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82B1 -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982B1
KR101498982B1 KR20140031430A KR20140031430A KR101498982B1 KR 101498982 B1 KR101498982 B1 KR 101498982B1 KR 20140031430 A KR20140031430 A KR 20140031430A KR 20140031430 A KR20140031430 A KR 20140031430A KR 101498982 B1 KR101498982 B1 KR 101498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resistance value
disassembly
voltage
re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로텍
Priority to KR2014003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8Motors; Power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61B17/1624Drive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저항값을 유지하는 저항피막이 형성된 분해센서가 상기 핸드피스의 조립체에 형성된 분해센서 설치공간부에 각각 마련되며, 조립 과정에서 상호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저항피막 간 병렬접속이 이루어지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검출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변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최초 전원 공급 시 상기 병렬접속된 저항피막의 저항값을 등록하고, 상기 AD 컨버터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설정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파괴신호에 응답하여 핸드피스 구동모터의 구동코일로 파괴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부; 및 충전전압을 유지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 파괴전압 생성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재사용 또는 부품활용을 위한 분해 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핸드피스의 불법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DISASSEMBLE FOR DISPOSABLE MEDICAL HANDPIECE}
본 발명은 일회용 핸드피스(Handpiesc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재사용 또는 부품활용을 위한 분해 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핸드피스의 불법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용 핸드피스 예컨대, 드릴(Drill), 림머(Reamer), 쏘우(Saw)는 외과 수술 과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력 추진의 수술용 도구이다. 이러한 수술용 핸드피스는 일반적으로 모터와, 모터의 가동을 조절하는 상보적인 제어회로를 하우징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한다.
상기한 핸드피스의 구조를 살펴 보기 위해 쏘우(Ssw) 즉 시상 톱을 일 예로 할 때, 핸드피스로부터 전방, 선단으로 연장하는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의 내부에는 요동하는 샤프트가 있으며, 상기 요동하는 샤프트에 제거 가능하게 톱 블레이드가 부착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노출된 최전방 가장자리는 톱니(이빨)로 형성된다. 상기 톱니는 블레이드가 적용되는 조직을 절단한다. 하우징 내부의 구동 기구는 동력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동력이 인가되어 상기 샤프트 및 부착된 블레이드가, 블레이드가 정렬된 전후 패턴(back-and-forth pattern)으로 이동하도록 요동 샤프트를 가동한다. 상기 톱이 그와 같이 가동될 때, 상기 블레이드 톱니는 이것이 적용되는 조직에 대해 전후 패턴으로 이동한다.
톱을 붙잡는 외과의사에 의해 가해진 전방 압력에 기인하여, 톱니는 상기 블레이드가 가해진 단단한 조직을 절단하고 분리한다. 시상 톱은 뼈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외과 수술 과정에 흔히 이용된다. 여기서, 외과의사는 환자의 관절 사이의 뼈를 절제(resect)하고 내고 인공 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 예시될 수 있다.
외과수술 과정에서, 절개될 부분(section)이 뼈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부분이 정확한 라인을 따라 제거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확성이 필수적인데, 그 이유는 대체 관절이, 적소에 놓여진 뼈의 단면의 절단선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정확하게 맞춰지도록 설계된 요소를 통상적으로 갖기 때문이다. 절단이 뼈에 적절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서, 외과의사는 통상적으로 흔히 지그(jig)라 불리는 커팅 가이드(cutting guide)를 절단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근부 뼈에 먼저 장착한다.
커팅 가이드의 한 형태는 정확하게 형성된 슬롯의 세트로 된 블록 형태이다. 이 슬롯은 라인을 형성하고 이 라인을 따라 뼈가 절단된다. 외과의사는 슬롯에 톱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뼈를 제거한다. 일단 블레이드가 슬롯에 삽입되면, 톱이 가동된다. 이러한 배치는 외과의사로 하여금 정확하게 정의된 라인을 따라 뼈를 절단할 수 있게 한다.
