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729B1 -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729B1
KR101496729B1 KR20140001991A KR20140001991A KR101496729B1 KR 101496729 B1 KR101496729 B1 KR 101496729B1 KR 20140001991 A KR20140001991 A KR 20140001991A KR 20140001991 A KR20140001991 A KR 20140001991A KR 101496729 B1 KR101496729 B1 KR 10149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iltration
unit
raw water
water
filt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엽
고주형
곽동근
김윤중
김현배
남해욱
윤희철
이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2014000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58Multistep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26Absorption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3Chemical reaction
    • B01D2311/2634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92Steril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수조의 원수를 펌핑하는 펌핑부와, 이 펌핑부의 하류에서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와, 원수조의 상층에서 원수를 막여과하는 상단 막여과부와, 이 상단 막여과부의 하층에서 상단 막여과부의 배출수를 막여과하는 하단 막여과부와, 이 하단 막여과부의 하층에서 상단 막여과부 및 하단 막여과부의 여과수를 후처리하는 후처리부와, 이 후처리부의 하류에서 하단 막여과부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단 막여과부와 하단 막여과부와 후처리부를 계층형으로 배치함으로써,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부지면적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여과수의 자연 낙차에 의해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구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수, 호소수, 하폐수나 기수 및 해수 등과 같은 원수를 수처리하는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수원의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정수수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고도정수처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종래의 정수처리시설에 대한 보완이나 새로운 공정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정수시설의 보완이나 새로운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부지확보를 포함하여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정된 수질 뿐만 아니라 운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막여과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공정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국지적인 물 부족 현상과 더불어 상수원수의 오염, 먹는 물 수질기준의 강화에 따라 양질의 상수원수의 확보 및 고도정수처리시설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통상 먹는 수돗물은 응집, 침전, 모래여과, 소독을 거치는 공정으로 처리하여 공급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정수 방법으로는 맛, 냄새 유발물질, 농약 등과 같은 미량의 유해한 유기물질을 충분히 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처리시설에서는 원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원과 맛, 냄새의 문제 해결을 위해 기존 공정에 분말 활성탄을 추가적으로 사용하거나, 기술적으로 진보한 오존 접촉 산화법, 입상활성탄 흡착법, 생물처리 등을 부수적으로 이용하였다.
상기한 공정 중에서 오존, 입상활성탄 프로세스는 오존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와 입상활성탄에 의한 유기물의 흡착으로, 그 동안의 국내 고도정수처리 시설 도입에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도정수처리시설에서는 유해한 2차 생성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함께, 고도 정수처리시설의 설치, 운영 및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여름철 강우에 따른 고탁도 발생이 문제가 되는 상수원수의 경우 막 여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응집, 침전 등 전처리를 두는 경우가 많으며, 고도처리를 위하여 전, 후처리 공정을 다수 추가할 경우 시설비용과 부지소요비용, 유지관리비용 등이 증가하고 유지 관리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소독약을 투입하지 않고 분리막을 이용하여 원수에 포함된 미생물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막여과조가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종래의 침지형 분리막 정수처리방법은 하나의 막여과조를 설치하여 수행하므로, 분리막의 부하가 많이 걸려 운전시간을 단축할 수밖에 없었고, 더구나 더 이상 운전할 수 없을 정도의 부유물질이 농축될 경우 처리수의 회수율이 저하되고, 갑작스런 원수의 성상변화에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221호 (2008년 05월 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656호 (2008년 07월 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부지면적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여과수의 자연 낙차에 의해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구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의 성상변화에 따라 수처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성상의 원수에 대응할 수 있는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분기배관에 대한 개도량을 조정하여 유량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의 막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에 대한 고액분리의 막여과와 오염물질의 막여과를 분리해서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상단 막여과부의 배출수를 재여과하여 공정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 막여과부에 대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수조의 원수를 펌핑하는 펌핑부(10); 상기 펌핑부(10)의 하류에 설치되어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20); 원수조의 상층에 설치되어 원수를 고액분리하도록 막여과하는 상단 막여과부(30);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된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막여과하는 하단 막여과부(40);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막여과부(30) 및 상기 하단 막여과부(40)에서 처리된 여과수를 후처리하는 후처리부(50); 및 상기 후처리부(5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막여과부(40)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량조절부(20)는, 원수를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와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로 