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070B1 - 도어 - Google Patents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070B1
KR101498070B1 KR20130139009A KR20130139009A KR101498070B1 KR 101498070 B1 KR101498070 B1 KR 101498070B1 KR 20130139009 A KR20130139009 A KR 20130139009A KR 20130139009 A KR20130139009 A KR 20130139009A KR 101498070 B1 KR101498070 B1 KR 10149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rod
door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조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현 filed Critical 조광현
Priority to KR2013013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에 슬라이딩 수납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를 제공하여, 도어의 상부와 쇼윈드프레임, 그리고 도어의 하부와 바닥면의 틈새 단속을 확실히 수행하여 현관 주위의 단열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A door}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을 닫을 때 도어와 바닥면 사이의 틈을 없애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쇼윈드유리는 건물의 현관 주변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를 관망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물이다.
길거리의 상품 매장이나 일부 건물에서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쇼윈드유리를 설치하기도 한다.
최근 현관에 설치되는 도어에 있어서도 도어 프레임이 유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유리가 포함된 도어를 갖는 건물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리가 포함된 도어나 쇼윈드유리는 시인성은 뛰어난 반면 단열성능은 일반 건물의 외벽이나 일반 도어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종래의 기술은 쇼윈드유리나 도어에 포함된 유리를 이중유리로 제공하기도 하지만 단열에 더욱 취약한 곳은 그보다 도어와 현관의 바닥면 또는 도어와 현관 쇼윈드프레임 사이의 틈이다.
따뜻한 온기는 자연 상승하기 때문에 현관의 도어의 상부와 현관 쇼윈드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건물 내부의 온기가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되며, 차가운 냉기는 자연 하강하는 성질 때문에 현관의 도어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 틈새로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침투해 들어오는 문제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현관 주면의 단열을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도어의 상부와 쇼윈드프레임, 그리고 도어의 하부와 바닥면의 틈새 단속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현관에 사용되는 회전 도어는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열리고 닫혀야 하기 때문에 도어와 현관 바닥면 또는 도어와 현관 쇼윈드프레임 사이의 틈새에 고정체를 삽입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1751호는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을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1751호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더러 측벽으로의 틈새만을 차단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현관에서의 단열의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도어와 현관 바닥면 또는 도어와 현관 쇼윈드프레임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로 외부공기가 자유로이 드나들면서 건물의 단열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51호
본 발명은 현관에 사용되는 회전 도어가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열리고 닫히는 동시에, 도어의 상부와 쇼윈드프레임, 그리고 도어의 하부와 바닥면의 틈새를 차단하여 현관 주면의 단열을 극대화하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311)과;
상기 도어 프레임(311)에 고정되는 고정부(216)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부(217)와; 상기 고정부(216)의 우측에 고정된 제1지지부(214)와; 상기 구동부(217)의 좌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217)와 함께 좌우 슬라이딩하는 제2지지부(215)와; 상기 고정부(216), 상기 제1지지부(214) 및 상기 제2지지부(215)의 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면서, 상기 구동부(217)의 내부를 관통하되 상기 구동부(217)에 고정되는 구동로드(213)와; 상기 제1지지부(214)와 상기 제2지지부(215) 사이에서 상기 구동로드(213) 외측에 삽입되는 스프링(213)과;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로드(221) 및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2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로드(221)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로드(222)로 구성되는 제1링크(218)와;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21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3로드(223) 및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215)에 회동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로드(223)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4로드(224)로 구성되는 제2링크(219)와; 상기 제3로드(223)와 상기 제4로드(224)가 힌지 결합되는 지점에 연결된 홀더(225)와; 상기 홀더(225)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차단판(226);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213)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링크(218)는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링크(219)는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구동로드(213)에 의해 상기 차단판(226)이 상기 도어 프레임(311)의 상, 하부로 승강되도록 하는 어셈블리를 한 쌍 포함하되, 상기 어셈블리의 하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어셈블리이의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차단판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 외측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과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의 상부와 쇼윈드프레임, 그리고 도어의 하부와 바닥면의 틈새 단속을 확실히 수행하여 현관 주면의 단열이 극대화된다.
