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789B1 -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789B1
KR101499789B1 KR20130120261A KR20130120261A KR101499789B1 KR 101499789 B1 KR101499789 B1 KR 101499789B1 KR 20130120261 A KR20130120261 A KR 20130120261A KR 20130120261 A KR20130120261 A KR 20130120261A KR 101499789 B1 KR101499789 B1 KR 10149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luid
feeding
nano powder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현
김두현
도칠훈
문갑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2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1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using electric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4Nanosiz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05Submicron siz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장치에서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피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 시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와이어를 유체와 함께 자동으로 피딩하는 새로운 형태의 와이어 피딩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대량 생산을 위한 피딩속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으며, 피딩 실패 확률이 낮고 안정적인 피딩이 가능한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Apparatus of automatic wire feeding with fluids for wire explosion in liquids}
본 발명은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장치에서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피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소재로서 극미세 분말 재료(Nanostructured Powder Materials)의 기술 개발은 나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분야의 기반 기술로 응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극미세 분말 재료는 재료 구조의 미세화(100㎚ 이하)와 이에 따른 표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기존의 재료에서는 얻을 수 없는 특이한 전ㆍ자기적, 기계적 및 촉매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극미세 분말 재료는 초고강도 부품, 자성 부품, 열전, 센서, 필터, 촉매 등의 차세대 기능성 소재로서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첨단 산업의 발전에 따라 부품 및 시스템의 고성능화 및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현상학적 길이가 마이크론 또는 서브 마이크론인 구성 인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나노 기술은 부품 및 시스템의 고성능화 및 소형화에 대한 기존 기술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며, 또한 현상학적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새로운 성능이 발현될 수 있기 때문에 미래 기술의 전형이면서 첨단 제품의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것이다.
현재 소정의 재료를 가지고 나노분말(Nanopowders)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전기폭발법에 의한 금속 나노분말 제조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고, 지금도 활발히 연구 중에 있다.
보통 전기폭발법에 의한 금속 나노분말 제조방법은 원료가 되는 금속 와이어(Metal Wire)를 전기폭발이 일어나는 전극에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키는 방법으로서, 전기적 폭발과 함께 금속 와이어가 액중에서 기화되고, 이렇게 기화된 증기의 부피팽창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금속 와이어의 나노분말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금속 와이어를 전기폭발이 일어나는 챔버 내 전극에 공급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롤 피딩(Roll Feeding) 타입의 와이어 피딩방식, 로봇을 이용하는 와이어 자동피딩방식,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전극에 공급하는 수직형 피딩방식 등이 이용된다.
상기 롤 피딩 타입의 와이어 피딩방식은 주로 기중 전기폭발에 활용되고 있으며, 액중 전기폭발에서는 수압에 의한 와이어 변형의 문제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상기 로봇형 자동피딩방식(한국 공개특허 10-2011-0015342호)은 움직이는 부분이 많아서 피딩 속도가 느리며, 로봇팔이 액체속으로 출입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액체의 누수를 막기 위한 게이트와 기타 부속장치를 필요로 한다.
상기 수직형 피딩방식(한국 공개특허 10-2013-0044059호)의 경우,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최소한의 직경을 갖는 가이드를 통하여 전극에 공급하는 방식으로서, 로봇형 자동피딩방식과 비교할 때 효과적으로 액체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대량생산을 위하여 피딩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 시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와이어를 유체와 함께 자동으로 피딩하는 새로운 형태의 와이어 피딩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대량 생산을 위한 피딩속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으며, 피딩 실패 확률이 낮고 안정적인 피딩이 가능한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는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 시에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와이어를 자동으로 피딩하는 장치로서, 나노분말 제조장치에 설치되어 장치 내의 전극으로 와이어를 투입하는 와이어 투입부와, 상기 와이어 투입부에 와이어를 공급하는 수단이며 다수의 와이어를 저장함과 더불어 