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083B1 -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083B1
KR101497083B1 KR1020130060275A KR20130060275A KR101497083B1 KR 101497083 B1 KR101497083 B1 KR 101497083B1 KR 1020130060275 A KR1020130060275 A KR 1020130060275A KR 20130060275 A KR20130060275 A KR 20130060275A KR 101497083 B1 KR101497083 B1 KR 10149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rain hole
magne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779A (ko
Inventor
장순봉
Original Assignee
장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봉 filed Critical 장순봉
Priority to KR102013006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0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배수홀이 형성되는 트랩 몸체부와; 상기 트랩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트랩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와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홀을 강제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유동시키는 강제 폐쇄부를 포함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DRAIN TRAP APPARATUS}
본 발명은 배수 트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량에 따라 자동 배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함을 물론, 배수 후 악취 및 역류 방지가 강제실시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또는 화장실, 베란다 등과 같은 실내의 바닥에는 바닥의 중앙부분이나 구석진 부분(예를 들면, 세면대와 변기 사이의 부분 등)에 고이는 하수를 배수시켜 주기 위한 하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수구의 상단부측 개구부에는 통상적으로 생활하수 등과 함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하수구 내부로 인입되어 하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름망이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하수 등이 바닥의 주변에 고이지 않도록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수하는 별도의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각종 하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의 내벽은, 오물이나 기름 등이 부착되어 부패 분해하면서 악취가 나는 하수가스가 발생하며 많은 해충이 번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하수가스와 해충이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면, 매우 비위생적이고 생활환경을 심각하게 저해하므로, 대부분의 배수구나 배수관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수트랩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은 벨 트랩(bell trap)형이며, 이러한 벨 트랩형의 구성은 고여진 물에 벨의 하단 둘레가 일정 깊이로 잠입되어 배수관과 실내와의 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벨 트랩형의 구성은, 물 높이가 낮거나 부피가 작으면 배수관에서 발생되는 하수가스와 해충이 물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면 벨과 트랩 링에 오물이 퇴적하여 배수 기능이 저하되고, 자체적으로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트랩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배수로가 단면상 "S"자 형의 곡선으로 형성되어 부피가 큰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수시키지 못하고, 하수 역류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수(오수, 폐수 등을 포함)를 배수관이나 하수구로 원활히 배수시키면서 배수관을 통한 유해가스와 악취 유입 방지 및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량에 따라 자동 배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함을 물론, 배수 후 악취 및 역류 방지가 강제실시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중앙에 배수홀이 형성되는 트랩 몸체부와; 상기 트랩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트랩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와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홀을 강제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유동시키는 강제 폐쇄부를 포함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트랩 몸체부는, 상기 배수홀이 중앙에 형성되며, 테두리에서 상기 배수홀을 따라 하향 단차지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배수홀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 원판과, 상기 고정 원판의 외주와 상기 배수홀의 내주를 서로 간격을 이루어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리브를 갖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랩 몸체부는 상기 안착 영역에 위치되는 걸림 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링 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형성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브러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배수홀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제 폐쇄부는, 상기 고정 원판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는 유동축과, 상기 유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마그네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동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수홀에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되어 상기 배수홀을 개폐하도록 외면이 곡률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 형상의 개폐볼과, 상기 개폐볼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마그네트와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개폐볼을 상승시켜 상기 배수홀의 내주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홀을 폐쇄하는 자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축은 상기 개폐볼의 상단을 관통하고, 상기 유동축의 단부는 상기 개폐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개폐볼에는, 상기 개폐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동축이 끼워지는 연장축이 설치된다.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는, 상기 제 1마그네트와 척력을 형성하도록 극이 배치되는 제 2마그네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볼의 상단에는, 상기 유동축이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 영역과 상기 고정 원판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유동축을 에워싸는 주름관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볼은, 서로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한 쌍의 볼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마그네트는, 상기 유동축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하고, 상기 제 2마그네트는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축에는, 상기 유동축이 끼워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축의 외주와 상기 안내홀의 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행면을 형성하여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 1,2마그네트 간의 척력을 사용하여 개폐볼과 배수관과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폐수가 배수관에 유입되는 경우에만 