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323B1 -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323B1
KR101500323B1 KR1020130098758A KR20130098758A KR101500323B1 KR 101500323 B1 KR101500323 B1 KR 101500323B1 KR 1020130098758 A KR1020130098758 A KR 1020130098758A KR 20130098758 A KR20130098758 A KR 20130098758A KR 101500323 B1 KR101500323 B1 KR 10150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ssuing
unit
passport
entra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1421A (en
Inventor
이성진
배병우
양해생
오경철
김병화
손용선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323B1/en
Publication of KR2015002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3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입구 영업소에서 통행권을 발행할 때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통행권을 선택적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하여 마그네틱 통행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통행권 발행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자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요금정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교통흐름에 따라 차로 선택이 자유롭고 전자식 요금 징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it issu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and it is possible to record entranc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card owned by a driver when issuing a transit right at an entrance office or to selectively issue a transit pass, thereby reducing the use of a magnetic transit pas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harge settlement time by using the electronic card, to freely select the car according to the traffic flow, and to use the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Description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 영업소에서 통행권을 발행할 때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통행권을 선택적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book issu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ssbook issu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which are capable of recording entrance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card held by a driver when issuing a passbook at an entrance off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도심고속화도로, 유료터널 등의 각종 유료도로(이하 고속도로라 칭함)는 크게 폐쇄형과 개방형 두 가지로 나뉘며, 이들 중 폐쇄형은 입구와 출구가 별도로 설치되어 거리에 따른 통행요금을 부과하는 고속도로를 말하고, 개방형은 입구와 출구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특정 구간 중간에 톨게이트(tollgate)를 세워 놓고 그 구간을 지날 때 마다 통행요금을 부과하는 고속도로를 말한다. Generally, toll roa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ghways") such as expressways, urban highways, and toll tunnels are divided into two types, namely, closed type and open type. Among them, the closed type has a separate entrance and exit, It is a freeway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entrance and exit, but a toll gate in the middle of a certain section, and charges a toll fee every time the section is passed.

이러한 고속도로 통행요금 지불방식 중 폐쇄형의 경우는 차량이 고속도로 입구를 진입할 때 입구 영업소 번호와 차종정보 및 진입시간을 포함하는 입구정보를 기록한 통행권을 자동으로 발행하며, 운전자는 그 통행권을 가지고 고속도로를 통행한 후 출구 톨 부스에 도착하여 통행권을 제시하면 톨 부스 관리자가 통행권을 통행권 판독기에 삽입하여 입구정보를 읽어 통행요금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면 현금 또는 전자카드로 통행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In the closed type of the highway toll payment method, when the vehicle enters the entrance of the highway, the vehicle automatically issues a pass which records the entr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ntrance office number, the vehicle type information and the entry time, and the driver, , The tall booth manager inserts the passport into the transit reader, reads the entrance information, informs the driver of the toll, and then pays the toll to the cash or electronic card.

또한 개방형의 경우는 규정된 통행요금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운전자는 톨 부스에 도착하여 현금 또는 전자카드로 통행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open type, the prescribed fare is presented, so the driver arrives at Toll Booth and pays the toll by cash or electronic card.

최근에는 톨 부스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면서 요금을 자동 징수할 수 있는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S)으로서 하이패스 시스템이 대부분의 고속도로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High Pass system has been installed and operated on most expressways as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S) that can automatically collect fees while passing through the Toll Booth without stopping.

