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91B1 -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 Google Patents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91B1
KR101903491B1 KR1020180041101A KR20180041101A KR101903491B1 KR 101903491 B1 KR101903491 B1 KR 101903491B1 KR 1020180041101 A KR1020180041101 A KR 1020180041101A KR 20180041101 A KR20180041101 A KR 20180041101A KR 101903491 B1 KR101903491 B1 KR 10190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groove
auxiliary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to KR102018004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은, 유리패널을 둘러싸는 창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네 장의 창문; 상하부 및 측부 프레임을 통해 둘러싸인 장착공간을 상부 및 하부 장착공간으로 분할하는 중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장착공간 및 상기 하부 장착공간에 각각 두 장의 창문이 위치하는 중연창틀;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것으로서, 두 장의 상기 창문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서 돌출되되, 돌출된 끝 단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을 향해 모헤어가 장착되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몰딩;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문의 측부와 접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풍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A Window System for Air Tightness and Thermal Insulation Between the Window}
본 발명은 미서기 이중창에서 창문 사이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미서기 방식의 이중 중연창 구조에서 창문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유통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켜 단열성능을 높이는 미서기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조망 및 주광 등을 위해 사용되는 창문은 그 자체가 지닌 조망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열손실에 따른 문제점을 동시에 갖는다. 일반적으로 건물 창문의 단열 성능은 외벽의 단열 성능에 비해 6 내지 10배 정도 낮아서 열손실 취약부위가 됨에 따라 창문의 단열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와 노력이 많이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창문의 기밀 및 단열성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이른바 '시스템 창문'이라고 하여 유리창과 창틀을 포함한 창문 전체의 기밀성, 단열성 등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창틀 재질을 다격실구조의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채택하고 창틀에 고정할 수 있는 개스킷(Gasket)을 사용함으로써 고기밀, 고단열 성능을 갖는 창문이 개발되고 있다.
창문구조에서 가장 큰 열손실을 발생시키는 공기의 유통은 크게 창문틀의 수평 프레임 하면과 창틀의 수평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 사이의 틈과, 창틀의 수직 프레임과 창문틀의 수직 프레임 사이의 틈 및 창문의 폐쇄 시 창문틀 수직프레임들이 서로 교차하여 만나는 부분의 틈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창문의 기밀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장 주안점을 두었던 부분은 위 세 부위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었고, 상기 세 부위를 제외한 레일과 창문의 결합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틈, 예컨대 레일 사이의 공간을 통해 레일방향을 타고 공기가 유통하는 현상 등과 관련한 완벽한 창문의 기밀구조에 대하여는 다소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그만 공기 유통로는 제로에너지를 추구하는 현대의 건축물 창문 구조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창문에 기밀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창호에 적용되는 필링피스(Filling Piece, 풍지판)라는 구성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미닫이형 창틀(미서기창의 창틀)에 설치되어 창문과 창틀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움으로서 창호의 단열과 방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창호용 부속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필링피스는 창호에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창문을 완전히 닫았을 때 각 창문이 겹치는 부위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창문이 겹치는 부위의 틈새가 충분히 좁고 또한 창문을 완전히 닫았을 때 겹치는 부위가 상호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 방음 및 단열을 기대할 수 있으나, 겹치는 부위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창호프레임의 내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기밀성은 주로 서로 간의 유기적 관계에 의한 총체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각 부위별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어 창문이 부드럽게 작동하면서도 전체적으로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효율적인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필링피스에 있어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336583호에 ‘창문의 고기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창문의 이동을 방해하지 아니하면서도 창문 전체의 기밀성을 완벽하게 유지시켜 대류에 의한 열손실 방지는 물론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높은 차음성을 가질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기밀성, 차음성 등의 성능이 전혀 저하되지 않는 창문의 고기밀 구조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경우, 필링피스가 여러 겹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어 창문이 움직이면서 찢겨나갈 수도 있을뿐더러 창문의 사용연식이 늘어날수록 해지거나 눕혀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노화에 대한 대책은 포함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3-0036749호에 ‘미닫이창문의 문틀에 설치하는 개폐식 보막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문짝 교차지점 중앙 하단 부 문틀에 종래에는 없었던 개폐식 보막이를 설치, 간접 수로를 만들고,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소재로 레일 덮개를 만들어 보막이를 덮어줌으로 빗물 유입 등을 외부로 자연스럽게 방출하되 개폐식 보막이의 차단, 레일덮개, 간접수로 등의 유기적 기능으로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공기흐름을 동시에 차단하여 줌으로 기밀성을 극대화 하여 이로 인한 에너지절약, 방음, 문틀의 실내부분 청결유지도 등을 더 한층 높일 수 있는 보막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레일을 막이로 직접 덮기 때문에 창문의 이동이 수월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동시에 창문이 이동하면서 스치거나 닳는 등의 상황에 대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문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유통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켜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한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서기창 방식의 이중창에서 창문과 레일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구조가 창문과 레일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추가하여 기밀 유지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과 창문 사이를 가로질러 창문 사이로 