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66B1 -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66B1
KR101496266B1 KR20130154355A KR20130154355A KR101496266B1 KR 101496266 B1 KR101496266 B1 KR 101496266B1 KR 20130154355 A KR20130154355 A KR 20130154355A KR 20130154355 A KR20130154355 A KR 20130154355A KR 101496266 B1 KR101496266 B1 KR 10149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section
s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스카이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스카이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스카이라이프
Priority to KR2013015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One - way 개념의 단순한 채널선택방식에서 벗어나, 장르나 번호대역대, 웹페이지 등으로 하는 다수 채널구간을 탐색하여 채널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장르나 웹페이지로 전환하면서 손쉽게 채널을 구별하면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을 형성하되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MULTI LANE TV CHANNEL NAVIGATION UI CONCEPT AND REMOTE CONTROLLER DESIGN}
본 발명은 단순히 One - way 개념의 단순한 채널선택방식에서 벗어나, 장르나 번호대역대, 웹페이지 등으로 하는 다수 채널구간을 탐색하여 채널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장르나 웹페이지로 전환하면서 손쉽게 채널을 구별하면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다수 채널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시청자는 대부분 리모트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채널을 전환하면서 원하는 방송을 시청하게 된다.
이에 리모트 콘트롤러에는 채널을 전환시키기 위한 버튼으로, 채널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버튼 선택방법이 있고 채널 번호 순차로 전환시키기 위한 채널이동버튼의 네비게이션 선택방법이 있다. 그리하여 기본적으로는 순차적 채널 이동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물론 채널번호를 외워서 숫자버튼을 눌러 방송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기본적으로 텔레비전은 수동적 미디어 소비 성향을 갖는 장치로써 시청자의 기억력에 의존하는 채널번호 네비게이션 방식은 기득권 채널에 혜택을 주는 방식에 해당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처럼 순차적으로 채널번호가 부여되기 때문에 접근용이한 채널대역의 방송들만 채널번호 앞부분에 부여되어 대부분의 인기채널을 몰아넣어 작성된다. 이들 방송은 대부분 공중파 방송들, 홈쇼핑 방송 등이 위치된다. 반면 뒷번호 채널들은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서 제공한다고 해도 채널 네비게이션의 문제점(순차적 접근방식 및 채널번호 기억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쉽지않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러한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로서 초기 사업의 경우 사업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PC/모바일 등 능동적 콘텐츠 소비 매체와 대비하여 볼 때 콘텐츠의 다양성 및 발전의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중소 업체의 성장에 한계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63190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7490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순히 One - way 개념의 단순한 채널선택방식에서 벗어나, 장르나 번호대역대, 웹페이지 등으로 하는 다수 채널구간을 탐색하여 채널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장르나 웹페이지로 전환하면서 손쉽게 채널을 구별하면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쉽게 “다른 장르” 또는 “특정 번호대영역” 또는 “웹형 스마트 서비스 채널들”등의 채널구간들로 쉽게 이동하여 다양한 콘텐츠(웹페이지)를 폭넓게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청자에게 실질적인 다양한 콘텐츠(웹페이지) 선택의 폭이 넓어지며 중소PP 및 신규 스마트형 웹 페이지 채널 공급사업자에게는 기존의 기득권채널 번호 대비하여 갖는 상대적 선택 기회(노출 가능성)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초기 사업성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가적으로 방송산업 전반의 고른 발전을 유도하여 콘텐츠(웹페이지) 시장활성화 및 콘텐츠 다양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 디스플레이에 방송정보 및 채널구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비된 수신수단 측으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채널구간전환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수신수단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수신수단; 및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수신수단으로 전송되어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며, 상기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수신수단으로 전송되어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며,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이 