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551B1 -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551B1
KR101497551B1 KR1020130003021A KR20130003021A KR101497551B1 KR 101497551 B1 KR101497551 B1 KR 101497551B1 KR 1020130003021 A KR1020130003021 A KR 1020130003021A KR 20130003021 A KR20130003021 A KR 20130003021A KR 101497551 B1 KR101497551 B1 KR 10149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wireless
wireless transmitt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864A (ko
Inventor
임동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5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12Arrangements for exhibiting specific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선 통신 케이블; 및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간격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불능시 상기 통신 불능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대체하여 데이터 통신을 재개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COMMUNICATION C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POSITON OF COMMUNICATION TROUBLE THEREOF}
본 발명은 유선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 장치 및 그 유선 통신 케이블의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과 해저의 작업 구조물 사이에는 데이터 교환(통신)을 위한 통신 라인과 전력 공급 라인 등 다양한 케이블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해저는 그 환경적 요소로 인해 육상에 비해 케이블의 훼손 가능성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심해저의 깊이에 따른 수압, 타 장비들과의 간섭, 해저 생물에 의한 훼손, 수중에서의 케이블 노후화 등 케이블의 훼손, 파손을 유발하는 많은 원인이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 해저에서 이용되는 케이블은 대부분 유선 형태(wired type)이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블 보호 구조를 추가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 케이블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 보호 구조(즉, 보호체 등)를 통한 보호에도 불구하고, 해저에 설치된 케이블은 항상 훼손,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바, 해저에 설치된 유선의 통신 케이블의 파손 등에 따른 통신 불능 또는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이때의 통신 불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의 파손 등에 따른 통신 불능 상황에서도 통신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 등에 설치된 통신 케이블 장치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의 파손 등에 따른 통신 불능 위치를 매우 간편히 판별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 장치 및 이의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선 통신 케이블; 및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간격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불능시 상기 통신 불능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대체하여 데이터 통신을 재개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 외측을 감싸는 케이블 보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케이블 보호체 외측에 부착 설치되고, 각각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 보호체의 내부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과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는,
무선 데이터 송신부;
해당 설치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유선 데이터 수신 확인부;
상기 통신 데이터가 미수신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위치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위치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무선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린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설치 위치에서 접속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전송 매체로 하여 상기 통신 데이터를 재전송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 생성부는, 상기 해당 설치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통신 데이터 수신 상태와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데이터 수신 상태를 알리는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위치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설치 위치에서의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그 이전에 설치되는 모든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에서의 상기 통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 코드화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설치 위치를 포함하여 그 이전에 설치되는 모든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의 무선 통신 정상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코드화되는 장치 상태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선 통신 케이블 및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간격 마다 각각 설치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 장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불능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가, 해당 설치 위치에서의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라 통신 데이터 수신 상태와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구분한 제1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가, 상기 해당 설치 위치 이전에 위치한 모든 타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에서의 상기 통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종합 표현한 제2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연이어 추가시킨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설치 위치 이후에 위치하며 무선 통신 가능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 중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에 관한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의 통신 불능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 케이블의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상기 통신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최종단에 위치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까지 반복 수행되고,
상기 반복 수행 과정에서, 이전 단에 위치한 무선 송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이후 단에 위치한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의 생성시 상기 제2 상태 정보로서 대체되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케이블의 파손 등에 따른 통신 불능 상황에서도 통신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저 등에 설치된 통신 케이블 장치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의 파손 등에 따른 통신 불능 위치를 매우 간편히 판별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 장치 및 이의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에 관한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통신 케이블 장치에서의 통신 불능 상태에 관한 예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에서의 무선 송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통신 케이블 장치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한, 통신 불능 판별 위치에서의 통신 재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에 관한 모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통신 케이블 장치에서의 통신 불능 상태에 관한 예시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100)는,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 케이블(110), 유선 통신 케이블(110)의 연장 방향(즉, 통신 데이터 전송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간격 마다 각각 설치되고, 유선 통신 케이블(110)과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121, 122, 123, 124, 이하 120으로 통칭함)를 포함한다.