현재 이용가능한 시상 톱과 이들의 상보형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가 적용되는 뼈를 적절하게 절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합에 일부 제한이 있다. 많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상 톱에는 요동하는 편평한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슬롯(들)을 정의하는 커팅 가이드 재료를 불가피하게 문지른다. 이와 같은 반복적인 접촉은 이 슬롯을 형성하는 재료를 마모시킨다. 결국 상기 슬롯은 의도된 절단선을 더 이상 정확하게 형성하지 못하도록 확대될 수 있다. 일단 커팅 가이드가 마모되면 상기 블레이드는 교체된다.
그리고, 수술이 완료되면 블레이드의 교체와 더불어, 수술용 핸드피스는 파기된다. 이는 수술 과정에서 핸드피스로 환자의 혈액이 침투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술용 핸드피스 또한 일회용으로 적용되어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가의 수술용 핸드피스를 재사용하는 경향이 다소 발견되고 있어, 시술에 의한 타환자의 2차적 감염을 우려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는 시술자의 도의적 책임하에 핸드피스의 재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이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은 구축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1156, 발명의 명칭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재사용 확인장치')가 개시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의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핸드피스의 구동모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인지하여 이를 정격화된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303), 상기 신호 변환부(303)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신호를 토대로 최초 구동모터의 동작상태를 인지한 후,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고 구동모터의 재구동이 이루어질 경우 램프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1), 상기 제어부(30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램프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점등되는 램프(L)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 변환부(303)는 핸드피스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동작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램프(L)는 상기 구동모터의 최초 동작 시 그린 컬러로 발광하고, 전술된 시간 간격 이후에 구동모터가 재사용될 경우 레드 컬러로 발광토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재사용 확인장치는 전류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일회용인 상기 핸드피스를 다수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 및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로 인해 상기 핸드피스를 일회성으로 한정하지 못하게 되어 초기 목적의 달성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1156, 발명의 명칭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재사용 확인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재사용 또는 부품활용을 위한 분해 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핸드피스의 불법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피스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두 조립체 사이로 스위칭 수단을 장착하고, 조립체 개방에 의한 스위칭 수단의 측정값 변화시 핸드피스의 구동을 영구 정지시킬 수 있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는,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저항값을 유지하는 저항피막이 형성된 분해센서가 상기 핸드피스의 조립체에 형성된 분해센서 설치공간부에 각각 마련되며, 조립 과정에서 상호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저항피막 간 병렬접속이 이루어지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검출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변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최초 전원 공급 시 상기 병렬접속된 저항피막의 저항값을 등록하고, 상기 AD 컨버터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설정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파괴신호에 응답하여 핸드피스 구동모터의 구동코일로 파괴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부; 및 충전전압을 유지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 파괴전압 생성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부의 출력전압은 직류 600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센서는 필름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피막은 피막 형태의 탄소가 상기 필름재질 상으로 프린트되어 임의 저항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는,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재사용 또는 부품활용을 위한 분해 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핸드피스의 불법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두 조립체 사이로 스위칭 수단을 장착하고, 조립체 개방에 의한 스위칭 수단의 측정값 변화시 핸드피스의 구동을 영구 정지시킬 수 있음에 따라 핸드피스의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로 적용되는 스위칭 수단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체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의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일회용 핸드피스의 재사용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무단 분해를 인지하기 위해, 무단 분해 시 조립체의 개방 과정에서 저항값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무단 분해를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무단 분해는 핸드피스의 구동모터를 훼손시켜 재사용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핸드피스의 구동모터를 훼손하는 것은 구동모터의 코일을 파괴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구동모터로 파괴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파손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파손회로는 예컨대, 정격 전압을 충분히 벗어난 고전압을 공급하는 회로로써, 대략 600V 이상의 전압을 설정 시간 동안 공급한다. 