표시되는 채널구간표시영역; 및 개별 채널구간표시영역 내에 개별 방송들의 채널정보가 표시되는 개별채널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채널다구간 전환 조작신호 발신단계; 수신수단에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처리단계; 디스플레이에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고, 디스플레이에 방송정보 및 채널구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비된 수신수단 측으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채널구간전환버튼; 및 채널의 상하조작 버튼인 채널상하이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채널구간전환버튼은: 누름 버튼 형태의 누름식전환버튼; 또는 소정의 선택 영역으로써 터치패드 형태의 스마트터치패드형태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비되며,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발신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방송국이나 방송송출처로부터 수신받은 다수 채널의 방송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채널다구간분류부; 및 채널구간의 전환신호의 정보에 의해 분류된 채널정보로부터 해당되는 채널구간정보 및 채널정보를 분석하는 채널구간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수신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수신수단; 및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디스플레이에 방송정보 및 채널구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비된 수신수단 측으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채널구간전환버튼; 및 채널의 상하조작 버튼인 채널상하이동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이 표시되는 채널구간표시영역; 개별 채널구간표시영역 내에 개별 방송들의 채널정보가 표시되는 개별채널표시영역; 및 다수 채널구간표시영역 사이에는 화살표 모양의 구간전환안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수신수단은: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발신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방송국이나 방송송출처로부터 수신받은 다수 채널의 방송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채널다구간분류부; 및 채널구간의 전환신호의 정보에 의해 분류된 채널정보로부터 해당되는 채널구간정보 및 채널정보를 분석하는 채널구간전환부를 포함하고,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구간"전환을 위한 채널구간전환버튼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는 수신수단의 H/W의 수신부재를 통해 수신되며, 수신된 조작신호는 미들웨어(m/w)로 전달되어 처리되고, 미들웨어(m/w)에서 채널구간 전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시청중인 채널이 포함된 채널구간을 분석하고, 새로이 전환되는 채널구간을 분석하여, h/w에 채널구간전환 후 이동해야할 채널로 전환 요청하며, 수신수단의 h/w 에서 해당 채널로 전환 후 수신된 영상신호를 m/w로 전달하고, 영상신호는 m/w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수신수단으로 전송되어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며, 상기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이고,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이 표시되는 채널구간표시영역; 개별 채널구간표시영역 내에 개별 방송들의 채널정보가 표시되는 개별채널표시영역; 및 다수 채널구간표시영역 사이에는 화살표 모양의 구간전환안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채널다구간 전환 조작신호 발신단계; 수신수단에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처리단계; 디스플레이에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구간"전환을 위한 채널구간전환버튼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는 수신수단의 H/W의 수신부재를 통해 수신되며, 수신된 조작신호는 미들웨어(m/w)로 전달되어 처리되고, 미들웨어(m/w)에서 채널구간 전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시청중인 채널이 포함된 채널구간을 분석하고, 새로이 전환되는 채널구간을 분석하여, h/w에 채널구간전환 후 이동해야할 채널로 전환 요청하며, 수신수단의 h/w 에서 해당 채널로 전환 후 수신된 영상신호를 m/w로 전달하고, 영상신호는 m/w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단순히 One - way 개념의 단순한 채널선택방식에서 벗어나, 장르나 번호대역대, 웹페이지 등으로 하는 다수 채널구간을 탐색하여 채널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장르나 웹페이지로 전환하면서 손쉽게 채널을 구별하면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는 손쉽게 “다른 장르” 또는 “특정 번호대영역” 또는 “웹형 스마트 서비스 채널들”등의 채널구간들로 쉽게 이동하여 다양한 콘텐츠(웹페이지)를 폭넓게 소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시청자에게 실질적인 다양한 콘텐츠(웹페이지) 선택의 폭이 넓어지며 중소PP 방송채널 및 신규 스마트형 웹 페이지 채널 공급사업자에게는 기존의 기득권채널 번호 대비하여 갖는 상대적 선택 기회(노출 가능성)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초기 사업성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가적으로 방송산업 전반의 고른 발전을 유도하여 중소PP 및 방송 웹페이지 시장활성화 및 콘텐츠 다양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ONE-WAY 개념의 TV채널 선택 방식 (채널 업/다운 버튼을 통한 채널 이동시 1, 2, 3, 4 또는 4, 3, 2, 1 과 같은 단순 순차적 