이러한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은 고속도로 등 유료도로의 톨게이트(Tollgate)에 설치 운영되며 통행료 부과대상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기(On Board Unit, 'OBU')와 통행료 징수를 위해 도로변에 설치한 노변장치(Road Side Unit)가 서로 연동하여 통행요금을 전자적으로 과금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차량단말기를 차량에 부착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차로로 진입하게 되면 단거리전용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을 활용하여 차량단말기와 노변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된 전자카드에 기록된 입구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행요금징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Such an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toll gate of a toll road such as a highway and includes a vehicle terminal ('OBU') mounted on a toll road vehicle and a roadside device installed on a road side to collect a toll (DSRC), which is a system in which a user enters a vehicle that supports a service by attaching a vehicle terminal to a vehicle. And the entranc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authenticated electronic c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sidewalk device is obtained, so that the toll collection is perform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9587호(2003. 02. 05. 공개, 발명의 명칭 : 알에프티켓을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09587 (published on Feb. 02, 2005, entitled "toll road fee collection system using an RF ticket").

이와 같이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를 하기 위해서는 입구 영업소에서 발행된 통행권을 제시하여 통행권에 기록된 입구정보를 읽어 통행요금을 산출하여 정산하거나, 차량단말기와 단거리전용통신으로 전자카드에 기록된 입구정보를 읽어 통행요금을 산출하여 정산하고 있다. In order to collect the toll on the tollgate, the passport issued at the entrance office is presented, and the entran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ssport is read to calculate and account for the toll, or to read the entranc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electronic card by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terminal The fare is calculated and settled.

통행권은 대부분 1회용으로 한 번 사용한 후에는 폐기되기 때문에 연간 수백억 상당의 통행권 발행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Most of the right of way is disused once, so it is discarded after it is used once. Therefore, it costs not only billing costs of billions of billions of a year, but also seriously damages the natural environmen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량단말기를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차량단말기를 장착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used. However, in order to use the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a vehicle terminal must be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구 영업소에서 통행권을 발행할 때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통행권을 선택적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card having a driver's right to record entrance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는, 비접촉식으로 근접한 전자카드를 인식하고,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는 카드기록부; 통행권 발행을 위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통행권에 입구정보를 기록하여 통행권을 발행하는 통행권 발행기; 차량의 통과상태를 감지하는 발진감지부; 및 차종분류장치로부터 차량의 차종을 입력받고 카드기록부에서 전자카드가 인식되면 카드기록부를 통해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고, 카드기록부를 통한 입구정보의 정상적인 기록여부에 따라 차량감지부에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통행권 발행기를 통해 입구정보를 기록한 통행권을 발행하며, 발진감지부에서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차종분류장치, 카드기록부, 차량감지부, 통행권 발행기 및 발진감지부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통행권 발행기는 통행권이 발행된 상태에서 통행권이 뽑히지 않고 제어부에서 통행권 발행이 종료되면 발행된 통행권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ssbook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d recording section for recognizing an electronic card in a non-contact manner and recording entranc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ard; A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ing an entry of a vehicle for issuing a passport; A passport issuer that records entrance information in a passport and issues a passport; An oscill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electronic card is recognized in the card recording unit,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on the electronic card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and if the ent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is normally recorded, A card recording unit, a vehicle sensing unit, and a vehicle sensing unit. The vehicle classifying device includes a vehicle classifying unit, a card recording unit, and a vehicle sensing unit. The vehicle classifying unit includes a vehicle classifying unit, The transit issuing unit and the oscillation detecting unit are sequential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transit pass issuer recovers the issued transit pass when the transit pass is not issu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ass is issued and the control unit issues the pass.

본 발명은, 카드기록부를 통한 입구정보의 정상적인 기록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entrance information is normally recorded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본 발명에서 입구정보는 차종정보, 입구 영업소 번호 및 진입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type information, an entrance office number, and an entry time.