둘째, 현관에 사용되는 회전 도어가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열리고 닫히면서 단열은 극대화된다.
셋째, 차단판이 도어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설치되므로 단열이 극대화 된다.
넷째, 내부프레임이 좌측 외부프레임과 우측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여 핀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어 프레임의 제작이 매우 용이한 강점이 있다.
다섯째, 도어 프레임과 상기 쇼윈드프레임 사이에 밀착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단열이 극대화된다.
여섯째, 밀착부재와 접촉하는 도어 프레임의 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가 회전하면서 열리는 중에도 도어 프레임은 항상 밀착부재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 프레임과 쇼윈드프레임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도이다.
도2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2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가 닫혔을 때 차단판이 하강한 모습도이다.
도2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가 열렸을 때 차단판이 상승한 모습도이다.
도3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3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3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 (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슬라이드도어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3 (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측외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3 (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측외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4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드 도어가 도어 하우징에 완전히 수납된 모습도이다.
도4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드 도어가 도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모습도이다.
도4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드 도어가 도어 하우징에 완전히 인출되어 측면프레임과 접촉한 모습도이다.
도5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쇼윈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5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5내부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5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습제 홀더 간봉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방습제 홀더 간봉이 양측에 설치된 복층유리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10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이 현관을 닫은 단면도이다.
도10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이 현관을 열기 시작한 단면도이다.
도10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이 현관을 완전히 개방한 단면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도이다.
회전도어(100)는 바닥면(740)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쇼윈드 유리 사이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쇼윈드 프레임(710)과 제2쇼윈드 프레임(720)은 바닥면(740)과 건물의 외벽(750)에 설치된 제3쇼윈드 프레임(730)사이에서 수직하게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1에서는 회전도어(100) 한 쌍이 제1쇼윈드 프레임(710)과 제2쇼윈드 프레임(720) 사이에서 건물의 현관을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현관에는 회전도어(100)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일러둔다.
회전도어(100)는 건물의 현관을 개폐하도록 회전할 수 있으며, 현관을 닫았을 때에는 도1과 같이 쇼윈드 유리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회전도어(100)에는 회전도어(100)가 현관을 닫고 있을 때 바닥면(740)과 회전도어(100) 하단부 사이에 생기게 되는 틈새를 차폐하는 차단부(211)가 마련된다.
한편, 회전도어(100)의 상단부에서도 회전도어(100)가 현관을 닫고 있을 때 외벽(750)에 설치된 제3쇼윈드 프레임과 회전도어(100)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차폐하도록 차단부(211)가 마련되고 있다.
차단부(211)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술한다.
도2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100)프레임을 나타내고, 도2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100)가 닫혔을 때 차단판(226)이 하강한 모습도이며, 도2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100)가 열렸을 때 차단판(226)이 상승한 모습도이다.
도3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프레임의 구성도이며, 도3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프레임의 구성도이고, 도3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 (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슬라이드 도어 프레임의 단면도이며, 도3 (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측외부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3 (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측외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3 (a) 의 내부프레임 중의 일부와 도3 (b)의 외부프레임 및 도3 (e)의 좌측외부프레임과 도3 (f)의 우측외부프레임은 이하에서 설명될 여러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 뒤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3 (a)처럼, 내부프레임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되 내부에서 단턱을갖는 제1결합부(410)가 형성된 제1내부프레임(301)과, 일측이 편평하게 형성되면서 타측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기둥이 이격된 채로 여럿 형성된 제2내부프레임(302)과, 제2내부프레임(302)과 동형상을 이루되 제2내부프레임(302)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3내부프레임(303), 그리고 좌우측면이 계단 형상으로 단턱지되 내부에서 걸릴 수 있도록 단턱을 갖는 제2결합부(420)가 형성된 제4내부프레임(304)으로 구성된다.