진동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하나씩 차례차례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와, 상기 와이어 투입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이며 저장하고 있던 유체를 와이어 투입부에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는 유체를 함께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피딩함으로써, 와이어의 안정적인 피딩과 더불어 피딩속도 단축에 따른 대량생산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투입부는 깔대기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단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통하면서 장치 내의 전극측까지 수직 연장되는 관 모양의 피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공급부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와이어를 세워진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진동이 가능하고 바닥 중심에는 와이어 배출을 위한 와이어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용기와, 상기 와이어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와이어 배출구가 있는 중심쪽으로 유도하는 스파이럴 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공급부는 와이어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온 와이어를 잠시 대기시킨 후에 와이어 투입부측으로 낙하시켜주는 스톱퍼 및 이것을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공급부는 하단의 밸브를 가지는 유체 저장탱크와, 상기 유체 저장탱크(21)에 유체를 펌핑하여 채워주는 펌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유체 저장탱크와 펌프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어 유체를 냉각시켜주는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유체 공급부는 장치의 챔버에 채워져 있는 유체를 일부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유체를 함께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피딩하는 방식이므로, 안정적인 피딩은 물론 분당 10회 이상의 피딩이 가능하여 산업적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다양한 종류의 나노분말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둘째, 실리콘 또는 흑연처럼 금속과 같은 유연성이 없는 물질도 자동 피딩이 가능하여, 비금속 나노분말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셋째, 구조가 단순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에서 와이어 공급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는 액중 전기폭발을 이용하는 나노분말 제조장치측에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와이어의 자동 피딩 시 유체를 함께 공급하여, 와이어 피딩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는 나노분말 제조장치 내의 전극측으로 와이어를 투입하는 와이어 투입부(10), 상기 와이어 투입부(10)측으로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11), 상기 와이어 투입부(10)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나노분말 제조장치는 액중에서 전기폭발을 이용하여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오일, 증류수, 절연유 등의 유체가 채워져 있는 챔버(24)와, 상기 챔버(24)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전극(25) 및 하부 전극(26)과, 상기 상하부 전극(25,26)에 고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및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한 재질의 금속 와이어, 유연성이 없는 흑연 또는 실리콘, 기타 비금속 물질의 와이어 등 다양한 소재의 와이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투입부(10)는 장치 내의 챔버(24)측에 설치되어 전극에 와이어를 투입하는 수단으로서, 깔대기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단부의 가이드부(13)와 길다란 관 모양으로 이루어진 하단부의 피딩부(14)로 구성되며, 이때의 가이드부(13)와 피딩부(14)는 서로 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3)는 챔버(24)의 상측 외부에 위치되어 와이어 공급부(11)로부터 낙하되는 와이어를 피딩부(14)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피딩부(14)는 챔버(24)의 내부에 수직 연장되면서 상부 전극(25)의 바로 윗쪽으로 위치되어 와이어를 상부 전극(25)측으로 투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3)에는 도어용 커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3)를 통해 유도된 와이어는 피딩부(14)를 따라 밑으로 내려온 다음, 상부 전극(25)과 하부 전극(26)에 있는 홀과 홈 구조의 와이어 안착부(27a,27b) 내에 세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 공급부(11)는 다수의 와이어를 저장하고 있다가 와이어 투입부(10)측으로 와이어를 하나씩 차례차례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와이어 공급부(11)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와이어를 세워진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와이어 용기(16)와, 상기 와이어 용기(16) 내에 들어 있는 와이어들을 차례로 정렬시켜서 일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스파이럴 가이드(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용기(16)의 바닥 중심부에는 와이어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와이어 배출구(15)를 통해 하나의 와이어가 용기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와이어 용기(16)에는 와이어 보충을 위한 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용기(16)는 진동발생수단(미도시)에 의해 전후 및 좌우,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으며(마치 진동 피더와 같이), 이렇게 와이어 용기(16)의 진동에 의해 그 속에 있는 와이어들은 스파이럴 가이드(17)의 안내를 받으면서 한쪽(중심쪽)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파이럴 