유입되는 바람도 막을 수 있는 신규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은, 유리패널을 둘러싸는 창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네 장의 창문; 상하부 및 측부 프레임을 통해 둘러싸인 장착공간을 상부 및 하부 장착공간으로 분할하는 중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장착공간 및 상기 하부 장착공간에 각각 두 장의 창문이 위치하는 중연창틀;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것으로서, 두 장의 상기 창문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서 돌출되되, 돌출된 끝 단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을 향해 모헤어가 장착되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몰딩;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문의 측부와 접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풍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중간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과의 경계 부위에는, 일정 깊이로 함입 연장된 막이홈이 구비되고, 상기 방풍막이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장착공간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는 판상의 상부 막이부 및 하부 막이부와, 상기 상부 막이부의 상기 중간 프레임 측 단부 및 상기 하부 막이부의 상기 하부 프레임 측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막이홈에 삽입되는 절곡부 및, 상기 상부 막이부, 상기 하부 막이부 및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창문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단열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중연창틀은, 상기 상부 막이부 및 상기 하부 막이부 각각의 양 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부 프레임을 관통하는 연결부 홀과, 상기 연결부 홀에 삽입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를 상기 연결부 홀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을 구비한 방풍막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이홈은 상기 절곡부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방풍막이는,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과 상기 단열패드를 관통하는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막이홈에서 상기 절곡부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영역에 위치하는 판상의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은, 상기 창문 폐쇄 시 상기 안착부와 대응되는 영역을 내측으로 함입하여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은,
1) 미서기창 방식의 이중창에서 창문과 레일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풍막이 및 차단몰딩구조를 제시하고,
2) 이 기밀구조가 창문과 레일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력적 지지구성을 제공하며,
3) 나아가 창문과 창문 사이를 가로질러 창문 사이로 유입되는 바람도 막을 수 있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풍막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풍막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 결합부가 적용된 중간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차단몰딩 및 지지 결합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차단몰딩에 수분흡수구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패스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루프 구조를 적용한 가변차단몰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방풍막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은 유리패널(110)을 둘러싸는 창문 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 네 장의 창문(100); 상하부 및 측부 프레임(230)을 통해 둘러싸인 장착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중간 프레임(240)을 구비하여 분할된 상기 장착공간마다 두 장의 창문(100)이 위치하는 중연창틀(200); 상기 중간 프레임(240) 및 상기 하부 프레임(220)에 구비된 것으로서, 두 장의 상기 창문(100)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300); 상기 한 쌍의 레일(300) 사이에서 돌출되되, 돌출된 끝 단에서 상기 한 쌍의 레일(300)에 결합된 각각의 창문 프레임(120)을 향해 모헤어가 장착되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몰딩(400); 상기 측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문(100)의 측부와 접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풍막이(500);로 구성된다.
먼저, 창문(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패널(110)과, 이 유리패널(110)을 감싸는 창문 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창문 프레임(120)은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 혹은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창문 프레임(120)에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중연창틀(200)의 레일(30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별도의 홈이나 돌기 혹은 휠 등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 창문(1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연창틀(200)의 구성이 더 포함된다. 중연창틀(200)은 바람직하게는 건물에서 미서기 이중창이 장착될 영역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창문 프레임(120)과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것으로 구비되되, 특징적으로 창문(1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300)을 구비한다. 또한 연창이라 함은 적어도 두 개의 창문(100)이 미서기 방식으로 위치하는 장착공간과 그 외 창틀부재를 의미하며, 중연창은 이러한 연창을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의미하되, 본 발명의 이중 중연창은 이 장착공간을 2개 구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창을 구비한(중간 프레임(240)을 통해 구분된) 것을 뜻한다. 즉, 상부 프레임(210), 하부 프레임(220), 좌우측에 각각 위치한 측부 프레임(230)으로 큰 틀을 형성하되, 상부 프레임(210) 및 하부 프레임(220)의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으로서 양 측부 프레임(23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중간 프레임(24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중간 프레임(240)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장착공간과 하부에 위치한 장착공간으로 장착공간을 분할할 수 있는 것으로서, 따라서 장착공간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되, 이러한 크기에 대응되는 각각의 창문(100)을 활용하여 구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도면에서는 상부에 위치한 장착공간이 하부에 위치한 장착공간보다 큰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도 얼마든지 다른 사이즈로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레일(300)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레일(300)을 구비토록 하되 각각의 레일(300)마다 적어도 하나의 창문(1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미서기 방식의 기본적인 형태는 두 개의 창문(100)이 서로 다른 레일(300)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며, 이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두 창문(100)이 각각 엇갈린 상태로 각각 한 쪽에 치우쳐 위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 상태에서 각각의 창문(100)이 다른 창문(100)을 향해 밀려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게 된다.
