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714B1 -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714B1
KR101499714B1 KR1020110009296A KR20110009296A KR101499714B1 KR 101499714 B1 KR101499714 B1 KR 101499714B1 KR 1020110009296 A KR1020110009296 A KR 1020110009296A KR 20110009296 A KR20110009296 A KR 20110009296A KR 101499714 B1 KR101499714 B1 KR 10149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otor
base member
coil lead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153A (ko
Inventor
김명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7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는 모터의 축계와 결합하여 상기 축계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일개의 코일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은 상기 코일인출부에 한번에 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Base member for motor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인출선의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저장 장치 중 하나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는 기록재생헤드(read/write head)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를 구동시킬 수 있는 디스크 구동장치가 필요하며, 상기 디스크 구동장치에는 소형의 모터가 사용된다.
소형의 모터에는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변경하는 장치로, 기본적으로 마그네트와 코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코일의 인출선은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베이스 부재의 외부면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코일의 인출선을 베이스 부재에 관통되도록 하는 코일인출부의 직경이 너무 작아 코일의 인출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작업이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코일의 인출선은 3상의 특성상 다수개 구비되어 마그네트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데,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 각각을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코일인출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코일 인출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코일 인출작업이 보다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코일인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는 알루미늄(Al)을 다이캐스팅(Die-Casting) 한 후 다이캐스팅(Die-Casting)에 의해 발생되는 버(Burr) 등을 제거하는 후가공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이어서 제조된 베이스 부재를 코팅처리 하고, 코일 인출선이 관통되는 코일인출부를 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인출부의 가공이 코팅공정보다 후에 배치되는 특성상 코일인출부의 내부면에는 코팅처리가 되지 않아 후에 코일 인출선을 인출하는 경우 베이스 부재와 단선에 의한 불량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코일 인출선을 인출하는 코일인출부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베이스 부재와의 단선을 방지하고, 코일 인출 작업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인출선과 베이스 부재와의 단선을 방지하고, 코일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는 모터의 축계와 결합하여 상기 축계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일개의 코일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은 상기 코일인출부에 한번에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의 상기 코일인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의 상기 코일인출부는 상기 코일 인출선과 상기 몸체부와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는 상기 코일인출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코일 인출선과 상기 몸체부와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인출부보다 작은 인출홀을 구비하는 절연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는 상기 코일인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인출선과 상기 몸체부와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절연물은 상기 코일 인출선이 관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인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절연물은 상기 코일인출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코일인출부에 탄성 변형되어 삽입 결합되도록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상기 모터용 베이스 부재에 결합하며, 샤프트를 지지하는 슬리브;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허브; 및 상기 모터용 베이스 부재에 결합하며,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으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의하면, 코일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인출선과 베이스 부재와의 단선을 방지하여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및 A의 개략 확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B의 개략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절연필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변형 가능한 절연필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절연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변형 가능한 절연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및 A의 개략 확대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B의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를 포함하는 모터(100)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 이하 베이스 부재), 샤프트(120)를 지지하는 슬리브(130) 및 허브(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축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샤프트(12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반경방향 외측 및 내측 방향은 상기 샤프트(120)를 기준으로 허브(140)의 외측단 방향 또는 상기 허브(140)의 외측단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120)의 중심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허브(140)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일 수 있으며, 전원인가시 일정크기의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50) 및 상기 코일(150)이 권선되는 코어(160)를 구비하는 고정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지지부(112)와 몸체부(11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의 축계와 결합하여 상기 축계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2)는 중공을 가지며 축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에는 샤프트(120)를 지지하는 슬리브(13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2)와 상기 슬리브(130)의 결합 방식은 상기 지지부(112)의 내면 혹은 상기 슬리브(130)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2)의 외주면에는 코일(150)이 권선되는 코어(16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의 회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코어(160)는 패턴회로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170)이 결합하는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코일(150)과 대응되는 베이스 부재(110)의 상면에는 상기 코일(150)의 인출선(155)을 하부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코일인출부(116)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150)의 인출선(155)은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인출부(116)는 상기 몸체부(114)에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코일인출부(116)는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인출부(116)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의 수준에서 변경가능함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코일인출부(116)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110)의 구체적인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코일인출부(116)는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부(114a)의 제1 단차부(114a-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몸체부(114)는 상기 지지부(112)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4)의 최외각측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4)는 구체적으로 허브(140)의 내측과 대응되는 내측부(114a)와 상기 허브(140)의 외측과 대응되는 외측부(11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부(114a)의 상부에는 코일(150)이 권선되는 코어(160), 마그네트(180) 및 허브(140)의 디스크 탑재부(14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114a)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한 