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46B1 - 온열치료기 - Google Patents

온열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46B1
KR101499146B1 KR1020130038883A KR20130038883A KR101499146B1 KR 101499146 B1 KR101499146 B1 KR 101499146B1 KR 1020130038883 A KR1020130038883 A KR 1020130038883A KR 20130038883 A KR20130038883 A KR 20130038883A KR 101499146 B1 KR101499146 B1 KR 10149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veying roller
guide rails
pai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369A (ko
Inventor
이동명
이상민
유호상
박지훈
최상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라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to KR102013003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146B1/ko
Priority to CN201410120468.4A priority patent/CN104095741B/zh
Priority to RU2015147890A priority patent/RU2608236C1/ru
Priority to US14/783,716 priority patent/US10610443B2/en
Priority to RU2016113387A priority patent/RU2640010C1/ru
Priority to PCT/KR2014/003093 priority patent/WO2014168421A1/ko
Publication of KR2014012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46B1/ko
Priority to US16/802,486 priority patent/US1191853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using a remot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10);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은 상기 제2 하우징(20)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플레이트의 이송롤러가 주행하는 가이드레일이 제2 하우징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레일을 장착하여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비효율성을 없애고, 이를 통하여 제품의 조립성과 생산성,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열치료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온열치료기{HOT-HEAT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이송플레이트의 이송롤러가 주행하는 가이드레일이 제2 하우징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레일을 장착하여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비효율성을 없애고, 이를 통하여 제품의 조립성과 생산성,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열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열치료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1997-0002202호(1997.02.25.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신체균형운동 맛사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납틀체; 상기 수납틀체위에 착탈가능케 위치되는 매트; 상기 수납틀체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제1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에 대하여 가교상(架橋狀)으로 배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가동판체; 상기 제1가동판체에 상·하 탄성적으로 설치되며, 진동작 동하는 진동수단; 및 상기 제1가동판체를 왕복가동하는 가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침대모양의 본체내부에 안마, 지압, 진동 등의 다기능을 구비한 것에 의해, 뼈의 이상과 근육피로를 시원하게 풀어 주도록 함과 아울러 신체를 균형 있게 유지시킴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안내레일은 별도로 제작되어 수납틀체 내부에 배치되므로, 안내레일을 수납틀체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고, 또한 안내레일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내레일의 제작 비용이 추가로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송플레이트의 이송롤러가 주행하는 가이드레일이 제2 하우징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레일을 장착하여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비효율성을 없애고, 이를 통하여 제품의 조립성과 생산성, 경제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상면이 경사진 형태의 슬라이드부로 구성되고, 슬라이드부에 얹히는 이송롤러 역시 슬라이드부에 대응되는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어 슬라이드부와 이송롤러와의 접촉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 이송롤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주행 중, 안정성을 향상 및 안전한 제품의 사용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플레이트에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이동경로의 선단과 종단에 이송플레이트가 도달하는 경우 자동 방향 전환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장치의 작동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치의 원격 조정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위한 수납부가 구비되어 리모트 컨트롤러가 수용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의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나, 수납부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성체가 구비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는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10);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은 상기 제2 하우징(20)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상면은 내측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슬라이드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는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슬라이드부(41)에 대응하도록 외주면이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접촉부(3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하우징(10)에는 상기 이송롤러(31)의 상부에 배열되어 이송롤러(31)의 주행 중, 상기 이송롤러(31)가 가이드레일(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롤러(31)의 내측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안내돌기(3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는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20);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온열치료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는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20);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60)(remote controller); 및 상기 제1 하우징(1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가 수용되는 수납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납부(70)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 또는 이들 모두에는 리모트 컨트롤러(60)의 착탈을 위한 탈부착부재(8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는 이송플레이트의 이송롤러가 주행하는 가이드레일이 제2 하우징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레일을 장착하여야 함으로서 비율성을 없애고, 이를 통하여 제품의 조립성과 생산성,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상면이 경사진 형태의 슬라이드부로 구성되고, 슬라이드부에 얹히는 이송롤러 역시 슬라이드부에 대응되는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어 슬라이드부와 이송롤러와의 접촉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 이송롤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주행 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송플레이트에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이동경로의 선단과 종단에 이송플레이트가 도달하는 경우 자동 방향 전환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장치의 작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치의 원격 조정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위한 수납부가 구비되어 리모트 컨트롤러가 수용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의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나, 수납부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성체가 구비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과,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와,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상기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2 하우징(20)은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작되어 상하로 배열되어 상호 결합되고,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20)의 성형을 위한 사출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되어 각 하우징이 성형된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10)은 상기 제2 하우징(20)에 결합되는 중간하우징(10B)과, 상기 중간하우징(10B)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10A)과, 상기 상부하우징(10A)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는 커버부재(10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20)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이 구비되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40)에는 이송플레이트(30)에 구비된 이송롤러(31)가 얹히어 이송플레이트(30)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30)에는 도자부재와 같은 마사지구(100)가 장착되어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되면 상기 이송롤러(31)가 가이드레일(40)을 활주하여 이송플레이트(30)의 전후진 동작을 통하여 마사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40)은 상기 제2 하우징(20)의 사출성형 시, 일체로 성형된다.