여기서, 중연창틀(200)에는 한 쌍의 레일(3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레일(300)에 장착된 창문(100)과 창문(1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되, 그 연장된 끝 단에서 각각 마주보는 창문(100)의 창문 프레임(120)을 향해 모헤어가 장착되는 차단몰딩(4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 차단몰딩(400)은 창문(100)과 창문(1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된 공간을 가려 바람이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며, 더 나아가 두 창문(100)이 서로 엇갈려 위치하더라도 이 모헤어를 통해 바람이 그 사이를 통과할 수 없어 외부의 찬바람이 건물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더욱 나아가 중연창틀(200)에는 이러한 프레임들 외에도 별도로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는 프레임면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 프레임(미도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측 프레임을 통해 다른 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대신 받아 다른 프레임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측 프레임을 충분히 두껍게 형성하거나 별도의 보온 구성을 더 갖추도록 하여 단열성을 높이는 데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측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에는 창문(100)의 측부와 접하여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풍막이(500)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방풍막이(500)는 다시 말해 창문(100)이 도 1과 같이 밀폐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불필요한 구성일 수 있으나, 도 1과 달리 창문(100)이 제대로 밀폐위치에 완벽하게 다다르지 않은 경우에 창문(100)의 측부와 중연창틀(200)의 측부 프레임(230) 사이에 벌어질 수 있는 간격을 메우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방풍막이(500)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신축성이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재질적 특성에 의해 창문(100)이 측부 프레임(230)에 완벽하게 밀착되지 않았더라도 방풍막이(500)가 대신 창문(100)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방풍막이(5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간 프레임(240)에서 상부에 위치한 장착공간 측 표면과 하부 프레임(220)에서 하부에 위치한 장착공간 측 표면에는 각각 측부 프레임(230)과의 경계부위로부터 일정 깊이 및 길이로 함입 연장된 막이홈(221)이 구비될 수 있다.
방풍막이(500)는 기본적으로 측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에 접하는 것으로서 상부 장착공간에 위치한 상부 막이부(510)와, 하부 장착공간에 위치한 하부 막이부(510),(이하 상세한 위치 설명이 필요한 경우는 상부 막이부(510) 또는 하부 막이부(510)로 표현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둘을 모두 의미하는 ‘막이부(510)’로 명명한다.) 이 막이홈과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막이부(510)의 하단 측 끝 단(상부 막이부(510)의 중간 프레임(240) 측 단부 및 하부 막이부(510)의 하부 프레임(220) 측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막이홈(221)에 삽입되는 절곡부(540)의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방풍막이(500) 구성 중 절곡부(540) 구성에 의해 자칫 창문(100)이 닫히지 않는 등의 상황도 생각해 볼 수는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절곡부(540)는 바람직하게는 앞선 레일(300)이나 차단몰딩(400)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레일(300)이나 차단몰딩(400)이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거나 혹은 레일(300)이나 차단몰딩(400)이 막이홈이 형성된 부위에는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잘못된 구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는 충분히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창문(100)이 밀폐위치에 있을 때,(도 1에 나타난 것처럼 두 창문(100)이 최대로 멀리 이격되어 있을 때) 각 창문(100)의 측부에 막이부(510)가 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창문(100)의 경우 절곡부(540)와 접하는 부위에 챔퍼 처리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 시 절곡부(540)가 걸리는 등 이동에 제한이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소재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특별히 강한 힘이 가해져 이 절곡부(540)가 강제 변형되지 않는 한 슬라이드 이동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혹은 절곡부(540)의 연장된 길이를 매우 작게 형성하거나 아예 절곡부(540)를 생략한 구성으로 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고정부와 절곡부(540)에서 장착공간 측 표면에는 모헤어와 같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단열패드(530)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방풍막이(500)를 신축성 있게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측부 프레임(230)의 양 단부 영역으로부터 막이부(510)를 관통하는 연결부 홀(24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연결부 홀(241)에는 연결구(521)가 삽입되되, 연결부 홀(241)의 내부에서 연결구(521)가 인출될 수 있도록 탄성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416)을 포함하는 방풍막이 연결부(520) 구성이 더 포함되어 이 방풍막이 연결부(520)를 통해 방풍막이(500)가 신축성 있게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풍막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나아가, 막이홈(221)은 절곡부(54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는데, 이 남는 공간에는 절곡부(540)의 내측면에서 