분배하도록 원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량조절부(20)는, 상기 상단 막여과부(3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는, 상기 유량조절부(20)에 의해 분배된 원수와,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된 배출수를 합수하여 막여과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단 막여과부(30)는, 하나 이상의 가압식 막여과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는, 하나 이상의 침지식 막여과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는, 상기 상단 막여과부(30)로부터 상기 후처리부(50)로 배출되는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2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으로서, 원수조의 원수를 펌핑하는 펌핑단계; 상기 펌핑된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 상기 유량조절된 원수를 고액분리하도록 원수조의 상층에서 막여과하는 상단 막여과단계;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의 하층에서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에서 배출된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막여과하는 하단 막여과단계;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의 하층에서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 및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의 여과수를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 및 상기 후처리단계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원수를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와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로 분배하도록 원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는,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로부터 상기 후처리단계로 배출되는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단 막여과부와 하단 막여과부와 후처리부를 계층형으로 배치함으로써,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부지면적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여과수의 자연 낙차에 의해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구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유량조절부에 의해 원수를 상단 막여과부와 하단 막여과부로 분배하도록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원수의 성상변화에 따라 수처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성상의 원수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 막여과부의 분기배관 및 하단 막여과부의 분기배관에 유량조절밸브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분기배관에 대한 개도량을 조정하여 유량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하단 막여과부에서 원수와 상단 막여과부의 배출수를 합수하여 막여과함으로써, 원수의 막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 막여과부에 하나 이상의 가압식 막여과조를 사용하고 하단 막여과부에 하나 이상의 침지식 막여과조를 사용함으로써, 원수에 대한 고액분리의 막여과와 오염물질의 막여과를 분리해서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상단 막여과부의 배출수를 재여과하여 공정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층의 상단 막여과부로부터 하층의 후처리부로 배출되는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하단 막여과부에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하단 막여과부에 대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하단 막여과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상단 막여과부와 하단 막여과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압력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유량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하단 막여과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상단 막여과부와 하단 막여과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압력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의 유량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는, 펌핑부(10), 유량조절부(20), 상단 막여과부(30), 하단 막여과부(40), 후처리부(50) 및 압력조절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천수, 호소수, 하폐수나 기수 및 해수 등과 같은 원수를 수처리하는 2단 막여과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2단 막여과장치는 정수장에 유입된 원수를 고도정수처리하는 고도정수처리장치로도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펌핑부(10)는, 원수조(100)의 내부에 저장된 원수를 펌핑하는 펌핑수단으로서, 원수를 가압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에서 막여과공정 및 후처리공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펌핑부(10)로는 원수를 가압하여 상층의 상단 막여과부(30)로 상승 이송시키는 구동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조절부(20)는, 펌핑부(10)의 하류에 설치되어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으로서, 원수의 성상변화에 따라 원수를 상단 막여과부(30)와 하단 막여과부(40)로 분배하여 막여과하도록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유량조절부(20)는, 상단 막여과부(3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밸브(21)와, 하단 막여과부(4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밸브(2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1 유량조절밸브(21)는 상단 막여과부(30)로의 분기배관에 설치되며, 분기배관의 개도량을 조정하여 상단 막여과부(3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제2 유량조절밸브(22)는 하단 막여과부(40)로의 분기배관에 설치되며, 분기배관의 개도량을 조정하여 하단 막여과부(4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유량조절부(20)는 제1 유량조절밸브(21)와 제2 유량조절밸브(22)가 일체로 형성된 삼방밸브로 이루어져, 원수의 공급배관과 상단 막여과부(30) 및 하단 막여과부(40)의 분기배관 사이의 합류부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단 막여과부(30)는, 원수조(100)의 상층에 설치되어 원수를 고액분리하도록 막여과하는 막여과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가압식 막여과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된 배출수는 낙차에 의해 하층의 하단 막여과부(40)로 배출되고, 상단 막여과부(30)에서 여과 처리된 상단막 여과수는 낙차에 의해 하층의 후처리부(50)로 배출된다.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단 막여과부(30)의 수세(flushing), 역세(backwash), 공세(air scrubbing) 등의 세정조작에 의해 배출되는 폐수이다.