배수홀을 개방하고, 폐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 배수홀을 폐쇄하여, 악취가 배수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 부재를 안착 영역에 위치시켜 폐수의 유입을 통한 유동에 의해 자연 회전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커버판의 제거만으로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후 반영구적으로 재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관 내에 위치되는 유동축을 주름관으로 에워싸이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유동축 자체에 생활 폐수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끼어 개폐볼의 승강 동작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볼을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개폐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제 1,2마그네트의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랩 몸체부의 상단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II-II'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마그네트의 유격 조절이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볼이 상승되어 배수관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볼이 하강되어 폐수가 배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트랩 몸체부의 상단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II-II'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장치는 크게 트랩 몸체부(100)와, 개폐부(200)와, 강제 폐쇄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트랩 몸체부(100)는 사각 판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홀(111)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홀(111)의 외주에는 상기 몸체(110)의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관(130)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홀(111)에는, 상기 연장관(130)에 끼워지는 배수관(14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140)의 중공은 생활 폐수가 배수되는 배수홀(140a)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관(140)의 상단에는 연결 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 부재(150)는 연결 리브들(152)과, 고정 원판(151)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원판(151)은 상기 배수관(140)의 배수홀(140a) 중앙부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 리브들(152)은 상기 고정 원판(151)의 외주와 배수홀(140a)의 내주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 리브들(152)은 서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리브들(152)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140)의 상단 외주에는 제 1걸림턱들(141)이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중앙홀(111)의 상단 내주에는 상기 제 1걸림턱들(141)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걸림턱들(131)이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걸림턱들(141)이 상기 제 2걸림턱들(131)의 하단에 걸리도록 위치됨으로써, 배수관(140)은 연장관(1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걸림턱들(141)을 상기 제 2걸림턱들(131)에서의 규제로부터 해제되도록 배수관(140)을 회전시키면, 상기 배수관(140)은 연장관(13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는 외측 테두리에서 중앙홀(111)을 따라 하향 단자지는 안착 영역(1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 영역(120)에는 배수되는 물에 포함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림 부재(400)가 위치되어, 배수되는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 부재(400)는 상기 링 형상의 회전체(410)와, 상기 회전체(410)의 외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형성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브러쉬(42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410)는 상기 배수홀(140a)의 둘레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강제 폐쇄부(300)는 크게 유동축(310)과, 제 1마그네트(320)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축(310)은 상기 고정 원판(151)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축(310)은 연장관(130)의 내부에서 하방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장관(13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 1마그네트(320)는 상기 유동축(310)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 1마그네트(3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축(31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스크류 결합과 같은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마그네트(320)의 상단부는 N극, 하단부는 S극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200)는 개폐볼(210)과, 자력부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볼(2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볼(210)의 상단에는 유동축(310)이 관통되는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11)에는 상기 개폐볼(2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연장축(220)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축(220)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축(310)이 관통 또는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축(310)은 연장축(220)의 중공에 끼워지는 상태를 이루고, 연장축(220)은 유동축(310)을 따라 승강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축(220)의 하단에는 자력부가 배치된다.
상기 자력부는 제 2마그네트(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마그네트(230)는 상기 연장축(220)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N극, 상단부가 S극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 1마그네트(320)의 N극과 그 상부에 위치되는 제 2마그네트(230)의 N극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개폐볼(210)은 항상 상기 척력에 의해 유동축(310)을 따라 상승되고, 개폐볼(210)의 상단부 외주는 배수관(140)의 하단을 밀착하여 배수홀(140a)을 폐쇄하는 상태를 이룬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통홀(211)의 둘레 영역과 상기 고정 원판(151)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유동축(310)을 에워싸는 주름관(500)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 원판(151)과 개폐볼(210)의 사이에 노출되는 유동축(310)의 둘례는 주름관(500)에 의해 에워싸여지는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개폐볼(210)은 서로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한 쌍의 볼 몸체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연장축(220)에는 상기 유동축(310)이 끼워져 이동을 안내하는 중공인 안내홀(2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축(310)의 외주와 상기 안내홀(221)의 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행면을 형성하여 접촉된다.
따라서, 유동축(310)에 끼워지는 상태로 개폐볼(210)이 승강되는 경우, 연장축(220)이 유동축(310)에 끼워진 상태로 틀어지는 방지하고, 이에 따라 개폐볼(210)의 좌우로의 틀어짐을 방지한다.
