectric layers, etc.) . Therefore, even if the electric /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s o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display due to impact.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저압축 하중이기 때문에,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이용되었을 때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표시 패널이나 터치 패널이 굴곡, 변형되었다고 해도, 이 변형에 따라 생긴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표시 패널에 응력이 이러한 것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있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파문형의 번짐 모양)의 발생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compression load, even when the display panel or the touch panel is bent or deformed by a user's touch operation when used in a touch panel-mounted device, It can be dispersed and absorbed effectively. Therefore,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igh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uneven display (blurred form of a ripple form) in a display portion where a stress is generated in such a display panel. Therefore,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a touch panel mounted device.

도 1은 진자형 충격 시험기(충격 시험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진자형 충격 시험기(충격 시험 장치)의 유지 부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응력 완화 시험기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4는 응력 완화 시험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에서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의 압력 화상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에서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의 압력 화상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에서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의 압력 화상이다.
도 8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에서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의 압력 화상이다.
도 9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에서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의 압력 화상이다.
도 10은 비교예 1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에서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의 압력 화상이다.
도 11은 비교예 3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에서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의 압력 화상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ndulum impact tester (impact test apparatus).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olding member of a pendulum impact tester (impact testing apparatus).
3 is a schematic top view of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5 is a pressure image of a pressure acting on a pressure-sensitive paper in the 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Example 1. Fig.
6 is a pressure image of a pressure acting on a decompression paper in the 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pressure image of a pressure acting on a pressure-sensitive paper in the 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the third embodiment.
8 is a pressure image of a pressure acting on a pressure-sensitive paper in the 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Example 4. Fig.
9 is a pressure image of a pressure acting on a pressure-sensitive paper in the 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the fifth embodiment.
10 is a pressure image of a pressure acting on a decompression paper in the 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Comparative Example 1. Fig.
11 is a pressure image of a pressure acting on a pressure-sensitive paper in the 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Comparative Example 3. Fig.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두께가 30 ㎛∼500 ㎛이고, 밀도가 0.2 g/㎤∼0.4 g/㎤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이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피크 탑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원하는 충격 흡수성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포체의 밀도란 「겉보기 밀도」를 의미한다.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ness of 30 to 500 占 퐉, a density of 0.2 g / cm3 to 0.4 g / cm3, a dynamic viscoelasticity loss of 1 loss / And a foam having a tangent (tan delta) in the range of -30 DEG C to 30 DEG C inclusive. Therefore, it has a desired shock absorbing propert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nsity of the foam means " apparent density ".

본 발명의 발포 시트의 두께는, 30 ㎛∼500 ㎛이다.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며,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4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다. 본 발명에서는, 발포 시트의 두께가 30 ㎛ 이상이기 때문에, 기포를 균일하게 함유할 수 있어,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시트의 두께가 500 ㎛ 이하이기 때문에, 미소 클리어런스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두께가 30 ㎛∼500 ㎛라고 하는 얇기에도 불구하고,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The thickness of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0 mu m to 500 mu m.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40 占 퐉, more preferably 50 占 퐉,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400 占 퐉, more preferably 300 占 퐉, still more preferably 200 占 퐉.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foam sheet is 30 占 퐉 or more, bubbles can be uniformly contained, and excellent shock absorbing properties can be exhibited. Furth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foam sheet is 500 mu m or less, it is possible to easily follow a minute clearance.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hock absorption property despite its thickness being as thin as 30 탆 to 500 탆.

본 발명의 발포 시트를 구성하는 발포체의 밀도는 0.2 g/㎤∼0.4 g/㎤이다.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21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 g/㎤,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39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38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g/㎤이다. 발포체의 밀도가 0.2 g/㎤ 이상임으로써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0.4 g/㎤ 이하임으로써 높은 충격 흡수성이 발휘된다. 또한, 발포체의 밀도가 0.2 g/㎤∼0.4 g/㎤의 범위임으로써, 더욱 보다 높은 충격 흡수성이 발휘된다.The density of the foam constituting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2 g / cm 3 to 0.4 g / cm 3.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0.21 g / cm3, more preferably 0.22 g / cm3,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0.39 g / cm3, more preferably 0.38 g / cm3, still more preferably 0.35 g / cm3 . The strength of the foam can be maintained by the density of 0.2 g / cm 3 or more, and it is 0.4 g / cm 3 or less, thereby exhibiting a high shock absorbing property. Further, when the density of the foam is in the range of 0.2 g / cm 3 to 0.4 g / cm 3, a further higher shock absorbing property is exhibited.

상기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은, 예컨대, 10 ㎛∼150 ㎛이다.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5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며,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다. 평균 셀 직경이 10 ㎛ 이상임으로써, 보다 우수한 충격 흡수성이 발휘된다. 또한, 평균 셀 직경이 100 ㎛ 이하임으로써, 압축 회복성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발포체의 최대 셀 직경은, 예컨대, 40 ㎛∼400 ㎛이며,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이다. 또한, 상기 발포체의 최소 셀 직경은, 예컨대, 5 ㎛∼70 ㎛이며,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8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다.The average cell diameter of the foam is, for example, 10 m to 150 m.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15 占 퐉, more preferably 20 占 퐉,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140 占 퐉, more preferably 130 占 퐉, still more preferably 100 占 퐉. When the average cell diameter is 10 占 퐉 or more, a better shock absorbing property is exhibited. Further, when the average cell diameter is 100 占 퐉 or less, the compression recovery property is also excellent. The maximum cell diameter of the foam is, for example, 40 to 400 占 퐉,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60 占 퐉, more preferably 80 占 퐉,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300 占 퐉, more preferably 220 Mu m. The minimum cell diameter of the foam is, for example, 5 mu m to 70 mu m, and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8 mu m, more preferably 10 mu m,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60 mu m, more preferably 50 mu m Mu m.

본 발명에서는, 충격 흡수성의 관점에서, 평균 셀 직경(㎛)과 발포 시트의 두께(㎛)의 비(전자/후자)는, 0.2∼0.9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셀 직경(㎛)과 발포 시트의 두께(㎛)의 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2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이며,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85,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former / latter) of the average cell diameter (占 퐉) to the thickness (占 퐉) of the foam shee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 to 0.9 from the viewpoint of impact absorbability.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of the average cell diameter (占 퐉) to the thickness (占 퐉) of the foam sheet is preferably 0.25, more preferably 0.3,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0.85, more preferably 0.8.

상기 발포체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은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있다. 상기 손실 정접의 피크 탑이 존재하는 온도 범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며,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손실 정접의 피크 탑을 2개 이상 갖는 재료의 경우는, 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크 온도가 -30℃ 이상임으로써, 우수한 압축 회복성이 발휘된다. 또한, 피크 온도가 30℃ 이하임으로써, 높은 유연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충격 흡수성이 발휘된다.I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of the foam, the peak top of the loss tangent (tan delta),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to the loss elastic modulus at an oscillating speed of 1 rad / s, is in the range of -30 캜 to 30 캜. The lower limit of the temperature range in which the peak of the loss tangent is present is preferably -25 캜, more preferably -20 캜, still more preferably -10 캜,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20 캜, more preferably Lt; / RTI > In the case of a material having two or more peak tow of loss tangen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se materials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When the peak temperature is -30 DEG C or higher, excellent compression recoverability is exhibited. Further, when the peak temperature is 30 占 폚 or less, high flexibility is exhibited and excellent shock absorbing property is exhibited.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 강도(최대값)는 충격 흡수성의 관점에서 높은 쪽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상기 피크 탑 강도(최대값)의 상한값은, 예컨대 2.0이다.The peak top strength (maximum value) of the loss tangent (tan?)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is preferably higher, for example, 0.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3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act absorbability.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peak top strength (maximum value) is, for example, 2.0.

이와 같이, 상기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온도, 피크 탑 강도가 발포체의 충격 흡수성에 크게 기여한다. 발포체의 동적 점탄성 측정 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이-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존재하면, 발포 시트의 충격 흡수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충격의 주파수에 맞는 곳에 상기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가 존재하고 있는 것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즉, 상기 손실 정접(tanδ)이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는,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의 온도 시간 환산칙으로부터, 구조물의 낙하 충격에 상당하는 주파수의 범위로 환산되기 때문에,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상기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온도를 갖는 발포 시트일수록, 충격 흡수성이 높아진다고 추측된다. 또한, 저장 탄성률은, 발포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에 대한 반발력이며, 저장 탄성률이 높으면 충격을 그대로 반발한다. 한편으로 손실 탄성률은, 발포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물성이며, 손실 탄성률이 높을수록 충격 에너지를 열로 바꾸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을 작게 한다. 이것으로부터, 충격을 많이 열로 바꾸며, 또한 반발력이 작은, 즉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이 큰 발포 시트일수록, 충격 흡수율이 높다고 추측된다.Thus, the peak temperature and the peak strength of the loss tangent t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impact absorbability of the foam. When the peak top of the loss tangent (tan delta),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a vibration of 1 rad / s to the loss elastic modulus, is in the range of -30 DEG C to 30 DEG C i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of the foam,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s presumably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a peak of the loss tangent tan? That is, since the range of the loss tangent (tan?) Of -30 占 폚 to 30 占 폚 is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range corresponding to the drop impact of the structure from the temperature time conversion rule in the viscoelasticity measurement, It is presumed that the foam sheet having the peak tangent of loss tangent (tan?) In the range of 30 占 폚 or less has higher shock absorbability.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a repulsive force against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foam sheet, and i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high, the shock is repelled as it is. On the other hand, the loss elastic modulus is a physical property that changes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foam sheet to heat. The higher the loss elastic modulus is, the more shock energy is absorbed to change the impact energy into heat. From this, it is presumed that the shock absorption rate is higher for a foam sheet having a large loss tangent (tan delta), which is a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to the loss elastic modulus, and which has a large impact force and a small repulsive force.

상기 발포체의 초기 탄성률은, 충격 흡수성의 관점에서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기 탄성률(23℃ 환경 하, 인장 속도 300 ㎜/min에서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왜곡 시의 기울기로부터 산출한 값)은, 바람직하게는 5 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N/㎟ 이하이다. 또한, 상기 초기 탄성률의 하한값은, 예컨대, 0.1 N/㎟이다.The initial elastic modulus of the foam is preferably low in view of shock absorption. The initial elastic modulus (value calculated from the slope at 10% strain in a tensile test at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under a 23 캜 environment) is preferably 5 N / mm 2 or less, more preferably 3 N / mm2,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 N / mm2.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is, for example, 0.1 N / mm < 2 >.

본 발명의 발포 시트를 구성하는 발포체로서는, 상기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그 조성이나 기포 구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포 구조로서는, 연속 기포 구조, 독립 기포 구조,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충격 흡수성의 관점에서는, 연속 기포 구조,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가 바람직하다.With respect to the foam constituting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and the cell structur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the above properties. The bubble structure may be any of an open cell structure, a closed cell structure, and a semi-continuous cell structure. From the standpoint of shock absorption, an open cell structure or a semi-continuous, semi-open cell structure is preferable.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박육이면서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갖는다. 또한, 매우 약한 충격에 대해서도 높은 충격 흡수성을 가지고, 충격의 크기에 상관없이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발휘한다. 예컨대, 진자형 충격 시험기를 이용한 충격 흡수성 시험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충격 흡수율(%)을 발포 시트의 두께(㎛)로 나누어, 단위 두께당의 충격 흡수율(R)을 구한다.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impact absorbability while being thin. In addition, it has a high shock absorbing property against a very weak impact, and exhibits excellent shock absorbing property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of impact. For example, in the impact absorbability test using a pendulum impact tester, the impact absorption rate (R) per unit thickness is obtained by dividing the shock absorption rate (%)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by the thickness (mu m) of the foam sheet.