이때, 공급 전류량은 최소화하여 파손회로의 소비전력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손회로에서 공급되는 파괴전압은 내장 배터리에 의해 생성되며, 평상시 배터리는 충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저항값 변화는 두 조립체 간 분해 과정에서 검출되는 것으로, 최초 조립 시 설정된 저항값이 분해 과정에서 가변하며, 파손회로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구동모터를 파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손회로는 조립체의 분해 상태를 검출하는 분해센서와 연동하며, 분해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동모터의 파손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분해센서는 도 1에서 도시하는 조립체의 일부에 설치 공간부가 마련되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00)는 상호 대향하도록 한 쌍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권취 가능한 구조의 하우징(101)이 상호 체결되도록 체결구(103)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1)의 안측에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동체 설치공간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 설치공간부(105)와 연통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엑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엑츄에이터 설치공간부(107)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구동체 설치공간부(105) 및 엑츄에이터 설치공간부(107) 사이로 상기 하우징(101)의 분해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분해센서가 설치되는 분해센서 설치공간부(109)와, 일회용 핸드피스의 동작지시를 위한 동작버튼(111)과 근접된 위치에서 파손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도록 제어부 설치공간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분해센서는 고정된 저항값을 갖는 저항피막 구조의 저항체가 각 하우징(101)의 분해센서 설치공간부(109)에 설치된 후, 두 개의 하우징(101)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저항체를 형성한다. 즉, 각 하우징(101)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저항피막이 상호 맞닿게 될 경우, 전기적으로 병렬접속되어 저항값이 가변한다.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는 조립 후 제어부에서 인지하며, 추후 조립체(100)가 분해될 때,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며, 제어부는 분해센서의 저항값 변화를 기반으로 구동모터를 파손시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핸드피스의 재사용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핸드피스의 재사용을 위한 분해 시 핸드피스의 구동모터를 파괴함으로써, 핸드피스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핸드피스의 재사용 시 이를 방지함을 원칙으로 하며, 이후 재사용을 목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핸드피스의 구동모터를 파괴토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출원인이 2013년 5월 23일자로 출원한 제 10-2013-0058205호 '의료용 쏘우 핸드피스의 재사용 방지 장치'에서 언급한 재사용방지 방법을 기반으로 핸드피스의 재사용방지가 원천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사용방지가 이루어진 핸드피스를 강제 분해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동모터의 파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저항값을 유지하는 저항피막(205)이 형성된 분해센서(203)가 상기 조립체(100)의 분해센서 설치공간부(109)에 각각 마련되며, 조립 과정에서 상호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저항피막(205) 간 병렬접속이 이루어지는 센싱부(207)와, 상기 센싱부(207)의 검출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변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213)와, 최초 전원 공급 시 상기 병렬접속된 저항피막의 저항값을 등록하고, 상기 AD 컨버터(213)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설정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11)와, 상기 제어부(211)의 파괴신호에 응답하여 핸드피스 구동모터(231)의 구동코일(233)로 파괴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부(221)와, 충전전압을 유지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221)로 파괴전압 생성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2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전압 발생부(221)의 출력전압은 핸드피스의 용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직류 600V 이상이다. 이러한 파괴전압은 구동모터의 사용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파과전압의 변동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AD 컨버터(213)의 정확한 동작을 위한 레귤레이터(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219)는 핸드피스로 공급되는 전압을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출력하는 것으로, 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5)는 핸드피스의 현재 동작상태 즉,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5)와 연동하며, 상기 표시부(215)는 LCD, LED 등의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음성출력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해센서(203)는 필름재질로 구성되고, 필름상에 저항피막(205)이 형성되어 센싱부(207)를 형성한다. 상기 저항피막(205)은 피막 형태의 탄소가 프린트된 구조이며, 임의의 저항값을 갖도록 설계된다. 상기 센싱부(207)는 상기 두 조립체(100)의 분해센서 설치공간부(109)에 각각 장착되어 조립체(100)의 조립 과정에서 상호 맞닿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각 분해센서(203)를 구성하는 각각의 저항피막(205) 형상은 상호 대향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양 종단부만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항피막(205)은 상호 맞닿는 구조로서 전기적으로 병렬접속된다. 그리고, 저항피막(205) 간의 병렬접속에 따른 저항값은 상기 제어부(211)에 등록되어 있다.
상기 분해센서(203)는 필름재질로써 소정의 탄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조립체(100)의 조립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탄성을 유도하기 위한 탄성체를 분해센서(203)의 배면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장 배터리(217)는 제조 과정에서 충전되지 않는 상태이며, 핸드피스의 조립이 완성된 후 충전이 이루어진다. 내장 배터리(217)는 실질적으로 핸드피스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아니며, 전술된 제어부(211) 및 고전압 발생부(221)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구동용 배터리이다.