본 발명에서, 카드기록부는 차량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recording unit i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의 제어방법은, 차종분류장치, 카드기록부, 차량감지부, 통행권 발행기 및 발진감지부가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가 차종분류장치로부터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입력받은 후 카드기록부로부터 전자카드가 인식되면 입구정보를 전자카드에 기록하는 단계; 제어부가 카드기록부를 통한 입구정보의 정상적인 기록여부에 따라 차량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통행권 발행기를 통해 입구정보를 기록한 통행권을 발행하는 단계; 및 통행권을 발행한 후 발진감지부로부터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 진입한 차량에 대한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는 단계는, 카드기록부를 통한 입구정보가 정상적으로 기록된 경우 발진감지부로부터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 진입한 차량에 대한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고, 통행권 발행기를 통해 통행권이 발행된 경우 통행권이 뽑히지 않고 통행권 발행이 종료되면 발행된 통행권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ntrol method for a passbook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method for a passbook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classifying apparatus, the card recording section, the vehicle sensing section, Recording the entry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ard when the electronic card is recognized from the card recording unit after receiving the vehicle type of the electronic card; Detecting the entrance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sens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rol unit normally records the ent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Issuing a right of passage in which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through the passport issuer when the entry of the vehicle is detected; And terminating the issuing of the passport for the entering vehicle after receiving the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oscillation detecting unit after issuing the passport, and ending the issuing of the passport issuing right includes: When the passport issuing unit has issued the passport through the transit pass issuer, the transit pass is issued and the pass issuance right is issued when the pass issuance is terminated. .

본 발명에서 입구정보를 전자카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기록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ording the entrance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car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cord result on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본 발명에서 입구정보는 차종정보, 입구 영업소 번호 및 진입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type information, an entrance office number, and an entry time.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입구 영업소에서 통행권을 발행할 때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통행권을 선택적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하여 통행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통행권 발행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을 보호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it ticket issu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which can reduce the use of the transit ticket by recording the entranc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ard held by the driver or selectively issuing the transit ticket when issuing the transit ticket at the entrance office, And can protect nature as we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구 영업소에서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에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자카드를 이용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 출구 영업소에서는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temporary error occurs in the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at the entrance office, the entrance information can be recorded using the electronic card, so that the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can be used at the outlet office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can be improv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차로에서도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 입구 영업소에서의 교통 흐름에 따라 운전자가 자유롭게 차로를 선택함으로써 교통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entrance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card in a general lane, so that a driver can freely select a lane according to a traffic flow at an entrance business office, thereby improving traffic flow and improving driv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단말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자카드를 이용하여 요금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요금정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vehicle terminal is not provided, charge settlement can be performed using an electronic card, and the time required for charge settlemen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의 설치상태를 타나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of a passpor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asspor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passpor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transit issuan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의 설치상태를 타나낸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of a passport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a passport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는 차종분류장치(10), 카드기록부(50), 차량감지부(20), 통행권 발행기(60), 발진감지부(30) 및 제어부(40)를 비롯하여 표시부(7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passport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classifying apparatus 10, a card recording unit 50, a vehicle sensing unit 20, a traffic issuing unit 60, And a display unit 70 including a controller 30 and a controller 40.

차종분류장치(10)는 진입한 차량의 축수, 윤거 및 윤폭을 감지하여 차종을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차종별 통행료를 차등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vehicle classifying device 10 detects the number of axles, the yaw and the width of the entering vehicle, and classifies and provides the vehicle typ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ifferently apply the tolls for each vehicle type.

카드기록부(50)는 비접촉식으로 근접하는 전자카드(55)를 인식하고,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카드기록부(50)는 비접촉식 국제 전자카드 규격인 ISO-14443A와 B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ard recording section 50 recognizes the proximity electronic card 55 in a noncontact manner and records the entrance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card 55. [ At this time, the card recording unit 50 can accommodate both of the non-contact type international electronic card standards ISO-14443A and B.

이때 입구정보는 차종정보, 입구 영업소 번호 및 진입시간을 포함함으로써 요금징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entrance information includes the vehicle type information, the entrance office number and the entry time so that the toll can be collected.

카드기록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전자카드(55)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다. The card recording unit 50 can b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electronic card 55 can be brought close to the vehicle without getting of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이때 전자카드(55)는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카드(55)로써 입구정보를 기록한 후 차량단말기(미도시)에 삽입할 경우 출구 영업소에서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하여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을 통해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nic card 55 is an electronic card 55 applied to the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When the entrance card is inserted into the vehicle terminal (not shown) after recording the entrance information, the electronic card 55 is transferred through the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The fare can be settled.