충격 흡수율(%)={(F0-F1)/F0}×100Impact absorption rate (%) = {(F 0 -F 1 ) / F 0 } × 100

상기 식에서, F0은 지지판에만 충격자를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력이며, F1은 지지판과 발포 시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지지판 상에 충격자를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력이다.Wherein, F 0 is the impact force of collision when sikyeoteul cut impact only the supporting plate, the impact force F 1 is the time of the collision sikyeoteul cut impact on the support plate of the structure formed of a support plate and a foam sheet.

충격자의 무게 28 g, 스윙업 각도 30°의 경우(이하, 「저충격 조건(a)」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R을 R1, 충격자의 무게 28 g, 스윙업 각도 40°의 경우(이하, 「저충격 조건(b)」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R을 R2, 충격자의 무게 96 g, 스윙업 각도 47°의 경우(이하, 「고충격 조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R을 R3으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발포 시트에서는, R1은, 예컨대 0.15 이상이 되고, R2는, 예컨대 0.15 이상이 되며, R3은, 예컨대 0.10 이상이 된다. 상기 R(R1, R2, R3)의 상한값은, 예컨대, 0.5 정도이다.The weight of the impactor is 28 g, the swing-up angle is 30 °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low impact condition (a)"), R1 is the impactor weight, 28 g is the swing-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 low impact condition (b) ") in the case where R is R2, the weight of the impactor is 96 g, and the swing- In the foamed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R1 is, for example, at least 0.15, R2 is at least 0.15, and R3 is at least 0.10, for example. The upper limit value of R (R1, R2, R3) is, for example, about 0.5.

또한, 상기 충격 흡수율은, 발포 시트의 두께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통상, 5%∼80%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7%이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0%이다. 상기 고충격 조건의 경우의 충격 흡수율(%)은, 14%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저충격 조건(a)의 경우의 충격 흡수율(%)은, 18%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The impact absorption rate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foamed sheet, but is usually from 5% to 80%, preferably 7%, and preferably 60%. The impact absorption rate (%) in the case of the high impact condition is preferably 14%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or more. The impact absorption rate (%) in the case of the low impact condition (a) is preferably 1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5% or mor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의 크기에 상관없이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갖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발포 시트에서는, 상기 R1과 R3의 합(R1+R3)은, 통상 0.25 이상(예컨대, 0.25∼1.0), 바람직하게는 0.28 이상(예컨대, 0.28∼1.0)이 되고, 또한, R1과 R3의 비(R1/R3)는, 통상 0.5∼3.0, 바람직하게는 0.8∼2.8의 범위 내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시트에서는, R1과 R3의 차(R1-R3)는, 통상 ±0.25 이내, 바람직하게는 ±0.21 이내가 된다. 또한, 상기 R1과 R2의 합(R1+R2)은, 통상 0.40 이상(예컨대, 0.40∼1.0), 바람직하게는 0.45 이상(예컨대, 0.45∼1.0)이 되고, 또한, R1과 R2의 비(R1/R2)는, 통상 0.5∼2.5, 바람직하게는 0.8∼2.0의 범위 내가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has an excellent shock absorbing property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of the impact. For example, in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R1 + R3) of R1 and R3 is usually 0.25 or more (e.g., 0.25 to 1.0), preferably 0.28 or more (e.g., 0.28 to 1.0) The ratio of R1 to R3 (R1 / R3) is usually in the range of 0.5 to 3.0, preferably 0.8 to 2.8. In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R1-R3) between R1 and R3 is usually within ± 0.25, preferably within ± 0.21. The sum of R1 and R2 (R1 + R2) is usually 0.40 or more (e.g., 0.40 to 1.0), preferably 0.45 or more (e.g., 0.45 to 1.0) / R2) is usually in the range of 0.5 to 2.5, preferably 0.8 to 2.0.

진자형 충격 시험기(충격 시험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격 시험 장치(1)(진자 시험기(1))는, 시험편(2)(발포 시트(2))을 임의의 유지력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의 유지 부재(3)와, 시험편(2)에 충격 응력을 부하하는 충격 부하 부재(4)와, 충격 부하 부재(4)에 의한 시험편(2)에 대한 충격력을 검출하는 충격력 검출 수단으로서의 압력 센서(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험편(2)을 임의의 유지력으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3)는, 고정 지그(11)와, 고정 지그(11)에 대향하여 시험편(2)을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한 누름 지그(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 지그(12)에는 누름 압력 조정 수단(1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3)에 의해 유지된 시험편(2)에 충격력을 부하하는 충격 부하 부재(4)는, 일단(22)이 지주(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타단측에 충격자(24)를 갖는 지지봉(23)(샤프트(23))과, 충격자(24)를 소정 각도로 들어올려 유지하는 아암(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충격자(24)로서 강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암의 일단에 전자석(25)을 마련함으로써 충격자(24)를 일체로 소정 각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충격 부하 부재(4)에 의한 시험편(2)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5)는, 고정 지그(11)의 시험편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측에 마련되어 있다.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endulum impact tester (impact tes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1 and 2, the impact test apparatus 1 (pendulum tester 1) is provided with a holding member 3 (holding member) 3 as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test piece 2 (foam sheet 2) An impact load member 4 for applying an impact stress to the test piece 2 and a pressure sensor 5 as impact forc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impact force on the test piece 2 by the impact load member 4 Consists of. The holding member 3 for holding the test piece 2 with an arbitrary holding force is provided with a fixing jig 11 and a slide jig jig 11 for holding the test piece 2 with the test piece 2 facing the fixing jig 11 (12). The pressing jig 12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ressure adjusting means 16. The impact load member 4 that applies the impact force to the test piece 2 held by the holding member 3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22 is pivotally supported pivotally with respect to the pillar 20, A support rod 23 (shaft 23) having a shaft 24 and an arm 21 for lifting and holding the impactor 24 at a predetermined angle. Since the steel ball is used as the impactor 24, the electromagnet 25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rm so that the impactor 24 can be lifted integrally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ssure sensor 5 for detecting the impact force acting on the test piece 2 by the impact load member 4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side of the surface of the fixing jig 1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est piece.

충격자(24)는, 강구(철구)이다. 또한, 충격자(24)가 아암(21)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각도(도 1 중의 스윙업 각도(a))는, 30°∼47°정도이다(실시예에서는, 30°, 40°, 47°의 3조건으로 측정). 강구(철구)의 무게는, 20 g∼100 g 정도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1) 강구(철구)의 무게 28 g, 스윙업 각도 30°, (2) 강구(철구)의 무게 28 g, 스윙업 각도 40°, (3) 강구(철구)의 무게 96 g, 스윙업 각도 47°의 3조건으로 측정하고 있다.The impactor 24 is a steel ball. The angle (swing-up angle a in Fig. 1) at which the impactor 24 is lifted by the arm 21 is about 30 to 47 degrees (in the embodiment, 30 degrees, 40 degrees, 47 Deg.]. The weight of the steel ball (steel ball) is about 20 g to 100 g. (2) the weight of the steel ball (steel ball) of 28 g, the swing-up angle of 40 degrees, (3) the weight of the steel ball (steel ball) Weight 96 g, and swing-up angle 47 [deg.].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편(2)(발포 시트(2))은, 고정 지그(11)와 누름 지그(12) 사이에 수지성 판재(아크릴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나 금속제 판재 등의 고탄성인 판재로 구성되는 지지판(28)을 개재하여 협지된다.2, the test piece 2 (foam sheet 2)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jig 11 and the press jig 12 such as a resin plate (acrylic plate, polycarbonate plate, etc.) And is sandwiched by a support plate 28 composed of a highly elastic plate material.

충격 흡수성은, 상기 충격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고정 지그(11)와 지지판(28)을 밀착 고정시키고 나서 충격자(24)를 지지판(28)에 충돌시킴으로써 측정되는 충격력(F0), 및 고정 지그(11)와 지지판(28) 사이에 시험편(2)을 삽입하여 밀착 고정시키고 나서 충격자(24)를 지지판(28)에 충돌시킴으로써 측정되는 충격력(F1)을 구하여, 상기 식에 따라 산출된다. 또한, 충격 시험 장치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7277호 공보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이다.The impact absorbing property is determined by the impact force F 0 measured by colliding the impact jig 24 against the support plate 28 after the fixture jig 11 and the support plate 28 are tightly fixed to each other, The impact force F 1 measured by inserting the test piece 2 between the jig 11 and the support plate 28 and making the impact member 24 collide against the support plate 28 after the impact member 24 is brought into tight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28 is calculated, do. The impact test apparatus is the same apparatus as the first embodiment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47277.

발포 시트의 두께가 어느 정도 큰 경우에는, 충격 흡수성은, 평균 셀 직경, 밀도 등을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지만, 발포 시트의 두께가 매우 작은 경우(예컨대, 두께 30 ㎛∼500 ㎛)에는, 이들 특성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발포 시트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에는, 발포체 내의 기포가 충격에 의해 바로 찌부러져, 기포에 의한 충격 완충 기능이 소실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포체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이-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존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기포가 찌부러진 후라도, 발포체의 구성 재료가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발휘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foam sheet is large enough, the impact absorbability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the average cell diameter, density and the like. However, when the foam sheet has a very small thickness (for example, thickness of 30 탆 to 500 탆) The impact can not be sufficiently absorbed. When the thickness of the foam sheet is very thin, the foam in the foam is directly crushed by the impact, and the shock buffer function by the foam is los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of the foam, the peak top of the loss tangent (tan?),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modulus and the loss modulus at an oscillation frequency of 1 rad / 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foam exhibits a function of buffering the impact even after the bubble is crushed.

상기 발포체는, 수지 재료(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미발포 상태의 상기 수지 조성물[발포시키지 않는 경우의 수지 조성물(고형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은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실 정접의 피크 탑이 존재하는 온도 범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며,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손실 정접의 피크 탑을 2개 이상 갖는 재료의 경우는, 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고형물)의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 강도(이 값은, 상기 발포체에 있어서의 -30℃ 이상 30℃ 미만의 범위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 강도를 발포체의 밀도(g/㎤)로 나눈 값에 상당함)는 충격 흡수성의 관점에서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고형물)의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9 (g/㎤)-1 이상이며, 상한은, 예컨대, 3 정도이다.The foam may be composed of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material (polymer). Further, i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of the resin composition in the unfoamed state (the resin composition (solid matter) in the case of not foaming), the peak top of the loss tangent (tan delta),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to the loss elastic modulus at an angular frequency of 1 rad /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The lower limit of the temperature range in which the peak of the loss tangent is present is preferably -25 캜, more preferably -20 캜, still more preferably -10 캜,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20 캜, more preferably Lt; / RTI > In the case of a material having two or more peak tow of loss tangen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se materials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The peak top strength of the loss tangent (tan?) Of the resin composition (solid matter)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the value is a loss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eak top strength of tangent (tan delta) by the density (g / cm < 3 >) of the foamed material) is preferably high in view of impact absorbability. For example, the peak top strength of loss tangent (tan?) Of the resin composition (solid matter)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is preferably 0.9 (g / cm3) -1 or more, 3.

또한, 미발포 상태의 상기 수지 조성물(고형물)의 초기 탄성률(23℃, 인장 속도 300 ㎜/min)은, 낮은 쪽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50 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N/㎟ 이하이다. 또한, 상기 초기 탄성률의 하한값은, 예컨대, 0.3 N/㎟이다.The initial elastic modulus (23 DEG C, tensile speed 300 mm / min) of the resin composition (solid matter) in an unfoamed state is preferably low, preferably 50 N / mm2 or less, more preferably 30 N / Mm2 or less.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itial elastic modulus is, for example, 0.3 N / mm < 2 >.