채널 접근만 지원)을 탈피하여 채널구간 탐색기능(번호대역구간의 예에서 1번에서 100번 채널로 바로 이동 또는 그 반대) 또는 다른 장르의 웹페이지 영역으로 바로 이동을 쉽게 지원하는 다구간 확장 리모콘 UI/UX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현재 주로 서비스되는 방송의 채널 번호 배치의 예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의해 실시되는 다구간 확장 UX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실시예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의해 실시되는 다구간 확장 UI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대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대한 일반형 리모트 콘트롤러에 대한 설명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대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으로 실시되는 다구간 확장 UI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의해 실시되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신호 및 신호처리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대한 시스템 제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따른 서비스 신호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에 대한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의해 실시되는 구성 및 신호의 처리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시청자가 조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10), 조작신호를 처리하고 방송정보 및 채널구간전환에 따른 표시정보를 발생하는 수신수단(30), 그리고 방송정보, 웹정보, 채널구간 전환의 표시정보 등의 화면표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0) 등을 포함한다.
이에 위성방송, IPTV, 케이블TV, 디지털TV 등의 방송신호의 송수신 수단으로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셋톱박스가 수신수단(30)이 될 것이다. 또는 별도의 셋톱박스가 없고 리모트 콘트롤러의 신호를 직접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수신받아 처리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수신수단(30)이 텔레비전 수상기 내부에 포함되어 실시되는 것이며, 이처럼 방송신호의 처리방식 및 리모트 콘트롤러의 신호처리 방식 등에 알맞게 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수신수단 및 디스플레이가 응용되어 적용될 것이다.
그리하여 종래의 ONE-WAY 개념의 TV채널 선택 방식 (채널 업/다운 버튼을 통한 채널 이동시 1, 2, 3, 4 또는 4, 3, 2, 1 과 같은 단순 순차적 채널 접근만 지원)을 탈피하여 채널구간 탐색기능(번호대역구간의 예에서 1번에서 100번 채널로 바로 이동 또는 그 반대) 또는 다른 장르의 웹페이지 영역으로 바로 이동을 쉽게 지원하는 다구간 확장 리모콘 UI/UX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0)를 조작하여 다수의 채널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을 변경하여 새로운 채널구간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를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10)는,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개별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10)는 네 방향으로 선택가능한 네비게이션 버튼(도 4 내지 도 6 등에서 보인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중앙의 둥근 버튼), 음량의 상하조작 버튼, 채널의 상하조작 버튼인 채널상하이동버튼(11) 등이 마련된다.
아울러 리모트 콘트롤러(10)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50)에 방송정보 및 다수 채널구간들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비된 수신수단(30) 측으로,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채널구간전환버튼(1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도 4의 왼쪽 그림의 예시, 도 5의 예시에서처럼 일반형 리모트 콘트롤러의 경우에서는 중앙의 둥근형상(또는 일부 리모트 콘트롤러에서는 사각형, 개별 버튼 등으로도 실시되고 있음)의 네비게이션 버튼에 있어서, 좌우 방향 버튼으로 채널 다구간 변경을 위한 선택버튼인 채널구간전환버튼(13)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의 오른쪽 그림 및 도 6 등에서의 리모트 콘트롤러(10)에서는 아래 쪽으로 채널구간 전환을 위한 채널구간전환버튼(13)이 구성되어 새로운 리모트 콘트롤러(10)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새로운 리모트콘트롤러의 제시에서는 도 4의 오른쪽 위쪽 그림에서처럼 별도의 버튼 형태로 하여 채널구간전환버튼(13)이 마련되는 누름식전환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의 오른쪽 아래 그림에서처럼 별도의 선택 영역으로써 터치패드 형태로 하여 채널구간전환버튼(13)이 마련되는 스마트터치패드형태버튼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예시를 들에서 채널구간전환버튼(13)은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선택의 예를 들었으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 조작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등, 실시상황이나 리모트 콘트롤러 사양에 따라 알맞게 응용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을 형성하되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10)로부터 전송받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수신수단(30)이 마련된다.
