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31B1 - 무단 변속기 - Google Patents

무단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31B1
KR101500131B1 KR20130105383A KR20130105383A KR101500131B1 KR 101500131 B1 KR101500131 B1 KR 101500131B1 KR 20130105383 A KR20130105383 A KR 20130105383A KR 20130105383 A KR20130105383 A KR 20130105383A KR 101500131 B1 KR101500131 B1 KR 10150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unit
ring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철
정상철
김용주
윤민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16H47/0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the mechanical gearing being of the type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16H37/08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되고, 내부 유압을 조절하여 입력된 동력을 무단 변속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HST) 유닛(40), HST 유닛(40)에 의해 무단 변속된 엔진(2)의 동력과, HST 유닛(40)에 의해 변속되지 않은 엔진(2)의 동력을 복수의 유성 기어에 의해 합성하는 유성 전동부(3) 및 유성 전동부(3)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1 피동축(70)에 전달하는 부변속부(5)를 포함하는 무단변속기로서, HST 유닛(40)은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성 전동부(3)의 후방에 배치되고, 유성 전동부(3)는 링기어(15)를 포함하고, 링기어(15)는, 유성 전동부(3)의 복수의 유성 기어의 일 회전 요소와 연결되는 링 출력기어부(17)와 HST 유닛(40)의 출력축(44)에 형성된 HST 출력 구동 기어(46)와 연결되는 링 입력기어부(16)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아이들 기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단 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의 무단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등과 같은 작업 차량에 적합한 무단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와 같은 작업 차량의 동력 전달 시스템으로서 유압식 무단 변속기(HST)와 기계식 차동장치가 조합된 유압 기계식 변속기(HMT)가 이용되고 있다.
유압 기계식 변속기는 뛰어난 조작성을 가지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와 뛰어난 전달 효율을 가지는 차동 기어의 양쪽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변속기이다.
또한, 기존 작업 차량에 사용되는 유압 기계식 변속기의 경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변속 장치와 같이, 한 쌍 이상의 유성기어와 무단변속 장치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 경로를 2개 이상으로 한 다경로 변속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유압식 무단 변속기에 의해 무단 변속된 엔진의 출력과, 무단 변속기에 의해 변속되지 않은 엔진의 출력을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합성하여, 합성된 동력을 클러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차축에 전달하게 된다.
트랙터와 같은 작업차량의 경우, 다양한 지역의 다양한 토양 위에서의 작업을 상정한 장치이고, 또한 농업, 파종 운반 등 다양한 작업에 사용되고 있어, 이러한 각각의 작업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들이 요구되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86822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랙터의 다기종화에 따라 다양한 변속모드를 제공하는 변속기 제조 시에 필요한 부품 종류를 저감하고, 제조 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에 의해 무단 변속된 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전동부의 링기어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상이한 변속 모드를 갖는 트랙터들의 제조시에 필요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무단 변속기 제조 시의 공정을 보다 간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되고, 내부 유압을 조절하여 입력된 동력을 무단 변속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HST) 유닛, HST 유닛에 의해 무단 변속된 엔진(2)의 동력과, HST 유닛에 의해 변속되지 않은 엔진의 동력을 복수의 유성 기어에 의해 합성하는 유성 전동부 및 유성 전동부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1 피동축에 전달하는 부변속부를 포함하는,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HST 유닛은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성 전동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유성 전동부는 링기어를 포함하고, 링기어는, 유성 전동부의 복수의 유성 기어의 일 회전 요소와 연결되는 링 출력기어부와 HST 유닛의 출력축에 형성된 HST 출력 구동 기어와 연결되는 링 입력기어부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아이들 기어이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링 출력기어부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링 입력기어부는 축심을 따라 연장되는 구멍을 갖는 환형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링 출력기어부의 내주면을 따라 기어 이(teeth)가 형성되고, 링 입력기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 이(teeth)가 형성되고, 링 출력기어부는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그 지름이 점차 감소하는 축경부를 구비하고, 링 출력기어부의 후단 및 링 입력기어부에는 그 원호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링 출력기어부의 후단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구동 입력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링 입력기어부의 구멍의 직경은 연장부의 외경에 상당하고, 