도3 (b)처럼, 외부프레임은 제1내부프레임(301)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제3좌측 외부프레임(307)과, 제1내부프레임(301)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3우측 외부프레임(310)과, 서로 대향하는 제2내부프레임(302) 및 제3내부프레임(303)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제2좌측 외부프레임(306)과 서로 대향하는 제2내부프레임(302) 및 제3내부프레임(303)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2우측 외부프레임, 그리고 제4내부프레임(304)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제1좌측 외부프레임(305)과 제4내부프레임(304)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1우측 외부프레임(308)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제1내부프레임(301) 내지 제4내부프레임(304)과 제1외부 프레임 내지 제3좌측 외부프레임(307) 사이에는 밀착 지지되는 부분 이외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제1내부프레임(301) 내지 제4내부프레임(304)과 제1우측 외부프레임(308) 내지 제3우측 외부프레임(310) 사이에도 밀착 지지되는 부분 이외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내부프레임이 제1좌측 외부프레임(305) 내지 제3좌측 외부프레임(307)과 제1우측 외부프레임(308)내지 제3우측 외부트레임 사이에 삽입된 채로 도3 (c)과 같이 핀(400)으로 도3 (b)의 외부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밀착부재(500)는 베이스(520)에 밀착부(51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베이스(52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며 베이스(520) 상부에 밀착부(510)가 볼록하게 솟은 볼록부를 갖고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520)는 제1내부프레임(301)에 형성된 제1결합부(410)에 결합된다.
밀착부(510)는 연질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제습제(600)는 제4내부프레임(304)의 제2결합부(420)에 고정되어 제습을 수행한다.
도3 (d)는 제1슬라이드 도어프레임(321)의 단면도로서 앞서 언급한 좌측외부프레임과 우측프레임 사이에 내재되는 내부프레임, 제1내부프레임(301)에 결합된 밀착부재(500), 제4내부프레임(304)에 결합된 제습제(600), 그리고 좌측 외부프레임과 우측 외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핀(400)으로 이루어진 단면도이다.
핀(40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핀(400)의 결합위치는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의 최단거리를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핀(400)은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의 각각 오목하게 들어간 골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330)는 제4내부프레임(304)과 제1좌측프레임 및 제1우측프레임 사이에서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패킹 처리된 패킹부(34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단열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유리(330)는 2장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 되어 설치되면서 사이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열이 극대화 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2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단면도이다.
회전 도어프레임(311)은 앞서 언급한 제2내부프레임(302), 제3내부프레임(303), 제4내부프레임(304) 및 그들을 감싸는 좌측 외부프레임과 우측 외부프레임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며, 좌측 외부프레임과 우측 외부프레임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핀(400)을 복수 개 포함하고 있다.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하부에는 앞서 언급한 제1슬라이드 도어(321)와 달리 차단부(211)가 설치된다.
차단부(211)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상부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차단부(211)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하부 틈새를 차단하여 건물 외부의 냉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상부 틈새를 차단하여 건물 내의 온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차단부(211)는 구동로드(213)가 스프링(212)에 의하여 탄성력을 인가받으면서 구동로드(213)에 연결되는 링크들에 의해 차단판(226)이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구성된다.
이하 차단부(211)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도2 (b) 및 도2 (c)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2 (b)는 차단부(211)가 하강하여 바닥면(740)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2 (c)에서는 차단부(211)가 상승하여 바닥면(740)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부(216)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구동부(217)는 구동로드(213)와 함께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한 자유단을 이룬다.
제1지지부(214)는 고정부(216)의 우측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제2지지부(215)는 구동부(217)의 좌측에 설치되면서 구동부(217)와 함께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1로드(221)는 일측이 제1지지부(21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2로드(222)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로드(222)는 일측이 제2지지부(2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1로드(221)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링크(218)를 이룬다.
제3로드(223)는 일측이 제1지지부(21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4로드(224)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4로드(224)는 일측이 제2지지부(2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3로드(223)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2링크(219)를 이룬다.
제1링크(218)는 상방향을 향하며, 제2링크(219)는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링크(218)와 제2링크(219)는 구동로드(213)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홀더(225)는 제2링크(219)의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차단판(226)이 홀더(225)와 결합되고 있다.