제1 단차부(114a-1)의 높이가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2 단차부(114a-2)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을 종합하면, 코일(150)의 인출선(155)이 관통하는 코일인출부(116)는 제1 단차부(114a-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부(114a)의 하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70)과 솔더링 등의 결합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160)에 권선되는 코일(150)의 다수개의 인출선(155)은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일개의 상기 코일인출부(116)를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17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150)의 인출선(155)은 다수개일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코일(150)이 3상 코일, 즉,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상기 u상, v상 및 w상 코일(150)의 일단은 커먼부일 수 있으며, 각각의 커먼부는 하나로 취급될 수 있고, 이는 각각의 상기 u상, v상 및 w상 코일(150)의 타단과 함께 4개의 코일 인출선(155)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단일개의 코일인출부(116)에 4개의 상기 코일 인출선(155)을 한번에 인출할 수 있으므로, 각각 별개의 코일인출부를 통해 인출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속도 및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의 상기 코일인출부(116)는 내부면에 코팅 처리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조는 알루미늄(Al)을 다이캐스팅(Die-Casting) 한 후 다이캐스팅(Die-Casting)에 의해 발생되는 버(Burr) 등을 제거하는 후가공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이어서 제조된 베이스 부재(110)를 코팅처리를 하게 되는데, 코일인출부(116)는 다이캐스팅(Die-Casting) 공정에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원호형상의 상기 코일인출부(116)가 형성된 베이스 부재(110)를 코팅처리하게 되므로, 상기 코일인출부(116)의 내면에도 코팅처리가 그래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일 인출선(155)이 상기 코일인출부(116)를 관통하여 인출되는 경우 상기 코일(150)과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코팅으로 인해 단선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슬리브(130)는 회전하는 샤프트(120)의 상단이 축방향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샤프트(120)를 지지하는 고정부재일 수 있으며, Cu 또는 Al을 단조하거나, Cu-Fe계 합금 분말 또는 SUS계 분말을 소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20)는 상기 슬리브(130)의 축공과 미소 간극을 가지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미소 간극에는 오일이 충전되고 상기 샤프트(120)의 외경 및 상기 슬리브(130)의 내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레디얼 동압홈(132)에 의해 허브(140)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의 회전을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에는 슬리브(130)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순환홀(13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홀(134)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의 내부의 오일의 압력을 분산시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모터(100) 내부에 존재하는 기포 등을 순환에 의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130)의 축방향 하부에는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슬리브(130)와 결합하며, 상기 간극에는 오일을 수용하는 커버플레이트(19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90)는 상기 슬리브(130) 사이의 간극에 오일을 수용하여 그 자체로서 상기 샤프트(120)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어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상기 샤프트(120)와 상기 슬리브(130) 사이의 간극, 허브(140)와 상기 슬리브(130)의 사이의 간극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190)와 상기 샤프트(120) 및 상기 슬리브(130) 사이의 간극에 연속적으로 충진되어 전체적으로 풀필(Full-fill)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허브(140)는 베이스 부재(11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구조물이며, 코어(16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환고리형의 마그네트(180)를 내주면에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140)는 샤프트(12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원통형 벽부(142), 상기 제1 원통형 벽부(142)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판부(144), 상기 원판부(144)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원통형 벽부(146) 및 상기 제2 원통형 벽부(146)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 탑재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180)는 제2 원통형 벽부(146)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180)와 코어(160)에 권선되는 코일(150)의 상호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터(100)의 회전구동력을 얻게 된다.
또한, 상기 허브(140)는 상기 슬리브(130)의 상측 외부면 사이에서 오일이 실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이 실링되도록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벽부(149)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주벽부(149)는 회전부재인 허브(14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재인 슬리브(130)의 사이에서 오일이 실링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인 상기 슬리브(130)의 상측 외부면 사이에서 상기 오일의 계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인 슬리브(130)의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절연필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변형 가능한 절연필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의 몸체부(114)에는 절연필름(2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4)의 내측부(114a) 중 제1 단차부(114a-1)와 대응되는 도넛 형상의 절연필름(200)이 상기 제1 단차부(114a-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필름(200)의 내부에는 상기 코일인출부(116)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은 인출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필름(200)은 상기 코일인출부(116)의 하부, 즉, 베이스 부재(110)의 하부면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코일인출부(116)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은 인출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필름(200)은 코일 인출선(155)과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단선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출홀(210)로 인해 그 효과는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절연필름(200)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는 코일인출부(116)의 내면에 코팅처리가 되어 있어, 코일 인출선(155)과 베이스 부재(110)와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나, 코일인출부(116)보다 작은 인출홀(210)을 구비하는 절연필름(200)를 결합함으로써 단선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일인출부(116)보다 작은 인출홀(210)을 구비하는 절연필름(200)으로 인해 코일 인출선(155)이 코일인출부(116)의 유입 및 인출시 상기 몸체부(114)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단선 방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의 몸체부(114)에는 절연필름(2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필름(200')은 도 3을 참조로 기술한 절연필름(200)과 비교하여 형상만 상이할 뿐 그외의 구성 및 효과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필름(200')은 몸체부(114)의 내측부(114a) 중 제1 단차부(114a-1)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인출부(116)와 비율만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절연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와 변형 가능한 절연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의 몸체부(114)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코일인출부(116)에 절연물(3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물(300)은 상기 코일 인출선(155)이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홀(3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인출부(116)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310)은 상기 코일인출부(116)와 비율만 상이할 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310)을 관통한 상기 코일 인출선(155)은 인쇄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물(300)은 상기 코일인출부(11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구비하는 사출물일 수 있다.