가이드(17)는 용기 내에 무작위로 들어 있는 와이어들을 일렬로 차례차례 정렬시켜서 중심의 와이어 배출구(15)쪽으로 진행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와이어 용기(16)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파이럴 가이드(17)의 나선형 폭은 외곽쪽에서부터 중심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서, 중심쪽에 가까이 갈수록 와이어 하나 정도가 진행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와이어 용기(16) 내의 와이어는 용기 진동을 받으면서 스파이럴 가이드(17)를 따라 안내되어 중심쪽에 도달한 후에 그 곳에 있는 와이어 배출구(15)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의 진행 및 배출이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바닥을 호퍼 형태의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스파이럴 가이드를 외곽에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아래로 내려뜨린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공급부(11)는 와이어 용기(16)에서 밑으로 빠져나온 와이어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와이어 투입부(10)측에 보내주는 스톱퍼(18) 및 액추에이터(19)를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18)는 와이어 용기(16)의 와이어 배출구(15)를 빠져나온 와이어(하단 일부가 빠져나온 와이어)를 밑에서 받쳐주는 일종의 받침판 역할을 수행하며, 액추에이터(19)의 작동에 의해 위아래로 젖혀질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9)는 스톱퍼(18)를 젖힘 동작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 모터, 실린더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와이어 용기(16)의 저면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19)와 스톱퍼(18)를 연동방식(액추에이터 작동에 의해 스톱퍼가 젖힘 동작되는 방식)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식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용기(16)의 와이어 배출구(15)를 빠져나온 와이어는 그 바로 밑에서 수평자세를 취하고 있는 스톱퍼(18)에 받쳐지게 되고, 이때 와이어는 용기를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고 길이 일부가 걸쳐져 있는 상태가 되며, 계속해서 액추에이터(19)의 작동으로 스톱퍼(18)가 아래로 젖혀지게 되면, 이때의 와이어는 그 밑에 있는 와이어 투입부(10)의 가이드부(13) 내로 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피딩을 위한 방식으로 와이어 피딩 시 유체를 함께 공급하는 피딩방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와이어가 피딩되는 와이어 투입부(10)에 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유체 공급부(12)가 마련되고, 이때의 유체 공급부(12)에서 제공되는 유체가 피딩되는 와이어와 함께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체 공급부(12)는 일정량의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유체 저장탱크(21) 및 유체의 펌핑을 위한 펌프(22)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저장탱크(21)와 펌프(22)는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펌프(22)에 의해 펌핑되는 유체가 유체 저장탱크(21) 내에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 저장탱크(21)의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배관은 와이어 투입부(10)에 있는 가이드부(13)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유체 저장탱크(21)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가이드부(13) 내로 흘러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체 저장탱크(21)의 배출구, 또는 가이드부측으로 연장되는 배관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밸브(20)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체 저장탱크(21)로부터 와이어 투입부(10)로 보내지는 유체가 단속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저장탱크(21)에는 탱크 내의 상한 및 하한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항상 적정량의 유체가 탱크 내에 채워져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체 저장탱크(21)와 펌프(22) 사이의 배관에는 냉각기(23)가 설치되며, 이때의 냉각기(23)는 배관을 흐르는 유체(챔버 내에서 온도가 올라간 유체)를 냉각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유체 공급부(12)에서 사용하는 유체는 별도의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나노분말 제조장치에서 사용하는 유체를 일부 채취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펌프(22)의 흡입측은 챔버(24)측과 연결되며, 이때의 펌프(22)의 펌핑작동에 의해 챔버(24) 내의 유체가 냉각기(23)를 거쳐 유체 저장탱크(21)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챔버(24)측으로부터 채취한 유체는 와이어 피딩 시 함께 공급되면서 다시 챔버(24)의 내부로 들어오면서 순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100)가 와이어 용기(16) 내에 채워진 상태에서 와이어 용기(16)가 진동을 개시하게 되면, 용기 내의 와이어(100)는 스파이럴 가이드(17)를 따라 안내되면서 와이어 배출구(15)가 있는 중앙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계속해서, 1개의 와이어(100)가 와이어 배출구(15)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렇게 빠져나온 와이어(100)는 길이 절반 정도되는 위치에 스톱퍼(18)에 의해서 받쳐지게 된다.
다음, 상기 스톱퍼(18)에 와이어(100)가 위치되면, 와이어 용기(16)는 진동을 멈추게 되고, 이와 더불어 액추에이터(19)의 작동에 의해 스톱퍼(18)가 아래로 젖혀지면서 이때의 와이어(100)는 가이드부(13)로 낙하된다.
이와 동시에, 유체 공급부(12)의 밸브(20)가 열리면서 유체 저장탱크(21)에 있던 유체 또한 가이드부(13)로 공급되고, 가이드부(13)에 낙하된 와이어(100)는 유체와 함께 피딩부(14)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이렇게 이동되는 와이어(100)는 상부 전극(25)과 하부 전극(26)의 와이어 안착부(27a,27b) 내에 안착된다.