그리하여 수신수단(30)에 의하여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을 정리해보면, 리모트 콘트롤러(10), 수신수단(30) 및 디스플레이(50) 등을 포함하여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100)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리모트 콘트롤러(10)에서는,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을 형성하되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아울러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는, 리모트 콘트롤러(10)에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을 형성하되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채널다구간 전환 조작신호 발신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신수단(30)에서는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10)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전환된 방송이나 웹정보로 하는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아울러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수신수단(30)에서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10)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50)로 전송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처리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이다.
이에 이러한 수신수단(30)에는 리모트 콘트롤러(10)에서 발신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IR 수신단자와 같은 신호수신부(31)를 포함하여 채널구간의 전환을 위한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아울러 방송국이나 방송송출처 등으로부터 수신받은 다수 채널의 방송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채널다구간분류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채널다구간분류부(32)에 의해 전송받은 다채널의 방송정보로부터 각 방송의 채널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구간의 전환신호의 정보에 의해 분류된 채널정보로부터 해당되는 채널구간정보 및 채널정보를 분석하는 채널구간전환부(33)가 마련된다. 이러한 채널구간전환부(33)의 처리에 의해 채널구간 전환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처리에 따른 채널구간 전환의 방송정보, 웹정보 등은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이로써 디스플레이(50)에서는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30)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50)에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30)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표시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내용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2에서처럼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로 되어 방송 및 웹정보를 시청할 수 있으며, 또는 도 3, 도 6처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를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을 구성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리모트 콘트롤러(10)에서는 다수 채널구간을 변경하는 조작신호 및 채널을 선택한 채널선택신호를 발신하며, 이러한 신호는 수신수단(30)에서 전송받아 알맞은 전환영상 및 선택된 채널의 방송정보를 디스플레이(50)로 전송하여 화면에 보이도록 실시된다.
이에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개별 채널구간의 예를 보면, 장르별로 구분되게 공중파방송, 홈쇼핑방송, 교육방송, 스포츠방송, 종합편성방송, 영화방송, 다큐방송, 보도경제방송, 오락방송, 드라마방송, 취미생활정보방송, 공공/공익방송, 종교방송, 어린이방송 등으로 하여 구분되는 개별 채널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웹페이지별로 구분되게 일반 방송 및 웹페이지구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2번채널, 3번채널, 4번채널, 5번채널, 6번채널, 7번채널, 8번채널, 9번채널, 10번채널, 11번채널, 12번채널 등과 같이 30번대 이하의 채널구간, 31번 이상부터 99번 이하의 채널구간, 100번대의 채널구간, 200번대의 채널구간 등 채널번호대역 구간으로 나누어 개별 채널구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리모트 콘트롤러의 채널구간전환버튼을 통하여 장르별로 편성된 다수 채널구간들을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예: 지상파->영화->스포츠->음악->종교->어린이->지상파 또는 그 역순).
또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구간 전환 버튼을 통하여 채널번호 100번씩 순차 이동되도록 번호대역구간을 순환되게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예: 1번대->100번대->200번대->300번대...->900번대->1번대 또는 그 역순).