링 입력기어부의 구멍에 링출력기어부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성 전동부는 그 중심축이 구동 입력축과 동심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무단 변속기의 무게 중심이 유성 전동부의 중심축 상에 존재하도록, HST 유닛, 제1피동축 및 부변속부가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입력축은 HST 유닛의 HST 입력축에 연결되고, HST 유닛과 부변속부는 구동 입력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성 전동부는, 구동 입력축의 구동력과 HST 유닛의 구동력의 합성 구동력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캐리어 및 선기어축을 포함하고, 부변속부는, 복수의 기어와 클러치로 구성되어, 캐리어 또는 선기어축의 회전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1 피동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변속부는, 캐리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피동축으로 출력하는 제1 변속부와, 선기어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피동축으로 출력하는 제2 변속부를 구비하고, 변속 시점에서 제1 변속부 또는 제2 변속부가 선택적으로 제1피동축에 연결되어 변속되고, 제1 변속부와 제2 변속부는 제1 피동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무단 변속기의 무게 중심이 유성 전동부의 중심축 상에 존재하도록, HST 입력축, 제1 변속부의 구동축, 제2 변속부의 구동축 및 제1피동축(70)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변속 시점에서, 제1 변속부와 제2 변속부의 출력은 제1피동축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출력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변속부는 캐리어에 형성된 1/3단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1/3단 변속부이고, 제2 변속부는 선기어축에 형성된 2/4단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2/4단 변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피동축은 3단 구동기어 및 4단 구동기어와 동시에 연결되는 3/4단 피동기어와, 1단 구동기어 및 2단 구동기어와 동시에 연결되는 1/2단 피동기어를 포함하고, 1/3단 변속부는, 1/3단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1/3단 피동기어를 구비하고, 제1클러치가 형성된 1/3단 구동축과, 1/3단 구동축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제1클러치의 제1클러치부와 제2클러치부에 각각 연결되는 3단 구동기어와 1단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2/4단 변속부는, 2/4단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2/4단 피동기어를 구비하고, 제2클러치가 형성된 2/4단 구동축과, 2/4단 구동축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제2클러치의 제3클러치부와 제4클러치부에 각각 연결되는 4단 구동기어와 2단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클러치를 구비하는 제2피동축; 제2피동축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제3클러치의 제5클러치부와 제6클러치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진 구동기어 및 전진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고, 제1피동축에는 후진 아이들 기어를 개재하여 후진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후진 연결기어와, 전진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전진 연결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차륜과 연결되는 제3피동축과, 연결축을 더 포함하고, 제2피동축에는 전후진 출력기어(91)가 형성되고, 제3피동축의 상류측 단부는 전후진 출력기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류측 단부에는 제3피동축 피동기어가 형성되며, 연결축에는 전후진 출력기어와 연결되는 제1감속기어와, 제3피동축 피동기어와 연결되는 제2감속기어가 형성되어, 제2피동축의 회전력이 전후진 출력기어로부터 제1감속기어로 전달되어 연결축을 회전시키고, 연결축의 회전력이 제2감속기어로부터 제3피동축 피동기어로 전달되어 제3피동축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선기어축은 구동 입력축 상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캐리어는 선기어축 상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입력축에 고정 설치되는 제1선기어; 선기어축에 형성되는 제2선기어; 제1선기어와 연결되는 제1피니언 기어와, 제2선기어 및 링기어의 링 출력기어와 동시에 연결되는 제2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링기어는, 구동 입력축을 중심으로 자유회전 가능하며, 제2선기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캐리어는 복수의 유성기어에 동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은 작업 차량이고, 구동 입력축(10)은 작업 차량의 작업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무단 변속기 제조 시에 필요한 부품 개수를 저감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여, 트랙터 제조 싱의 택트 타임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변속기 구조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 요소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메인터넌스가 간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변속기 구성을 도시한 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유성 전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성 전동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변속기를 차체 전방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변속기(1)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선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1)는 엔진(2)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엔진(2)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입력축(10)과, 상기 구동 