상기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발포체를 구성하는 공지 내지 주지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로서, 예컨대,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 우레탄계 폴리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충격 흡수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 우레탄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폴리머)는 1종 단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어도 좋다.The resin material (polymer) constituting the foa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or well-known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foam may be used. Examples of the resin material include an acrylic polymer, a rubber, a urethane polymer, and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Of these, acrylic polymer, rubber, and urethane polymer are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impact absorbability. The resin material (polymer) constituting the foam may be one kind alone, or two or more kinds.

또한, 상기 발포체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을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지 재료(폴리머)의 Tg를 지표 혹은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지 재료(폴리머)로서, Tg가 -50℃ 이상 50℃ 미만(하한은, 바람직하게는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의 범위에 있는 수지 재료(폴리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In order to set the peak top of the loss tangent (tan?),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at an angular frequency of 1 rad / s, to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i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of the foam, (Polymer)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r reference. For example, the resin material (polymer) preferably has a Tg of -50 DEG C to less than 50 DEG C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40 DEG C, more preferably -30 DEG C,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40 DEG C, Lt; RTI ID = 0.0 > 30 C). ≪ / RTI >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로서는,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상인 모노머와, 호모폴리머의 Tg가 -10℃ 미만인 모노머를 필수의 모노머 성분으로 하여 형성된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폴리머를 이용하여, 전자의 모노머와 후자의 모노머의 양비를 조정함으로써,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이-30℃ 이상 30℃ 이하의 발포체를 비교적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an acrylic polymer formed from a monomer having a Tg of -10 DEG C or higher and a monomer having a Tg of the homopolymer of lower than -10 DEG C as essential monomer components. By adjusting the ratio of the former monomer to the latter monomer by using such an acrylic polymer, the peak top of the loss tangent (tan delta),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at an angular frequency of 1 rad / s i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A foam having a temperature of 30 DEG C or more and 30 DEG C or less can be relatively easily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호모폴리머를 형성하였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단순히 「호모폴리머의 Tg」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란, 「상기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7년)에 수치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Tg는, 예컨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값(일본 특허 공개 제2007-51271호 공보 참조)을 말한다. 즉,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모노머 100 중량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초산에틸 200 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3℃로 승온시켜 10시간 반응시킨다. 계속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농도 33 중량%의 호모폴리머 용액을 얻는다. 계속해서, 이 호모폴리머 용액을 세퍼레이터 상에 유연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 약 2 ㎜의 시험 샘플(시트형의 호모폴리머)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시험 샘플을 직경 7.9 ㎜의 원반형으로 펀칭하고, 병렬 플레이트로 사이에 끼워, 점탄성 시험기(ARES, 레오메트릭스사 제조)를 이용하여 주파수 1 ㎐의 전단 왜곡을 부여하면서, 온도 영역 -70℃∼150℃, 5℃/분의 승온 속도로 전단 모드에 의해 점탄성을 측정하여, tanδ의 피크 탑 온도를 호모폴리머의 Tg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재료(폴리머)의 Tg도 이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The term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when a homopolymer is formed" (simply referred to as "Tg of a homopolymer")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 Specifically, the numerical values are given in "Polymer Handbook"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87). The Tg of a homopolymer of a monomer not described in the above literature refers to a value obta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se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51271). That is, 100 parts by weight of a monomer, 0.2 parts by weight of 2,2'-azobisisobutyronitrile and 20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were fed into a reactor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 nitrogen inlet tube and a reflux condenser, And stirring is carried out for 1 hour while introducing nitrogen gas. After the oxygen in the polymerization system was removed in this manner,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3 캜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10 hours. Subsequently, the solution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 homopolymer solution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33% by weight. Subsequently, this homopolymer solution is applied on a separator in a pourable manner and dried to produce a test sample (homopolymer of sheet for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mm. The test samples were punched into a disk having a diameter of 7.9 mm, sandwiched between parallel plates, and subjected to shear strain at a frequency of 1 Hz using a viscoelasticity tester (ARES, Rheometrics) The viscoelasticity is measured by a shearing mode at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150 ° C and 5 ° C / min, and the peak temperature of tan δ is defined as the Tg of the homopolymer. The Tg of the resin material (polymer) can also be meas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상인 모노머에 있어서, 상기 Tg는, 예컨대, -10℃∼250℃, 바람직하게는 10℃∼2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00℃이다.In the case of a monomer having a Tg of the homopolymer of -10 占 폚 or higher, the Tg is, for example, -10 占 폚 to 250 占 폚, preferably 10 占 폚 to 23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50 占 폚 to 200 占 폚.

상기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상인 모노머로서, 예컨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의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 N-비닐-2-피롤리돈 등의 복소 고리 함유 비닐 모노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메타)아크릴로니트릴(특히,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상인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로니트릴(특히, 아크릴로니트릴)을 이용하면, 분자간 상호 작용이 강하기 때문인지, 발포체의 상기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As the monomer having a Tg of -10 캜 or more of the homopolymer, for example, (meth) acrylonitril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 acrylamide and N-hydroxyethyl (meth) acrylamide; (Meth) acrylic acid;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Tg of -10 占 폚 or more of a homopolymer such as methyl methacrylate or eth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Vinyl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such as N-vinyl-2-pyrrolidone; An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2-hydroxyethyl methacrylat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meth) acrylonitrile (particularly, acrylonitrile) is particularly preferable. When (meth) acrylonitrile (particularly acrylonitrile) is used as a monomer having a Tg of -10 ° C or higher of the homopolym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eak top strength of the loss tangent (tan?) Of the foam to a large value can do.

호모폴리머의 Tg가 -10℃ 미만인 모노머에 있어서, 상기 Tg는, 예컨대, -70℃ 이상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12℃, 더욱 바람직하게는 -65℃∼-15℃이다.For a monomer having a Tg of the homopolymer of lower than -10 占 폚, the Tg is, for example, from -70 占 폚 to less than -10 占 폚, preferably from -70 占 폚 to -12 占 폚, more preferably from -65 占 폚 to -15 占 폚 to be.

상기 호모폴리머의 Tg가 -10℃ 미만인 모노머로서, 예컨대, 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호모폴리머의 Tg가 -1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아크릴산 C2-8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Tg of the homopolymer of less than -10 占 폚 include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Tg of less than -10 占 폚 of a homopolymer such as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or 2-ethylhexyl acrylat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se, C 2-8 alkyl acrylate esters are particularly preferred.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한,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상인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컨대, 2 중량%∼30 중량%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중량%이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한, 호모폴리머의 Tg가 -10℃ 미만인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컨대, 70 중량%∼98 중량%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이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중량%이다.The content of the monomer having a Tg of the homopolymer of -10 ° C or higher relative to the total monomer component (total amount of the monomer components) forming the acrylic polymer is, for example, 2% by weight to 30% by weight, %, More preferably 4% by weight,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monomer having a Tg of the homopolymer of less than -10 캜 with respect to the total monomer component (total amount of the monomer components) forming the acrylic polymer is, for example, 70% by weight to 98% by weight, 75% by weight, more preferably 80% by weight,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97% by weight, more preferably 96% by weight.

상기 고무로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상기 고무로서, 예컨대, 니트릴 고무(NBR),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고무(M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아크릴 고무(ACM, ANM), 우레탄 고무(AU),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니트릴 고무(NBR),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고무(MBR),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As the rubber, any of natural rubber and synthetic rubber may be used. As the rubber, for example, a rubber such as nitrile rubber (NBR), methyl methacrylate-butadiene rubber (MB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crylic rubber (ACM, ANM), urethane rubber . Of these, nitrile rubber (NBR), methyl methacrylate-butadiene rubber (MBR), and silicone rubber are preferred.

상기 우레탄계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urethane polymer include a polycarbonate-based polyurethane, a polyester-based polyurethane, and a polyether-based polyurethan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서는, 공지 내지 주지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 known or well-know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can be used.

상기 발포 시트를 구성하는 발포체는, 수지 재료(폴리머) 외에,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가교제, 증점제, 방청제, 그 외의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The foam constituting the foam sheet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resin material (polymer), a surfactant, a crosslink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 rust inhibitor and other additives, if necessary.

예컨대, 기포 직경의 미세화, 발포된 기포의 안정성을 위해, 임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좋지만, 기포 직경의 미세화, 발포된 기포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스테아린산 암모늄 등의 지방산 암모늄계 계면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종의 계면활성제를 병용하여도 좋고, 예컨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병용하여도 좋다.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miniaturizing the bubble diameter and stabilizing the foamed bubble, any surfactant may be contained. The surfact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of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amphoteric surfactants and the like may be used. From the viewpoints of miniaturization of the cell diameter and stability of foamed cells, , An anionic surfactant is preferable, and a fatty acid ammonium surfactant such as ammonium stearate is more preferable. The surfacta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ddition, a heterogeneous surfactant may be used in combination. For example, an anionic surfactant, a non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nd an amphoteric surfactant may be used in combination.

계면활성제의 첨가량[고형분(불휘발분)]은, 예컨대, 수지 재료(폴리머)[고형분(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 중량부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8 중량부이다.The addition amount of the surfactant (solid content (nonvolatile content)) is, for example, 0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material (polymer (solid content (nonvolatile component)),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0.5 part by weight, Is preferably 8 parts by weight.

또한, 발포체의 강도, 내열성,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의의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가교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용성, 수용성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가교제로서, 예컨대, 에폭시계, 옥사졸린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르보디이미드계, 멜라민계, 금속 산화물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옥사졸린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of the foam, any cross-linking agent may be included.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of the usability and water solubility may be used.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epoxy-based, oxazoline-based, isocyanate-based, carbodiimide-based, melamine-based and metal oxide based ones. Among them, an oxazolin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e.

가교제의 첨가량[고형분(불휘발분)]은, 예컨대, 수지 재료(폴리머)[고형분(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 중량부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 중량부이다.The addition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solid content (nonvolatile content)) is, for example, 0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material (polymer (solid content (nonvolatile content)),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0.01 part by weight, Preferably 9 parts by weight.

또한, 발포된 기포의 안정성, 성막성의 향상을 위해, 임의의 증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증점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아크릴산계, 우레탄계, 폴리비닐알코올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 우레탄계 증점제가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foamed foam and the film formability, any thickener may be contained. The thicken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ic acid type, urethane type, polyvinyl alcohol type and the like. Of these, a polyacrylic acid-based thickener and a urethane-based thickener are preferred.

증점제의 첨가량[고형분(불휘발분)]은, 예컨대, 수지 재료(폴리머)[고형분(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 중량부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이다.The addition amount of the thickener (solid content (nonvolatile content)) is, for example, 0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part by weight, and preferably 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material (polymer)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또한, 발포 시트에 인접하는 금속 부재의 부식 방지를 위해, 임의의 방청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방청제로서, 아졸 고리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아졸 고리 함유 화합물을 이용하면, 금속에 대한 부식 방지성과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을 높은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metal member adjacent to the foam sheet, an optional rust inhibitor may be contained. As the rust preventive, azole ring-containing compounds are preferred. When the azole ring-containing compound is used, both the corrosion inhibition against metal and the adhesion to the adherend can be achieved at a high level.

상기 아졸 고리 함유 화합물로서는, 고리 내에 질소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5원환을 갖는 화합물이면 좋고, 예컨대, 디아졸(이미다졸, 피라졸) 고리, 트리아졸 고리, 테트라졸 고리, 옥사졸 고리, 이소옥사졸 고리, 티아졸 고리, 또는 이소티아졸 고리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리는 벤젠 고리 등의 방향 고리와 축합하여 축합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축합 고리를 갖는 화합물로서, 예컨대, 벤조이미다졸 고리, 벤조피라졸 고리, 벤조트리아졸 고리, 벤조옥사졸 고리, 벤조이소옥사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또는 벤조이소티아졸 고리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azole ring-containing compound may be a compound having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in the ring,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diazole (imidazole, pyrazole) ring, a triazole ring, a tetrazole ring, An isoxazole ring, a thiazole ring, or a compound having an isothiazole ring. These rings may be condensed with an aromatic ring such as a benzene ring to form a condensed ring. As the compound having such a condensed ring, for example, a compound having a benzoimidazole ring, a benzopyrazole ring, a benzotriazole ring, a benzoxazole ring, a benzoisoxazole ring, a benzothiazole ring, or a benzoisothiazole ring .