상기 조립체(100)의 제어부 설치공간부(113)에 파손회로가 구비된 PCB가 장착되고, 상기 분해센서 설치공간부(109)에 상기 센싱부(207)가 각각으로 설치되어 상기 PCB 간 배선이 이루어진다. 이외의 부품 조립은 조립순서에 따라 구동모터, 엑츄에이터 등이 설치된 후, 체결구(103)를 통해 두 개의 조립체(100)가 나사 결합된다.
조립체(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센싱부(207)의 분해센서(203)는 상호 맞닿게 되어 설정된 저항값을 유지한다. 이후, 조립된 핸드피스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내장 배터리(217)에 충전전압이 생성되고, 제어부(211)의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진다.
제어부(211)의 초기화 동작은 핸드피스의 재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시부(215)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핸드피스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표시부(215)에서는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후, 상기 핸드피스가 사용되면 제어부(211)에서 이를 인지하며, 그 결과를 표시부(215)를 통해 통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핸드피스의 동작 알고리즘 즉, 재사용 방지 프로그램을 차단한 후 분해 방지 프로그램만을 기동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한다.
상기 내장 배터리(217)는 충분히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어부(211)의 소비전력만을 담당한다. 상기 내장 배터리(217)의 충전 용량은 상기 제어부(211)가 핸드피스의 재사용 방지 상태에서 최소 6개월 이상, 바람직하게는 1년 이상 유지할 수 있는 용량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핸드피스가 적법하지 못한 절차에 의해 조립체(100)가 분해되는 경우, 두 조립체(100)의 분해 과정에서 상기 두 분해센서(203)가 이격되어 상기 센싱부(207)의 저항값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AD 컨버터(213)는 센싱부(207)의 저항값 변화를 인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211)는 조립체(100)의 분해가 이루어짐을 인지한다.
상기 제어부(211)에서 저항값 변화를 인지하는 것은 최초 조립 전에 센싱부(207)의 저항값을 등록한 후, 저항값의 변화가 설정 범위 예컨대 저항값의 10% 내지 20% 범위 내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조립체(100)의 분해 상태로 인지하는 것이다.
즉, 상호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센싱부(207)는 두 개의 저항피막(R1, R2)에 의한 병렬 저항값은 1/(1/R1+1/R2)으로 저항값이 낮게 측정되나, 조립체(100)의 분해 과정에서 두 센싱부(207)가 분리될 경우 저항값은 AD 컨버터(213)와 접속된 저항값(R1 또는 R2)로 설정된다.
상기 제어부(211)는 이와 같은 저항값의 변화가 전체 저항값 대비 10% 내지 20%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11)가 저항값 변화를 인지하는 경우, 상기 고전압 발생부(221)로 파괴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고전압 발생부(221)는 내장 배터리(21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전압 예컨대, 직류 600V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모터(231)의 구동코일(233)로 공급한다. 상기 구동코일(233)은 고전압에 의해 코일 간 쇼트 상태가 유도됨으로써 구동모터(231)의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립체(100)의 분해 과정에서 구동모터의 재생이 불가능하도록 구동코일(233)로 고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내장 배터리(217)의 용량을 6개월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은, 구동모터의 추출 가능 기간을 장기화하여 실효성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내장 배터리의 소진 시 구동모터(231)의 추출이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나, 구동모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모터의 원활한 기능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이 요구되어 사업성이 상실되는 것이다.