입력축(1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유성 전동부(3), 구동 입력축(10)이 동력을 전달 받아 유성 전동부(3)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HST) 유닛(40)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무단 변속부(4), 상기 유성 전동부(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부변속부(5), 차량의 전후진 동작을 절환하는 전후진 절환부(6) 및 변속기의 클러치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2차 감속부(7)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성 전동부(3)는 그 중심축이 구동 입력축(10)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유성 전동부(3)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유성 기어의 가상의 중심축은 구동 입력축(10)과 동심을 이룬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성 전동부(3)는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엔진(2) 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유압식 무단 변속기 유닛부(4)의 HST 유닛(40)은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성 전동부(3)의 복수개의 유성기어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HST 유닛(40)과 부변속부(5)는 구동 입력축(1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부변속부(5) 및 HST 유닛(40)을 유성 전동부(3)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유성 전동부(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부변속부(5) 및 HST 유닛(40)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유성 전동부(3) 및 HST 유닛(40)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도록 하는 구조와 대비하여, 변속기의 횡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 입력축(10)의 최상류측에는 제1선기어(sun gear)(11)가 고정 설치되고,하류측 중간에는 HST 입력 구동기어(18)가 고정 설치된다. 구동 입력축(10)의 최하류측에는 작업 차량의 작업 장치를 구동시키는 작업 장치 구동축(110)이 클러치(111)를 통해 연결된다. 클러치(111)를 통해 작업 장치 구동축(110)이 구동 입력축(10)에 연결되는 작업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상류"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 동력이 입력되는 쪽을 의미하며, 용어 "하류"는 상기 부재로부터 입력된 동력이 전달되어 가는 쪽을 의미한다.
HST 입력 구동기어(18)는, 구동 입력축(10)과 동심으로 구동 입력축(10) 상에 구비되어, HST 유닛부(40)의 HST 유닛(40)에 동력을 입력하는 HST 입력축(43) 상에 고정 설치된 HST 입력 피동기어(45)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HST 입력 구동기어(18)가 연결 기어(19)를 통해 HST 입력 피동기어(45)와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 입력축은 HST 유닛(40)의 입력축(43)과 연결되게 된다.
HST 유닛(40)은 유압 펌프(41)와 유압 모터(42)를 구비한다. 엔진(2)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입력축(10)의 회전력이 기어(18, 19, 43)를 통해 HST 입력축(43)으로 전달되고, 유압 펌프(41)는 HST 입력축(43)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유압 펌프(41)는 그 내부에 구비된 경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내부 유량의 용량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압 펌프(41)는 유압 모터(42)를 구동시킨다.
HST 유닛(40)은 유압 펌프(41)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유압 펌프(41)에 대한 유압 모터(42)의 구동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유압 모터(42)는 HST 유닛(40)의 HST 출력축(44)을 회전시킨다.
상기 HST 유닛(40)과 같이 엔진(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감속시키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HST 유닛(40)의 구성과 동력 전달 특성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구동 입력축(10)의 제1선기어(11)의 하류측에는 구동 입력축(10) 상에서 자유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선기어축(30)과, 상기 선기어축(30) 상에서 자유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캐리어(carrier)(20)가 구비된다. 선기어축(30)의 상류측 단부에는 제2선기어(31)가 구비된다.
제1선기어(18)와 제2선기어(31)에는 복수의 유성기어(12)가 연결된다. 복수의 유성기어(12)는, 제1선기어(18)와 연결되는 제1피니언 기어(13)와 제2선기어(31)와 연결되는 제2피니언 기어(14)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0)는 복수의 유성기어(12)에 동시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HST 유닛(40)의 구동력과 구동 입력축(10)의 회전 구동력과 합성하기 위하여, 링기어(ring gear)(15)가 제2선기어(31)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링기어(15)의 링 출력기어(17)는 유성기어(12)의 제2피니언 기어(14)와 연결되고, 링 입력기어(16)는 HST 유닛(40)의 HST 출력축(44)에 형성된 HST 출력 구동 기어(46)와 연결된다.
링기어(15)는 HST 출력축(44)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입력축(10)에 대하여 자유회전 가능하다.
엔진(2)이 구동하면 구동 입력축(10)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 입력축(10)의 회전 구동력(10)은 HST 입력축(43)을 회전시킨다. HST 입력축(43)의 회전 구동력은 HST 유닛(40)으로 입력되고, HST 유닛(40)은 HST 유닛(40)의 용량에 따라 HST 출력축(44)을 회전시킨다.
HST 출력축(44)이 회전하면, HST 출력 구동기어(46)와 연결된 링기어(15)가 구동 입력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엔진(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입력축(10)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 입력축(10)에 고정 설치된 제1선기어(11)도 회전한다.