상기 아졸 고리, 상기 축합 고리(벤조트리아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등)는,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치환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탄소수 1∼6(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12(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페닐기, 톨릴기, 나프틸기 등의 탄소수 6∼10의 아릴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등의 (모노 또는 디)C1-10알킬아미노기; 아미노메틸기, 2-아미노에틸기 등의 아미노-C1-6알킬기; N,N-디에틸아미노메틸기, 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기 등의 모노 또는 디(C1-10알킬)아미노-C1-6알킬기; 머캅토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등의 탄소수 1∼6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시메틸기 등의 카르복시-C1-6알킬기; 2-카르복시에틸티오기 등의 카르복시-C1-6알킬티오기; N,N-비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틸기 등의 N,N-비스(히드록시-C1-4알킬)아미노-C1-4알킬기; 술포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졸 고리 함유 화합물은,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The azole ring, the condensed ring (benzotriazole ring, benzothiazole ring, etc.) may each have a substituent. Examples of the substituent include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preferably 1 to 3 carbon atoms) such as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n isopropyl group and a butyl group;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preferably 1 to 3 carbon atoms) such as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an isopropyloxy group and a butoxy group; An aryl group having 6 to 10 carbon atoms such as a phenyl group, a tolyl group and a naphthyl group; An amino group; A (mono or di) C 1-10 alkylamino group such as methylamino group, dimethylamino group and the like; An amino-C 1-6 alkyl group such as an aminomethyl group and a 2-aminoethyl group; Mono- or di (C 1-10 alkyl) amino-C 1-6 alkyl group such as N, N-diethylaminomethyl group and N, N-bis (2-ethylhexyl) aminomethyl group; A mercapto group; An alkoxycarbon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such as a methoxycarbonyl group and an ethoxy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 carboxy-C 1-6 alkyl group such as a carboxymethyl group; A carboxy-C 1-6 alkylthio group such as a 2-carboxyethylthio group; N, N-bis (hydroxy-C 1-4 alkyl) amino-C 1-4 alkyl group such as N, N-bis (hydroxymethyl) aminomethyl group; Sulfo group and the like. The azole ring-containing compound may form a salt such as a sodium salt or a potassium salt.

금속에 대한 방청 작용의 점에서, 아졸 고리가 벤젠 고리 등의 방향 고리와 축합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벤조트리아졸 고리를 갖는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벤조티아졸 고리를 갖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From the standpoint of rust-inhibiting action against metals, compounds in which an azole ring forms a condensation ring with an aromatic ring such as a benzene ring are preferable. Among them, a benzotriazole compound (a compound having a benzotriazole ring), a benzothiazole Compounds (compounds having a benzothiazole ring) are particularly preferred.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1,2,3-벤조트리아졸, 메틸벤조트리아졸, 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카르복시메틸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메틸벤조트리아졸, 2,2′-[[(메틸-1H-벤조트리아졸-1-일)메틸]이미노]비스에탄올, 또는 이들의 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enzotriazole compound include 1,2,3-benzotriazole, methylbenzotriazole, carboxybenzotriazole, carboxymethylbenzotriazole, 1- [N, N-bis (2-ethylhexyl) amino Methyl] benzotriazole, 1- [N, N-bis (2-ethylhexyl) aminomethyl] methylbenzotriazole, 2,2 '- [[ Imino] bisethanol, or a sodium salt thereof.

상기 벤조티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머캅토벤조티아졸, 3-(2-(벤조티아졸릴)티오)프로피온산, 또는 이들의 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enzothiazole-based compound include 2-mercaptobenzothiazole, 3- (2- (benzothiazolyl) thio) propionic acid, and sodium salts thereof.

아졸 고리 함유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The azole ring-containing compound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방청제(예컨대, 상기 아졸 고리 함유 화합물)[고형분(불휘발분)]의 첨가량[고형분(불휘발분)]은,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나 발포체 본래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좋고, 예컨대, 수지 재료(폴리머)[고형분(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2 중량부∼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그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중량부이며, 그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이다.The addition amount (solid content (nonvolatile content)) of the rust inhibitor (for example, the azole ring-containing compound) (solid component (nonvolatile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adhesion to the adherend or the inherent properties of the foam. For example, 0.2 parts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solid content (nonvolatile component)). The lower limit thereof is more preferably 0.3 part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0.4 part by weight, and the upper limit thereof is more preferably 3 parts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2 parts by weight.

또한, 충격 흡수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다른 성분은, 1종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이외의 폴리머 성분,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겔화제, 경화제, 가소제, 충전제, 보강제, 발포제, 난연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pH 조정제, 용제(유기 용제),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ny appropriate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impact absorbability. These other components may contain only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Examples of the other components include a polymer component other than the above, a softener, an antioxidant, an antioxidant, a gelling agent, a curing agent, a plasticizer, a filler, a reinforcing agent, a foaming agent, a flame retardant,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 pH adjusting agent, a solvent (organic solvent),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상기 충전제로서는, 예컨대, 실리카, 점토(운모, 탈크, 스멕타이트 등), 알루미나, 티타니아, 산화아연, 산화주석, 제올라이트, 그래파이트, 카본 나노 튜브, 무기 섬유(탄소 섬유, 유리 섬유 등), 유기 섬유, 금속 분말(은, 구리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충전제로서, 압전 입자(산화티탄 등), 도전성 입자, 열전도성 입자(질화붕소 등), 유기 필러(실리콘 파우더 등)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inorganic fillers such as silica, clay (mica, talc, smectite, etc.), alumina, titania, zinc oxide, tin oxide, zeolite, graphite, carbon nanotubes, Metal powder (silver, copper, etc.) and the like. As the filler, it is also possible to add piezoelectric particles (titanium oxide, etc.), conductive particles, thermally conductive particles (boron nitride, etc.), organic fillers (silicon powder, etc.)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에 부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발포 방법(기포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물리적 방법, 화학적 방법 등, 발포 성형에 통상 이용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방법은, 공기나 질소 등의 가스 성분을 폴리머 용액에 분산시켜, 기계적 혼합에 의해 기포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화학적 방법은, 폴리머 베이스에 첨가된 발포제의 열 분해에 의해 생긴 가스에 의해 셀을 형성하여, 발포체를 얻는 방법이다. 환경 문제 등의 관점에서, 물리적 방법이 바람직하다. 물리적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기포는, 연속 기포인 경우가 많다.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subjecting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resin material (polymer) constituting a foam to foam molding. As the foaming method (bubble formation method), a method commonly used for foam molding such as a physical method and a chemical method can be adopted. Generally, a physical method is to disperse a gas component such as air or nitrogen into a polymer solution to form bubbles by mechanical mixing. The chemical method is a method of obtaining a foam by forming a cell by ga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a foaming agent added to a polymer base. From the standpoint of environmental problems, physical methods are preferable. The bubble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method are often open-cell bubbles.

발포 성형에 부치는 수지 재료(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는, 수지 재료를 용제에 용해시킨 수지 용액을 이용하여도 좋지만, 기포성의 관점에서,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에멀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멀션으로서는, 2종 이상의 에멀션을 블렌드하여 이용하여도 좋다.As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sin material (polymer) to be subjected to foam molding, a resin solution in which a resin material is dissolved in a solvent may be used, but from the viewpoint of the foaming property, it is preferable to use an emulsion containing a resin material. As the emulsion, two or more kinds of emulsions may be blended and used.

에멀션의 고형분 농도는 성막성의 관점에서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에멀션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다.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emulsion is preferably higher in view of the film formability.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emulsion is preferably 30%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40% by weight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50% by weight or more.

본 발명에서는,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기계적으로 발포시켜 기포화시키는 공정(공정(A))을 거쳐 발포체를 제작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기포 장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고속 전단 방식, 진동 방식, 가압 가스의 토출 방식 등의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포 직경의 미세화, 대용량 제작의 관점에서, 고속 전단 방식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ducing a foam through a step (step (A)) of mechanically foaming and bubbling the emulsion resin composition is preferred. The bubbling apparat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high-speed shearing type, a vibration type, and a pressurized gas discharging type.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miniaturization of the bubble diameter and production of large capacity, a high-speed shearing method is preferable.

기계적 교반에 의해 기포화 때의 기포는, 기체(가스)가 에멀션 중에 취입된 것이다. 가스로서는, 에멀션에 대하여 불활성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제성의 관점에서, 공기가 바람직하다.Bubbles at the time of vaporization by mechanical stirring are those in which gas (gas) is blown into the emulsion. The ga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inert with respect to the emulsio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ir, nitrogen, carbon dioxide and the like. Above all, from the viewpoint of economy, air is preferable.

상기 방법에 따라 기포화한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여 건조하는 공정(공정(B))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발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박리 처리한 플라스틱 필름(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플라스틱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열전도층(후술하는 열전도층) 등을 들 수 있다. 열전도층을 기재로서 코팅한 경우에는, 발포체층과 열전도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발포체층 제작 시의 건조 공정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oamed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carrying out a process (step (B)) of coating a base-emulsion resin composition on a substrate and drying it by the above method. Examples of the base material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plastic film (a pee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the like), a plastic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the like), a heat conduction layer (a heat conduction layer to be described later) . When the thermally conductive layer is coated as a base material, the adhesion between the foam layer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layer can be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the drying proces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foam layer can be improved.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코팅 방법, 건조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공정(B)은, 기재 상에 도포한 기포 함유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50℃ 이상 125℃ 미만에서 건조하는 예비 건조 공정(B1)과, 그 후 125℃ 이상 200℃ 이하에서 더 건조하는 본건조 공정(B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oating method and the drying method in the step (B), a general method can be employed. The step (B) includes a preliminary drying step (B1) of drying the bubble-containing emulsion resin composition coated on the substrate at a temperature of 50 캜 or more and less than 125 캜, and a main drying step B2).

예비 건조 공정(B1)과 본건조 공정(B2)을 마련함으로써, 급격한 온도 상승에 의한 기포의 합일화, 기포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두께가 작은 발포 시트에서는 온도의 급격한 상승에 의해 기포가 합일이나, 파열되기 때문에, 예비 건조 공정(B1)을 마련하는 의의는 크다. 예비 건조 공정(B1)에 있어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 이하이다. 예비 건조 공정(B1)의 시간은, 예컨대, 0.5분∼30분, 바람직하게는 1분∼15분이다. 또한, 본건조 공정(B2)에 있어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1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160℃ 이하이다. 본건조 공정(B2)의 시간은, 예컨대, 0.5분∼30분, 바람직하게는 1분∼15분이다.By provision of the preliminary drying step (B1) and the main drying step (B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alescence of bubbles and rupture of bubbles due to a rapid temperature rise. Especially, in the foam sheet having a small thickness, the bubbles coalesce due to the rapid rise of the temperature, and the bubbles ruptur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the preliminary drying step (B1). The temperature in the preliminary drying step (B1) is preferably 50 DEG C or more and 100 DEG C or less. The time of the preliminary drying step (B1) is, for example, 0.5 to 30 minutes, preferably 1 to 15 minutes. The temperature in this drying step (B2) is preferably 130 占 폚 or more and 180 占 폚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30 占 폚 or more and 160 占 폚 or less. The time of this drying step (B2) is, for example, 0.5 to 30 minutes, preferably 1 to 15 minutes.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 최대 셀 직경, 및 최소 셀 직경은, 계면활성제의 종류나 양을 조정하는 것이나, 기계적 교반 시의 교반 속도나 교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10 ㎛∼150 ㎛의 범위의 평균 셀 직경의 발포 시트를 얻을 수 있다.The average cell diameter, the maximum cell diameter and the minimum cell diameter of the foam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kind and amount of the surfactant and by adjusting the stirring speed or stirring time at the time of mechanical stirring so as to obtain an average cell of 10 m to 150 m Diameter foam sheet can be obtained.