회동축(5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앞서 절곡부(540)가 삽입되고 남은 막이홈(221)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안착부(532)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안착부(532)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창문 프레임(120)에는 창문(100)을 폐쇄 시 안착부(532)와 접하는 영역을 내측으로 함입한 안착홈(121)에 삽입 또는 접촉할 수 있는 구성이며, 따라서 방풍막이(500)가 충격이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정위치에 있지 않았을 때, 이 안착홈(121)과 안착부(532)를 통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안착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안착부(532)는 비록 판상의 형상을 갖기는 하지만 모서리가 있는 형태보다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하는 편이 내구성을 높여 오랫동안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이 안착홈(121)과 안착부(532)의 역할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안착부(532)의 끝 단에는 자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성체(미도시)가 부착되며, 안착홈(121)의 내측면에는 이 자성체와 대응되어 자성체에 이끌리는 인력이 작용되는 금속 재질의 위치고정판(122)이 더 장착되어 자성에 의해 강제적으로 방풍막이(500)가 창문(100)에 접촉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 나아가 안착홈(1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라운드지게 함입된 복수개의 기준홈(12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성체에도 이 기준홈(123)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것으로서 기준홈(123)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고정되는 위치 조절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결합 이외에도 물리적인 결합을 통해 창문(1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라 하겠다.
이 외에도, 안착부(5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함입 연장된 복수의 접철홈(53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532)의 끝단 중앙부위에도 회동축(531)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함입된 회동축 고정 홈(534)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철홈(533)을 매개로 안착부(532)의 일부를 접철시켜 회동축 고정 홈(534)이 회동축(531)의 둘레에 추가로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앞선 자석 연결구조와 연계하여 활용하거나 혹은 그 자체적으로도 활용 가능한 구성으로서, 내측으로 함입된 안착홈(121)의 깊이가 과도하게 깊은 경우에 안착부(532)를 접어 그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안착홈(121)에 안착부(532)가 용이하게 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 때, 접철홈(533)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접철홈(533)을 접느냐에 따라 접철이 형성되는 위치가 변동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안착부(532)에는 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안착부(532)의 접철부위를 둘러싸는 접철 삽입부(536) 및 접철부위의 주변영역을 함께 감싸도록 접철 삽입부(536)에서 연장된 두 개의 연장 누름부(537)(바람직하게는 접철 삽입부(536)가 ‘ㄷ’형상으로 접철부위를 감싸고, 이 때 양 끝단에서 연장 누름부(537)가 연장되어 나머지 안착부(532)의 표면을 압박 지지하게 된다. 즉, 집게나 클립, 클램프 등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접철홈이 있으므로, 이 안착부(532)를 다양한 방식으로 접어 구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되는 다양한 크기의 압박 고정체(535)를 미리 갖추거나 혹은 일정 수준의 신축성을 가지면서도 탄성압박이 가능한 재질로 압박 고정체(535)를 형성하여 이를 해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를 구비한 압박 고정체(535)의 구성을 더 갖출 수도 있다. 여기서 압박 고정체(535)는 안착부의 접철부위를 눌러 접철된 상태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압박 고정체(535)는 추가적으로 창문(100)이 이동할 때에 접철부위에 의해 창문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활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압박 고정체(535)의 표면에는 창문(100)의 이동이 용이하고 걸리지 않도록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하거나 혹은 둥글게 처리하는 등의 특징을 두어 창문(100)의 이동을 보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접철 삽입부(536)에서 접철부위와 접하는 면에는 접철 삽입부(536)보다 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접철부위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패드(538)가 구비되고, 연장 누름부(537) 중 창문(100)측에 위치한 연장 누름부(537)의 창문(100)측 표면에는 안착홈(121)과 접하는 경우 밀리거나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안착홈(121)에 대해 미끄러짐을 가능하게 하는 슬립(slip)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슬립층의 경우 고체상태의 윤활제나 패드에 윤활제를 발라 형성하는 방법, 혹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하거나 둥글게 라운드 처리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완충패드(538)가 형성된 반대측 면에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안착부(532)의 접철을 통해 길이가 줄어들면서 막이홈(221)에 발생되는 공간을 채워 안착홈(121)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보조 단열패드(539)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보조 단열패드(539)는 바람직하게는 안착홈(121)에서 절곡부(540) 및 안착부(532)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 면에(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착홈(121)이 형성된 창문 프레임(120)에서 양 사이드 방향에서 이 절곡부(540) 및 안착부(532)가 위치하게 되므로,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면) 별도의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되는 등의 방법으로 미리 고정시켜 두거나(바람직하게는 일 단이 막이홈(221)의 일 측에 고정되고, 타 단은 접철 삽입부(536)의 상부에 고정하는 것이 좋다.) 