100 : 조립체 101 : 하우징
103 : 체결구 105 : 구동체 설치공간부
107 : 엑츄에이터 설치공간부 109 : 분해센서 설치공간부
111 : 동작버튼 203 : 분해센서
205 : 저항피막 207 : 센싱부
211 : 제어부 213 : AD 컨버터
215 : 표시부 217 : 내장 배터리
219 : 레귤레이터 221 : 고전압 발생부
231 : 구동모터 233 : 구동코일

Claims (5)

  1.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저항값을 유지하는 저항피막이 형성된 분해센서가 상기 핸드피스의 조립체에 형성된 분해센서 설치공간부에 각각 마련되며, 조립 과정에서 상호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저항피막 간 병렬접속이 이루어지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검출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변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최초 전원 공급 시 상기 병렬접속된 저항피막의 저항값을 등록하고, 상기 AD 컨버터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설정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파괴신호에 응답하여 핸드피스 구동모터의 구동코일로 파괴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부; 및
    충전전압을 유지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 파괴전압 생성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부의 출력전압은 직류 600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핸드피스의 현재 동작상태 즉,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CD 또는 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센서는 필름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피막은 피막 형태의 탄소가 상기 필름재질 상으로 프린트되어 임의 저항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KR20140031430A 2014-03-18 2014-03-18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KR101498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430A KR101498982B1 (ko) 2014-03-18 2014-03-18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430A KR101498982B1 (ko) 2014-03-18 2014-03-18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982B1 true KR101498982B1 (ko) 2015-03-05

Family

ID=5302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1430A KR101498982B1 (ko) 2014-03-18 2014-03-18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9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1111A (ja) * 2006-03-31 2009-09-03 デビオテ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医療用液体注射装置
KR101013568B1 (ko) * 2010-07-13 2011-02-14 김용배 일회용 전동시술기구의 재사용 방지 장치
KR200456081Y1 (ko) * 2009-10-16 2011-10-11 주식회사 알로텍 의료 핸드피스의 일회용 하우징 구조
KR101301156B1 (ko) * 2009-12-21 2013-09-03 주식회사 알로텍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재사용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1111A (ja) * 2006-03-31 2009-09-03 デビオテ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医療用液体注射装置
KR200456081Y1 (ko) * 2009-10-16 2011-10-11 주식회사 알로텍 의료 핸드피스의 일회용 하우징 구조
KR101301156B1 (ko) * 2009-12-21 2013-09-03 주식회사 알로텍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재사용 확인장치
KR101013568B1 (ko) * 2010-07-13 2011-02-14 김용배 일회용 전동시술기구의 재사용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4064B2 (en) Surgical tool with an aseptic power module that enters a specific state based on the type of handpiece to which the power module is attached
JP6915990B2 (ja) 使用が制限された製品のための強制装置
CN103281981B (zh) 外科器械安全眼镜或具有可视反馈的外科监视器
JP6224089B2 (ja) 器具ユニットと、該器具ユニットへの通電及び制御を行う別個のバッテリ及び制御モジュールとを有する外科用電動器具アセンブリ
EP2478861A2 (en) Reusable medical device with advanced counting capability
BR112017004361B1 (pt) Sistema eletrônico para um instrumento cirúrgico
US20100152538A1 (en) Device for preventing endoscope damage by errant laser fire in a surgical laser
KR20080059191A (ko) 요동 팁 톱 블레이드를 가동하기 위한 툴리스 블레이드커플링 어셈블리 및 인덱싱 헤드를 구비한 수술용 시상 톱및 자가 세정 헤드를 구비한 요동 팁 톱 블레이드
US9839491B2 (en) Dental handpieces
JP2000254153A (ja) マルチジョイントチューブを備えた医療装置、マルチジョイント診療機器、マルチジョイント用アダプタ
KR101498982B1 (ko) 일회용 핸드피스의 분해 방지 장치
JP4822673B2 (ja) 口腔内照明装置
JP6426596B2 (ja) 医療用診療装置および医療用施術具
KR101499008B1 (ko) 의료용 쏘우 핸드피스의 재사용 방지 장치
JP5823169B2 (ja) 照明付き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1301156B1 (ko) 일회용 의료 핸드피스의 재사용 확인장치
JP5542136B2 (ja) 歯科技工用誘導式加熱器及びその作動方法
JP5773497B2 (ja) 歯科治療装置
ES2394758T3 (es) Sistemas y métodos de ajuste de agujas para cirugías oftálmicas
KR101756731B1 (ko) 팁 교체형 의료용 핸드피스
US20170202636A1 (en) Investigation and control device of drive system
CN209074938U (zh) 一种移动式口腔科牙齿修复器
JP2007117568A (ja) 歯科治療ユニット
WO2021154622A1 (en) Dental instrument pressure indication
US20160220326A1 (en) Investigation and control device of driv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