이는 종래와 같이 레일이 장착되는 구조인 경우 레일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이에 의하여 생산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별도의 레일 제작을 위한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상기 제2 하우징(20)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레일 장착을 위한 별도 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레일 제작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레일(40)을 활주하는 이송롤러(31)의 유동이나, 가이드레일(4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가이드레일(40) 상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향해 하방 또는 상방으로 경사진 슬라이드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31)는 상기 슬라이드부(41)에 대응하도록 내측방향으로 향해 하방 또는 상방으로 경사진 접촉부(3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41)에 이송롤러(31)가 얹히게 되면 슬라이드부(41)와 이송롤러(31)의 접촉부(33)가 동일한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일정한 하중(상기 이송플레이트(30)에 의한 하중, 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하중과,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되는 마사지구(100)에 가해지는 전달되는 사용자의 하중)을 받는 이송롤러(31)는 경사면에 의하여 내측방향이나, 또는 외측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31)가 좌우측 또는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슬라이드부(41)와 접촉부(33)간의 경사면에 의하여 유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41)와 상기 이송롤러(31)의 접촉부(33)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면이 낮아지는 형태(제1례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접촉부의 경사면은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제2례)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슬라이드부(41)와 이송롤러(31)의 접촉부(33) 경사면이 제2례의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각 이송롤러(31)는 벌어지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송플레이트(30)와 이송롤러(31)와의 연결부위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연결부위가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부(41)와 이송롤러(31)의 접촉부(33)의 경사면은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의 제1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31)의 접촉부(33)는 도 2(상부 확대도 참조)의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송롤러의 또 다른 변형례로 도 2(하부 확대도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31)에는 제1례의 경우 상기 접촉부(33)에 연결되고, 외측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슬라이드부(41)와 접촉하는 평면부(35)가 더 구비되어 이송롤러(41)와 슬라이드부(41) 간의 마찰면적을 줄여 마찰에 의한 동력손실이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례의 경우에는 상기 평면부는 내측방향에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송롤러(31)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하우징(1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0)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레일(4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이탈방지부재(11)가 도입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1)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레일(40)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0)과 이탈방지부재(11) 사이에 이송롤러(31)가 배치되므로 이탈방지부재(11)에 의하여 이송롤러(31)의 상부방향으로의 유동이나, 이탈이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재(11)는 이송롤러(31)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이송롤러(31)와 비접촉하도록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11)는 도 2와 같이 하면이 평면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이송롤러(31)의 접촉부(33)에 대응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이탈방지부재(11)는 이송롤러(31)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경사면 역시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송롤러(31)의 내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안내돌기(3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이송롤러(31)가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안내돌기(37)가 가이드레일(40)의 내벽면에 걸려 상기 이송롤러(31)가 슬라이드부(41)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여 이송롤러(31)의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안내돌기(37)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레일(40)과 이탈방지부재(11)와 이격 거리 보다 크게 제작되어 가이드레일(40)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부재(11)의 내벽면에도 걸릴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플레이트(30)에는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리미트스위치(50)가 구비되어 이송플레이트(30)가 이동 경로의 선단과 종단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리미트스위치(50)가 구조물에 접촉되면서 이동 방향이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가 원활히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리미트스위치(50)는 이송플레이트(30)의 전방 및 후방, 모두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리모트 컨트롤러(60)가 구비되는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는 상기 제1 하우징(1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수납부(70)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70)는 리모트 컨트롤러(60)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항상 장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하우징(10)은 중간하우징(10B)과, 상부하우징(10A)으로 구성되어 상기 중간하우징(10B)과 상부하우징(10A)에 함 형태의 수납부(70)가 장착되나,
상기 수납부(70)는 사용자에 편의를 위한 것으로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납부(70)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 또는 이들 모두에는 리모트 컨트롤러(60)의 착탈을 위한 탈부착부재(80)가 구비되는데,
상기 탈부착부재(80)는 마그네틱이나, 벨크로 등과 같이 부착되는 형태이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60)가 끼워지거나, 배출되는 구조물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부착부재(80)가 마그네틱 또는 벨크로인 경우에는 수납부(70)와 리모트 컨트롤러(60) 모두에 구비되고, 탈부착부재가 구조물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70)에 내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수납부(70)와 리모트 컨트롤러(60)에 상호 대응하도록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온열치료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마사지구
10 : 제1 하우징
10A : 상부하우징 10B : 중간하우징
10C : 커버부재
11 : 이탈방지부재
20 : 제2 하우징
30 : 이송플레이트
31 : 이송롤러 33 : 접촉부
35 : 평면부 37 : 안내돌기
40 : 가이드레일
41 : 슬라이드부
50 : 리미트스위치
60 : 리모트 컨트롤러
70 : 수납부
80 : 탈부착부재