또한, 전자카드(55)를 출구 영업소에서 제시할 경우 전자카드(55)의 발급상태에 따라 선불식으로 요금을 정산하거나 후불식으로 요금을 정산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card 55 is presented at the outlet office, the electronic card 55 may be settled in a prepaid manner or may be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issuance status of the electronic card 55.

차량감지부(20)는 통행권 발행기(60) 전단에 설치되어 통행권(65) 발행을 위한 차량의 진입을 감지한다.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passport issuer 60 and senses the entry of the vehicle for issuing the passport 65. [

즉, 차량감지부(20)에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카드기록부(50)를 통해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가 정상적으로 기록되었는가 판단하여 통행권(65)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s sensed by the vehicle sensing unit 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trance information is normally recorded in the electronic card 55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50, and the passbook 65 can be issued.

통행권 발행기(60)는 입구정보를 통행권(65)에 기록하여 발행함으로써 운전자가 뽑아갈 수 있도록 한다. The passbook issuer 60 records the entrance information in the passbook 65 and issues it so that it can be drawn by the driver.

발진감지부(30)는 차량의 통과상태를 감지하여 입구 영업소에서 벗어났는가 판단한다. The oscillation detecting unit 30 senses the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and judges whether it is out of the entrance office.

즉, 발진감지부(30)에서 감지된 차량의 통과상태에 따라 입구 영업소에 진입한 차량에 대한 통행권(65)의 발행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가 통행권 발행기(60)에서 발행된 통행권(65)을 뽑아가지 않은 경우 토출된 통행권(65)을 회수하고 다음에 진입한 차량에 대한 통행권(65)이 발행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assage state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oscillation sensing unit 30, the issue of the passport 65 for the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business office can be terminated. If the driver does not extract the passport 65 issued by the passport issuer 60, the user can retrieve the issued pass 65 and issue the pass 65 for the next entered vehicle.

이와 같은 통행권 발행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영업소의 차량 진입로를 따라 차종분류장치(10), 카드기록부(50), 차량감지부(20), 통행권 발행기(60), 발진감지부(30)가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2, the passage issuing apparatus includes a vehicle classifying apparatus 10, a card recording unit 50, a vehicle detecting unit 20, a traffic issuing unit 60, an oscillation detecting unit (not shown) 30 are sequential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즉, 도로법상 차량길이는 16m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차종을 감지하여 분류한 후 이를 전자카드(55)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카드기록부(50)는 차종분류장치(10)로부터 16m 전방에 설치되고, 차량감지부(20)는 17m 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통행권 발행기(60)는 차량감지부(20)로부터 2m 전방에 설치되고, 발진감지부(30)는 통행권 발행기(60)로부터 5m 전방에 설치된다. 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vehicle is limited to 16 m in accordance with the road law, the card recording unit 50 is installed 16 m ahead of the car classifying apparatus 10 in order to detect and classify the vehicle type and then record it on the electronic card 55,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 is installed in front of 17m. The transit issuer 60 is installed 2 m ahead of the vehicle sensing unit 20 and the oscillation sensing unit 30 is installed 5 meters ahead of the transit issuer 60.

따라서, 차량이 진입될 경우 차종분류장치(10)로부터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입력받은 후 카드기록부(50)에서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자카드(55)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차량감지부(20)를 통해 차량이 감지되면 통행권 발행기(60)를 통해 통행권(65)을 발행하고, 발진감지부(30)에서 차량이 완전히 통과할 경우 통행권(65)의 발행을 종료한다. Therefor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the entrance information can be recorded in the electronic card 55 in the card recording unit 50 after receiving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entering from the vehicle classifying apparatus 10. When the electronic card 55 is not used, if the vehicle is sensed through the vehicle sensing unit 20, the passbook 65 is issued through the passbook issuer 60 and the vehicle i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oscillation sensing unit 30. [ The issuing of the right of way 65 is terminated.