구동로드(213)는 구동부(217)에 고정되고 있으며, 스프링(212)은 제1지지부(214)와 제2지지부(215) 사이에서 구동로드(213)를 내삽하고 있어 구동로드(213)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다시 말해서 도2 (b)처럼 구동로드(213)의 우측단부가 쇼윈드 프레임에 접촉하면 구동로드(213)는 좌측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구동로드(213)가 좌측으로 밀리면, 구동로드(213)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부(217)가 함께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구동부(217)에 연결된 제2지지부(215) 역시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고정부(216)는 움직이지 않고 회전 도어프레임(3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고정부(216)에 결합된 제1지지부(214) 역시 움직이지 아니하고 스프링(212)을 받쳐준다.
결국 좌측으로 밀리는 구동로드(213)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 하는 제2지지부(215)는 스프링(21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링크(218)를 상방향으로 벌리는 동시에 제2링크(219)를 하방향으로 벌리게 된다.
제2링크(219)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링크(219)에 결합된 홀더(225) 역시 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결국 홀더(225)에 결합된 차단판(226) 전체가 하방향, 즉 바닥면(740)을 향하여 바닥면(740)과 밀착되는 것이다.
차단판(226)은 도2 (a)처럼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양측으로 두 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개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님을 일러둔다.
또한, 구동로드(213)는 도2 (a)에서는 하나가 설치되고, 도2 (b)에서 설명된 제1링크(218) 및 제2링크(219)를 비롯 앞서 언급했던 차단판(226)을 움직이는 일련의 구성들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도2 (a) 차단부(211)에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음도 알아야 할 것이다.
도2 (c)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이 회전하여 현관을 개방할 때, 다시 말해서 회전 도어프레임(311)이 열렸을 때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동로드(213)가 쇼윈드 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게 되면서 스프링(212)에 의해 우측으로 돌출된 것을 나타낸다.
스프링(212)은 일측이 회전 도어프레임(311)에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부(216)에 지지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동부(217)에 지지되기 때문에 구동부(217)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결국 구동부(217)에 결합된 구동로드(213) 자체를 우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제1링크(218)는 하강하고 제2링크(219)는 상승하여 구동로드(213)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링크(219)가 상승함에 따라 제2링크(219)에 결합된 홀더(225) 역시 상승하고 결국 홀더(225)에 결합된 차단판(226) 전체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차단판(226)은 바닥면(740)으로부터 이격 된다.
다시 말해서, 도2 (b)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이 현관에서 닫힌 상태로 차단판(226)이 바닥면(740)에 밀착됨으로써 건물 내부를 외부공기로부터 차폐하여 단열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도2 (c)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이 현관에서 열린 상태로서 차단판(226)은 바닥면(74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회전 도어프레임(311)이 원활하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은 현관을 열기 시작한 직후에 구동로드(213)의 단부가 쇼윈드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면서 차단판(226)은 바닥면(740)과 이격되기 시작하게 도어 회전 도어프레임(311)이 열릴 때 차단판(226)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
반대로 회전 도어프레임(311)이 닫혔을 때에는 구동로드(213)의 단부가 쇼윈드 프레임과 접촉하면서 차단판(226)을 바닥면(740)과 완전하게 밀착되게 함으로써 회전 도어프레임(311)과 바닥면(740) 사이공간(틈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단열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차단부(211)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하측 뿐만 아니라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상측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일러둔다.
다시 말해서, 도1에서 보듯이 차단부(211)는 회전 도어의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됨으로써 회전 도어와 바닥면(740) 사이의 기밀과, 회전 도어와 제3쇼윈드 프레임(730)사이의 기밀을 철저하게 유지함으로써 건물의 단열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단부(211)는 회전 도어프레임(311)의 상측, 하측 뿐만 아니라 회전 도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1)과 제1쇼윈드프레임(710) 사이 또는 도어 프레임(311)과 제1쇼윈드프레임(720) 사이에는 밀착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밀착부재(500)와 접촉하는 도어 프레임(311)의 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도어(100)가 회전하면서 열리는 중에도 도어 프레임(311)은 항상 밀착부재(500)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 프레임(311)과 쇼윈드프레임(710, 720)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4 (a) 내지 도4 (c)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드 도어(800)의 일측면에는 앞서 설명된 도3 (a) 내지 도3 (c) 에서의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면서 다만 제3좌측 외부프레임(307)과 제3우측 외부프레임(310)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돌기(811)가 각각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드 도어(800)의 타측면에는 앞서 설명한 도3 (a)의 제1내부프레임(301) 대신 도4 (a)의 제5내부프레임(820)이 설치된다.