발포체의 밀도는, 기계적 교반 시의 에멀션 수지 조성물 중에 취입되는 기체(가스) 성분량을 조정함으로써, 0.2 g/㎤∼0.4 g/㎤의 밀도의 발포 시트를 얻을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foam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gas (gas) component blown into the emulsion resin composition at the time of mechanical stirring to obtain a foam sheet having a density of 0.2 g / cm 3 to 0.4 g / cm 3.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발포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점착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점착제층을 마련하는 경우는, 그 표면에, 사용 시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를 적층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시트를 구성하는 발포체가 미점착성을 갖는 경우는, 점착제층을 마련하지 않아도 부재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oa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a release liner for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efore use may be laminated on the surface thereof. When the foam constituting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sticky property, the member or the like can be fixed without provi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발포 시트에 있어서, 발포 시트를 구성하는 발포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측정 조건: 23℃, 인장 속도 50 ㎜/min)이 0.5 N/100 ㎟ 이상인 것은, 상기 발포 시트와 타부재(예컨대, 열전도층 등)를 적층하여 이용하는 경우, 발포 시트에 점접착층을 마련하지 않아도 상기 타부재가 박리되는 일이 없어,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접착층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발포 시트와 타부재의 적층체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어, 부착의 대상이 되는 전기·전자 기기 등의 추가적인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시트와 타부재(예컨대, 열전도층 등)의 적층체의 층 구성의 예로서, 예컨대, 타부재/발포체, 타부재/점착제층/발포체, 발포체/타부재/발포체, 발포체/점착제층/타부재/점착제층/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In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r adhesive force (measurement conditions: 23 ° C, tensile speed 50 mm / min)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oam constituting the foam sheet to the SUS304BA plate is 0.5 N / 100 mm 2 or more, When a foam sheet and another member (for example, a thermally conductive layer or the like) are laminated and used, the other member is not peeled off without providing a point-adhesive layer on the foam sheet, and the positional shift can be prevented . Further, since it is unnecessary to provide a point-adhesive layer,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body of the foam sheet and other members can be reduced, contributing to the further thinning of the electrical / electronic devices to be attached. Further,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laminate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Examples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of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members (for example, a thermally conductive layer and the like) include, for example, other members / foams, other members / adhesive layer / foams, foams / other members / foams,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other member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foam.

상기 발포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은, 예컨대, 상기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 및 그 조성비를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호모폴리머의 Tg가 -10℃ 미만(예컨대 -70℃ 이상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12℃, 더욱 바람직하게는 -65℃∼-15℃)인 모노머를, 상기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예컨대, 70 중량%∼98 중량%(하한은,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이용하여, 다른 모노머의 종류 및 양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발포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을 0.5 N/10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The 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foam to the SUS304BA plate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y selecting the type of monomer constituting the resin material (polymer) constituting the foam and the composition ratio thereof. For example, as the monomer constituting the resin material (polymer such as acrylic polymer) constituting the foam, the homopolymer may have a Tg of less than -10 캜 (for example, from -70 캜 to less than -10 캜,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sin material (polymer such as acrylic polymer)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foam is set to, for example, 70 The sheath for the SUS304BA plate of the foam is select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kind and amount of the other monomer by using the weight% to 98 wt% (lower limit, preferably 75 wt%, upper limit, preferably 97 wt% The adhesive force can be 0.5 N / 100 mm 2 or more.

상기 발포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5 N/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N/100 ㎟이다. 또한, 상기 발포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100 N/100 ㎟이다.The lower limit of the shear adhesive force of the foam to the SUS304BA plate is preferably 0.5 N / 100 mm 2, more preferably 0.7 N / 100 mm 2. The upper limit of the 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foam to the SUS304BA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100 N / 100 mm < 2 >.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롤형으로 권취한 권취체(롤형물)로 하여 시장에 유통시켜도 좋다.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lled into a rolled product (roll-shaped product) and distributed on the market.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두께가 작아도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예컨대, 전기·전자 기기에 있어서, 각종 부재 또는 부품(예컨대, 광학 부재 등)을, 소정의 부위(예컨대, 케이스 등)에 부착할(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전기·전자 기기용 부재, 특히, 충격 흡수 시트로서 유용하다.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impact absorbability even if it is small in thickness. Therefore, for example, in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a member for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used when attaching (mounting) various members or parts (for example, optical members and the like) , And is particularly useful as an impact-absorbing sheet.

본 발명의 발포 시트를 이용하여 부착(장착) 가능한 광학 부재로서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화상 표시 부재(특히, 소형의 화상 표시 부재)나, 소위 「휴대 전화」, 「스마트 폰」이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이동 통신의 장치에 장착되는 터치 패널 등의 표시 부재, 카메라나 렌즈(특히, 소형의 카메라나 렌즈) 등을 들 수 있다.As the optical member that can be attached (attached) using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image display member (particularly, a small image display member) mount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 display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o-called "mobile phone", a "smart phone" 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 camera or a lens (particularly, a small camera or a lens) have.

본 발명의 전기·전자 기기는, 상기 본 발명의 발포 시트가 이용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전자 기기에는, 예컨대, 표시 부재를 구비한 전기·전자 기기로서, 상기 발포 시트가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와 상기 표시 부재 사이에 협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전기·전자 기기가 포함된다. 상기 전기·전자 기기로서, 예컨대, 소위 「휴대 전화」, 「스마트 폰」,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이동 통신의 장치 등을 들 수 있다.In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Such electric and electronic apparatuses include, for example, electric and electronic apparatuses each having a display member, wherein the foam sheet has a structure sandwiched between the case of the electric or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display member . Examples of the electric / electronic device includ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o-called "mobile phone", "smart phon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밀도가 0.2 g/㎤∼0.4 g/㎤로 매우 낮고, 저압축 하중이기 때문에,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이용되었을 때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표시 패널이나 터치 패널이 휘어져, 변형되었다고 해도, 이 변형에 따라 생긴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표시 패널에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생기는 경우가 있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파문형의 번짐 모양)의 발생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포 시트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low density of 0.2 g / cm 3 to 0.4 g / cm 3 and has a low compression load, when used in a touch panel-mounted device, Even if the panel is warped and deformed, the force generated by the deformation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and absorbed. Therefore,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igh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uneven display (blurred form of a ripple form) in the display portion which may be caused by stres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Therefore, the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a touch panel mounted device.

상기 터치 패널 탑재 기기란, 표시 패널을 가지며, 터치 패널을 탑재한 기기를 말한다. 터치 패널 탑재 기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휴대 전화; 스마트 폰; 휴대 정보 단말(PDA); 타블렛 컴퓨터; 데스크탑형, 노트북형, 타블렛형 등의 각종 퍼스널 컴퓨터(퍼스널 컴퓨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모니터); 휴대형 게임기;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전자북 리더(전자 서적 열람용의 디바이스, 전자 서적 전용 단말); 웨어러블 컴퓨터(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지털 사이니지(전자 간판);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차표, 각종 금권, 음료, 식품, 담배, 잡지, 신문 등의 판매에 이용되는 자동 권매기·자동 판매기; 텔레비젼 수상기(텔레비젼); 전자 흑판(인터랙티브·화이트 보드) 등을 들 수 있다.The touch panel mounted device refers to a device having a display panel and equipped with a touch panel. The touch panel mounted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mobile phones; Smartphon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PDA); Tablet computer; Various types of personal computers (personal computers) such as a desktop type, a notebook type, and a tablet type; Various displays (monitors) such as a plasma display,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organic EL display); Portable game machine; Digital audio player; An electronic book reader (electronic book reading device, electronic book dedicated terminal); Wearable computer (wearable device); Digital signage;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Automatic vending machines and vending machines used for selling tickets, various kinds of gold, drinks, food, tobacco, magazines and newspapers; TV receiver (TV); And an electronic blackboard (interactive whiteboard).

본 발명의 터치 패널 탑재 기기는, 상기 본 발명의 발포 시트가 이용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 탑재 기기로서, 예컨대, 상기 발포 시트,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을 가지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측의 스페이스에 상기 발포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In the touch panel mount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foam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Examples of such a touch panel mounted device include the foam sheet, the display panel, and the touch panel, and the foam sheet is disposed in the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panel.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함유량을 나타내는 「%」는 중량%를 의미한다. 또한, 배합부수(중량부)는, 전부 고형분(불휘발분) 환산의 값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t all. Unless otherwise stated, "% " representing the content means weight%. In addition, the number of parts (parts by weight) is a value in terms of solid content (nonvolatile matter).

실시예 1Example 1

합성 고무 에멀션(「랙스터 1570」 DIC사 제조, 고형분량 42.4%, NBR) 100 중량부, 지방산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스테아린산 암모늄의 수분산액, 고형분량 33%)(계면활성제(A)) 3.9 중량부, 우레탄계 증점제(「하이드란어시스터 T10」 DIC사 제조, 고형분량 25.1%) 0.74 중량부를 디스퍼(「로보믹스」 프라이믹스사 제조)로 교반 혼합하여 기포화하였다. 이 발포 조성물을, 박리 처리를 한 PET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 상에 도포하고, 70℃에서 4.5분, 140℃에서 4.5분 건조시켜, 두께 150 ㎛, 밀도 0.26 g/㎤, 평균 셀 직경 55 ㎛의 연속 기포 구조의 발포체(발포 시트)를 얻었다.100 parts by weight of a synthetic rubber emulsion (Lactaster 1570, solid content 42.4%, NBR), 100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monium surfactant (aqueous dispersion of ammonium stearate, solid content 33%) (Surfactant (A) And 0.74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based thickener ("Hydran Assister T1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solids content 25.1%) were stirred and mixed with a disperser ("Robomix" Primimix). This foamed composition was applied onto a PET film (thickness: 38 탆, trade name: MRF # 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mpany) subjected to the peeling treatment and dried at 70 캜 for 4.5 minutes and at 140 캜 for 4.5 minutes, , A density of 0.26 g / cm < 3 >, and an average cell diameter of 55 mu m.

실시예 2Example 2

합성 고무 에멀션(「랙스터 DM886」 DIC사 제조, 고형분량 48.6%, MBR) 100 중량부, 지방산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스테아린산 암모늄의 수분산액, 고형분량 33%) 3.4 중량부, 우레탄계 증점제(「하이드란어시스터 T10」 DIC사 제조, 고형분량 25.1%) 0.65 중량부를 디스퍼(「로보믹스」 프라이믹스사 제조)로 교반 혼합하여 기포화하였다. 이 발포 조성물을, 박리 처리를 한 PET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 상에 도포하고, 70℃에서 4.5분, 140℃에서 4.5분 건조시켜, 두께 150 ㎛, 밀도 0.28 g/㎤, 평균 셀 직경 88 ㎛의 연속 기포 구조의 발포체(발포 시트)를 얻었다., 3.4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monium surfactant (aqueous dispersion of ammonium stearate, solid content 33%), 100 parts by weight of a synthetic rubber emulsion (Lactaster DM886, manufactured by DIC, solid content 48.6%, MBR)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solids content 25.1%) were mixed with stirring with a disperser ("Robomix", manufactured by Primix Co., Ltd.) to form a pellet. This foamed composition was applied onto a PET film (thickness: 38 탆, trade name: MRF # 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mpany) subjected to the peeling treatment and dried at 70 캜 for 4.5 minutes and at 140 캜 for 4.5 minutes, , A density of 0.28 g / cm 3, and an average cell diameter of 88 탆 (foam sheet).