제어부(40)는 차종분류장치(10)로부터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입력받은 후 카드기록부(50)에서 전자카드(55)가 인식되면 카드기록부(50)를 통해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한다.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entered from the car classifying apparatus 10 and inputs the entranc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card 55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50 when the electronic card 55 is recognized in the card recording unit 50 Lt; / RTI >

그리고, 제어부(40)는 카드기록부(50)를 통한 입구정보의 정상적인 기록여부에 따라 차량감지부(20)에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통행권 발행기(60)를 통해 입구정보를 기록한 통행권(65)을 발행하며, 발진감지부(30)에서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 진입한 차량에 대한 통행권(65)의 발행을 종료한다. When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50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entry information is normally recorded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50,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pass information 65 The oscillation sensing unit 30 receives the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and finishes issuing the pass 65 for the entering vehicle.

따라서, 전자카드(55)를 소지하지 않은 차량의 경우 통행권 발행기(60)를 통해 통행권(65)을 뽑아가게 되고, 전자카드(55)를 소지한 차량의 경우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함으로써 통행권(65)을 대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량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할 경우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 vehicle that does not have the electronic card 55, the passbook 65 is extracted through the passbook issuer 60. In the case of the vehicle having the electronic card 55,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the passbook 65 by recording, and in addition, the electronic bill collection system can be used when inserted into a vehicle terminal.

또한, 제어부(40)는 표시부(70)를 통해 카드기록부(50)에서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할 때 정상적을 기록될 경우 정상적인 처리결과를 표시한다. 그러나,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할 때 오류가 발생하거나 전자카드(55)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류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통행권(65)을 뽑아갈 수 있도록 표시한다.
In addition, when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on the electronic card 55 in the card recording unit 50 through the display unit 70,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a normal processing result when the normal information is recorded. However, when an error occurs when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electronic card 55, or when the electronic card 55 is not recognized, not only the error state is displayed but also the passbook 65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extrac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passpor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통행권 발행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제어부(40)가 차종분류장치(10)로부터 진입한 차량의 축수, 윤거 및 윤폭을 기반으로 분류한 차종을 입력받는다(S12).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method of the passpor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control section 40 classifies the vehicle entering from the vehicle classifying apparatus 10 based on the number of axes, The vehicle type is input (S12).

이렇게 차종분류장치(10)로부터 차종을 입력받은 후 카드기록부(50)로부터 전자카드(55)가 인식되었는가 판단한다(S14). After receiving the vehicle type from the car classification apparatus 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lectronic card 55 is recognized from the card recording unit 50 (S14).

이때 전자카드(55)가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카드기록부(50)를 통해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한다(S16). At this time, if the electronic card 55 is recognized,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electronic card 55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50 (S16).

이후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한 결과를 표시한다(S18). 즉, 정상적으로 기록이 완료된 경우에는 정상상태를 표시부(70)에 표시하게 되지만,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오류결과와 함께 통행권(65)을 뽑아갈 수 있도록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하여 안내한다. Then, the result of recording the entranc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ard 55 is displayed (S18). That is, when the recording is normally completed, the normal stat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However, if an error occurs, the display unit 70 displays and displays the passage right 65 together with the error result.

이렇게 전자카드(55)가 인식되지 않았거나(S14), 전자카드(55)에 입구정보를 기록할 때 오류가 발생한 경우(S20)에는 이후 차량감지부(20)로부터 차량의 진입상태를 입력받는다(S22). If the electronic card 55 is not recognized (S14) or an error occurs when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on the electronic card 55 (S20), the incoming state of the vehicle is input from the vehicle detecting unit 20 (S22).

이때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에는 통행권 발행기(60)를 통해 입구정보를 기록한 통행권(65)을 발행한다(S24). At this time, if the entry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e passbook 65 containing the entrance information is issued through the passbook issuer 60 (S24).

