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767B1 - 밀폐전지용 보틀 캡 - Google Patents

밀폐전지용 보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767B1
KR101498767B1 KR1020120116383A KR20120116383A KR101498767B1 KR 101498767 B1 KR101498767 B1 KR 101498767B1 KR 1020120116383 A KR1020120116383 A KR 1020120116383A KR 20120116383 A KR20120116383 A KR 20120116383A KR 101498767 B1 KR101498767 B1 KR 10149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battery
gas
bottle cap
body por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124A (ko
Inventor
김희중
이규대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2011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7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쉽게 밀폐전지와 충전중 이용하는 보틀 캡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밀폐전지용 보틀 캡(bottle cap)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성되어 밀폐용 전지의 밸브 구멍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충전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캡;을 포함하는 밀폐전지용 보틀 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밀폐전지용 보틀 캡{Bottle cap for sealed battery}
본 발명은 밀폐전지를 충전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보틀 캡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蓄電池, storage battery)는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 기 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축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가 상호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해액과 전극판의 화학적 작용을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축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킬 수가 있는데, 이 상태를 방전(放電)이라 한다. 또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화학에너지로 변화시켜 축적할 수 있는데, 이 상태를 충전(充電)이라 한다. 이와 같이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면서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음으로써, 충전되는 용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상술된 축전지는 케이스의 안쪽에 전해액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부로 전극판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극주가 설치되어 있다. 축전지는 전해액의 화학적인 작용으로 발생된 전력을 극주로 방향으로 극성에 맞도록 공급하여 장착되어 있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축전지 중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전조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방전 중에 재결합하여 전해액으로 다시 돌아가서 전해액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축전지가 있다.
이러한 밀폐형 축전지에는 AGM(Absorptive Glass Mat) 축전지가 있다. AGM 축전지는 대부분 전해액 주입구나 통기구(通氣口) 대신 일방통행 밸브(One way valve)를 사용한다. 이렇게 일방통행 밸브를 이용하면 축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전조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방전 중에 재결합하여 전해액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밀폐형 축전기도 장시간 사용중이거나 충전중에는 과도한 가스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일부의 가스를 배출해 주어야한다.
이를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KR2010-0110184 에 밸브 캡에 대한 특징이 언급되어 있으나, 밀폐전지의 충전중 이용되는 보틀 캡에 대한 특징과 구조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screw type 으로 보틀 캡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밀폐전지와 보틀 캡을 연결하는 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어 이에 따른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쉽게 밀폐전지와 충전중 이용하는 보틀 캡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밀폐전지와 보틀 캡을 연결시 쉽게 연결이 되더라도 밀폐전지의 내부와 외부와의 차단이 확실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밀폐전지용 보틀 캡(bottle cap)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성되어 밀폐용 전지의 밸브 구멍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충전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캡;을 포함하는 밀폐전지용 보틀 캡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는 배출시키되, 상기 밀폐전지의 용액이 잘 누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고무 재질의 복수의 오링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밀폐용 전지의 밸브 구멍에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캡은 고무 재질의 복수의 오링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식으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측면에 가스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캡의 하단부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는 배출시키되, 상기 밀폐전지의 용액이 잘 누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중 이용되는 보틀 캡을 밀폐전지에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중 이용되는 보틀 캡을 밀폐전지에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감소되어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밀폐전지에 보틀 캡을 연결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보틀 캡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가스배출캡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밀폐전지 내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연결부와 몸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A1-A2)과 가스배출캡의 하단부의 횡단면(B1-B2)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밀폐전지에 보틀 캡을 연결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틀 캡(100)은 밀폐전지(10)의 충전중에 발생되는 가스의 방출 및 외기와의 접촉 방지를 위해 밀폐전지(10)의 밸브구멍에 각각 연결된다.
종래의 보틀 캡은 밀폐를 위한 밀폐전지(10)와의 단단한 체결을 위해 screw type 의 방식을 사용하여 밀폐전지(10)의 밸브구멍에 연결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틀 캡의 screw type 을 통한 밀폐전지(10)와의 연결 방식은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여 노동부하가 증대되고 연결을 위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틀 캡(100)은 밀폐전지(10)와의 연결을 위해 밀폐전지(10)와의 연결부(110)에 특수 고무를 사용하여 push/pull 방식으로 밀폐전지(10)와의 체결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감소와 체결을 위한 노동부하의 감소를 가져오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보틀 캡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틀 캡(100)은 연결부(110), 몸체부(120)과 가스배출캡(130)으로 구성된다.
연결부(110)는 밀폐전지(10)의 밀폐 구멍에 연결되는 구조부로 특수 재질의 고무로 복수개의 오링(o-ring)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틀 캡(100)은 연결부(110)를 통해 단순하게 끼움식으로 밀폐 전지(10)에 쉽게 연결이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부(110)의 오링구조로 인해서 단순하게 끼움식으로 밀폐전지(10)의 밸브 구멍에 연결되더라도 기존의 screw type 의 연결 방식에 못지 않게 단단한 체결이 가능하다. 연결부(1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부(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 형태로 구성된다. 몸체부(120)의 내부의 공간은 밀폐전지(10)의 충전중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된다.
가스배출캡(130)은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측부에 가스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충전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가스배출캡(1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틀 캡(100)의 연결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전지(10)의 밸브 구멍에 연결되는 구조부로 특수 재질의 오링구조(113, 115)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10)는 하단부(111,112), 오링부(114) 및 상단부(116)로 세부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단부(111,112)는 밀폐전지(10)와 연결시 보다 빠르고 쉽게 연결되도록 밸브 구멍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쉽게 밸브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단부(111,112)는 보다 세부적으로 하부(111)와 상부(112)로 구분 될 수 있는데 상부(112)는 오링부(114)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 구조는 밀폐전지(10)의 밸브 구멍과 쉽게 연결될 수 있고, 오링부(114)에 오링구조(113,115)를 보다 쉽게 연결되도록 한다.
오링부(114)는 복수개의 오링구조(113,115)가 연결되는 곳으로 밀폐전지(10)와의 단단한 밀폐 체결을 위해 밸브 구멍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상단부(116)은 몸체부(120)와 연결되는 곳으로 오링부(114)와 동일 내지는 약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가스배출캡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가스배출캡(130)은 srew type으로 몸체부(12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하단부(131)에는 나사구조(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의 배출을 위해서 측부에는 가스배출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와의 차단을 위해서 복수의 오링구조(133, 134)가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가스배출캡(130)의 구조중 머리부(137)과 목부(136)는 몸체부(120)와 연결시에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목부(136)의 하단부에는 오링구조(134)가 형성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밀폐전지 내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의 화살표로 도시된 부분이 충전중 밀폐전지(10)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 경로이다.
여기서 연결부(120)와 몸체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A1-A2)과 가스배출캡(130)의 하단부(131)의 횡단면(B1-B2)은 상기 가스는 배출시키되, 밀폐전지(10)의 용액이 잘 누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연결부(120)와 몸체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A1-A2)과 가스배출캡(130)의 하단부(131)의 횡단면(B1-B2)의 구조는 도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6은 연결부와 몸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A1-A2)과 가스배출캡의 하단부의 횡단면(B1-B2)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틀 캡(100)의 연결부(120)와 몸체부(130)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A1-A2)과 가스배출캡(130)의 하단부(131)의 횡단면(B1-B2) 구조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큰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20)와 몸체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A1-A2)과 가스배출캡(130)의 하단부(131)의 횡단면(B1-B2)의 구조는 충전중 밀폐전지(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시키되, 밀폐전지(10)의 용액이 잘 누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도6(b) 또는 도6(c)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밀폐전지 100 : 보틀 캡(bottle cap)
110 : 연결부 120 : 몸체부
130 : 가스배출캡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밀폐전지용 보틀 캡(bottle cap)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성되어 밀폐전지와 밸브구멍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구멍에 삽입되는 하단부와, 상기 밸브구멍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밀폐전지와 밀폐 체결되는 고무 재질의 복수의 오링구조가 형성된 오링부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오링부와 동일 또는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는 상단부로 구성되어, 상기 밀폐용 전지의 밸브 구멍에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충전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캡;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는 배출시키되, 상기 밀폐전지의 용액이 잘 누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전지용 보틀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캡은 고무 재질의 복수의 오링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식으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측부에 가스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전지용 보틀 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캡의 하단부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는 배출시키되, 상기 밀폐전지의 용액이 잘 누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전지용 보틀 캡.
KR1020120116383A 2012-10-19 2012-10-19 밀폐전지용 보틀 캡 KR101498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383A KR101498767B1 (ko) 2012-10-19 2012-10-19 밀폐전지용 보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383A KR101498767B1 (ko) 2012-10-19 2012-10-19 밀폐전지용 보틀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24A KR20140052124A (ko) 2014-05-07
KR101498767B1 true KR101498767B1 (ko) 2015-03-05