이때, 유선 통신 케이블(110)은 그 케이블 외측을 감싸는 케이블 보호체(115)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100)가 해저 케이블의 용도로서 활용되는 등과 같이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의 가능성이 큰 경우에, 위 케이블 보호체(115)를 통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의 보호는 더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때, 유선 통신 케이블(110)이 전술한 케이블 보호체(115)에 의해 외측이 보호되는 경우, 그 각각의 무선 송수신 장치(120)는 케이블 보호체(115) 외측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데이터 라인은 무선 송수신 장치(120) 각각의 설치 위치에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케이블 보호체(115) 내부로 유선 통신 케이블(110)과 접속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100)의 활용 범위는 전술한 해저 케이블의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케이블 보호체(115)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100)에서, 각각의 무선 송수신 장치(120)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의 파손 등에 의한 통신 불능시, 해당 통신 불능 위치에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대체하여 데이터 통신을 재개(즉, 해당 통신 불능 위치에 따른 통신 불능을 대체 복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통신 불능 상태를 가정하여, 각 무선 통신 장치(120)의 기능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가 설치된 위치와 제 n+1 무선 송수신 장치(122)가 설치된 위치 사이에서, 유선 통신 케이블(110)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가 예시되고 있다. 여기서,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란, 유선 통신 케이블(110) 상에서 제n 번째(여기서, n은 임의의 자연수) 설치된 무선 송수신 장치를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경우,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가 설치된 위치 이전까지는 정상적으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만, 이후부터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통신 데이터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100)에서는,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의 설치 위치에서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의 설치 위치 사이에서는, 위 2개의 무선 송수신 장치(121, 122) 간의 통신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통해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 정상적으로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로 무선 송신하고,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는 이와 같이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다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 재전송함으로써, 그 사이 구간에서의 통신 불능을 복구하여 데이터 통신을 재개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유선 통신 케이블(110)의 일부 구간의 파손 과정에서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도 동시에 파손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와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 간의 무선 송수신을 통한 통신 재개(복구)도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도 3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100)에서는,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와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 간의 무선 송수신을 통해서 데이터 통신 불능을 복구한다. 이를 위해, 각 무선 송수신 장치가 설치될 간격은, 그 무선 송수신 장치의 유효 통신 거리(무선 통신 가능 거리)의 1/2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된 무선 송수신 장치의 유효 통신 거리가 50m인 경우를 가정하면, 무선 송수신 장치의 설치 간격은 25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그 설치 간격을 더욱 좁혀 촘촘히 하는 경우, 그 만큼 케이블 파손 등에 따른 데이터 통신 불능의 복구 확률은 더욱 높아질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케이블 파손(또는 이와 동시에 해당 파손 위치에 설치될 무선 송수신 장치의 파손)의 경우를 가정한 파손의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유선 통신 케이블(110)의 파손은 없고 특정 설치 위치의 무선 송수신 장치만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데이터 통신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와는 무관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관해서는 별도의 구체적 언급은 피하기로 한다. 그러나, 무선 송수신 장치만의 파손의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서 향후 케이블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재개 과정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파손된 무선 송수신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성은 있다. 다만, 이에 관해서는 향후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특히, 이 중에서도 장치 상태 부가 정보에 해당할 것임)에 관한 설명을 통해 간단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에 설치되는 각 무선 송수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과 통신 재개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 장치(100)에서 미리 지정된 간격 마다 설치되는 각각의 무선 송수신 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 장치(120)는, 유선 데이터 수신부(20), 유선 데이터 수신 확인부(25), 무선 데이터 송신부(30), 무선 데이터 수신부(35), 상태 정보 생성부(40), 제어부(50) 및 메모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선 데이터 수신 확인부(25), 상태 정보 생성부(50) 및 제어부(5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데이터 송신부(30) 및 무선 데이터 수신부(35)도 하나의 송수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선 데이터 수신부(20)는, 해당 무선 송수신 장치(120)의 설치 위치에서 데이터 라인을 통해 유선 통신 케이블(110)과 접속되어,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만, 해당 설치 위치에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이 파손되는 등에 따라 통신 불능이 된 경우에는, 유선 데이터 수신부(20)로의 통신 데이터 수신은 이루어지지 않게 될 것이다. 이때, 수신된 통신 데이터는 메모리(60)에 저장(혹은 일정 시간 동안만의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통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는 유선 데이터 수신 확인부(25)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즉, 유선 데이터 수신 확인부(25)는 유선 데이터 수신부(20)를 통해서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설치 위치 근방에서의 데이터 통신 불능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설치 위치에서 유선 데이터 수신부(20)를 통한 통신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태 정보 생성부(40)는,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기 위한 소정의 상태 정보(이하, 이를 미수신 상태 정보라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통신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태 정보 생성부(40)는, 통신 데이터 정상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상태 정보(이하, 이를 정상 수신 상태 정보라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태 정보 생성부(40)는, 통신 데이터의 정상 수신 또는 미수신에 따라, 서로 구분 식별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상태 정보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된 미수신 상태 정보를, 무선 데이터 송신부(30)를 통해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위치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데이터의 미수신 상태 정보는 그 이전에 설치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보다 정확하게는 타 무선 송수신 장치에 구비된 무선 데이터 수신부(도 4의 도면부호 35와 동일 기능의 구성요소임))로 전달됨으로써, 전술한 데이터 통신 재개(복구) 과정에 활용되게 될 것이다.