Claims (8)

  1.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20);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은 상기 제2 하우징(20)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상면은 내측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슬라이드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는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슬라이드부(41)에 대응하도록 외주면이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접촉부(3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에는 상기 이송롤러(31)의 상부에 배열되어 이송롤러(31)의 주행 중, 상기 이송롤러(31)가 가이드레일(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31)의 내측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안내돌기(3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6.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20);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상면은 내측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슬라이드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7.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20);
    양측에 이송롤러(31)가 구비된 이송플레이트(30);
    상기 제2 하우징(2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0)의 각 이송롤러(31)가 얹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60)(remote controller); 및
    상기 제1 하우징(1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가 수용되는 수납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0) 상면은 내측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슬라이드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70)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 또는 이들 모두에는 리모트 컨트롤러(60)의 착탈을 위한 탈부착부재(8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KR1020130038883A 2013-04-09 2013-04-09 온열치료기 KR10149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883A KR101499146B1 (ko) 2013-04-09 2013-04-09 온열치료기
CN201410120468.4A CN104095741B (zh) 2013-04-09 2014-03-27 一种热疗装置
RU2015147890A RU2608236C1 (ru) 2013-04-09 2014-04-09 Терм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14/783,716 US10610443B2 (en) 2013-04-09 2014-04-09 Thermotherapy device
RU2016113387A RU2640010C1 (ru) 2013-04-09 2014-04-09 Терм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PCT/KR2014/003093 WO2014168421A1 (ko) 2013-04-09 2014-04-09 온열치료기
US16/802,486 US11918531B2 (en) 2013-04-09 2020-02-26 Thermotherap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883A KR101499146B1 (ko) 2013-04-09 2013-04-09 온열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69A KR20140122369A (ko) 2014-10-20
KR101499146B1 true KR101499146B1 (ko) 2015-03-09

Family

ID=5199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883A KR101499146B1 (ko) 2013-04-09 2013-04-09 온열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1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851A (ko) * 2001-12-28 2002-04-04 김범진 온열치료침대의 지지프레임
KR20020078516A (ko) * 2001-04-03 2002-10-19 이명일 온열찜질 및 진동지압 맛사지 시스템
KR20020085703A (ko) * 2001-05-10 2002-11-16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보조치료기가 구비된 자동 온열치료장치
KR20030064459A (ko) * 2002-01-28 2003-08-02 박상규 자동 온열치료기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516A (ko) * 2001-04-03 2002-10-19 이명일 온열찜질 및 진동지압 맛사지 시스템
KR20020085703A (ko) * 2001-05-10 2002-11-16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보조치료기가 구비된 자동 온열치료장치
KR20020025851A (ko) * 2001-12-28 2002-04-04 김범진 온열치료침대의 지지프레임
KR20030064459A (ko) * 2002-01-28 2003-08-02 박상규 자동 온열치료기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69A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897B1 (ko)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JP5875640B1 (ja) 自律走行車
US9502702B2 (en) Bicycle battery holder, bicycle battery, and retaining member for bicycle battery
US20140373304A1 (en)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CN101089647A (zh) 磁共振仪的头部线圈系统
KR101718233B1 (ko) 진공 청소기
KR101499146B1 (ko) 온열치료기
US20130318878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 method installing such a device
CN202896348U (zh) 可两自由度调节的电动腰托
JP2014072901A (ja) 車両給電装置
KR101598484B1 (ko)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CN105773049A (zh) 一种可快速取料的双工位联动定位装置
CN205769843U (zh) 一种三段式电动平衡扭扭车
CN102753306A (zh) 具有用于支承壳体中的部件的弹性体元件的手持式工具机
CN106973504B (zh) 一种pcb分板机用pcb板体自动固定移动机构
CN217573979U (zh) 一种带自动上料机构的聚烯烃挤出发泡用挤出机
CN105798518A (zh) 一种双工位联动定位和压料装置
KR20120069353A (ko) 공작기계의 조작반 위치조절장치
KR101733313B1 (ko) 건전지 케이스
WO2011126780A3 (en) Mold assembly with integrated melting device
CN102476599A (zh) 一种座椅头枕的调节装置
US20170367227A1 (en) Component placement machine and attachment
FI20060365L (fi) Hallinta- ja ohjausvälineet ja ohjauskäsittely sähkökäyttöistä itsenäisesti liikuteltavaa laitetta varten
CN109073021A (zh) 用于衰减第一振动元件与第二元件之间的振动的装置
CN208547678U (zh) 一种排线软板类通用型测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