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204B1 -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204B1
KR101499204B1 KR1020130116688A KR20130116688A KR101499204B1 KR 101499204 B1 KR101499204 B1 KR 101499204B1 KR 1020130116688 A KR1020130116688 A KR 1020130116688A KR 20130116688 A KR20130116688 A KR 20130116688A KR 101499204 B1 KR101499204 B1 KR 10149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wer plate
slide
ma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221A (ko
Inventor
임용택
Original Assignee
임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택 filed Critical 임용택
Publication of KR2015002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1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with guided foot supports moving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63B21/4031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with parts of the bench moving against a resistance during exercis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메인 안착부와, 상기 메인 안착부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누웠을 때 등 또는 어깨 부위와 머리 부위가 위치되는 보조 안착부 및, 상기 메인 안착부의 하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양 발을 걸림 위치시킨 후, 전후방향으로 출몰시켜 골반과 다리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이 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WAIST HIP AND JOINT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료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자신의 힘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자신의 신체 리듬에 맞추어 편리하고 간편하게 허리골반 교정 및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는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골반 교정 및 관절 운동기구는 전문 병원이나 물리치료실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허리골반 교정 및 관절 운동기구는 전문 의사의 진료 하에 물리치료사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허리골반 교정 및 관절 운동기구는 전문 병원이나 물리치료사 등에 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문 병원과 물리치료사 등을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과 진료와 치료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따랐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211-0105413호(공개일: 2011년 09월 2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허리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 병원이나 물리치료사 등을 찾아가지 않고서도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진료를 위한 이동의 번거로움과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자신의 힘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신체 리듬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어 신체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으며, 편리하고 간편하게 허리골반 교정 및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는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메인 안착부와, 상기 메인 안착부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누웠을 때 등 또는 어깨 부위와 머리 부위가 위치되는 보조 안착부 및, 상기 메인 안착부의 하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양 발을 걸림 위치시킨 후, 전후방향으로 출몰시켜 골반과 다리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이 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하면에 다수의 이동 롤러가 설치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발이 걸림 위치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이동 롤러가 이동가능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제1레일이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제1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 상기 제1레일과 연결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제2레일이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제2하부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전방으로 복귀되도록 인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전단이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의 양측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다수의 보조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안착부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당김 또는 당김 해지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파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당김 동작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당김 해지 동작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를 전방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보조 안착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롤러 및, 상기 지지 롤러에 귄취된 상태로 전단의 손잡이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위치되며,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매트와, 상기 제1매트의 전단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제2매트와, 상기 제1매트의 후단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누웠을 때 등 또는 어깨 부위와 머리 부위가 위치되는 제3매트 및, 상기 제2매트의 상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양 발을 걸림 위치시킨 후, 전후방향으로 출몰시켜 골반과 다리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이 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매트와 상기 제2매트 및 상기 제3매트는 상하로 관통되고, 대응 단부를 향해 좁은 폭으로 개방된 다각의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게 상부 또는 하부로 결합되는 걸림돌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매트와 상기 제2매트 및 상기 제3매트 간의 대응 단부측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제1밸크로 테이프 및, 상기 제1매트와 상기 제2매트 및 상기 제3매트 간의 대응 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1밸크로 테이프들에 부착되는 제2밸크로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부에 사용자의 양 발이 걸림 위치되며, 하부에 전후로 회동 가능한 이동 롤러가 다수로 설치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제2매트의 상면에 전후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 롤러가 대응되게 안착되는 제3레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문 병원이나 물리치료사 등을 찾아가지 않고서도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료를 위한 이동의 번거로움과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자신의 힘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신체 리듬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고, 신체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허리골반 교정 및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허리골반 및 관절 운동을 통해 허리와 골반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고, 무릎 관절도 튼튼하고 유연하게 단련시킬 수 있으며, 뱃살도 뺄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발목과 손목을 양쪽에서 자연스럽게 당겨주게 되므로, 발목, 손목, 어깨관절 및 골격 근력도 