또한, 제어부(50)는, 상태 정보 생성부(40)에 의해 정상 수신 상태 정보가 생성된 경우, 이 역시 무선 데이터 송신부(30)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위치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상 수신 상태 정보는, 해당 무선 송수신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에서의 케이블 파손(즉, 통신 불능) 등을 나타내는 정보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통신 상태의 참조 정보로서 활용될 가치가 있는 정보에 해당하므로, 이후 위치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상 수신 상태 정보는, 해당 설치 위치의 무선 송수신 장치 자신의 통신 상태 정보만이 독자적으로 이후 설치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지만, 해당 무선 송수신 장치 자신은 물론, 그 이전에 설치된 모든 타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에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들과 함께 취합되어 그 이후에 위치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에 관한 후술할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신 또는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각각의 통신 상태 정보들은 메모리(6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해당 무선 송수신 장치(120)가 갖는 역할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이를 도 2의 케이스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해당 무선 송수신 장치(120)가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통신 데이터의 정상 수신이 이루어지는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통신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전술한 바에 따라,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는 그 이전에 위치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로 통신 데이터의 미수신 상태를 알리는 미수신 상태 정보를 전송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의 제어부(50)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 정상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그 무선 데이터 송신부(30)를 통해서,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의 무선 데이터 수신부(35)로 무선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의 제어부(50)는,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로부터 무선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해당 설치 위치에서 접속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 방향으로(즉,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 쪽 방향으로) 재전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에서의 제어부(50)는 무선으로 받은 통신 데이터를 다시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전송 매체로 하여 재전송시키는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재개(즉, 그 부분에서 발생한 데이터 통신 불능을 복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데이터를 정상 수신한 측의 무선 송수신 장치는 그와 인접하며 통신 데이터를 미수신한 후단의 무선 송수신 장치로 통신 데이터를 무선 송신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대로 통신 데이터를 미수신한 측의 무선 송수신 장치는 그와 인접하며 통신 데이터를 정상 수신한 전단의 무선 송수신 장치로 자신의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고, 추후 통신 데이터가 그 전단의 무선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경우, 이를 후단(데이터 전송 방향)으로 유선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각 무선 송수신 장치(120)의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 도 2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3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하여 통신 불능 복구(즉, 데이터 통신 재개) 방법에 관하여 그리고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통신 불능 위치 판별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각 위치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통신 수신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들을 모두 취합한 정보인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에 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통신 케이블 장치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한, 통신 불능 판별 위치에서의 통신 재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3의 케이스를 가정하였을 때의 데이터 통신 재개(복구) 방법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5에서는,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는 물론 그 주변 케이블이 통신 불능 상태에 놓인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정상적인 통신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나[S102 참조],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에서는 통신 데이터 수신이 불능인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의 상태 정보 생성부(40)는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정보(미수신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S104]. 이때, 미수신 상태 정보는, 일 예로 1비트의 2진수로서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반대로 정상 수신 상태 정보는 1비트의 2진수로서 '0'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태 정보 생성부(40)는 자신의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를 구분하여 식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 정보는 이외에도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이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미수신 상태 정보는,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의 무선 데이터 송신부(30)를 통해,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즉, 그 이전에 위치한 무선 송수신 장치 중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 장치)의 무선 데이터 수신부(35)로 수신될 수 있다[S106]. 이에 따라,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는,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2) 및 그 주변의 케이블에 파손 등으로 인해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의 제어부(50)는,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 자신이 정상 수신한 통신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송신부(30)를 통해서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로 무선 송신한다[S108]. 이후,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의 제어부(50)는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로부터 무선 수신한 통신 데이터를 유선 통신 케이블(110)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 방향에 따라 재전송함으로써[S114], 일부 위치에서의 케이블 파손 등에 의한 통신 불능을 복구(즉, 데이터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불능 상태의 복구뿐만 아니라, 통신 불능이 발생한 위치를 판별하여, 추후 물리적 복구가 필요한 위치 및 장비를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도 생성하게 된다. 이는 도 5의 S110, S112, S116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여기서, S110 단계는 논리적으로 볼 때 S102 단계 이후라면 S104 단계 이전에 또는 S104 단계 ~ S108 단계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S116 단계 또한 논리적으로 볼 때에는 S114 단계 이전에 위치할 수 있다.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는 상술한 통신 불능 복구(데이터 통신 재개) 과정에서,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로부터,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에 관하여 그 이전까지의 취합된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받을 수 있다[S110]. 이를 아래의 표 1에 따른 상태 코드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아래의 n-1 ~ n+2는 각 무선 송수신 장치의 ID(장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ID n-1 n n+1 n+2 상태코드
모두
정상 수신
0 0 0 0 0000
n+1
미수신
0 0 1 0 0010
위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각각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정상 수신 상태이면 상태 정보 '0'을, 미수신 상태이면 상태 정보 '1'을 맵핑시킨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그 각각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의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0' 또는 '1'을 구분 맵핑한 것을, 그 무선 송수신 장치의 설치 순서에 따라서 연이어 취합하면 소정 값의 상태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총 4개의 무선 송수신 장치가 설치된 경우를 가정할 때, 그 모두가 통신 데이터 정상 수신 상태인 경우(즉, 유선 통신 케이블(110) 상에서의 통신 불능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태 코드 '0000'인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총 4개의 무선 송수신 장치 중 n+1 위치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태 코드 '0010'(즉, 10진수로는 3)인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가 획득된다.