제1선기어(11)와 링기어(14)가 각각 회전함에 따라서, 제1선기어(11)와 링기어(14)에 동시 연결된 복수의 유성기어(12)들은 제1선기어(11)와 링기어(14) 사이에서 구동 입력축(10) 주위를 공전 운동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유성기어(12)들의 공전 속도는 모두 동일하므로, 유성기어(12)들에 동시에 체결되는 캐리어(20)는 구동 입력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유성기어(12)들은 그 자체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공전 운동을 하므로, 유성기어(12)의 제2피니언 기어(14)에 연결된 선기어축(30)은 유성기어(12)의 회전 운동 및 공전 운동에 의해 구동 입력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2)에 의해 직접 구동하는 구동 입력축(10)의 회전 구동력과 HST 유닛(90)에 의해 구동하는 HST 출력축(94)의 회전 구동력이 유성기어(12)를 통해 합성되고, 그 합성 구동력이 캐리어(20) 및 선기어축(30)을 각각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20) 및 선기어축(30)의 회전력을 받아 변속을 수행하는 부변속부(5)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0)에는 1/3단 변속부와 연결되는 1/3단 구동기어(21)가 형성된다.
1/3단 변속부는 1/3단 구동기어(21)와 연결되는 1/3단 피동기어(59)를 구비하고, 제1클러치(51)를 구비하는 1/3단 구동축(57)과, 상기 1/3단 구동축(57)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각각 제1클러치(51)의 제1클러치부(53)와 제2클러치부(54)에 연결되는 3단 구동기어(61) 및 1단 구동기어(62)를 포함한다.
한편, 선기어축(30)에는 2/4단 변속부와 연결되는 2/4단 구동기어(32)가 형성된다.
2/4단 변속부는 2/4단 구동기어(32)와 연결되는 2/4단 피동기어(60)를 구비하고, 제2클러치(52)를 구비하는 2/4단 구동축(58)과, 상기 2/4단 구동축(58)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각각 제2클러치(52)의 제3클러치부(55)와 제4클러치부(56)에 연결되는 4단 구동기어(63)와 2단 구동기어(64)를 포함한다.
상기 1/3단 변속부와 2/4단 변속부는 제1피동축(70)에 연결된다. 제1피동축(70)은 3단 구동기어(61) 및 4단 구동기어(63)와 동시에 연결되는 3/4단 피동기어(71)와, 1단 구동기어(62) 및 2단 구동기어(64)와 동시에 연결되는 1/2단 피동기어(72)가 형성된다.
제1피동축(70)은 전후진 절환부(6)와 연장된다. 전후진 절환부(6)에는 제5클러치부(81)와 제6클러치부(82)가 구비된 제3클러치(80)가 형성되며, 최하류측에는 제3피동축(100)을 자유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전후진 출력기어(91)가 형성된다.
제2피동축(90)에는 제2피동축(90)에 대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각각 제5클러치부(81)와 제6클러치부(8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후진 구동기어(83) 및 전진 구동기어(84)가 형성된다.
제1피동축(70)에는 후진 아이들 기어(85)를 개재하여 후진 구동기어(83)와 연결되는 후진 연결기어(73) 및 전진 구동기어(84)와 연결되는 전진 연결기어(74)가 형성되어, 부변속부(5)로부터 전후진 절환부(6)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피동축(90)의 전후진 출력기어(91)에 대해서 자유회전 가능한 제3피동축(100)은 차량의 차륜(120)과 연결되고, 제3피동축(10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차량의 바퀴가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1/3단 변속부와 2/4단 변속부는 제1피동축(7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배치 구조에 따르면, 종래 부변속부에 있어서 복수개의 변속단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변속부가, 부변속부로부터 동력이 출력되는 출력축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출력축 상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와 대비하여, 변속기 횡방향 길이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변속부(5)와 전후진 절환부(6)의 클러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3피동축(100)과 평행하게 연결축(101)이 구비되어 2차 감속부(7)가 형성된다.