Family

ID=5088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383A KR101498767B1 (ko) 2012-10-19 2012-10-19 밀폐전지용 보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32B1 (ko) * 2015-04-06 2019-07-31 (주)대한엔지니어링 축전지 보관함의 가스 배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836A (ko) * 2003-04-07 2004-10-15 박화석 사출금형
JP3109579U (ja) * 2004-12-27 2005-05-19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液口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836A (ko) * 2003-04-07 2004-10-15 박화석 사출금형
JP3109579U (ja) * 2004-12-27 2005-05-19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液口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24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767B1 (ko) 밀폐전지용 보틀 캡
CN201829578U (zh) 卧式钠硫电池装置
CN202616357U (zh) 一种全密封式铅酸蓄电池
CN209389075U (zh) 一种圆柱电池
CN108110149A (zh) 一种用于纳米硅镁固态电池的全密封电池盒
CN111326831B (zh) 一种金属空气电池组或单体电池
CN207994016U (zh) 一种便携空气燃料电池
CN207052666U (zh) 一种具有隐藏式弹性接电装置的车用胶体蓄电池
CN209298192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新能源汽车蓄电池
CN105514341A (zh) 高性能蓄电池的自动灌酸装置
CN210140076U (zh) 一种电池运输包装箱
CN211404547U (zh) 一种高稳定性防泄漏铅酸蓄电池端子
CN204361179U (zh) 一种便于更换电解液的锂电池
CN109103032A (zh) 一种超级电容器及动力电池的端盖防爆阀总成
CN214068769U (zh) 一种环保型透明铅酸蓄电池
CN204118141U (zh) 电池盖板
CN210620957U (zh) 一种高效电解槽
CN213878261U (zh) 一种锂电钻用快拆式电池仓
CN203871412U (zh) 一种蓄电池
CN220172314U (zh) 一种可视化的固态电解质锂电池
CN108183289A (zh) 一种便携空气燃料电池
CN207441769U (zh) 一种蓄电池防增长直极柱端子密封结构
CN207474598U (zh) 一种锂离子电池组装结构
CN204088407U (zh) 锂离子电池注液孔密封件
CN214013122U (zh) 一种螺牙式回流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