제5내부프레임(820)에는 도3 (c)의 밀착부재(500)가 설치되지 않고, 밀착부재(500)는 도4 (a)내지 도4 (c)에서처럼 측면프레임(920)의 좌측면에서 측면프레임(920)의 좌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도어 하우징(910)은 제2슬라이드 도어(800)가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제2슬라이드 도어(800)가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하우징(91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제2슬라이딩 도얼를 수용하며, 제2슬라이드 도어(800)가 우측으로 완전히 인출되어 도어 하우징(9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하우징(910)의 우측 단부에는 걸림부(91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911)는 제2슬라이드 도어(800)에 형성된 돌기(811)와 결합되기 때문에 제2슬라이드 도어(800)는 도어 하우징(910)에서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슬라이드 도어(800)는 도4 (a)와 같이 도어 하우징(910)에 완전하게 수납되면서 현관을 개방하고, 도4 (b)처럼 측면프레임(920)을 향하여 도어 하우징(910)으로부터 일부 인출되어 도4 (c)와 같이 측면프레임(920)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제2슬라이드 도어(800)의 우측단부, 즉 제5내부프레임(820)은 측면프레임(920)에 설치된 밀착부재(500)에 밀착되면서 현관을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프레임(920)에 설치된 밀착부재(500)는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슬라이드 도어(800)의 우측 단부를 이루는 제5내부프레임(820)에 완전하게 밀착됨으로써 현관을 완전히 닫게 되어 단열을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도5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쇼윈드프레임(730)의 단면도이며, 도5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5내부프레임(350)의 단면도이며, 도5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단면도이다.
도5 (b)와 같이 제5내부프레임(350)은 크게 돌출부(351)와 제1경사부(353) 및 제1평면부(367)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5내부프레임(350)은 좌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351)의 우측 단부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이어지다가 우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353)를 갖는다.
제1평면부(367)는 제1경사부(353)의 하단 끝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편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방습제 홀더 간봉(360)은 도5 (c)와 같이 아래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제2평면부(361)를 이룬다.
제2경사부(363)는 제2평면부(361)의 좌측 끝지점에서 좌측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제1지지면(365)은 제2경사부(363)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있다.
제2지지면(369)은 제2평면부(361)의 우측 단부 상부에서 제1지지면(365)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방습제 홀더 간봉(360)은 내부에 방습을 위한 방습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367)을 복수개 갖는다.
도5 (b)와 도5 (c)를 참조하면서 도5 (a)를 설명하면, 제5내부프레임(350)에 형성된 제1경사부(353)와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제2경사부(363)는 서로 접촉하고, 제5내부프레임(350)에 형성된 제1평면부(367)와 방습제 홀더 간봉(360)에 형성된 제2평면부(361)가 서로 접촉한다.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전체 폭은 도5 (a)에 도시된 유리설치부(320)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방습제 홀더 간봉(360)은 제3쇼윈드 프레임(730)에 형성된 유리설치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제3쇼윈드 프레임(730)은 상하측으로 모두 유리설치부(320)가 형성되고 있으며, 각각의 유리설치부(320)로 방습제 홀더 간봉(360)이 설치된다.
즉, 제3쇼윈드 프레임(730)은 전체적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가 대칭형상을 이룬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 프레임(313)의 단면도이다.