하단 막여과부(40)는,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된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막여과하는 막여과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침지식 막여과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단 막여과부(30)의 배출수를 재여과하여 공정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단 막여과부(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의 성상변화에 따라서 유량조절부(20)에 의해 분배된 원수와,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된 배출수를 합수하여 막여과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하단 막여과부(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단 막여과부(30)로부터 후처리부(50)로 배출되는 상단막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펌프와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없이 구동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처리부(50)는,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단 막여과부(30) 및 하단 막여과부(40)에서 여과 처리된 하향류의 상단막 여과수와 하단막 여과수를 합수하여 후처리하는 후처리수단으로서, 여과수를 후처리하여 처리수조(200)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후처리부(50)에서는 여과수의 용존성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산화처리하고, 산화처리한 처리수의 미세오염물질 및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처리하고, 흡착처리한 처리수의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압력조절부(6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처리부(50)의 하류에 설치되어 하단 막여과부(40)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으로서, 후처리부(50)의 하류배관의 개도량을 조정하여 하단 막여과부(40)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2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2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은, 펌핑단계(S10), 유량조절단계(S20), 상단 막여과단계(S30), 하단 막여과단계(S40), 후처리단계(S50) 및 압력조절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펌핑단계(S10)는, 원수조(100)의 내부에 저장된 원수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원수를 가압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2단 막여과장치에서 막여과공정 및 후처리공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유량조절단계(S20)는, 펌핑단계(S10)에서 펌핑된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로서, 원수의 성상변화에 따라 원수를 상단 막여과단계(S30)와 하단 막여과단계(S40)로 분배하여 막여과하도록 원수의 유량을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조절하게 된다.
상단 막여과단계(S30)는, 유량조절단계(S20)에서 유량조절된 원수를 고액분리하도록 원수조(100)의 상층에서 막여과하는 단계로서, 원수조(100)의 상층에 설치된 상단 막여과부(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식 막여과조에 의해 원수를 막여과하게 된다.
또한, 상단 막여과단계(S30)에서 배출된 배출수는 낙차에 의해 하층의 하단 막여과단계(S40)로 배출되고, 상단 막여과단계(S30)에서 여과 처리된 상단막 여과수는 낙차에 의해 하층의 후처리단계(S50)로 배출된다.
하단 막여과단계(S40)는, 상단 막여과단계(S30)의 하층에서 상단 막여과단계(S30)에서 배출된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막여과하는 단계로서,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된 하단 막여과부(4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침지식 막여과조에 의해 상단 막여과단계(S30)의 배출수를 막여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단 막여과단계(S30)의 배출수를 재여과하여 공정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단 막여과단계(S40)는, 원수의 성상변화에 따라서 유량조절단계(S20)에 의해 분배된 원수와, 상단 막여과단계(S30)에서 배출된 배출수를 합수하여 막여과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하단 막여과단계(S40)는, 상층의 상단 막여과단계(S30)의 하층에서 진행되어, 상층의 상단 막여과부(30)로부터 하층의 후처리부(50)로 배출되는 상단막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펌프와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없이 구동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처리단계(S50)는, 상단 막여과단계(S30)의 하층에서 상단 막여과단계(S30) 및 하단 막여과단계(S40)의 상단막 여과수와 하단막 여과수를 합수하여 후처리하는 단계로서, 여과수를 후처리하여 처리수조(200)로 처리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후처리단계(S50)에서는 여과수의 용존성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산화처리하고, 산화처리한 처리수의 미세오염물질 및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처리하고, 흡착처리한 처리수의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하고 불활성화하게 된다.
압력조절단계(S60)는, 후처리단계(S50)의 하류에 설치되어 하단 막여과단계(S40)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로서, 압력조절밸브로 후처리부(50)의 하류배관의 개도량을 조정하여 하단 막여과단계(S40)의 여과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 막여과부와 하단 막여과부와 후처리부를 계층형으로 배치함으로써,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부지면적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상단막 여과수의 자연 낙차에 의해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구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유량조절부에 의해 원수를 상단 막여과부와 하단 막여과부로 분배하도록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원수의 성상변화에 따라 수처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성상의 원수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 막여과부의 분기배관 및 하단 막여과부의 분기배관에 유량조절밸브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분기배관에 대한 개도량을 조정하여 유량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하단 막여과부에서 원수와 상단 막여과부의 배출수를 합수하여 막여과함으로써, 원수의 막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 막여과부에 하나 이상의 가압식 막여과조를 사용하고 하단 막여과부에 하나 이상의 침지식 막여과조를 사용함으로써, 원수에 대한 고액분리의 막여과와 오염물질의 막여과를 분리해서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상단 막여과부의 배출수를 재여과하여 공정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층의 상단 막여과부로부터 하층의 후처리부로 배출되는 상단막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하단 막여과부에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하단 막여과부에 대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펌핑부 20: 유량조절부
30: 상단 막여과부 40: 하단 막여과부
50: 후처리부 60: 유압조절부

Claims (10)

  1. 원수조의 원수를 펌핑하는 펌핑부(10);
    상기 펌핑부(10)의 하류에 설치되어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20);