한편, 상술한 트랩 몸체부(100)의 몸체(110) 상단에는 고정판(60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600)의 중앙에는 안착 영역(120)의 테두리를 노출시키는 개구(61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안착 영역(120) 외측의 단차부에는 고정 돌기들(16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600)에는 상기 고정 돌기들(160)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들(61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60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식성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고정판(600)의 상단에는 다수의 홀들(710)이 형성되는 커버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 하면, 상술한 제 1,2마그네트(320,230) 사이의 유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축(310)의 하단과 제 1마그네트(320)는 스트류 결합되고, 유동축(310)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마그네트(320)의 결합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제 1마그네트(320)는 유동축(310)의 하단에서 승강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마그네트(320,230)의 유격이 조절되고, 이로 인해, 제 1,2마그네트(320,230)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척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배수홀(140a) 내부에 임시 저장되는 폐수의 양에 따르는 개폐볼(210)의 하강 시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수 트랩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장치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배수 크랩 장치는 가정용 화장실 및 배란다 등과 같은 장소의 바닥부에 생활 폐수를 배수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도로에 사용되는 경우, 스틸그레이팅이 설치되는 배수 구조물, 바람직하게는 맨홀 내부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폐수가 커버판(700)의 홀(710)을 통해 배수홀(140a)로 유입되지 않는 경우, 배수관(140)의 하단을 밀폐하는 개폐볼(210)의 상단에는 폐수로 인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개폐볼(210)이 배수관(140)의 하단을 밀폐하여 배수홀(140a)을 폐쇄하는 상태를 이루는 경우, 유동축(3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1마그네트(320)와, 개폐볼(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연장축(220) 하단에 설치되는 제 2마그네트(230)는 서로 척력을 이루어, 개폐볼(210)이 항상 상승되도록 상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량의 생활 폐수가 커버판(700)의 홀(710)을 통해 몸체(100)의 안착 영역(110)으로 유입되면, 안착 영역(110)에 위치된 걸림 부재(400)는 유입되는 폐수에 의해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 부재(400)의 회전체(410)에는 다수의 브러쉬(420)가 설치되고, 이 다수의 브러쉬(420)는 회전되면서, 유입되는 생활 폐수에 포함되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부재(400)는 브러쉬들(420) 사용하여 유입되는 생활 폐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른다.
이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물질이 걸러진 생활 폐수는 배수관(140)의 배수홀(140a)로 유입되어, 개폐볼(210)의 상단을 저면으로 하여 일정 수위를 이루도록 배수관(140)의 내부에 채워진다.
상기와 같이 생활 폐수가 배수관의 내부에 일정량으로 채워지면, 일정 중량을 이루게 되고, 이 중량이 제 1,2마그네트(320,230)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보다 큰 힘을 이루게 되면, 개폐볼(210)은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볼(210)이 하방으로 유동되면서, 개폐볼(210)의 상단 외주는 배수관(140)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수관(140)의 배수홀(140a)을 점진적으로 개방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배수관(140) 내에 일시 저장된 생활 폐수는 배수관(140)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유동되어 배수된다.
이때, 제 1,2마그네트(320,230)는 척력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배수관(140) 내의 생활 폐수가 모두 외부로 배수되면, 개폐볼(210)은 그 상단에서 폐수에 의해 눌리는 하중이 제거되고, 제 1,2마그네트(320,230) 사이의 척력에 의해 다시 강제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볼(210)의 상단은 배수관(140)의 하단에 밀착되는 상태를 다시 유지하여,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수홀(140a)을 강제 폐쇄하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 1,2마그네트 간의 척력을 사용하여 개폐볼과 배수관과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폐수가 배수관에 유입되는 경우에만 배수홀을 개방하고, 폐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 배수홀을 폐쇄하여, 악취가 배수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걸림 부재는 안착 영역에 위치되어 폐수의 유입을 통한 유동에 의해 자연 회전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커버판의 제거만으로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후 반영구적으로 재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배수관 내에 위치되는 유동축을 주름관으로 에워싸이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유동축 자체에 생활 폐수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끼어 개폐볼의 승강 동작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개폐볼을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개폐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제 1,2마그네트의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볼의 상승력을 조절하는 경우, 제 1,2마그네트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고, 다른 세기를 갖는 마그네트를 교체 장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수관의 하단에 오링을 부착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개폐볼의 상단 외주와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홀 폐쇄시, 배수관 하부에서의 악취가 배수관의 배수홀로 역류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볼의 외주면에 탄성층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 탄성층은 배수관의 하단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역류 현상을 더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트랩 몸체부 110 : 몸체
111 : 중앙홀 120 : 안착 영역
130 : 연장관 131 : 제 2걸림턱
140 : 배수관 140a : 배수홀
141 : 제 1걸림턱 150 : 연결 부재
151 : 고정원판 152 : 연결 리브
160 : 고정 돌기 200 : 개폐부
210 : 개폐볼 211 : 관통홀