도6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유리설치부(320)부분에 제5내부프레임(350)과 방습제 홀더 간봉(36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유리(331)는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좌측에 고정되고, 제2유리(332)는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우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제1유리(331)와 제2유리(332)는 그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유리(331)가 건물 외부를 향하고 제2유리(332)는 건물 내부를 향하여 고정된다면, 제1유리(331)는 제2유리(332)보다 더욱 두꺼운 유리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6 처럼 제1유리(331) 및 제2유리(332)와 회전도어프레임이 만나는 곳에는 패킹부(340)가 형성되고 있으며, 제1유리(331)와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돌출부(351) 사이 및 제2유리(332)와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제2지지면(369)이 만나는 곳 외부에는 패킹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방습제 홀더 간봉(360)이 양측에 설치된 복층유리의 단면도이다.
도7처럼, 제1유리(331)와 제2유리(332)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방습제 홀더 간봉(360)이 유리의 측면가장자리를 따라서 길게 연장되면서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도7과 같이 서로 이격되는 제1유리(331)와 제2유리(332) 사이에 별도의 간봉(360)을 삽입하지 않고 방습제 홀더 간봉(360)을 고정함으로써 간봉(360)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프레임에 유리를 고정할 때 제1유리(331)와 제2유리(332)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 대로 방습제 홀더 간봉(360)의 너비는 유리설치부(320)의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도7과 같이 방습제 홀더 간봉(360)이 설치된 복층유리를 도8처럼 프레임에 끼워 넣고 앞서 언급한 바 대로 패킹부(340)만 형성시키면 되는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12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는 방습제 홀더 간봉(360)이 설치된 복층유리를 포함하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밀착부재(500)를 갖고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어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된 제2회전도어 프레임은 제2쇼윈드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다.
제2쇼윈드프레임(720)의 우측면과 제1쇼윈드프레임(710)의 좌측면은 모두 편평하게 밀폐되어 있다.
제1회전도어 프레임(110)은 좌측단면이 밀폐된 제3밀착면(111)을 이루고 있으며, 제1회전도어 프레임(110)의 우측면에는 밀착부재(500)가 설치되어 있다.
제1회전도어 프레임(110)이 도9와 같이 회전하여 열리면 제1회전도어 프레임(110)의 우측면에 설치된 밀착부재(500)는 제1쇼윈드프레임(710)의 제1밀착면(711)으로부터 이격된다.
반대로 제1회전도어 프레임(110)이 역으로 회전하여 현관을 닫게 되면, 제1회전도어 프레임(110)의 밀착부재(500)는 제1쇼윈드프레임(710)의 제1밀착면(711)에 밀착되고, 제3밀착면(111)은 제2회전도어 프레임의 우측면에도 형성된 밀착부재와 밀착되기 때문에 현관의 기밀이 유지된다.
도10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120)이 현관을 닫은 단면도이며, 도10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120)이 현관을 열기 시작한 단면도이고, 도10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도어프레임(120)이 현관을 완전히 개방한 단면도이다.
제1쇼윈드프레임(710)의 좌측면에는 제1밀착면(711)이 형성되고, 제2쇼윈드프레임(720)의 우측면에는 제2밀착면(7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도어프레임(120)은 앞서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밀착부재(500)가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도어 프레임은 도10 (c)와 같이 현관을 완전히 개방하고 있다가 도10 (a)와 같이 현관을 닫게 되면 밀착부재(500)는 제1밀착면(711)과 제2밀착면(721)에서 각각 밀착됨으로써 제2회전도어 프레임의 측면과 제1쇼윈드프레임(710) 및 제2쇼윈드프레임(7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단열을 수행하는 것이다.