실시예 3Example 3

아크릴 에멀션 용액(고형분량 55%, 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중량비 45:48:7)) 100 중량부, 지방산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스테아린산 암모늄의 수분산액, 고형분량 33%) 3 중량부,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아크릴산 20 중량%), 고형분량 28.7%) 1.3 중량부를 디스퍼(「로보믹스」 프라이믹스사 제조)로 교반 혼합하여 기포화하였다. 이 발포 조성물을, 박리 처리를 한 PET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 상에 도포하고, 70℃에서 4.5분, 140℃에서 4.5분 건조시켜, 두께 130 ㎛, 밀도 0.38 g/㎤, 평균 셀 직경 68 ㎛의 연속 기포 구조의 발포체(발포 시트)를 얻었다.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emulsion solution (solid content: 55%, ethyl acrylate-butyl 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weight ratio 45: 48: 7)), a fatty acid ammonium surfactant (aqueous dispersion of ammonium stearate, solid content 33% And 1.3 parts by weight of a polyacrylic acid-based thickener (20% by weight of acrylic acid-acrylic acid copolymer (acrylic acid 20% by weight) and a solid content of 28.7%) were stirred and mixed with a disperser ("Robomix" Primimix). This foamed composition was applied onto a PET film (thickness: 38 μm, trade name: "MRF # 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subjected to the peeling treatment and dried at 70 ° C. for 4.5 minutes and at 140 ° C. for 4.5 minutes, , A density of 0.38 g / cm 3, and an average cell diameter of 68 탆 (foam sheet).

실시예 4Example 4

아크릴 에멀션 용액(고형분량 55%, 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중량비 45:48:7)) 100 중량부, 지방산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스테아린산 암모늄의 수분산액, 고형분량 33%)(계면활성제(A)) 1.5 중량부, 카르복시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아모겐 CB-H」, 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사 제조)(계면활성제(B)) 1 중량부, 옥사졸린계 가교제(「에포크로스 WS-500」 니혼쇼쿠바이사 제조, 고형분량 39%) 0.3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아크릴산 20 중량%), 고형분량 28.7%) 0.78 중량부, 벤조트리아졸계 방청제(「SEETEC BT-NA」, 시프로카세이사 제조) 0.5 중량부를 디스퍼(「로보믹스」 프라이믹스사 제조)로 교반 혼합하여 기포화하였다. 이 발포 조성물을, 박리 처리를 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 상에 도포하고, 70℃에서 4.5분, 140℃에서 4.5분 건조시켜, 두께 130 ㎛, 밀도 0.33 g/㎤, 최대 셀 직경 110 ㎛, 최소 셀 직경 20 ㎛, 평균 셀 직경 45 ㎛의 연속 기포 구조의 발포체(발포 시트)를 얻었다.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emulsion solution (solid content: 55%, ethyl acrylate-butyl 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weight ratio 45: 48: 7)), a fatty acid ammonium surfactant (aqueous dispersion of ammonium stearate, solid content 33% , 1.5 parts by weight of a surfactant (surfactant (A)), 1 part by weight of a carboxybetaine type amphoteric surfactant (Amogen CB-H, manufactured by Daiichi Kyoei Co., Ltd.) (Surfactant (B) 0.35 part by weight of "Epochros WS-500"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solid content 39%), 0.78 part by weight of a polyacrylic acid thickener (eth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acrylic acid 20 wt%), solid content 28.7% And 0.5 part by weight of a triazole-based rust inhibitor (" SEETEC BT-NA ", manufactured by Cipro Kasei Corporation) were stirred and mixed with a disperser ("Robomix" The foamed composition was applied on a peeled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ickness: 38 μm, trade name "MRF # 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and dried at 70 ° C. for 4.5 minutes and at 140 ° C. for 4.5 minutes (Foamed sheet) having an open cell 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130 占 퐉, a density of 0.33 g / cm3, a maximum cell diameter of 110 占 퐉, a minimum cell diameter of 20 占 퐉, and an average cell diameter of 45 占 퐉.

실시예 5Example 5

아크릴 에멀션 용액(고형분량 55%, 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중량비 45:48:7)) 100 중량부, 지방산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스테아린산 암모늄의 수분산액, 고형분량 33%) 3 중량부, 옥사졸린계 가교제(「에포크로스 WS-500」 니혼쇼쿠바이사 제조, 고형분량 39%) 2 중량부,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아크릴산 20 중량%), 고형분량 28.7%) 0.78 중량부, 벤조트리아졸계 방청제(「SEETEC BT-NA」, 시프로카세이사 제조) 0.5 중량부를 디스퍼(「로보믹스」 프라이믹스사 제조)로 교반 혼합하여 기포화하였다. 이 발포 조성물을, 박리 처리를 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 상에 도포하고, 70℃에서 4.5분, 140℃에서 4.5분 건조시켜, 두께 130 ㎛, 밀도 0.24 g/㎤, 최대 셀 직경 69.5 ㎛, 최소 셀 직경 15 ㎛, 평균 셀 직경 34 ㎛의 연속 기포 구조의 발포체(발포 시트)를 얻었다.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emulsion solution (solid content: 55%, ethyl acrylate-butyl 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weight ratio 45: 48: 7)), a fatty acid ammonium surfactant (aqueous dispersion of ammonium stearate, solid content 33% , 2 parts by weight of an oxazoline crosslinking agent (Epocross WS-500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solid content 39%), 2 parts by weight of a polyacrylic acid thickener (eth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20% by weight of acrylic acid) , 0.78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28.7% by weight), and 0.5 parts by weight of a benzotriazole-based rust preventive agent (SEETEC BT-NA, manufactured by Cipro Kase Corporation) were stirred and mixed with a disperser ("Robomix" The foamed composition was applied on a peeled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ickness: 38 μm, trade name "MRF # 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and dried at 70 ° C. for 4.5 minutes and at 140 ° C. for 4.5 minutes (Foamed sheet) having an open cell 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130 탆, a density of 0.24 g / cm 3, a maximum cell diameter of 69.5 탆, a minimum cell diameter of 15 탆 and an average cell diameter of 34 탆.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아크릴 에멀션 용액(고형분량 55%, 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중량비 45:48:7)) 100 중량부, 지방산 암모늄계 계면활성제(스테아린산 암모늄의 수분산액, 고형분량 33%) 3 중량부,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아크릴산 20 중량%), 고형분량 28.7%) 0.78 중량부를 디스퍼(「로보믹스」 프라이믹스사 제조)로 교반 혼합하여 기포화하였다. 이 발포 조성물을, 박리 처리를 한 PET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 상에 도포하고, 70℃에서 4.5분, 140℃에서 4.5분 건조시켜, 두께 130 ㎛, 밀도 0.62 g/㎤, 평균 셀 직경 58 ㎛의 연속 기포 구조의 발포체(발포 시트)를 얻었다.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emulsion solution (solid content: 55%, ethyl acrylate-butyl 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weight ratio 45: 48: 7)), a fatty acid ammonium surfactant (aqueous dispersion of ammonium stearate, solid content 33% And 0.78 parts by weight of a polyacrylic acid-based thickener (20% by weight of acrylic acid-acrylic acid copolymer (acrylic acid 20% by weight) and a solid content of 28.7%) were stirred and mixed with a disperser ("Robomix" Primimix). This foamed composition was applied onto a PET film (thickness: 38 μm, trade name: "MRF # 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subjected to the peeling treatment and dried at 70 ° C. for 4.5 minutes and at 140 ° C. for 4.5 minutes, , A density of 0.62 g / cm 3, and an average cell diameter of 58 탆 (foam sheet).

<평가><Evalua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발포체(발포 시트)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각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배합부수(중량부)[고형분(불휘발분) 환산]를 나타낸다. 「Em」은 아크릴 에멀션 용액을 나타낸다.The foams (foamed sheet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ubjected to the following evaluation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Table 1, the number of parts (parts by weight) (in terms of solid content (nonvolatile content)) of each component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s shown. &Quot; Em &quot; represents an acrylic emulsion solution.

(평균 셀 직경)(Average cell diameter)

저진공 주사 전자 현미경(「S-3400N형 주사 전자 현미경」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시스템사 제조)에 의해, 발포체 단면의 확대 화상을 취입하여, 화상 해석 함으로써 평균 셀 직경(㎛)을 구하였다. 또한 해석한 기포수는 10개∼20개 정도이다. 또한, 평균 셀 직경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 시트의 최소 셀 직경(㎛) 및 최대 셀 직경(㎛)을 구하였다.An average cell diameter (占 퐉) was obtained by taking an enlarged image of the cross-section of the foam by a low-vacuu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3400N-ty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High-Tech Science Systems) and analyzing the image. The number of analyzed bubbles is about 10 ~ 20. Further, the minimum cell diameter (占 퐉) and the maximum cell diameter (占 퐉) of the foam sheet were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verage cell diameter.

(밀도)(density)

100 ㎜×100 ㎜의 펀칭 날형으로 발포체(발포 시트)를 펀칭하고, 펀칭한 시료의 치수를 측정한다. 또한, 측정 단자의 직경(φ) 20 ㎜인 1/100 다이얼 게이지로 두께를 측정한다. 이들의 값으로부터 발포체의 체적을 산출하였다.A foam (foamed sheet) is punched out with a punching blade of 100 mm x 100 mm, and the dimensions of the punched sample are measured. Further, the thickness is measured with a 1/100 dial gauge having a measuring terminal diameter (?) Of 20 mm. The volume of the foam was calculated from these values.

다음에, 발포체의 중량을 최소 눈금 0.01 g 이상의 윗접시 저울로 측정한다. 이들의 값으로부터 발포체의 밀도(g/㎤)를 산출하였다.Next, the weight of the foam is measured with an upper dish scale of 0.01 g or more on the minimum scale. The density (g / cm 3) of the foam was calculated from these values.

(동적 점탄성)(Dynamic viscoelasticity)

점탄성 측정 장치(「ARES2KFRTN1-FCO」 TA Instruments Japan사 제조)의 필름 인장 측정 모드로, 각진동수 1 rad/s에서 온도 분산성 시험을 행하였다. 그때의 저장 탄성률(E')과 손실 탄성률(E'')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의 온도(℃)와 강도(최대값)를 측정하였다.A temperature dispersion test was carried out at an angular velocity of 1 rad / s in a film tensile measurement mode of a viscoelasticity measuring apparatus ("ARES2KFRTN1-FCO" manufactured by TA Instruments Japan). (Peak) of the loss tangent (tan?), Which is the ratio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E ') to the loss elastic modulus (E' '), was measured.

표 2의 「tanδ 온도」의 란에, 발포체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탑의 온도(℃)를 기재하고, 「tanδ 최대값」의 란에, 상기 피크 탑의 강도(최대값)를 기재하며, 「tanδ 최대값/밀도」의 란에, 상기 피크 탑의 강도(최대값)를 발포체의 밀도로 나눈 값[발포체를 구성하는 재료 자체(기포를 제외함)의 tanδ의 피크 탑 강도(최대값)에 상당함]을 기재하였다.The temperature (° C) of the loss tangent (tan delta) of the foam is described in the column of "tan delta" in Table 2 and the strength (maximum value) of the peak is described in the column of " (Peak value of tan? Of the material itself (excluding bubbles) (maximum value of tan?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oam (excluding bubbles) (maximum value Value). &Lt; / RTI &gt;

(초기 탄성률)(Initial modulus)

23℃ 환경 하에서 인장 속도 300 ㎜/min에서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왜곡 시의 기울기로부터 산출한 초기 탄성률(N/㎟)을 평가하였다.(N / mm &lt; 2 &gt;) calculated from the slope at 10% strain in a tensile test at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under an environment of 23 deg.