이후 발진감지부(30)로부터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는다(S26). Thereafter, the vehicle passing state is input from the oscillation detecting unit 30 (S26).

발진감지부(30)로부터 차량의 통과상태가 입력될 경우(S28) 진입한 차량에 대한 통행권(65)의 발행을 종료한다(S30). When the passage state of the vehicle is input from the oscillation detection unit 30 (S28), the issue of the passport 65 for the entering vehicle is terminated (S30).

위에서 카드기록부(50)를 통한 입구정보가 정상적으로 기록된 경우(S20)에는 통행권(65)을 발행하지 않고 발진감지부(30)로부터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S26) 차량의 통행권(65)의 발행을 종료한다(S28). When the ent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50 is normally recorded (S20), the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oscillation detecting unit 30 (S26) (S2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입구 영업소에서 통행권을 발행할 때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통행권을 선택적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하여 통행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통행권 발행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자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요금정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교통흐름에 따라 차로 선택이 자유롭고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entrance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card held by the driver at the time of issuing the right of passage at the entrance office or to selectively issue the right of passage, By reducing the usa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ssuing cost of the passport. By using the electronic card, the charge settlement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electronic fare collection system can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raffic flow,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차종분류장치 20 : 차량감지부
30 : 발진감지부 40 : 제어부
50 : 카드기록부 60 : 통행권 발행기
70 : 표시부
10: Vehicle classifying device 20: Vehicle sensing part
30: oscillation detecting unit 40:
50: card recording section 60:
70:

Claims (9)

비접촉식으로 근접한 전자카드를 인식하고, 상기 전자카드에 입구정보를 기록하는 카드기록부;
통행권 발행을 위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상기 통행권에 상기 입구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통행권을 발행하는 통행권 발행기;
상기 차량의 통과상태를 감지하는 발진감지부; 및
차종분류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종을 입력받고 상기 카드기록부에서 상기 전자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카드기록부를 통해 상기 전자카드에 상기 입구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카드기록부를 통한 상기 입구정보의 정상적인 기록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상기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통행권 발행기를 통해 상기 입구정보를 기록한 상기 통행권을 발행하며, 상기 발진감지부에서 상기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 상기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종분류장치, 상기 카드기록부, 상기 차량감지부, 상기 통행권 발행기 및 상기 발진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통행권 발행기는 상기 통행권이 발행된 상태에서 상기 통행권이 뽑히지 않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통행권 발행이 종료되면 발행된 상기 통행권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
A card recording unit for recognizing the proximity electronic card in a noncontact manner and recording the entrance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card;
A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ing an entry of a vehicle for issuing a passport;
A passport issuer for recording the entrance information in the passport and issuing the passport;
An oscill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car classification apparatus and the electronic card is recognized by the card recording section,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on the electronic card through the card recording section, and whether or not the entrance information is normally recorded A control unit for issuing the pass to which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through the passport issuance unit when the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terminating the passport issuance upon receiving the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oscillation detection unit, ; ≪ / RTI >
Wherein the vehicle classifying device, the card recording unit, the vehicle sensing unit, the traffic-ticket issuing unit, and the oscillation sensing unit ar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erein said passbook issuer recovers said passbook issued when said passbook is issued and said control unit does not issue said passbook when said passbook is issu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기록부를 통한 상기 입구정보의 정상적인 기록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entrance information is normally recorded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정보는 차종정보, 입구 영업소 번호 및 진입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
The passbook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trance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type information, an entrance office number, and an entry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기록부는 상기 차량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
The passbook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d recording section i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차종분류장치, 카드기록부, 차량감지부, 통행권 발행기 및 발진감지부가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가 상기 차종분류장치로부터 진입한 상기 차량의 차종을 입력받은 후 상기 카드기록부로부터 전자카드가 인식되면 입구정보를 상기 전자카드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드기록부를 통한 상기 입구정보의 정상적인 기록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통행권 발행기를 통해 상기 입구정보를 기록한 통행권을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권을 발행한 후 상기 발진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 진입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기록부를 통한 상기 입구정보가 정상적으로 기록된 경우 상기 발진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통과상태를 입력받아 진입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권 발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행권 발행기를 통해 상기 통행권이 발행된 경우 상기 통행권이 뽑히지 않고 상기 통행권 발행이 종료되면 발행된 상기 통행권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의 제어방법.
The vehicle type classification device, the card recording section, the vehicle sensing section, the traffic-ticket issuing device, and the oscillation-sensing section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control section receives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entered from the vehicle classifying apparatus, Recording entranc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ard when the electronic card is recognized;
Sensing the entrance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sens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rol unit normally records the ent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Issuing a pass for which the entrance information is recorded through the passport issuer when an entry of the vehicle is detected; And
And issuing the pass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oscillation detecting unit after the issuing of the passing right and finishing the issuing of the passing right to the entering vehicle,
Wherein the step of terminating the issuing of the passbook includes terminating issuance of the passbook to the vehicle entering the passage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oscillation detection unit when the ent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card recording unit is normally recorded,
Wherein when the passport issuing means issues the passport issuance device, the passport issuing device recovers the passport issued when the passport issuance is terminated without issuing the passpo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정보를 상기 전자카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기록결과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의 제어방법.
7.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recording the entrance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car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cord result through a display unit.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정보는 차종정보, 입구 영업소 번호 및 진입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장치의 제어방법. 7.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ntrance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type information, an entrance office number, and an entry time.
KR1020130098758A 2013-08-20 2013-08-20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003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58A KR101500323B1 (en) 2013-08-20 2013-08-20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58A KR101500323B1 (en) 2013-08-20 2013-08-20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21A KR20150021421A (en) 2015-03-02
KR101500323B1 true KR101500323B1 (en) 2015-03-10