연결축(101)에는 전후진 출력기어(91)와 연결되는 제1감속기어(102)와, 제3피동축(100)에 고정 설치된 제3피동축 피동기어(104)와 연결되는 제2감속기어(10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3피동축(100)이 전후진 출력기어(91)에 대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2피동축(90)이 회전력이 바로 제3피동축(100)으로 전달되지 않고, 연결축(101)을 경유하므로 동력의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1)의 유성 전동부(3)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유성 전동부(3)의 차체 전후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의 도시 내용에 따르면, 제1선기어(18)는 구동 입력축(10)에 고정 설치되고, 제1선기어(18)의 후방에는 제2선기어(31)가 구비된다. 제1선기어(18)에는 제1피니언 기어(13)가 연결되고, 제2선기어(18)에는 제2피니언 기어(14)가 연결된다.
링기어(15)는, 제1선기어를 감싸듯이 배치되고 제2피니언 기어(14)와 연결되는 링 출력기어(17)와,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은 HST 유닛(40)의 출력축(44)에 형성된 HST 출력 구동 기어(46)와 연결되는 링 입력기어(16)로 이루어진다.
링 출력기어(17)와 링 입력기어(16)는 복수개의 나사(18)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HST 유닛(40)으로부터 무단 변속된 엔진(2)의 동력을 유성 전동부(3)로 전달하는 아이들 기어를 형성한다. 따라서, 트랙터의 다기종화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크기를 갖는 링기어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링 입력기어(16) 또는 링 출력기어(17)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고 다른 요소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링기어(15)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기종화에 따른 부품 개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내용에 따르면, 링 출력기어(17)는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 부재이다. 링 출력기어(17)의 전단(17a)은 구동 입력축(10)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부분으로서, 내주면에는 제2 피니언 기어(14)와 맞물리기 위한 기어 이가 형성된다.
링 출력기어(17)의 전단(17a)으로부터 이어지는 축경부(17b)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차체 후방을 향하여 그 외경이 감소하는 영역이다. 축경부(17b)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축경부(17b)로부터 이어지는 링 출력기어의 후단(15d)은 전단(17a)보다 유성 전동부(3)의 중심축에 가깝게 즉, 차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단(17a)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무단 변속기(1)의 종방향 길이를 감소시킬수 있으며, 무단 변속기(1) 및 유성 전동부(3)의 설치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링 출력기어(17)의 축경부(17b)로부터 이어지는 후단(17c)은 링 입력기어(18)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후단(17c)은 링 출력기어(17)가 축경부(17b)로부터 수직하게 절곡하여, 차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링 출력기어(17)의 후단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내용에 따르면, 링 입력기어(16)는 축심을 따라 연장하는 구멍을 갖는 환형 판 부재이다. 링 입력기어(16)의 구멍을 통해서 선기어축(30) 및 캐리어축(20)이 통과하여 유성 전동부(3)로부터 합성된 동력을 부변속부(5)로 전달하게 된다.
링 입력기어(16)의 외주면에는 HST 유닛(40)의 출력축(44)에 형성된 HST 출력 구동 기어(46)와 맞물리기 위한 기어 이가 형성된다. 링 입력기어(16)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링 출력기어(17)의 복수개의 나사 구멍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나사(18)는 링 입력기어(16)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링 출력기어(17)를 관통하여 링 입력기어(16)와 링 출력기어(17)를 나사 결합시킨다.
도 4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 출력기어(17)는 후단(17c)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17d)를 구비한다. 연장부(17d)는 후단(17c)으로부터 차체 후방을 향해, 그리고 구동 입력축(10)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연장부(17d)의 외경은 링 입력기어(16)의 구멍과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링 입력기어(16)와 링 출력기어(17)의 조립시, 링 입력기어(16)의 구멍에, 링 출력기어(17)의 연장부(17d)가 삽입되어, 링 입력기어(16)는 링 출력기어(17)의 연장부(17d)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링기어(15)를 제조하기 위하여, 링 출력기어(17)와 링 입력기어(16)를 나사 결합시킬 때, 링 입력기어(16)와 링 출력기어(17)의 나사 구멍위치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즉, 링 입력기어(16)의 구멍에, 링 출력기어(17)의 연장부(17d)가 삽입하는 것에 의해, 링 입력기어(16)의 위치가 결정되어, 그 뒤의 나사 결합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링 입력기어(16)의 기어 이가 파손되거나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유성 전동부(3)로부터 링기어(15) 전체를 분리 교체할 필요가 없고, 나사 결합을 해제시켜, 링 입력기어(16)만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져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변속기(1)를 차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5의 도시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 전동부(3)는 그 중심축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입력축(10)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또한, 차체 전방에서 보았을 때, 부변속부(5), HST 유닛(40), 및 제1피동축(70)은 유성 전동부(3)를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다.