튼튼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균형 있는 신체 발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서 파지부의 손잡이가 당겨지고, 슬라이드부가 후퇴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서 메인 안착부와 보조 안착부 및 슬라이드부가 전후 방향으로 접혀지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조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적용한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서 파지부의 손잡이가 당겨지고, 슬라이드부(300)가 후퇴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서 메인 안착부(100)와 보조 안착부(200) 및 슬라이드부(300)가 전후 방향으로 접혀지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조작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는, 메인 안착부(100)와, 보조 안착부(200) 및, 슬라이드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안착부(100)는 바닥 면에 설치되며, 사용자(10)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의 면적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안착부(100)는 도시한 것처럼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안착부(100)의 상면에는 사용자(10)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쿠션부재(11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10)는, 일정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스펀지, 고무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재(110)는 메인 안착부(100)의 중심 또는 전방에 더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재(110)의 상면은 사용자의 허리를 유선형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재(110)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인체와 접하는 비닐, 생가죽, 인공 가죽 등의 표피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안착부(100)의 하면에는 후술될 제2하부플레이트(340)의 상면에 안착 위치시, 일정 간격을 형성시키기 위한 받침부재(S)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S)는, 일정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해 고무,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안착부(200)는, 메인 안착부(100)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10)가 누웠을 때 등, 어깨, 머리 부위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안착부(200)는 도 1에서처럼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 안착부(200)의 상면에는 사용자(10)가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당김 또는 당김 해지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파지부(4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파지부(400)는, 도 2에서처럼 당김 해지 동작을 통해 후술 될 슬라이드부(300)를 전방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한 쌍의 파지부(400)는 도 3에서처럼 당김 동작을 통해 후술될 슬라이드부(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의 허리골반과, 다리 관절 및 팔 관절은 굽혀진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10)는 한 쌍의 파지부(400)와 슬라이드부(300)를 이용해 허리골반과 다리 관절 및 팔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파지부(400)는 지지대(410)와, 지지 롤러(420) 및, 와이어(4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10)는, 보조 안착부(200)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410)는 상기 보조 안착부(200)의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410)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될 지지 롤러(420)의 회전중심을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해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대(410)는, 사용자(10)가 누운 상태에서 팔을 펼쳤을 때, 양 손이 닫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지지 롤러(420)는, 지지대(410)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롤러(420)는 지지대(410)에 수평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롤러(420)의 원주 면에는 후술 될 와이어(430)가 상방과 후방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외이어(430)의 외면과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와이어(430)는, 지지 롤러(420)의 상방과 후방에 귄취된 상태로 전단의 손잡이(431)가 지지대(410)의 전방으로 돌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430)의 후단은 보조 안착부(200)의 하부를 통해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430)의 후단은 후술될 슬라이드부(300)에 연결된다.
즉, 사용자(10)가 손잡이(431)를 잡아당기는 경우, 도 3에서처럼 지지 롤러(420)가 전방으로 회전되고, 손잡이(431)가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와이어(430)에 연결된 슬라이드부(300)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10)가 와이어(430)의 손잡이(431)를 당기는 힘에 의해 탄성부재(343)의 인장력이 극복되며, 이때 사용자의 발은 슬라이드부(30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다리의 굽힘 동작과 팔의 굽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후, 사용자(10)가 와이어(430)의 당김을 해지하는 경우, 슬라이드부(300)탄성부재(343)의 인장력에 의해 원래의 전방으로 복귀되며, 이때 사용자의 다리와 팔은 동시에 펼쳐진다.
위에서 언급한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메인 안착부(100)의 하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상면에 사용자(10)의 양 발을 걸림 위치시킨 후, 전후방향으로 출몰시켜 허리골반과 다리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하면에는 다수의 이동 롤러(310)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 롤러(310)는 슬라이드부(300)의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상면에는 사용자(10)의 양 발을 상면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3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면에 발을 위치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고정부재(330)의 후방에는 사용자(10)의 발 뒤꿈치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단(331)이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331)은, 그 전면이 사용자(10)의 발 뒤꿈치와 대응되도록 오목좌우 부위가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단(331)의 오목 부위에 사용자(10)의 발 뒤꿈치가 지지되므로, 사용자(10)의 양 발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슬라이드부(30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10)가 양 발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후술 될 탄성부재(343)의 인장력에 의해 슬라이드부(300)가 전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10)의 허리골반과 다리와 팔이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므로, 탄성부재(343)의 인장력에 의해 사용자(10)의 허리골반을 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30)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전후 방향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330)와 메인 안착부(100) 상에는 체결부재(볼트, 나사 등)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330)에 양 발을 걸림 위치시킨 사용자(10)의 양쪽 허벅지와 종아리를 묶을 수 있는 벨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벨트로 사용자(10)의 양쪽 허벅지와 종아리를 묶은 후, 메인 안착부(100)와 보조 안착부(200)에 누운 상태로 무릎 구부리기와 펴기, 팔 당기기와 평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드부(300)의 하부에는 바닥 면에 설치되는 제1하부플레이트(340) 및, 제2하부플레이트(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34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상면에는 