계속해서, 나노분말 제조장치의 가동과 함께 고전압이 전극측에 인가되면서 전기폭발에 의해 와이어가 나노화되고, 결국 나노분말이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나노분말 제조장치의 가동은 종전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작동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와이어 피딩과정은 나노분말 제조장치의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동안에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시퀀스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피딩 시 유체를 함께 공급하여 와이어를 피딩시키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유체를 대신하여 기체로 가이드부에 압력을 가해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 시 와이어를 유체와 함께 자동으로 피딩하는 새로운 와이어 피딩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실리콘이나 흑연처럼 금속과 같은 유연성이 없는 물질도 자동 피딩이 가능하고, 피딩속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으며, 피딩 실패 확률을 낮춰 안정적으로 와이어를 피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나노분말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10 : 와이어 투입부 11 : 와이어 공급부
12 : 유체 공급부 13 : 가이드부
14 : 피딩부 15 : 와이어 배출구
16 : 와이어 용기 17 : 스파이럴 가이드
18 : 스톱퍼 19 : 액추에이터
20 : 밸브 21 : 유체 저장탱크
22 : 펌프 23 : 냉각기
24 : 챔버 25 : 상부 전극
26 : 하부 전극 27a,27b : 와이어 안착부

Claims (7)

  1.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 시에 나노분말의 원료가 되는 와이어를 자동으로 피딩하는 장치로서,
    나노분말 제조장치에 설치되어 장치 내의 전극으로 와이어를 투입하는 와이어 투입부(10)와, 상기 와이어 투입부(10)에 와이어를 공급하는 수단이며 다수의 와이어를 저장함과 더불어 진동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하나씩 차례차례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11)와, 상기 와이어 투입부(10)에 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이며 저장하고 있던 유체를 와이어 투입부(10)에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12)를 포함하며,
    유체를 함께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피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투입부(10)는 깔대기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단의 가이드부(13)와, 상기 가이드부(13)와 통하면서 장치 내의 전극측까지 수직 연장되는 관 모양의 피딩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부(11)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와이어를 세워진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진동이 가능하고 바닥 중심에는 와이어 배출을 위한 와이어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용기(16)와, 상기 와이어 용기(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와이어 배출구(15)가 있는 중심쪽으로 유도하는 스파이럴 가이드(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부(11)는 와이어 용기(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배출구(15)를 통해 빠져나온 와이어를 잠시 대기시킨 후에 와이어 투입부(10)측으로 낙하시켜주는 스톱퍼(18) 및 이것을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12)는 하단의 밸브(20)를 가지는 유체 저장탱크(21)와, 상기 유체 저장탱크(21)에 유체를 펌핑하여 채워주는 펌프(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12)는 유체 저장탱크(21)와 펌프(22)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어 유체를 냉각시켜주는 냉각기(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12)는 장치의 챔버(24)에 채워져 있는 유체를 일부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KR20130120261A 2013-10-10 2013-10-10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KR10149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261A KR101499789B1 (ko) 2013-10-10 2013-10-10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261A KR101499789B1 (ko) 2013-10-10 2013-10-10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789B1 true KR101499789B1 (ko) 2015-03-09

Family

ID=5302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261A KR101499789B1 (ko) 2013-10-10 2013-10-10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7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21B1 (ko) * 1994-04-08 1997-02-26 주식회사 원일정기 와이어 전극 이송 공급을 위한 제트수류의 회수기를 갖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WO2002028581A1 (fr) * 2000-10-05 2002-04-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cede et dispositif d'usinage par etincelage a fil
KR20070024041A (ko) * 2005-08-26 2007-03-02 한국전기연구원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90114805A (ko) * 2008-04-30 2009-11-04 (주) 나노기술 금속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액상물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21B1 (ko) * 1994-04-08 1997-02-26 주식회사 원일정기 와이어 전극 이송 공급을 위한 제트수류의 회수기를 갖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WO2002028581A1 (fr) * 2000-10-05 2002-04-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cede et dispositif d'usinage par etincelage a fil
KR20070024041A (ko) * 2005-08-26 2007-03-02 한국전기연구원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90114805A (ko) * 2008-04-30 2009-11-04 (주) 나노기술 금속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액상물질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4026B (zh) 用于调整电容耦合rf等离子体反应器中的电极空隙的装置
KR101410738B1 (ko) 나노분말 제조를 위한 와이어 자동 피딩 장치
US20130220550A1 (en) Plasma boundary limiter unit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KR101499789B1 (ko) 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자동피딩장치
KR101456939B1 (ko) 코어-쉘 구조를 갖는 나노 입자의 인시튜 제조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567583B (zh) 表面增强发光电场生成底座
CN107078285B (zh) 用于制造线缆型二次电池的阳极的系统
KR20200017254A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0977459B1 (ko)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대량생산 방법 및 시스템
KR102470143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촉매물질 합성장치
KR101350153B1 (ko) 전기폭발에 의한 금속 나노분말 제조장치
CN103415451B (zh) 水位控制装置
KR102330961B1 (ko) 고순도 삼불화붕소 제조 장치
EP3445709B1 (en) Apparatus for making nanoparticles and nanoparticle suspensions
KR101155283B1 (ko)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유체 제조장치
KR20130044059A (ko) 전기폭발에 의한 나노분말 제조장치
CN210934865U (zh) 一种离子液体脱除罐的反应剂的可调进料装置
CN205932296U (zh) 一种圆柱形物料给料器
KR101044336B1 (ko) 핵연료봉의 봉단마개 공급장치
KR102049531B1 (ko) 환원철 제조 장치
CN102760680B (zh) 用于半导体基片处理设备的卡盘组件
KR101975403B1 (ko) 전기선증발을 이용한 금속 나노 분말 제조 장치
KR102078965B1 (ko) 전기수력학 방식의 분사 노즐
CN210752569U (zh) 一种生产用液体反应原料滴加设备
CN218021371U (zh) 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