위와 유사한 방식을 이용하여, 도 3 및 도 5에서,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는 자신 및 그 이전에 설치된 모든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의 각각의 통신 데이터 상태 정보를 취합한 정보를 S110 단계를 통해,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로 전송할 수 있다.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 및 그 이전까지는 통신 불능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위의 규칙에 따를 때, '0'이 n개 연이어진 상태 코드가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로부터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로 무선 전송될 것이다.
물론 이때, S110 단계가 S106 단계 이전에 위치하는 경우만 아니라면,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의 상태 정보(위 규칙에 따르면, '1'의 값이 맨 뒤에 부가된 상태 코드가 될 것임)도 포함하여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로 무선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로부터 미수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였고,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와의 무선 송신이 불가능하므로,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 근방에서 통신 불능이 발생하였음을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가 인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에서의 통신 데이터 수신 불능에 관한 상태 정보는,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2)의 상태 정보 생성부(40)에서 직접 부가할 수도 있음도 자명하다.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 또한 제n+1 무선 송수신 장치(122)의 통신 불능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는, 제n 무선 송수신 장치(121)로부터 수신된 그 이전까지의 취합 상태 정보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연이어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2]. 제n+2 무선 송수신 장치(123)의 상태 정보 생성부(40)에 의해 최종 생성되는 데이터 수신 취합 정보는, 위 규칙에 따를 때, 앞선 순서에서부터 '0'이 n번 연속되고, n+1번째에는 '1'이 부가되며 연이어 n+2번째에는 '0'이 부가된 형태의 상태 코드로 생성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그 다음의 무선 송수신 장치(즉, 제n+3 무선 송수신 장치(미도시))로 무선 송신될 것이다[S116]. 이 경우, 제n+3 무선 송수신 장치 및 그 이후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도, 계속적으로 위와 같은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각자 장치에서의 상태 정보가 1비트씩 연이어 부가되면서 갱신될 것이다.