220 : 연장축 221 : 안내홀
320 : 제 1마그네트 300 : 강제 폐쇄부
310 : 유동축 230 : 제 2마그네트
400 : 걸림 부재 410 : 회전체
420 : 브러쉬 500 : 주름관
600 : 고정판 610 : 고정홈
700 : 커버판 710 : 홀

Claims (10)

  1. 중앙에 배수홀이 형성되는 트랩 몸체부;
    상기 트랩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트랩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와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홀을 강제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유동시키는 강제 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랩 몸체부는, 상기 배수홀이 중앙에 형성되며, 테두리에서 상기 배수홀을 따라 하향 단차지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배수홀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 원판과, 상기 고정 원판의 외주와 상기 배수홀의 내주를 서로 간격을 이루어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리브를 갖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트랩 몸체부는 상기 안착 영역에 위치되는 걸림 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걸림 부재는, 링 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형성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브러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배수홀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폐쇄부는,
    상기 고정 원판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는 유동축과,
    상기 유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마그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동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수홀에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되어 상기 배수홀을 개폐하도록 외면이 곡률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 형상의 개폐볼과,
    상기 개폐볼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마그네트와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개폐볼을 상승시켜 상기 배수홀의 내주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홀을 폐쇄하는 자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축은 상기 개폐볼의 상단을 관통하고, 상기 유동축의 단부는 상기 개폐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볼에는, 상기 개폐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동축이 끼워지는 연장축이 설치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마그네트와 척력을 형성하도록 극이 배치되는 제 2마그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볼의 상단에는, 상기 유동축이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 영역과 상기 고정 원판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유동축을 에워싸는 주름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볼은,
    서로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한 쌍의 볼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마그네트는, 상기 유동축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하고,
    상기 제 2마그네트는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에는, 상기 유동축이 끼워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동축의 외주와 상기 안내홀의 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행면을 형성하여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KR1020130060275A 2013-05-28 2013-05-28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KR10149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75A KR101497083B1 (ko) 2013-05-28 2013-05-28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75A KR101497083B1 (ko) 2013-05-28 2013-05-28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79A KR20140139779A (ko) 2014-12-08
KR101497083B1 true KR101497083B1 (ko) 2015-03-11

Family

ID=5245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75A KR101497083B1 (ko) 2013-05-28 2013-05-28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0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4404B2 (ja) * 2002-09-12 2008-06-18 日本曹達株式会社 目皿一体固定型浴室排水口用ヌメリ取り器。
KR20100136280A (ko) * 2009-06-18 2010-12-28 김연이 배수구용 배수장치
JP2012067532A (ja) * 2010-09-27 2012-04-05 Panasonic Corp 浴室排水口のトラップ部材
KR101264017B1 (ko) * 2011-05-13 2013-05-13 장순봉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4404B2 (ja) * 2002-09-12 2008-06-18 日本曹達株式会社 目皿一体固定型浴室排水口用ヌメリ取り器。
KR20100136280A (ko) * 2009-06-18 2010-12-28 김연이 배수구용 배수장치
JP2012067532A (ja) * 2010-09-27 2012-04-05 Panasonic Corp 浴室排水口のトラップ部材
KR101264017B1 (ko) * 2011-05-13 2013-05-13 장순봉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79A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1264017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110111996A (ko)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101497083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20110123174A (ko) 악취 차단형 배수구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1609201B1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101479418B1 (ko) 역류성 악취 차단장치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110015189A (ko) 악취 방지용 맨홀
KR101955227B1 (ko) 배수트랩 구조체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00110933A (ko) 배수관의 악취 역류 차단용 트랩
KR101119165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10134196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장치
EP3507427B1 (en) Shower drain fitting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110046976A (ko) 탄성체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배수 장치
KR101530067B1 (ko) 통신 전력 설비 맨홀용 배수 트랩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