전술한 이동 롤러(310)가 안착되는 제1레일(341)이 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레일(341)은, 이동 롤러(310)가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로 일정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상부로 직각 연장되고, 다시 외측 방향으로 직각 연장된 절곡 부위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전단에는 후술될 슬라이드부(300)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재(34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상면에는 슬라이드부(300)가 전방으로 복귀되도록 인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3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3)는, 전단이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상면에 결합되고, 그 후단이 슬라이드부(3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43)는 일정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제2하부플레이트(350)는,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후단과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전단은 도 4에서처럼 제1경첩(12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340)와 제2하부플레이트(350)는 상기 제1경첩(1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후단과 전술한 메인 안착부(100)의 후단은 도 4에서처럼 제2경첩(3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후단과 메인 안착부(100)의 후단은 상기 제2경첩(36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안착부(100)의 후단과 보조 안착부(200)의 전단은 제3경첩(370)에 의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안착부(100)의 후단과 보조 안착부(200)의 전단은 도 4에서처럼 상기 제3경첩(37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상면에는 제1레일(341)과 연결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제2레일(351)이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레일(351)과 전술한 제1레일(341)은 전술한 이동 롤러(310)와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레일(351)과 제1레일(341)은 상부로 볼록한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동 롤러(310)의 원주 면에는 제2레일(351)과 제1레일(341)과 대응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레일(351)과 제1레일(341)은 상단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동 롤러(310)는 제2레일(351)과 제1레일(341)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롤러(310)의 외면에는 충격 흡수를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 소재가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50)는 도시한 것처럼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상부로 직각 연장되고, 다시 외측 방향으로 직각 연장된 절곡 부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절곡 부위는 보조 롤러(320)가 이동가능하도록 제1하부플레이트(340)의 절곡 부위와 동일한 높이와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부(300)의 하면에는 제1하부플레이트(340)와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양측 상단을 따라 이동가능한 보조 롤러(3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320)는, 슬라이드부(300)의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제1하부플레이트(340)와 제2하부플레이트(350)의 양측 상단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보조 롤러(320)들에 의해 양 방향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롤러(320)의 외면에는 충격 흡수를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 소재가 피복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는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와, 제3매트(700) 및, 슬라이드부(8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매트(500)는 바닥 면에 설치되며, 사용자(10)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의 면적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매트(500)는 도시한 것처럼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 쿠션력을 갖도록 합성수지, 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제2매트(600)는, 제1매트(500)의 전단에 동일한 사각 패널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매트(600)는 연결부재(900)에 의해 제1매트(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매트(600)는 후술될 슬라이드부(8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면적을 형성한다.
제3매트(700)는, 제1매트(500)의 후단에 동일한 사각 패널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매트(700)는 연결부재(900)에 의해 제1매트(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매트(700)는 사용자(10)가 누웠을 때 등 또는 어깨 부위와 머리 부위가 위치될 수 있는 면적을 형성한다.
연결부재(900)는, 제1밸크로 테이프(910) 및, 제2밸크로 테이프(9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밸크로 테이프(910)는,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 및 제3매트(700) 간의 대응 단부측 하면에 각각 부착된다.
제2밸크로 테이프(920)는,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 및 제3매트(700) 간의 대응 단부 위치에서 제1밸크로 테이프(910)들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1밸크로 테이프(910)는 제2밸크로 테이프(920)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 및 제3매트(700)는 사용자(10)의 신장과 유사한 길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 및 제3매트(700)는 걸림홈(610)과 걸림돌기(620)의 대응되는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610)은, 상하로 관통되고, 대응 단부를 향해 좁은 폭으로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610)은 도 6에서처럼 전방 또는 후방이 좁은 폭으로 개방된 다각 형성을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620)는, 걸림홈(6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홈(6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620)는 결합된 부위가 넓은 폭을 가지므로,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 및 제3매트(700)의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 및 제3매트(700)의 대응 단부에 연결부재(900)를 부착하여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홈(610)과 걸림돌기(620)는, 제1매트(5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응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제2매트(600)의 후단과 제3매트(700)의 전단에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매트(500)와 제2매트(600) 및 제3매트(700)는 걸림홈(610)과 걸림돌기(620)의 대응되는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부재(900)에 의해 대응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800)는, 도 5와 도 6에서처럼 제2매트(600)의 상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드부(800)는, 상면에 사용자(10)의 양 발을 걸림 위치시킨 후, 전후방향으로 출몰시켜 골반과 다리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부(800)는 이동대차(810) 및, 제3레일(8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810)는, 상부에 사용자(10)의 양 발이 걸림 위치되며, 상기 이동대차(810)의 하부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한 이동 롤러(811)가 다수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매트(600)의 상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 롤러(811)가 대응되게 안착되는 제3레일(820)이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3레일(820)은, 이동 