(충격 흡수성 시험)(Shock absorption test)

상기 진자형 충격 시험기(충격 시험 장치)(도 1 및 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충격 흡수성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발포 시트(샘플 사이즈: 20 ㎜×20 ㎜)에 대해서, 28 g의 철구를 30°기울인 저충격 조건(a)과, 28 g의 철구를 40°기울인 저충격 조건(b)과, 96 g의 철구를 47°기울인 고충격 조건의 3조건으로 충격 시험을 행하고, 각 조건에서의 충격 흡수율(%)을 구하였다.Impact absorbency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pendulum type impact tester (impact test apparatus) (see Figs. 1 and 2). The foam sheet (sample size: 20 mm x 20 mm) obtained in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subjected to a low impact condition (a) in which a 28 g iron ball was inclined by 30 DEG and a low impact condition b) and a high impact condition in which 96 g of iron balls were inclined by 47 DEG, and the impact absorption rate (%) under each condition was determined.

다음에, 상기 충격 흡수율(%)을 발포 시트의 두께(㎛)로 나누어, 단위 두께당의 충격 흡수율(R)을 구하였다.Next, the impact absorption rate (%) was divided by the thickness (占 퐉) of the foam sheet to obtain the impact absorption rate (R) per unit thickness.

(전단 접착력)(Shear adhesive force)

발포 시트를 25 ㎜×25 ㎜로 절단하고, 발포체의 양면에 각각 SUS304BA판을 첩부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수평으로 놓아 둔 측정 시료에 5 ㎏ 롤러를 1회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압착 후, 상온(23℃) 하에서 30분간 방치하고, 그 후 측정 시료가 수직이 되도록 텐실론에 고정하며, 인장 속도 50 ㎜/min로 인장하여, 그 한가운데의 전단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n=2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전단 접착력(N/100 ㎟)으로 하였다.The foam sheet was cut into 25 mm x 25 mm, and SUS304BA plates were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foamed product to prepare a measurement sample. A 5 kg roller was reciprocated and pressed on the measurement sample placed horizontally. After compression, the sample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23 DEG C) for 30 minutes, and then the sample was fixed to Tensilon so that the sample to be measured was vertical, and the shear adhesive force in the center thereof was measured by pulling at a tensile speed of 50 mm / min. The measured sample was measured as n = 2, and the average value was defined as a shear adhesive force (N / 100 mm &lt; 2 &gt;).

(표시 얼룩의 발생의 확인 시험)(Confirmation test of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시판의 스마트 폰을 분해하였다. 이 스마트 폰에서서는, 표시 패널 하부와 케이스 사이에 공간이 있고, 이 공간의 높이는, 0.2 ㎜였다. 이 공간을 폼 삽입용 공극으로 하였다.The commercial smartphone was disassembled. In this smartphone, there was a spa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case, and the height of this space was 0.2 mm. This space was used as a cavity for foam insertion.

다음에, 이 폼 삽입용 공극에 평가하는 샘플을 삽입하고, 재차, 분해한 스마트 폰을 조립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폼 삽입용 공극에 아무것도 삽입하지 않았다.Next, a sample to be evaluated was inserted into the void for inserting the foam, and the disassembled smartphone was again assembled. In Comparative Example 2, nothing was inserted in the void for inserting the foam.

스마트 폰을 기동시켜, 엄지 손가락으로, 화면 중앙부를 눌렀다. 이때의 힘은, 대략 12 N이었다. 그리고, 표시 얼룩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I activated the smartphone and pressed the center of the screen with my thumb. The force at this time was approximately 12 N. Then,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display unevenness occurr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 표시 얼룩은 발생하지 않는다.A: Display unevenness does not occur.

B: 표시 얼룩은 발생하지만, 사용자는, 문제없이 시인할 수 있어, 문제없이 스마트 폰을 조작할 수 있다.B: Display spots occur, bu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without problems and can operate the smartphone without problems.

C: 표시 얼룩에 의해, 시인성에 악영향이 생겨,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조작에 위화감을 수반한다.C: Display unevenness adversely affects the visibility, and the user is discomfor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응력 완화 시험)(Stress relaxation test)

하기에 나타내는 응력 완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폼 삽입용 공극에 평가하는 샘플을 삽입하고, 응력 완화성을 평가하였다.Using a stress relaxation tester shown below, a sample to be evaluated was inserted into the void for inserting foam, and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was evaluated.

응력 완화 시험기에 대해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도 3은 응력 완화 시험기의 상면 개략도이며, 도 4는 응력 완화 시험기의 개략 단면도(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4에 있어서, 도면 부호 6은 응력 완화 시험기이며, 61은 누름 부재(압자)이고, 62는 윈도우 렌즈이며, 63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이고, 64는 감압지이며, 65는 기판(베이스판)이고, 661 및 662는 점착 테이프이며, 67은 케이스이다. 또한,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인 68은, 폼 삽입용 공극을 나타낸다. 응력 완화 시험기(6)는, 액정 디스플레이(63)의 배면측에 감압지(64)를 가지고, 액정 디스플레이(63)의 표면측에 윈도우 렌즈(62)를 갖는다. 응력 완화 시험기(6)에서는, 기판(65)의 위에 점착 테이프(662)를 개재하여 케이스(67)가 배치되고, 점착 테이프(661)를 개재하여 윈도우 렌즈(62)가 케이스 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윈도우 렌즈(62), 점착 테이프(661), 점착 테이프(662), 케이스(67) 및 기판(68)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이 있고, 이 내부 공간에 액정 디스플레이(63) 및 감압지(64)의 적층체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감압지(64)의 하부의 내부 공간에는, 폼 삽입용 공극(68)이 마련되어 있다.The stress relaxation tester is shown in Fig. 3 and Fig. Fig. 3 is a schematic top view of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and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stress relaxation tester. Reference numeral 61 denotes a pressing member (indenter), 62 denotes a window lens, 63 denot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64 denotes a pressure sensitive paper, Base plate), 661 and 662 are adhesive tapes, and 67 is a case. The area 68 enclosed by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void for inserting the foam.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6 has a pressure sensitive paper 64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63 and a window lens 62 on the surfac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63. In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6, the case 67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65 with the adhesive tape 66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window lens 62 is fixed on the case with the adhesive tape 661 interposed therebetween A window lens 62, an adhesive tape 661, an adhesive tape 662, a case 67 and a substrate 68. The liquid crystal display 63 and the pressure sensitive paper 64 )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ddition, a void 68 for inserting foam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below the pressure-sensitive paper 64.

또한, 이 응력 완화 시험기에 있어서의 윈도우 렌즈는, 터치 패널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Further, the window lens in this stress relaxation tester can be regarded as a touch panel.

누름 부재(61)는, 직경이 13 ㎜인 구체의 선단 형상을 갖는다. 점착 테이프(661)로서, 양면 점착 테이프(두께 300 ㎛, 상품명 「양면 점착 테이프 HJ-90130B」, 닛토덴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였다. 점착 테이프(662)로서, 양면 점착 테이프(두께 40 ㎛, 상품명 「양면 점착 테이프 No.5603」, 닛토덴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였다. 터치 패널(62)의 두께는 0.8 ㎜이다. 액정 디스플레이(63)의 두께는, 1.7 ㎜이다. 또한, 기판(65)의 두께는 5 ㎜이다. 감압지(64)로서, 응력 측정 필름(상품명 「프레스켈」(투 시트, 미압용(4 LW), 후지필름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가압한 부분이 발색하는 면을 갖는 시트, 두께 0.16 ㎜)을 이용하였다.The pressing member 61 has a tip shape of a sphere having a diameter of 13 mm. As the adhesive tape 661, a double-faced adhesive tape (thickness 300 mu m, trade name &quot; double-faced adhesive tape HJ-90130B &quot;, manufactured by Nitto Denka Kogyo K.K.) was used. As the adhesive tape 662, a double-sided adhesive tape (thickness: 40 mu m, trade name &quot; Double-sided adhesive tape No. 5603 &quot;, manufactured by Nitto Denka Kogyo K.K.) was used. The thickness of the touch panel 62 is 0.8 mm. The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63 is 1.7 mm.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65 is 5 mm. As the pressure sensitive paper 64, a stress measuring film (trade name: "Presskel" (two sheets, unlabeled (4 LW), manufactured by Fuji Photo Film Co., Ltd .; Respectively.

또한, 응력 완화 시험기(6)에서는, 케이스(67)는 교환이 가능하고, 케이스(67)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폼 삽입용 공극(6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6, the case 67 can be replaced, and the height of the cavity 68 for foam insertio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ase 67.

폼 삽입용 공극의 높이를 200 ㎛로 설정하여, 응력 완화 시험기의 폼 삽입용 공극에, 평가하는 샘플과 PET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을 전체 두께가 200 ㎛ 부근이 되도록 삽입하고, 응력 완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누름 부재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의 중심부에 12 N의 하중을 가하고, 감압지의 변색을 확인함으로써, 응력 완화성을 평가하였다.A sample to be evaluated and a PET film (thickness: 38 mu m, trade name &quot; MRF # 38 &quot;, manufactured by Mitsubishi Jusi Co., Ltd.) were placed in the voids for inserting foam of the stress relaxation tester at a total thickness Was inserted in the vicinity of 200 탆 and a stress relaxation tester was used to evaluate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by applying a load of 12 N to the center of the touch panel using a pressing member and confirming discolora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paper.

또한, 비교예 3은, 폼 삽입용 공극에 PET 필름(두께: 38 ㎛, 상품명 「MRF #38」, 미츠비시쥬시사 제조)을 5장 적층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3, five PET films (thickness: 38 mu m, trade name &quot; MRF # 38 &quot;,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were laminated on the pores for inserting foam.

응력 완화 시험의 평가 결과를 도 5∼도 11에 나타낸다. 도 5∼11은, 각각, 실시예 1∼5, 비교예 1 및 3의 감압지의 변색을 디지털 처리하여,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을 가시화한 압력 화상이다.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tress relaxation test are shown in Fig. 5 to Fig. 5 to 11 are pressure images obtained by digitalizing the discoloration of pressure-sensitive paper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respectively, and visualizing the pressure acting on the pressure-sensitive paper.

Figure 112014057808063-pat00001
Figure 112014057808063-pat00001

Figure 112014057808063-pat00002
Figure 112014057808063-pa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발포 시트에서는, 상기 R은, 저충격 조건 (a) 및 (b)에 있어서 0.15 이상, 고충격 조건에 있어서 0.10 이상이 되고, 저충격 조건에 있어서 높은 충격 흡수성을 나타내며, 충격의 크기에 상관없이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발포 시트에서는 모든 기준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없었다. 또한, 실시예의 발포 시트는,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타부재와 적층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기 발포 시트에 점착제층을 마련하지 않아도 상기 타부재가 박리되는 일 없이,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in the foam sheet of the examples, the R was 0.15 or more in the low-impact conditions (a) and (b) and 0.10 or more in the high-impact conditions, And showed excellent shock absorption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impact. On the contrary, in the foam sheet of the comparative example, all the criteria were not satisfi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foam sheet of the examples exhibited a high shear adhesive force to the SUS304BA plate. Therefore, when the foamed sheet is laminated with another member, the positional deviation can be prevented without peeling off the other member without provi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foamed sheet.