즉, 상기 절연물(300)은 고무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인출부(11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물(300)은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코일인출부(116)에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코일 인출선(155)과 베이스 부재(110)의 단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즉, 절연물(300)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는 코일인출부(116)의 내면에 코팅처리가 되어 있어, 코일 인출선(155)과 베이스 부재(110)와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코일인출부(116)에 관통홀(310)을 구비하는 절연물(300)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단선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의 몸체부(114)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코일인출부(116)에 절연물(3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물(300')은 도 5를 참조로 기술한 절연물(300)과 비교하여 관통홀(310')의 갯수만 상이할 뿐 그 외의 구성 및 효과는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310')은 코일 인출선(155)의 갯수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310')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모터용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단일개의 코일인출부(116)에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155)을 한번에 인출할 수 있으므로, 코일(150)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인출부(116)의 내면에 코팅처리, 절연부재(200) 및 절연물(300)로 인해 코일 인출선(155)과 베이스 부재(110)와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성능 및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100: 모터 110: 모터용 베이스 부재
112: 지지부 114: 몸체부
114a: 내측부 114b: 외측부
116: 코일인출부 120: 샤프트
130: 슬리브 140: 허브
150: 코일 155: 코일 인출선
160: 코어 170: 인쇄회로기판
180: 마그네트 190: 커버플레이트
200, 200': 절연필름 210, 210': 인출홀
300, 300': 절연물 310, 310': 관통홀

Claims (8)

  1. 모터의 축계와 결합하여 상기 축계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일개의 코일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코일 인출선은 상기 코일인출부에 한번에 인출되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인출부는 상기 코일 인출선과 상기 몸체부와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처리가 된 모터용 베이스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인출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코일 인출선과 상기 몸체부와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인출부보다 작은 인출홀을 구비하는 절연필름;을 더 포함하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인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인출선과 상기 몸체부와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연물;을 더 포함하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은 상기 코일 인출선이 관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인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은 상기 코일인출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코일인출부에 탄성 변형되어 삽입 결합되도록 탄성을 구비하는 모터용 베이스 부재.
  8.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터용 베이스 부재;
    상기 모터용 베이스 부재에 결합하며, 샤프트를 지지하는 슬리브;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허브; 및
    상기 모터용 베이스 부재에 결합하며,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으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0110009296A 2011-01-31 2011-01-31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49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96A KR101499714B1 (ko) 2011-01-31 2011-01-31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96A KR101499714B1 (ko) 2011-01-31 2011-01-31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53A KR20120088153A (ko) 2012-08-08
KR101499714B1 true KR101499714B1 (ko) 2015-03-09

Family

ID=4687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296A KR101499714B1 (ko) 2011-01-31 2011-01-31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7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553A (ja) * 2004-12-28 2006-07-13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ハウジング部材に形成された貫通孔の封止方法
JP2009110611A (ja) * 2007-10-31 2009-05-21 Panasonic Corp スピンドル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553A (ja) * 2004-12-28 2006-07-13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ハウジング部材に形成された貫通孔の封止方法
JP2009110611A (ja) * 2007-10-31 2009-05-21 Panasonic Corp スピンドル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53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6524B2 (en) Spindle motor having connecting mechanism connecting lead wire and circuit board, and storage disk drive having the same
KR101275472B1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2055075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10290318B2 (en)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including a wire passing from a stator through a base first annular portion hole and soldered to a circuit board land portion
JP2014103727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250624B1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240696B1 (ko) 스테이터 코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8754555B2 (en) Rotating member assembly and spindle motor including the same
JP6231028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KR101499714B1 (ko) 모터용 베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153546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US20120113790A1 (en) Motor and recording disk drive device having the same
JP2019062629A (ja) モータ
JP5665062B2 (ja) モータ及びこれを含む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US10910907B2 (en) Motor
US20130127276A1 (en) Hydrodynamic bearing assembly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US8472133B2 (en) Motor and recording disk drive device
KR20130062642A (ko) 모터용 로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KR101489817B1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20126863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141348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이용하는 모터
KR101124106B1 (ko) 유체 동압 베어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장치
KR20130011629A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8201293A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ハード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3053747A (ja) 流体動圧軸受アセンブ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