혹은 이 보조 단열패드(539)가 형상 변화가 용이한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임의로 특정한 형상으로 변형시켜 위치시키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다시 설명하면 안착부(532)를 접철시켜 그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창문(100)(안착홈(121))과의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밀폐시켰을 때, 반대로 안착부(532)의 연장된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그 사이를 압박 고정체(535)를 통해 어느 정도 채울 수 있지만, 그래도 모자라는 영역은 바로 이 보조 단열패드(539)를 통해 메울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라 하겠다.
나아가, 차단몰딩(400)도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의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 결합부가 적용된 중간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차단몰딩 및 지지 결합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중간 프레임(240)에 위치한 차단몰딩(400)의 경우, 한 쌍의 창문(100)을 폐쇄 시 포개어진 부위와 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 1,2 가변차단몰딩(430)과, 상기 제 1,2 가변차단몰딩(430)을 제외한 고정차단몰딩(4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변차단몰딩(430)은 중간 프레임(240)의 상측에 위치한 것이며, 제 2 가변차단몰딩(430)은 중간 프레임(24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간 프레임(240)에는 상부 장착공간과 하부 장착공간에 각각 두 장의 창문(1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레일(300)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차단몰딩(400)도 동일하게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중간 프레임(2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 처리한 중공부(249)와, 이 중공부(249)의 일 측에서 가변차단몰딩(430)이 위치하는 영역을 향해 각각 관통 연장된 두 개의 확장 중공부(242)(역시 동일하게 제 1 가변차단몰딩(430)을 향해 관통된 것은 상부 확장 중공부(242)이며, 제 2 가변차단몰딩(430)을 향해 관통된 것은 하부 확장 중공부(242)라고 할 수 있다.) 구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부 확장 중공부(242)로부터 중공부(249)를 지나 하부 확장 중공부(242)를 가로질러 제 1,2 가변차단몰딩(430)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결합부(243) 구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지지 결합부(243)는 바람직하게는 확장 중공부(242)의 개방부위에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서 확장 중공부(2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에서 가변차단몰딩(430)을 지지하는 차단몰딩 장착판(244)과, 차단몰딩 장착판(244)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두 개의 차단몰딩 장착판(244)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걸림부(24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차단몰딩 장착판(244)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ㄷ’형상으로 걸림부(245)가 장착되되, 중간 프레임(240)의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한 차단몰딩 장착판(244)에 위치한 걸림부(245)들이 서로를 밀어내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중공부(249)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중공부(249)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연장된 것으로서, 다각형의 종단 형상을 갖되 각 꼭짓점이 걸림부(245)에 접촉된 다면체 구조를 갖는 완충심재(246)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완충심재(246)는 다시 말해 지지 결합부에서 각 차단몰딩 장착판(244) 사이에 위치하여 걸림부(245)의 지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심재(246)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에 좋고, 반복적인 신축에도 그 형상을 유지 및 복원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통공(247)을 포함하되 이 통공(247) 내에 공기를 함유한 상태에서 각각의 통공(247)을 내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로(248)를 형성하여 통공(247)과 기로(248)에 함유된 공기를 통해 충격 흡수 및 형상 복원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완충심재(246)는 다각형의 종단 형상을 갖추도록 하며, 이 때 각 꼭짓점이 걸림부(245)에 접촉하도록 하는 다면체 구조를 갖출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접촉 구성에 의해 충격흡수 및 완화도 가능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차단몰딩에 수분흡수구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나아가 가변차단몰딩(430)에는, 가변차단몰딩(430)의 측면 일 측을 관통하는 보조홈(411)과 이 보조홈(411)의 개방부위 주변에 각각 힌지를 매개로 장착되어 보조홈(411)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표면에 복수의 통기홈이 형성된 막이벽 커버(412)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되, 여기서 보조홈(411)에는 실리카겔과 같이 공기 중 수분이 흡수되는 흡습제가 덩어리와 같은 구조로 흘러내리거나 하지 않도록 가공된 수분흡수구조체(413)가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수분흡수구조체(413)는 창문(100)과 창문(100) 사이의 습기를 흡수하고, 또한 창문(100)과 창문(100) 사이로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막이벽 