부변속부(5), HST 유닛(40), 제1피동축(70)과 유성 전동부(3)는 소정의 질량을 갖는 질량 요소들인바, 유성 전동부(3)를 중심으로, 부변속부(5), HST 유닛(40), 제1피동축(70)과 유성 전동부(3)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변속기(1) 전체의 무게 중심을 유성 전동부(3)의 중심축, 즉 엔진(2)의 구동 입력축(10) 상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변속기 전체의 무게 중심이 엔진(2)의 구동 입력축과는 편심되어 위치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구동 입력축(10)의 회전에 따른 각 변속기 요소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단 변속기(1)의 각 구성요소의 회전 요소의 기어 이 사이의 마찰이나 고부하로 인한 소음을 저감 가능하다.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차체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구동 입력축(10)과, HST 유닛(40)의 HST 입력축(44), 제1 부변속부의 구동축(57), 제2 부변속부의 구동축(58)과 제1피동축(70)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 사이에 이루는 각도를 최적화함으로써, 변속기(1) 전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무게 중심을 구동 입력축(10)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속기(1) 전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무게 중심을 구동 입력축(10) 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 입력축(10)과, HST 유닛(40)의 HST 입력축(44), 제1 부변속부의 구동축(57), 제2 부변속부의 구동축(58)과 제1피동축(70)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 사이에 이루는 각도는 각 질량 요소들의 하중, 각 질량 요소들이 구동 입력축(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질량 요소인 HST 유닛(40), 부변속부(5) 및 제1피동축(70)과 유성 전동부(3) 사이의 거리를 최적화함으로써, 변속기(1) 전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무게 중심을 구동 입력축(10)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질량 요소들과 유성 전동부(3) 사이의 거리는 각 질량 요소들의 하중, 차체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 질량 요소들의 회전축이 유성 전동부(3)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1)가 HST 유닛(40), 부변속부(5) 이외에 차량의 전후진 동작을 절환하는 전후진 절환부(6) 및 변속기의 클러치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2차 감속부(7)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배치구조는 여전히 유효하다. 이 경우, 전후진 절환부(6) 및 2차 감속부(7)의 질량 및 위치를 고려하여, 부변속부(5), HST 유닛(40), 제1피동축(70)과 유성 전동부(3) 사이의 상대 위치를 최적화하거나 또는, 유성 전동부(3)와, 전후진 절환부(6), 2차 감속부(7), 부변속부(5), HST 유닛(40) 및 제1 피동축(70) 사이의 상대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변속기(1) 전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무게 중심을 구동 입력축(10) 상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1: 변속기
2: 엔진
3: 유성 기어부
4: HST 유닛부
5: 부변속부
6: 전후진 절환부
7: 2차 감속부
8: 동력절환수단
10: 구동 입력축
11: 제1선기어
12: 유성기어
15: 링기어
16: 링 입력기어
17: 링 출력기어
18: 나사
20: 캐리어
30: 선기어축
31: 제2선기어
51, 52, 80, 140: 클러치
70: 제1피동축
90: 제2피동축
100: 제3피동축
130: 브레이크

Claims (17)

  1.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되고, 내부 유압을 조절하여 입력된 동력을 무단 변속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HST) 유닛(40), 상기 HST 유닛(40)에 의해 무단 변속된 엔진(2)의 동력과, 상기 HST 유닛(40)에 의해 변속되지 않은 엔진(2)의 동력을 복수의 유성 기어에 의해 합성하는 유성 전동부(3) 및 상기 유성 전동부(3)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1 피동축(70)에 전달하는 부변속부(5)를 포함하는,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HST 유닛(40)은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성 전동부(3)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성 전동부(3)는 링기어(15)를 포함하고,
    상기 링기어(15)는, 상기 유성 전동부(3)의 복수의 유성 기어의 일 회전 요소와 연결되는 링 출력기어부(17)와 상기 HST 유닛(40)의 출력축(44)에 형성된 HST 출력 구동 기어(46)와 연결되는 링 입력기어부(16)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아이들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출력기어부(17)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 입력기어부(16)는 축심을 따라 연장되는 구멍을 갖는 환형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 출력기어부(17)의 내주면을 따라 기어 이(teeth)가 형성되고, 상기 링 입력기어부의 외주면(16)을 따라 기어 이(teeth)가 형성되고,
    상기 링 출력기어부(17)는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단(17a)에서 후단(17c)을 향하여 그 지름이 점차 감소하는 축경부(17b)를 구비하고,