롤러(811)와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레일(820)은 상부로 볼록한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동 롤러(811)의 원주 면에는 제3레일(820)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레일(820)은 상단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동 롤러(811)는 제3레일(820)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롤러(811)의 외면에는 충격 흡수를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 소재가 피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전문 병원이나 물리치료사 등을 찾아가지 않고서도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료를 위한 이동의 번거로움과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10)가 편안한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자신의 힘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신체 리듬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고, 신체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허리골반 교정 및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허리골반 및 관절 운동을 통해 허리와 골반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고, 무릎 관절도 튼튼하고 유연하게 단련시킬 수 있으며, 무릎의 굽힘과 펼침 동작을 통해 뱃살도 뺄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발목과 손목을 양쪽에서 자연스럽게 당겨주게 되므로, 발목, 손목, 어깨관절 및 골격 근력도 튼튼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균형 있는 신체 발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100: 메인 안착부
110: 쿠션부재 120: 제1경첩
200: 보조 안착부 300: 슬라이드부
310: 이동 롤러 320: 보조 롤러
330: 고정부재 331: 걸림단
340: 제1하부플레이트 341: 제1레일
342: 이탈방지부재 343: 탄성부재
350: 제2하부플레이트 351: 제2레일
360: 제2경첩 370: 제3경첩
400: 파지부 410: 지지대
420: 지지 롤러 430: 와이어
431: 손잡이 500: 제1매트
600: 제2매트 610: 걸림홈
620: 걸림돌기 700: 제3매트
800: 슬라이드부 810: 이동대차
811: 이동 롤러 820: 제3레일
900: 연결부재 910: 제1밸크로 테이프
920: 제2밸크로 테이프 S: 받침부재

Claims (11)

  1.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메인 안착부;
    상기 메인 안착부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누웠을 때 등 또는 어깨 부위와 머리 부위가 위치되는 보조 안착부; 및
    상기 메인 안착부의 하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양 발을 걸림 위치시킨 후, 전후방향으로 출몰시켜 골반과 다리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이 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하면에 다수의 이동 롤러가 설치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양 발이 걸림 위치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이동 롤러가 이동가능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제1레일이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제1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 상기 제1레일과 연결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제2레일이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제2하부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전방으로 복귀되도록 인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전단이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안착부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당김 또는 당김 해지 동작이 가능하도록 화는 한 쌍의 파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보조 안착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롤러 및,
    상기 지지 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전단의 손잡이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위치되며,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되,
    외력을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당기면 상기 슬라이드부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인장시키고,
    상기 와이어를 당기는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인장력에 의해 전방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의 양측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다수의 보조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16688A 2013-08-26 2013-09-30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 KR101499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195 2013-08-26
KR20130101195 2013-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221A KR20150024221A (ko) 2015-03-06
KR101499204B1 true KR101499204B1 (ko) 2015-03-09

Family

ID=5302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688A KR101499204B1 (ko) 2013-08-26 2013-09-30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5543S1 (en) * 2021-05-26 2023-05-09 Anker Innovations Technology Co., Ltd. Brac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141Y1 (ko) * 1997-05-02 1999-12-15 조범영 슬라이딩식 전신운동기구
KR20080003549U (ko) * 2007-02-22 2008-08-27 박승 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한 전신 신장 운동기구
KR101070813B1 (ko) * 2011-05-30 2011-10-06 오승훈 전신 운동기
KR20120008987U (ko) * 2011-06-20 2012-12-28 조범영 척추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141Y1 (ko) * 1997-05-02 1999-12-15 조범영 슬라이딩식 전신운동기구
KR20080003549U (ko) * 2007-02-22 2008-08-27 박승 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한 전신 신장 운동기구
KR101070813B1 (ko) * 2011-05-30 2011-10-06 오승훈 전신 운동기
KR20120008987U (ko) * 2011-06-20 2012-12-28 조범영 척추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221A (ko) 201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67560B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US7946971B2 (en) Stretching and conditioning apparatus
US5029850A (en) Exercising apparatus
CA2754634C (en) Isometric exercise apparatus and storage rack therefor
US5669865A (en) body fold and extension exercise apparatus
US7896784B2 (en) Stride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6626807B1 (en) Exercise equipment
JP2012115566A (ja) 下肢屈伸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US5743837A (en) Body mounted musc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KR101499204B1 (ko) 허리골반과 관절 운동기구
US9616268B2 (en) Exercise cushion
JP3147055U (ja) 健康器具
TWI803425B (zh) 髖膝關節兩用式復健機
CN212383157U (zh) 一种腿部屈伸训练器
JPH11319145A (ja) 脚部および腹部の美容運動具
KR20100000660U (ko) 다목적 슬라이드 운동기구
TWM269055U (en) A new rehabilitating device for lower extremities
KR20180002584U (ko) 신장 이완용 복합 운동기구
TWI610703B (zh) 多工蹲立健身器
TWM545618U (zh) 多工蹲立健身器
JP2004016577A (ja) 健康維持を目的とする室内運動器具
ITMI971866A1 (it) Attrezzo perfezionato per l'esecuzione di esercizi ginnici di stiramento muscolare e di esercizi di respirazione
JP2017038659A (ja) 腹筋運動補助具
KR101817790B1 (ko) 하체운동보조기구
JP3124288U (ja) 腰痛治療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