따라서 시청자는 단순히 채널구간전환버튼을 좌측이나 우측(또는 상방향이나 하방향 등) 등 한쪽 방향으로만 계속 선택해도 여러 채널구간들이 순환되어 돌면서 전환되므로 손쉽게 채널구간의 선택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로 도 2에서처럼 전환된 채널구간의 방송정보 또는 웹정보를 바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도록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일반 방송채널구간의 일반방송을 보이는 중에, 리모트 콘트롤러의 채널구간전환버튼(13)의 오른쪽 버튼을 누를 경우, 일반방송정보를 대신하여 웹정보 중에서 "Sky Life"의 웹페이지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또한 "Skylife" 시청 중 일반적인 TV 조작 방식인 채널 업/다운 버튼 조작으로 "Google", "Daum" 등 웹 페이지를 시청할 수 있다.
아울러 이처럼 웹페이지 정보를 시청하는 중에, 다시 리모트 콘트롤러의 채널구간전환버튼 중에서 왼쪽 버튼을 누르면 이전에 시청하고 있던 일반방송정보(예에서는 "KBS 1")를 다시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반방송과 웹페이지 등은 서로 다른 일반반송 채널구간과 웹페이지 채널구간으로 구분된 UX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시청자의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일반방송과 웹페이지 화면이 서로 전환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웹주소를 번거롭게 기입하거나, 일반 방송을 특별히 검색하지 않아도 이전에 시청하였던 서로 다른 채널구간의 시청화면으로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 도 6 등의 예에서는 전환되는 채널구간들의 리스트를 보이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채널구간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 단순히 상하배열로 개별 채널번호들이 표시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좌우배열로 개별 채널번호들이 표시되게 실시될 수 있는 등, 직선표시 형태로 화면에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처럼 궤도 형상으로 개별 채널구간의 채널번호들이 보이도록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디스플레이(50)는, 방송정보 및 채널구간의 전환을 위해 채널구간 전환에 대한 영상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즉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10)에서 수신수단(30)으로 전송되어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30)으로부터 전송되어 디스플레이(50)에서 표시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디스플레이(50)의 화면표시영역에는,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이 표시되는 채널구간표시영역(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3, 도 6에서처럼 채널구간표시영역(51)에 개별 채널구간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별 채널구간표시영역(51) 내에 개별 방송들의 채널정보가 표시되는 개별채널표시영역(52)이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 채널구간표시영역(51) 사이에는 화살표 모양의 구간전환안내표시부(53)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채널구간표시영역(51)에는 다수 개의 개별채널표시영역(52)이 구분되게 보이는 것이며, 이 중에서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10)를 조작하여 원하는 채널구간 및 원하는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10), 수신수단(30) 및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하는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100) 및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실시예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양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에 의해 실시되는 다구간 확장 UX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실시예 대한 예시도이다. 즉 도 2의 상측에는 일반방송채널구간과 웹페이지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것을 예시하는 다구간 확장 UX를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2의 아래에는 다구간 확장 UX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각각 일반방송 정보 및 웹페이지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서비스를 위해, 리모트 콘트롤러(10) 조작으로 수신수단(30)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50) 화면에 표시되는 채널구간 전환의 내용을 보여주는 다구간 확장 UI의 예시도이다.
이에 중앙에 위치된 채널구간은 웹페이지(채널)의 채널구간으로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구간이 된다. 그리고 왼쪽은 낮은 숫자의 채널번호대역구간의 채널구간이며, 오른쪽은 높은 숫자의 채널번호대역구간의 채널구간을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10)의 채널구간전환버튼(13)을 조작하여 웹페이지의 채널구간에서 왼쪽으로 선택하면 낮은 번호의 채널번호의 채널구간을 선택할 수 있고 오른쪽으로 선택하면 높은 번호의 채널구간을 선택하게 된다.