또한, 도 5∼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발포 시트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감압지에 작용한 압력이 작고, 응력 완화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실시예의 발포 시트를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이용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르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얼룩의 발생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s. 5 to 11, the foam sheet of the example has a smaller pressure acting on the pressure-sensitive paper and is excellent in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fore, when the foam sheet of the embodiment is used in a touch panel-mounted device, it is possible to high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in the display portion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1 진자형 충격 시험기(충격 시험 장치)
2 시험편(발포 시트)
3 유지 부재
4 충격 부하 부재
5 압력 센서
11 고정 지그
12 누름 지그
16 압력 조정 수단
20 지주(支柱)
21 아암
22 지지봉(샤프트)의 일단
23 지지봉(샤프트)
24 충격자
25 전자석
28 지지판
a 스윙업 각도
6 응력 완화 시험기
61 누름 부재
62 윈도우 렌즈
63 액정 디스플레이
64 감압지
65 기판
661 점착 테이프
662 점착 테이프
67 케이스
68 폼 삽입용 공극
Impulse tester (Impact tester)
2 Specimen (foam sheet)
3 retaining member
4 shock load member
5 Pressure sensor
11 Fixing Jig
12 pressing jig
16 Pressure regulating means
20 Supports
21 arm
22 One end of the support shaft (shaft)
23 Support Rod (Shaft)
24 Strikers
25 electromagnets
28 Support plate
a Swing-up angle
6 Stress relaxation tester
61 pressing member
62 window lens
63 liquid crystal display
64 Compressed area
65 substrate
661 adhesive tape
662 Adhesive tape
67 cases
68 Pore for foam insertion

Claims (17)

두께가 30 ㎛∼500 ㎛이고, 밀도가 0.2 g/㎤∼0.4 g/㎤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각진동수 1 rad/s에서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의 비율인 손실 정접(tanδ)이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피크 탑을 갖고,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A loss tangent (tan delta), which is a ratio of a storage elastic modulus to a loss elastic modulus at an oscillating speed of 1 rad / s, in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is -30 Lt; 0 &gt; C to 30 &lt; 0 &gt; C, and which is formed by using an emulsion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이 10 ㎛∼150 ㎛인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am has an average cell diameter of 10 mu m to 150 mu 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30℃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서의 최대값이 0.2 이상인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ximum value of the loss tangent (tan?) Of the foam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is 0.2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3℃ 환경 하에 인장 속도 300 ㎜/min에서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 발포체의 초기 탄성률이 5 N/㎟ 이하인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oam in the tensile test at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at 23 캜 is 5 N / mm 2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자형 충격 시험기를 이용한 충격 흡수성 시험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충격 흡수율(%)을 발포 시트의 두께(㎛)로 나눈 값(R)이, 충격자의 무게 28 g, 스윙업 각도 30°인 경우에 0.15 이상인 발포 시트:
충격 흡수율(%)={(F0-F1)/F0}×100
상기 식에서, F0은 지지판에만 충격자를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력이고, F1은 지지판과 발포 시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지지판 상에 충격자를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력이다.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value (R) obtained by dividing an impact absorption rate (%)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by the thickness (占 퐉) A weight of 28 g, and a swing-up angle of at least 0.15 when the swing-up angle is 30 °:
Impact absorption rate (%) = {(F 0 -F 1 ) / F 0 } × 100
F 0 is the impact force when the impactor collides against the support plate, and F 1 is the impact force when the impactor collides against the support plate of the structure composed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foam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의 SUS304BA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23℃, 인장 속도 50 ㎜/min)이 0.5 N/100 ㎟ 이상인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shear adhesive force (23 DEG C, tensile speed 50 mm / min)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oam to an SUS304BA plate is 0.5 N / 100 mm2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체가,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 우레탄계 폴리머,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oam is formed of at least one resin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based polymer, a rubber, a urethane-based polymer, and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체가,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기계적으로 발포시키는 공정(A)을 거쳐 형성되는 것인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oam is formed through a step (A) of mechanically foaming the emulsion resin com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발포체가, 기계적으로 발포시킨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여 건조하는 공정(B)을 더 거쳐 형성되는 것인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oam is formed by further adding a step (B) of coating a mechanically foamed emulsion resin composition onto a substrate and drying the foa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이, 기재 상에 도포한 기포 함유 에멀션 수지 조성물을 50℃ 이상 125℃ 미만에서 건조하는 예비 건조 공정(B1)과, 그 후 125℃ 이상 200℃ 이하에서 더 건조하는 본건조 공정(B2)을 포함하는 것인 발포 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tep (B) comprises a preliminary drying step (B1) of drying the bubble-containing emulsion resin composition coated on the substrate at a temperature of from 50 캜 to less than 125 캜, (B2) which is further dri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oam sheet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oa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충격 흡수 시트로서 이용되는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used as an impact-absorbing sheet for electric or electronic equipm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 탑재 기기에 이용되는 발포 시트.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oam sheet is used in a touch panel-mounted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포 시트가 이용되어 있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An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14항에 있어서, 표시 부재를 구비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발포 시트가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와 상기 표시 부재 사이에 협지된 구조를 갖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기기.The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oam sheet has a structure sandwiched between a case of the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and the display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포 시트가 이용되어 있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A touch panel mounted device using the foam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트,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을 가지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측의 스페이스에 상기 발포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 탑재 기기.The touch panel mounted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foam sheet has the foam sheet, the display panel, and the touch panel, and the foam sheet is disposed in a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panel.
KR1020140075675A 2013-08-26 2014-06-20 Foamed sheet KR1015004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4860 2013-08-26
JP2013174860 2013-08-26
JPJP-P-2013-224692 2013-10-29
JP2013224692 2013-10-29
JP2014082570A JP5676798B1 (en) 2013-08-26 2014-04-14 Foam sheet
JPJP-P-2014-082570 2014-04-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6029A Division KR20150024294A (en) 2013-08-26 2014-10-27 Foamed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243A KR20150024243A (en) 2015-03-06
KR101500468B1 true KR101500468B1 (en) 2015-03-12

Family

ID=526726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675A KR101500468B1 (en) 2013-08-26 2014-06-20 Foamed sheet
KR20140146029A KR20150024294A (en) 2013-08-26 2014-10-27 Foamed sheet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6029A KR20150024294A (en) 2013-08-26 2014-10-27 Foamed shee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676798B1 (en)
KR (2) KR101500468B1 (en)
CN (3) CN1044190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563A1 (en) * 2020-04-21 2021-10-28 주식회사 영우 Photocurable acrylic foam adhesive tape having excellent compression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6798B1 (en) * 2013-08-26 2015-02-25 日東電工株式会社 Foam sheet
CN106414055A (en) * 2015-04-03 2017-02-15 日东电工株式会社 Foamed resin sheet and electrical/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JP6459782B2 (en) * 2015-05-29 2019-01-3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Bubble-containing liqui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2157761B1 (en) * 2015-11-16 2020-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am sheet and display device
CN105892779B (en) * 2016-03-31 2018-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est touch panel, deformation test system and test method
CN109790317B (en) * 2016-08-01 2021-12-31 日东电工株式会社 Foam sheet,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with touch panel
JP6956544B2 (en) * 2016-08-01 202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Foam sheet,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touch panel-equipped equipment
CN113980613A (en) * 2016-12-20 2022-01-28 Dic株式会社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934313B2 (en) 2017-04-05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Adsorption temporary fixing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1093984A (en) * 2017-09-22 2020-05-01 富士胶片株式会社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616021B2 (en) 2017-09-28 2019-12-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Shock absorbing sheet
JP7292215B2 (en) * 2017-12-27 2023-06-16 ニッタ・デュポン株式会社 polishing pad
DE102018215651A1 (en) * 2018-09-14 2020-03-19 Tesa Se Elastic flame-retardant polyurethane foam, adhesive tape with a carrier made of i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JP2022169810A (en) * 2019-09-20 2022-11-10 デンカ株式会社 Foam rub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ound absorbing material
WO2021201044A1 (en) * 2020-03-31 2021-10-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Foam sheet
CN116838317B (en) * 2023-06-30 2024-05-07 陕煤集团神木张家峁矿业有限公司 Three-dimensional dynamic loading device for simulating underground rock burst and rock burst predi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987A (en) * 2002-05-10 2003-11-1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oamed article
KR20100105448A (en) * 2009-03-17 2010-09-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Shock absorbing material
KR20100112528A (en) * 2009-04-09 2010-10-1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Double sid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2012251661A (en) * 2012-07-09 2012-12-20 Sekisui Chem Co Ltd Damping sheet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228A (en) * 1992-08-27 1994-03-1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Acrylic foam vibration-damping material
JPH10324850A (en) * 1997-05-23 1998-12-08 Sekisui Chem Co Ltd Produc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004161987A (en) * 2002-09-20 2004-06-10 Kao Corp Foam
JP2004196921A (en) * 2002-12-17 2004-07-15 Inoac Corp Latex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145783B2 (en) * 2003-12-22 2008-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Bubble-containing viscoelastic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JP4619157B2 (en) * 2004-07-08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Impact test apparatus and impact test method
JP4744172B2 (en) * 2005-03-24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Acrylic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063008B2 (en) * 2006-02-16 2012-10-31 日東電工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tape or sheet
ES2449772T3 (en) * 2007-02-20 2014-03-2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Shock absorbing composition
JP5068089B2 (en) * 2007-03-02 201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with release liner and release liner
JP4623198B2 (en) * 2007-10-12 2011-02-02 Dic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waterproofing
JP5428158B2 (en) * 2007-12-27 2014-02-26 Dic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tape
JP2010084798A (en) * 2008-09-29 2010-04-15 Sekisui Chem Co Ltd Shock absorbing structure
JP5556987B2 (en) * 2009-04-09 2014-07-23 Dic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tape
JP5967688B2 (en) * 2009-09-16 2016-08-10 Dic株式会社 Light-shiel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light-shiel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5574160B2 (en) * 2009-09-30 2014-08-20 Dic株式会社 Water-dispers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5877656B2 (en) * 2011-05-23 2016-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Foam sheet
CN101935415B (en) * 2010-09-25 2013-05-15 亚新科噪声与振动技术(安徽)有限公司 Self-lubricating rubber leather diaphragm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40004288A1 (en) * 2010-12-13 2014-01-02 Keiji Wakayama Impact-absorbing material and sealing material comprising same
JP5812754B2 (en) * 2011-02-11 2015-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Flame retardant thermal conductive adhesive sheet
JP2012184403A (en) * 2011-02-17 2012-09-27 Nitto Denko Corp Resin foa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3124279A (en) * 2011-12-14 2013-06-24 Nitto Denko Corp Protection material
JP5299596B1 (en) * 2011-12-26 2013-09-25 Dic株式会社 Adhesive tape
JP5592426B2 (en) * 2012-04-10 2014-09-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Acrylic foam adhesiv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WO2013191222A1 (en) * 2012-06-20 2016-05-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Shock absorber and sealing material
JP5676798B1 (en) * 2013-08-26 2015-02-25 日東電工株式会社 Foam she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987A (en) * 2002-05-10 2003-11-1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oamed article
KR20100105448A (en) * 2009-03-17 2010-09-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Shock absorbing material
KR20100112528A (en) * 2009-04-09 2010-10-1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Double sid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2012251661A (en) * 2012-07-09 2012-12-20 Sekisui Chem Co Ltd Damping sheet for auto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563A1 (en) * 2020-04-21 2021-10-28 주식회사 영우 Photocurable acrylic foam adhesive tape having excellent compression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400888U (en) 2015-06-17
CN104419036A (en) 2015-03-18
JP5801946B2 (en) 2015-10-28
KR20150024294A (en) 2015-03-06
CN104419037A (en) 2015-03-18
CN104419037B (en) 2016-09-14
KR20150024243A (en) 2015-03-06
JP5676798B1 (en) 2015-02-25
JP2015110721A (en) 2015-06-18
JP2015110781A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468B1 (en) Foamed sheet
JP6082498B2 (en) Foam sheet
KR102225976B1 (en) Foamed sheet
JP6956544B2 (en) Foam sheet,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touch panel-equipped equipment
WO2018025568A1 (en) Foam sheet, electrical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panel-equipped apparatus
KR20160048035A (en) Foam sheet
KR101500467B1 (en) Laminate
KR101814314B1 (en) Low-adhesive foamed sheet
JP6343478B2 (en) Laminat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70037876A (en) Resin foam sheet and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JP6178937B1 (en) Foam sheet,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touch panel-equipped equipment
WO2016121788A1 (en) Low-adhesiveness foam sheet
KR20180068830A (en) Foam and foam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