커버(412)를 통해 쉽게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막이벽 커버(412)가 보조홈(411)에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걸림구조나 고정구조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가변차단몰딩(430) 및 상기 지지 결합부에는 보조홈(411)의 일 측에서 가변차단몰딩(430)을 통과하여 연장 중공부(249)를 향해 관통 연장된 삽입 연장공(4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공부(249)도 완충심재(246)의 표면 일 측에 패스너(415)를 매개로 장착되어 가변차단몰딩(430)과 완충심재(246)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16)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패스너(415)에도 승강 지지부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지지부는, 패스너(415)에 장착된 상태로 삽입 연장공(414)을 통과하여 보조홈(411)의 내부로 유입되는 푸싱바(417)와, 푸싱바(417)의 끝 단에서 보조홈(411)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연장되어 수분흡수 구조체(413)가 안착되는 푸싱부(418)로 구성된다. 따라서 창문(100)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가변차단몰딩(430)을 누르게 되면, 자연스럽게 승강 지지부의 푸싱부(418)에 의해 보조홈(411)에 구비된 수분흡수구조체(413)를 누르거나 혹은 누른 상태를 풀 수 있는데, 이러한 수분흡수구조체(413)의 외부 영향 변화는 수분흡수구조체(413)에 흡수된 습기를 계속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액화된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수분흡수구조체(413)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스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패스너(415)는, 완충심재(246)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부(431)와, 볼트부(43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433)을 형성하여 단턱(433)에 스프링(416)을 끼운 상태로 수평 프레임에 고정되는 헤드부(432)로 구성될 수 있되, 다시 헤드부(432)는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평면(434)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된 다면체 구조를 갖고, 각 평면(434)마다 푸싱바(417)의 단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푸싱바 결착홈(435)이 형성된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푸싱바 결착홈(435) 중 어느 하나에 푸싱바(417)를 끼움 결합시킴으로서 푸싱바(417)가 고정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울기 조절은 결국 푸싱바(417)의 상하 승강정도를 제어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와, 최종적으로는 수분흡수구조체(413)에 압력을 가하는 푸싱부(418)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100)과 창문(100) 사이의 습기정도만 흡수하면 되는 겨울철의 경우 수분흡수구조체(413)에 강한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푸싱부(418)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게 헤드부(432)에서 수분흡수구조체(413)를 다이렉트로 향한 가장 꼭대기 이외의 평면(434)에 위치한 푸싱바 결착홈(435)에 푸싱바(417)를 끼워 제어가 가능하며, 반대로 습기가 엄청난 여름철의 경우에는 가장 꼭대기 부분에 위치하는 평면(434)의 푸싱바 결착홈(435)에 푸싱바(417)를 끼워 창문(100)을 슬라이딩 시킬 때마다 수분흡수구조체(413)에 압력을 가해 머금은 습기의 위치 조절이나 배출을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루프 구조를 적용한 가변차단몰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가변 차단몰딩(400) 및 상기 수분흡수 구조체(413)에는 보조홈(411)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장착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관통 연장된 서브 보조홈(419)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싱바(417)도 푸싱부(418)를 관통하여 서브 보조홈(419)을 지나 장착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구성될 수 있되, 돌출된 단부에는 다시 푸싱부(418)와 동일한 면적으로 연장된 판상의 루프(440)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루프(440)에는 다시 창문(100)을 향한 측부에 각각 장착된 보조 모헤어 삽입홈(441)과 이 보조 모헤어 삽입홈(441)에 끼움 결합되는 보조 모헤어(442)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승강 지지부의 승강작용 시 보조 모헤어(442)가 또한 승강하면서 기존의 모헤어를 통과하여 유입되려고 하는 바람을 다시 한 번 방어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동시에 이 보조 모헤어(442)는 푸싱바(417)와 함께 일정 수준 승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순 고정된 차단몰딩(400)의 모헤어와 달리 유동적으로 움직이면서 혹시 모를 바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것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창문 110: 유리패널
120: 창문 프레임 121: 안착홈
122: 위치 고정판 123: 기준홈
200: 중연창틀 210: 상부 프레임
220: 하부 프레임 221: 막이홈
230: 측부 프레임 240: 중간 프레임
241: 연결부 홀 242: 확장 중공부
243: 지지 결합부 244: 차단몰딩 장착판
245: 걸림부 246: 완충심재
247: 통공 248: 기로
249: 중공부 300: 레일
400: 차단몰딩 410: 차단몰딩 장착판
411: 보조홈 412: 막이벽 커버
413: 수분흡수구조체 414: 삽입 연장공
415: 패스너 416: 스프링
417: 푸싱바 418: 푸싱부
419: 서브 보조홈 420: 고정차단몰딩
430: 가변차단몰딩 431: 볼트부
432: 헤드부 433: 단턱
434: 평면 435: 푸싱바 결착홈
440: 루프 441: 모헤어 삽입홈
442: 보조 모헤어 500: 방풍막이
510: 막이부 520: 방풍막이 연결부
521: 연결구 522: 연결 스프링
530: 단열패드 531: 회동축
532: 안착부 533: 접철홈
534: 회동축 고정 홈 535: 압박 고정체
536: 접철 삽입부 537: 연장 누름부
538: 완충패드 539: 보조 단열패드
540: 절곡부

Claims (13)

  1.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으로서,
    유리패널을 둘러싸는 창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네 장의 창문;