    원수조의 상층에 설치되어 원수를 고액분리하도록 막여과하는 상단 막여과부(30);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된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막여과하는 하단 막여과부(40);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막여과부(30) 및 상기 하단 막여과부(40)에서 처리된 여과수를 후처리하는 후처리부(50); 및
    상기 후처리부(5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막여과부(40)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20)는, 원수를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와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로 분배하도록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20)는,
    상기 상단 막여과부(3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는, 상기 유량조절부(20)에 의해 분배된 원수와, 상기 상단 막여과부(30)에서 배출된 배출수를 합수하여 막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막여과부(30)는, 하나 이상의 가압식 막여과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는, 하나 이상의 침지식 막여과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막여과부(40)는, 상기 상단 막여과부(30)로부터 상기 후처리부(50)로 배출되는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
  8. 제 1 항에 기재된 2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으로서,
    원수조의 원수를 펌핑하는 펌핑단계;
    상기 펌핑된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
    상기 유량조절된 원수를 고액분리하도록 원수조의 상층에서 막여과하는 상단 막여과단계;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의 하층에서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에서 배출된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막여과하는 하단 막여과단계;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의 하층에서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 및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의 여과수를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 및
    상기 후처리단계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의 여과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원수를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와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로 분배하도록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막여과단계는, 상기 상단 막여과단계로부터 상기 후처리단계로 배출되는 여과수의 하향류에 의한 음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막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20140001991A 2014-01-07 2014-01-07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49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991A KR101496729B1 (ko) 2014-01-07 2014-01-07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991A KR101496729B1 (ko) 2014-01-07 2014-01-07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729B1 true KR101496729B1 (ko) 2015-03-02

Family

ID=5302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991A KR101496729B1 (ko) 2014-01-07 2014-01-07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732A (ko) * 2015-04-17 2017-12-1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막 중력 여과장치로의 매체 여과장치의 변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218A (ja) * 2005-03-30 2006-10-12 Toray Ind Inc 二段膜ろ過システム、および二段膜ろ過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11104549A (ja) * 2009-11-19 2011-06-02 Green Deal Suishin Kyokai ろ過システムおよびろ過方法
KR20130028854A (ko) * 2011-09-09 2013-03-20 경일워터이엔지 주식회사 여과수 압력제어형 막여과장치 및 그의 막세척방법
KR101334651B1 (ko) * 2012-08-14 2013-11-29 한국수자원공사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2218A (ja) * 2005-03-30 2006-10-12 Toray Ind Inc 二段膜ろ過システム、および二段膜ろ過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11104549A (ja) * 2009-11-19 2011-06-02 Green Deal Suishin Kyokai ろ過システムおよびろ過方法
KR20130028854A (ko) * 2011-09-09 2013-03-20 경일워터이엔지 주식회사 여과수 압력제어형 막여과장치 및 그의 막세척방법
KR101334651B1 (ko) * 2012-08-14 2013-11-29 한국수자원공사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732A (ko) * 2015-04-17 2017-12-1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막 중력 여과장치로의 매체 여과장치의 변환
KR102527277B1 (ko) * 2015-04-17 2023-04-27 비엘 테크놀러지스 인크. 막 중력 여과장치로의 매체 여과장치의 변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19020B (zh) 一种组合净水装置及其方法
JP6194887B2 (ja) 淡水製造方法
CN105330060A (zh) 一种石墨烯废水处理和回用系统及其处理、回用工艺
CN209210544U (zh) 高氨氮、高硫化物垃圾渗滤液处理系统
Schulz et al. Treating surface waters for commun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CN103641273B (zh) 给水处理厂深度处理系统及采用深度处理系统的水处理方法
CN102491574B (zh) 钢铁企业综合废水深度处理工艺
KR100850770B1 (ko) 농업용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업재이용수로전환하는 방법
KR101496729B1 (ko) 2단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0861554B1 (ko)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
CN103253760B (zh) 一种与负压膜耦合的上向流流态化生物滤池
KR100974184B1 (ko) 역삼투막을 이용한 계곡수 또는 지하수 처리 소규모 수도시설 장치
KR101766898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3845249A (zh) 一种基于陶瓷膜自来水厂用处理自来水的系统及工艺
AU2012101909A4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water
KR101170832B1 (ko) 정수처리장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용 정화장치
KR100983312B1 (ko) 분리막과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재이용장치
CN103896435A (zh) 一种可调弱碱性净水工艺及一种净水机
ZA200205320B (en) Method and device for effluent treatment.
KR102475293B1 (ko) 수질정화장치의 다중 운영방법
CN203545848U (zh) 中水回用处理系统
Rajpoot Current Technologies for Waste Water Treatment in Chemical Industries in India
CN216005404U (zh) 一种水质智能调节直饮水设备
KR20020027089A (ko)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중수 생산 방법 및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중수 생산 장치
CN109626703A (zh) 机械加工废水处理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