Family

ID=5301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758A KR101500323B1 (en) 2013-08-20 2013-08-20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32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789A (en) * 2002-02-01 2003-08-09 조인호 Expressway fare collecting system using RF cards
KR100824499B1 (en) * 2003-10-30 2008-04-2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Toll road toll collecting method, inlet lane device, toll house system and noncontacting ic card reader/wri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789A (en) * 2002-02-01 2003-08-09 조인호 Expressway fare collecting system using RF cards
KR100824499B1 (en) * 2003-10-30 2008-04-2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Toll road toll collecting method, inlet lane device, toll house system and noncontacting ic card reader/wr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21A (en)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454B1 (en)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without requiring vehicle classification unit
JP2001338318A (en) Toll receiving system, on-vehicle device and toll receiving method
JPH10302102A (en) Toll collection system
KR101177201B1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7058299A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toll collection method
KR101484960B1 (en) Automatic Toll Calculation Machine And Unmanned Receiving System For Fees Of Toll Road Using The Automatic Toll Calculation Machine
JP5781587B2 (en) Toll collection system, toll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JP6253198B2 (en) Toll collection facility, toll collection system, toll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500323B1 (en) Apparatus for issuing tick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5354148U (en) Novel electronic tags anti -disassembly system
JP4066873B2 (en)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toll terminal equipment, ETC in-vehicle device, leaving / leaving judgment method
KR100341677B1 (en) A toll payment system using a non-contact card
JPH08287308A (en) Road toll receiving device
JP5198124B2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toll collection method
JPH11232503A (en) Toll reception system for turnpike
KR101909901B1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72737B1 (en) Unmanned settlement system
KR20030065789A (en) Expressway fare collecting system using RF cards
KR100504984B1 (en) Expressway fare collecting system using RF ticket
KR100396581B1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327523B2 (en)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contactless IC card
KR100831111B1 (en) Expressway fare collecting system using RF cards
Tyagi et al. Distance Based Automated Toll Collection Using GPS
KR20010035921A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KR20120102354A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 default information of a toll f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