    상하부 및 측부 프레임을 통해 둘러싸인 장착공간을 상부 및 하부 장착공간으로 분할하는 중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장착공간 및 상기 하부 장착공간에 각각 두 장의 창문이 위치하는 중연창틀;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것으로서, 두 장의 상기 창문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서 돌출되되, 돌출된 끝 단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을 향해 모헤어가 장착되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몰딩;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문의 측부와 접해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풍막이;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과의 경계 부위에는, 일정 깊이로 함입 연장된 막이홈이 구비되고,
    상기 방풍막이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장착공간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는 판상의 상부 막이부 및 하부 막이부와, 상기 상부 막이부의 상기 중간 프레임 측 단부 및 상기 하부 막이부의 상기 하부 프레임 측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막이홈에 삽입되는 절곡부 및, 상기 상부 막이부와 상기 하부 막이부 및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창문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는 단열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연창틀은,
    상기 상부 막이부 및 상기 하부 막이부 각각의 양 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부 프레임을 관통하는 연결부 홀과,
    상기 연결부 홀에 삽입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를 상기 연결부 홀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을 구비한 방풍막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홈은 상기 절곡부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방풍막이는,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과 상기 단열패드를 관통하는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막이홈에서 상기 절곡부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영역에 위치하는 판상의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은,
    상기 창문 폐쇄 시 상기 안착부와 대응되는 영역을 내측으로 함입하여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여 길이 및 두께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방풍막이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접철된 상기 안착부의 접철부위를 압박 지지하는 압박 고정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고정체는,
    상기 접철부위에 접하는 접철 삽입부와,
    상기 접철 삽입부의 양 끝단에서 모아지는 형상으로 연장된 두 개의 연장 누름부를 구비하되,
    상기 접철 삽입부에서 상기 안착부가 접하는 면의 반대 측 면에는,
    신축성 재질로서 일 단이 상기 막이홈의 일 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 단이 상기 접철 삽입부의 상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안착부의 접철을 통해 길이가 변화하면서 상기 막이홈에 발생되는 공간을 채우는 보조 단열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한 차단몰딩은,
    상기 한 쌍의 창문 폐쇄 시 창문이 포개어진 부위에 위치하는 제 1,2 가변차단몰딩과, 상기 제 1,2 가변차단몰딩을 제외한 고정차단몰딩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 처리한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일 측에서 상기 제 1,2 가변차단몰딩이 위치하는 영역을 향해 관통 연장된 상부 확장 중공부와 하부 확장 중공부 및,
    상기 상부 확장 중공부로부터 상기 중공부를 지나 상기 하부 확장 중공부를 가로지르는 것으로서 상기 제 1,2 가변차단몰딩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결합부는,
    상기 제 1,2 가변차단몰딩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확장 중공부를 향한 면에 각각 부착된 2 개의 차단몰딩 장착판과,
    상기 차단몰딩 장착판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확장 중공부를 향한 면의 양 측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확장 중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나 상기 중공부까지 상호 벌어지게 연장된 2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2 가변차당몰딩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상호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다각형의 종단 형상을 갖되, 각 꼭짓점이 상기 걸림부에 접촉된 다면체 구조를 갖고,
    내부에 복수개의 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통공 내에 공기를 함유한 상태에서 각각의 통공을 내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로가 형성된 완충심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몰딩은,
    상기 가변차단몰딩의 측면 일 측을 관통하는 보조홈과,
    상기 보조홈의 개방부위 주변에 각각 힌지를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보조홈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표면에 복수의 통기홈이 형성된 막이벽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홈에는,
    공기 중 수분이 흡수되는 수분흡수 구조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결합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연장 중공부와,
    상기 연장 중공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완충심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차단몰딩 및 상기 지지 결합부는,