이와 같이 연이어 갱신되는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최종 설치된 무선 송수신 장치를 거쳐, 종단에 접속(또는 데이터 통신 연결)될 특정 장비(해저 케이블로의 활용 케이스에서는 종단에 위치한 선박 또는 해상 구조물 등의 시스템일 수 있음)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최종 전달될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불능 위치를 쉽게 판별해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케이블 파손에 관련된 상태 코드만을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로서 생성하였지만, 상태 정보 생성부(40)는, 무선 송수신 장치 자체의 파손의 경우에도, 위의 규칙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태 코드를 추가 생성(이하, 이를 장치 상태 부가 정보라 함)하고, 연속적으로 해당 상태 코드를 종단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코드를 케이블 파손 등에 의한 통신 불능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코드와 무선 송수신 장치 자체의 파손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코드로 별개 생성할 수도 있지만, 이 둘을 하나의 상태 코드로서 통합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위 2가지 경우 모두 정상인 경우는 '00', 케이블을 통한 통신 불능만 존재하는 경우는 '10', 위 2가지 모두 불능(즉, 통신 불능 및 무선 송수신 장치 동시 파손)인 경우는 '11'로 구분 표시하고, 이를 순서대로 연이어 추가하는 통합 상태 코드를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코드로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유선 통신 케이블; 및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간격 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과 데이터 라인을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불능시 상기 통신 불능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대체하여 데이터 통신을 재개하는 제1 내지 제3 무선 송수신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의 데이터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제1 거리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의 유효 통신 거리의 1/2 이하이고,
    상기 제2 무선 송수신 장치는 통신 불능 위치에서 가장 인접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 송수신 장치가 통신 가능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하고, 상기 제2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제3 무선 송수신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하고,
    상기 제2 무선 송수신 장치가 통신 불능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 장치를 무시하고 상기 제3 무선 송수신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고,
    상기 각 무선 송수신 장치는,
    무선 데이터 송신부;
    해당 설치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유선 데이터 수신 확인부;
    상기 통신 데이터가 미수신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위치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 생성부는,
    상기 해당 설치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통신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통신 데이터 수신 상태와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설치 위치에서의 상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위치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설치 위치에서의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그 이전에 설치되는 모든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에서의 상기 통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 코드화된 것인, 통신 케이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 외측을 감싸는 케이블 보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케이블 보호체 외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각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 보호체의 내부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과 접속되는, 통신 케이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위치한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무선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데이터 미수신 상태를 알린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통신 케이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타 무선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해당 설치 위치에서 접속된 상기 유선 통신 케이블을 전송 매체로 하여 상기 통신 데이터를 재전송시키는, 통신 케이블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취합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설치 위치를 포함하여 그 이전에 설치되는 모든 무선 송수신 장치 각각의 무선 통신 정상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코드화되는 장치 상태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03021A 2013-01-10 2013-01-10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 KR10149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21A KR101497551B1 (ko) 2013-01-10 2013-01-10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21A KR101497551B1 (ko) 2013-01-10 2013-01-10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64A KR20140090864A (ko) 2014-07-18
KR101497551B1 true KR101497551B1 (ko) 2015-03-02

Family

ID=5173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021A KR101497551B1 (ko) 2013-01-10 2013-01-10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2858A (ja) * 2004-03-05 2005-09-15 Kddi Corp アドホック無線ネットワークの経路再確立方法および無線端末
JP2006050461A (ja) * 2004-08-06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ホップ型無線システムの構成方法及び無線ノード装置
KR20080004169A (ko) * 2006-07-05 2008-01-09 전자부품연구원 네트워크의 접속 고장 대응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16838A (ko) * 2010-04-20 2011-10-26 서울전선 주식회사 무선인식 태그를 구비하는 지능형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2858A (ja) * 2004-03-05 2005-09-15 Kddi Corp アドホック無線ネットワークの経路再確立方法および無線端末
JP2006050461A (ja) * 2004-08-06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ホップ型無線システムの構成方法及び無線ノード装置
KR20080004169A (ko) * 2006-07-05 2008-01-09 전자부품연구원 네트워크의 접속 고장 대응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16838A (ko) * 2010-04-20 2011-10-26 서울전선 주식회사 무선인식 태그를 구비하는 지능형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64A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271A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loca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78433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and equipment
CN101504710B (zh) 对内网计算机进行安全防护的方法及设备
WO2007145492A3 (en) Encoding uplink acknowledgments to downlink transmissions
CN104202343A (zh) 数据传输方法、数据传输装置和数据传输系统
CN110491103A (zh) 关键应用中使用的用于无线网络的抗干扰技术
CN106574839A (zh) 用于可松开地安置具有用于发送报警器基座的安装地点的位置数据和/或发送所述位置数据的参考的无线电装置的危险报警器的报警器基座
CN103485763A (zh) 监测水下装置的环境条件
WO2012069924A4 (en) Managing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missions
KR101497551B1 (ko) 통신 케이블 장치 및 통신 불능 위치 판별 방법
WO2011035337A3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the protection of ad-hoc wireless device operation
Lentz et al. Scientific monitoring and reliable telecommunications (SMART) cable systems: Integration of sensors into telecommunications repeaters
JP2014136515A5 (ko)
US20190132060A1 (en) Underground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54165A1 (en) Data trasn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KR101828673B1 (ko) 비콘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WO2018189171A1 (en) Automated asset tracking
KR102333026B1 (ko) 케이블 관련 데이터의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124702A (zh) 一种搜救定位方法
CN107333227A (zh) 一种多功能搜救系统
CN107241337B (zh) 一种自适应单兵执勤监控方法
JP6009877B2 (ja) ケーブル誤接続防止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誤接続防止方法
WO2013026461A1 (en) Method, positioning unit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mine
CN105164702A (zh) 标签中的过量rf功率存储以及相关系统和方法
CN105991772A (zh) 一种救援方法和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