    상기 링 출력기어부(17)의 상기 후단(17c) 및 상기 링 입력기어부(16)에는 그 원호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 출력기어부(17)의 상기 후단(17c)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구동 입력축(10)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연장부(17d)가 구비되고,
    상기 링 입력기어부(16)의 상기 구멍의 직경은 상기 연장부(17d)의 외경에 상당하고, 상기 링 입력기어부(16)의 상기 구멍에 상기 링 출력기어부(17)의 상기 연장부(17d)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성 전동부(3)는 그 중심축이 상기 구동 입력축(10)과 동심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단 변속기(1)의 무게 중심이 상기 유성 전동부(3)의 중심축 상에 존재하도록, 상기 HST 유닛(40), 상기 제1피동축(70) 및 상기 부변속부(5)가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입력축(10)은 상기 HST 유닛(40)의 HST 입력축(43)에 연결되고,
    상기 HST 유닛(40)과 상기 부변속부(5)는 상기 구동 입력축(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성 전동부(3)는, 상기 구동 입력축(10)의 구동력과 상기 HST 유닛(40)의 구동력의 합성 구동력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캐리어(20) 및 선기어축(30)을 포함하고,
    상기 부변속부(5)는, 복수의 기어와 클러치로 구성되어, 상기 캐리어(20) 또는 상기 선기어축(30)의 회전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1 피동축(7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변속부(5)는,
    상기 캐리어(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동축(70)으로 출력하는 제1 변속부와,
    상기 선기어축(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동축(70)으로 출력하는 제2 변속부를 구비하고,
    변속 시점에서 상기 제1 변속부 또는 상기 제2 변속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피동축에 연결되어 변속되고,
    상기 제1 변속부와 상기 제2 변속부는 상기 제1 피동축(7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단 변속기(1)의 무게 중심이 상기 유성 전동부(3)의 상기 중심축 상에 존재하도록, 상기 HST 입력축(43), 상기 제1 변속부의 구동축, 상기 제2 변속부의 구동축 및 상기 제1 피동축(70)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변속 시점에서,
    상기 제1 변속부와 상기 제2 변속부의 출력은 상기 제1피동축(70)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출력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속부는 상기 캐리어(20)에 형성된 1/3단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1/3단 변속부이고,
    상기 제2 변속부는 상기 선기어축(30)에 형성된 2/4단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2/4단 변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피동축(70)은 상기 3단 구동기어(61) 및 상기 4단 구동기어(63)와 동시에 연결되는 3/4단 피동기어와(71), 상기 1단 구동기어(62) 및 상기 2단 구동기어(64)와 동시에 연결되는 1/2단 피동기어(72)를 포함하고,
    상기 1/3단 변속부는,
    상기 1/3단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1/3단 피동기어(59)를 구비하고, 제1클러치(51)가 형성된 1/3단 구동축(57)과,
    상기 1/3단 구동축(57)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클러치(51)의 제1클러치부(53)와 제2클러치부(54)에 각각 연결되는 3단 구동기어(61)와 1단 구동기어(62)를 포함하고,
    상기 2/4단 변속부는,
    상기 2/4단 구동기어(32)와 연결되는 2/4단 피동기어를 구비(60)하고, 제2클러치(52)가 형성된 2/4단 구동축(58)과,
    상기 2/4단 구동축(58)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클러치(52)의 제3클러치부(55)와 제4클러치부(56)에 각각 연결되는 4단 구동기어와 2단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3클러치(80)를 구비하는 제2피동축(90);
    상기 제2피동축(90)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클러치(80)의 제5클러치부(81)와 제6클러치부(82)에 각각 연결되는 후진 구동기어(83) 및 전진 구동기어(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피동축(70)에는 후진 아이들 기어를 개재(85)하여 상기 후진 구동기어(83)와 연결되는 후진 연결기어(73)와, 상기 전진 구동기어(84)와 연결되는 전진 연결기어(7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륜(120)과 연결되는 제3피동축(100)과,
    연결축(1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피동축(90)에는 전후진 출력기어(91)가 형성되고,
    상기 제3피동축(100)의 상류측 단부는 상기 전후진 출력기어(91)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류측 단부에는 제3피동축 피동기어(104)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101)에는 상기 전후진 출력기어(91)와 연결되는 제1감속기어(102)와, 상기 제3피동축 피동기어(104)와 연결되는 제2감속기어(103)가 형성되어,