    상기 보조홈의 일 측에서 상기 가변차단몰딩을 통과하여 상기 연장 중공부를 향해 관통 연장된 삽입 연장공이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완충심재의 표면 일 측에 패스너를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가변차단몰딩과 상기 완충심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패스너는,
    상기 패스너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 연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보조홈의 내부로 유입되는 푸싱바와, 상기 푸싱바의 끝 단에서 상기 보조홈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분흡수 구조체가 안착되는 판상의 푸싱부를 포함한 승강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완충심재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을 끼워 고정하는 헤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는,
    복수의 평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된 다면체 구조를 갖고, 각 평면마다 상기 푸싱바의 단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푸싱바 결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단몰딩 및 상기 수분흡수 구조체는,
    상기 보조홈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관통 연장된 서브 보조홈을 구비하고,
    상기 푸싱바는,
    상기 푸싱부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보조홈을 지나 상기 장착공간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단부에서 상기 푸싱부와 동일한 면적으로 연장된 판상의 루프와,
    상기 루프에서 상기 창문을 향한 측부에 각각 장착된 보조 모헤어 삽입홈 및,
    상기 보조 모헤어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보조 모헤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KR1020180041101A 2018-04-09 2018-04-09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KR101903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01A KR101903491B1 (ko) 2018-04-09 2018-04-09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01A KR101903491B1 (ko) 2018-04-09 2018-04-09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491B1 true KR101903491B1 (ko) 2018-10-02

Family

ID=6386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01A KR101903491B1 (ko) 2018-04-09 2018-04-09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70B1 (ko) 2019-12-06 2020-03-16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방식의 레일 결합형 중중연창
KR20210156504A (ko) 2020-06-18 2021-12-27 황인재 충격 흡수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이중 중연창 또는 중중연창 방식 미서기창호
KR20220157588A (ko) 2021-05-21 2022-11-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블록이 적용된 창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91B1 (ko) * 2013-01-09 2013-08-0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입면 분할 창호에 구비되는 고 기밀성 단열 중간바
KR101606541B1 (ko) * 2015-01-02 2016-03-25 강민성 미서기 창호의 측면 창호틀용 방풍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91B1 (ko) * 2013-01-09 2013-08-0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입면 분할 창호에 구비되는 고 기밀성 단열 중간바
KR101606541B1 (ko) * 2015-01-02 2016-03-25 강민성 미서기 창호의 측면 창호틀용 방풍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70B1 (ko) 2019-12-06 2020-03-16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방식의 레일 결합형 중중연창
KR20210156504A (ko) 2020-06-18 2021-12-27 황인재 충격 흡수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이중 중연창 또는 중중연창 방식 미서기창호
KR20220157588A (ko) 2021-05-21 2022-11-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블록이 적용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91B1 (ko) 단열 기밀구조의 미서기 이중 중연창
US10337239B2 (en) High performance fenestration system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760719B1 (ko) 탄성 풍지 구조와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828276B1 (ko) 창문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150125512A (ko) 가이드 구조를 갖는 블라인드 장치
KR10152015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170004140U (ko) 단열창호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CN217206199U (zh) 一种双内开断桥一体窗
CN104563758B (zh) 推拉门窗密封结构及推拉门窗
KR101731038B1 (ko) 단열 및 기밀성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의 가변형 기밀장치
KR101450303B1 (ko) 방범 및 난간 기능이 일체화된 슬림형 쓰리트랙 단열 창호
KR102402693B1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1499623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20160043418A (ko) 슬라이딩 창호 유니트
KR101903493B1 (ko) 창문 사이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 미서기 이중창
KR101553518B1 (ko) 창호용 방풍구
KR10151964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창호용 방풍장치
KR101888093B1 (ko)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20220054012A (ko) 슬라이딩 창호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KR101616317B1 (ko)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