부언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밀착부재(500)는 회전도어 프레임이 아닌 제1쇼윈드프레임(710) 또는 제2쇼윈드프레임(7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회전도어 211 : 차단부
212 : 스프링 213 : 구동로드
214 : 제1지지부 215 : 제2지지부
216 : 고정부 217 : 구동부
218 : 제1링크 219 : 제2링크
221 : 제1로드 222 : 제2로드
223 : 제3로드 224 : 제4로드
225 : 홀더 226 : 차단판
301 : 제1내부프레임 302 : 제2내부프레임
303 : 제3내부프레임 304 : 제4내부프레임
305 : 제1좌측 외부프레임 306 : 제2좌측 외부프레임
307 : 제3좌측 외부프레임 308 : 제1우측 외부프레임
309 : 제2우측 외부프레임 310 : 제3우측 외부프레임
311,313 : 회전 도어프레임 320 : 유리설치부
321 : 제1슬라이드 도어 330 : 유리
331 : 제1유리 332 : 제2유리
340 : 패킹부 350 : 제5내부프레임
351 : 돌출부 353 : 제1경사부
357 : 제1평면부 361 : 제2평면부
363 : 제2경사부 365 : 제1지지면
367 : 통공 369 : 제2지지면
360 : 방습제 홀더 간봉 400 : 핀
410 : 제1결합부 420 : 제2결합부
500 : 밀착부재 510 : 밀착부
520 : 베이스 600 : 제습제
710 : 제1쇼윈드프레임 720 : 제2쇼윈드프레임
730 : 제3쇼윈드프레임 740 : 바닥면
750 : 외벽 800 : 제2슬라이드 도어
810 : 제6내부프레임 811 : 돌기
820 : 제5내부프레임 910 : 도어 하우징
911 : 걸림부 920 : 측면프레임

Claims (9)

  1. 삭제
  2. 도어 프레임(311)과;
    상기 도어 프레임(311)에 고정되는 고정부(216)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부(217)와; 상기 고정부(216)의 우측에 고정된 제1지지부(214)와; 상기 구동부(217)의 좌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217)와 함께 좌우 슬라이딩하는 제2지지부(215)와; 상기 고정부(216), 상기 제1지지부(214) 및 상기 제2지지부(215)의 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면서, 상기 구동부(217)의 내부를 관통하되 상기 구동부(217)에 고정되는 구동로드(213)와; 상기 제1지지부(214)와 상기 제2지지부(215) 사이에서 상기 구동로드(213) 외측에 삽입되는 스프링(213)과;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로드(221) 및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2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로드(221)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로드(222)로 구성되는 제1링크(218)와;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21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3로드(223) 및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215)에 회동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로드(223)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4로드(224)로 구성되는 제2링크(219)와; 상기 제3로드(223)와 상기 제4로드(224)가 힌지 결합되는 지점에 연결된 홀더(225)와; 상기 홀더(225)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차단판(226);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213)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링크(218)는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링크(219)는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구동로드(213)에 의해 상기 차단판(226)이 상기 도어 프레임(311)의 상, 하부로 승강되도록 하는 어셈블리를 한 쌍 포함하되,
    상기 어셈블리의 하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어셈블리이의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차단판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 외측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130139009A 2013-11-15 2013-11-15 도어 KR10149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009A KR101498070B1 (ko) 2013-11-15 2013-11-15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009A KR101498070B1 (ko) 2013-11-15 2013-11-15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070B1 true KR101498070B1 (ko) 2015-03-03

Family

ID=5302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9009A KR101498070B1 (ko) 2013-11-15 2013-11-15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0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73A (ja) * 1994-12-16 1996-07-02 Yagi:Kk 扉の密閉装置
KR200380524Y1 (ko) * 2005-01-10 2005-03-30 신태호 안전문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73A (ja) * 1994-12-16 1996-07-02 Yagi:Kk 扉の密閉装置
KR200380524Y1 (ko) * 2005-01-10 2005-03-30 신태호 안전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95B1 (ko)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KR20090072558A (ko) 시스템 창호
KR101269668B1 (ko)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KR20160095890A (ko)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US10156089B2 (en) Fenestration supplement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1903491B1 (ko)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KR101459682B1 (ko)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101498070B1 (ko) 도어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KR102636070B1 (ko) 창호
JP2022125214A5 (ja) サッシ窓
KR101499623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553518B1 (ko) 창호용 방풍구
KR101616317B1 (ko)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JP6657283B2 (ja) 建具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KR101840693B1 (ko) 개방면적이 넓은 미서기창
KR20180065305A (ko) 창호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KR102525793B1 (ko) 세이프 도어용 커버 조립식 프레임 구조
JP2013163910A (ja) 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