    상기 제2피동축(90)의 회전력이 상기 전후진 출력기어(91)로부터 상기 제1감속기어(102)로 전달되어 상기 연결축(101)을 회전시키고,
    상기 연결축(101)의 회전력이 상기 제2감속기어(103)로부터 상기 제3피동축 피동기어(104)로 전달되어 상기 제3피동축(100)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축(30)은 상기 구동 입력축(10) 상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선기어축(30) 상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입력축(10)에 고정 설치되는 제1선기어(11);
    상기 선기어축(30)에 형성되는 제2선기어(31);
    상기 제1선기어(11)와 연결되는 제1피니언 기어(13)와, 상기 제2선기어(31) 및 상기 링기어(15)의 링 출력기어(17)와 동시에 연결되는 제2피니언 기어(14)를 구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링기어(15)는, 상기 구동 입력축(10)을 중심으로 자유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선기어(31)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에 동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작업 차량이고,
    상기 구동 입력축(10)은 상기 작업 차량의 작업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무단 변속기.
KR20130105383A 2013-09-03 2013-09-03 무단 변속기 KR10150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383A KR101500131B1 (ko) 2013-09-03 2013-09-03 무단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383A KR101500131B1 (ko) 2013-09-03 2013-09-03 무단 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31B1 true KR101500131B1 (ko) 2015-03-06

Family

ID=5302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383A KR101500131B1 (ko) 2013-09-03 2013-09-03 무단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41A (ko) * 2018-05-10 2019-11-20 사단법인 대한엘피지협회 엔진과 변속기의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7467A (ja) * 2004-05-31 2005-12-08 Fuji Univance Corp 合成動力変速装置
KR20070051300A (ko) * 2004-09-08 2007-05-17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변속장치
KR20120086822A (ko) * 2011-01-27 2012-08-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압 기계식 트랜스미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7467A (ja) * 2004-05-31 2005-12-08 Fuji Univance Corp 合成動力変速装置
KR20070051300A (ko) * 2004-09-08 2007-05-17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변속장치
KR20120086822A (ko) * 2011-01-27 2012-08-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압 기계식 트랜스미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41A (ko) * 2018-05-10 2019-11-20 사단법인 대한엘피지협회 엔진과 변속기의 연결장치
KR102159833B1 (ko) * 2018-05-10 2020-09-24 사단법인 대한엘피지협회 엔진과 변속기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942B2 (en) Speed change transmission apparatus
EP1930198B1 (en) Speed change transmission device
EP1325249B1 (en)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JP6396841B2 (ja) トラクタに備えられる伝動装置
US8262530B2 (en) Power-branched transmission
US9394983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work vehicles
US20100204001A1 (en) Power split transmission
WO2016025304A1 (en) Modular arrangement for a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JP6202645B2 (ja) 静油圧および直接駆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
US9810305B2 (en) Gearing device with secondarily coupled power split
US8840503B2 (en) Hydrostatic mechanical transmission equipped with automatic manual sub-gearshift
KR101498810B1 (ko) 무단 변속기
KR101500131B1 (ko) 무단 변속기
JP4939136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1326368B1 (ko) 차량 무단 변속기
EP2949497B1 (en) A transmission system for a vehicle
US10948063B2 (en) Modular arrangement for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KR101505739B1 (ko) 무단 변속기
KR101326416B1 (ko) 차량 변속기
KR101326351B1 (ko) 차량 변속기
JP6628842B2 (ja) 伝動装置
KR101901427B1 (ko) 기계 유압식 변속기
KR20170122609A (ko) 기계 유압식 변속기
JPH10194154A (ja) 農作業機の旋回装置
KR20230064276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