도 4는 여러 양태의 리모트 콘트롤러(10)를 예시한 것이며, 왼쪽은 일반형, 오른쪽 위쪽은 버튼형, 오른쪽 아래는 스마트패드 형태로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일반형 리모트 콘트롤러(10)에 있어서 일반형을 예시든 것으로, 중앙의 네비게이션 버튼 중에서 좌우를 선택하면 채널구간전환버튼으로 이용되어, 방송정보 및 웹페이지 정보 등의 채널구간 선택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50) 화면에 표시되고, 이에 오른쪽의 채널버튼(채널상하이동버튼(11))을 누르면서 원하는 방송정보 및 웹페이지 정보의 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도 6은 리모트 콘트롤러(10) 조작으로 다구간 확장 UI에서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채널구간전환버튼(13)을 이용하여 일반방송채널로 하는 채널구간과 웹페이지의 채널구간 중에서 원하는 채널구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채널의 상하버튼(채널상하이동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된 채널구간 중에서 원하는 방송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방송채널의 재핑(채널 업/다운 버튼 활용 채널 이동)은 1차선 도로를 달리는 개념과 같다고 볼 수 있으나, 일반 방송채널 이외에 웹페이지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고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하여 시청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손쉬운 방송시청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방송채널 및 웹페이지 전용의 채널 등으로 일종의 “차선”(다차선, 즉 채널 다구간)을 확장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일반형 리모트 콘트롤러에 있어서 일명 네비게이션버튼인 사방향키 버튼 중 좌우 버튼 또는 신규로 제작 리모트 콘트롤러에선 구간이동 전용 버튼을 추가하여 일반방송 시청과 웹페이지 시청 간 시청자의 자연스러운 차선전환(채널구간 전환) UI/UX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일반방송채널을 시청중인 시청자가 우측 구간이동 버튼(채널구간전환버튼에서)을 누를 경우 시청자가 가장 최근에 시청(이용) 중이던 웹 페이지가 나타나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채널업/다운 버튼을 누를 경우 웹페이지 채널구간에 포함된 웹 페이지(채널)간에 전환되어 해당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후 시청자가 일반 방송 채널로 복귀를 원할 경우 좌측 구간이동 버튼(채널구간전환버튼에서)을 눌러 일반 방송채널로 복귀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 그대로 일반방송채널의 채널구간이 표시되고 시청하였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반방송과 웹 페이지 채널들의 적용 이외에 차선변경(채널구간전환) 개념을 통해 채널10개씩 건너뛰기 등 기타의 서비스 구현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10, 리모콘), 수신수단(30, 예: 수신기), 디스플레이(50, 예: TV수상기) 등으로 마련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수단(30)은 디스플레이(50) 내부에 포함되어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 7에서처럼 수신기(셋톱박스)와 같이 별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리모트 콘트롤러(10)에서 "구간"전환을 위한 채널구간전환버튼(13)을 조작하면(도 7의 ① 참조), 조작신호는 수신수단(30)의 H/W IR 단자 등의 수신부재를 통해 수신되며(도 7의 ② 참조), 수신된 조작신호는 미들웨어(m/w)로 전달되어 처리된다(도 7의 ③ 참조).
미들웨어(m/w)에서 채널구간 전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시청중인 채널이 포함된 채널구간을 분석하고, 새로이 전환되는 채널구간을 분석하여, h/w에 채널구간전환 후 이동해야할 채널로 전환 요청하게 된다(도 7의 ④ 참조).
수신수단의 h/w 에서 해당 채널로 전환 후 수신된 영상신호를 m/w로 전달하고(도 7의 ⑤ 참조), 영상신호는 m/w에서 처리하여 TV 수상기(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시청하게 된다(도 7의 ⑥ 참조).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리모트 콘트롤러 13 : 채널구간전환버튼
30 : 수신수단 31 : 신호수신부
33 : 채널구간전환부 50 : 디스플레이
51 : 채널구간표시영역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수신수단; 및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디스플레이에 방송정보 및 채널구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비된 수신수단 측으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채널구간전환버튼; 및 채널의 상하조작 버튼인 채널상하이동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이 표시되는 채널구간표시영역;
    개별 채널구간표시영역 내에 개별 방송들의 채널정보가 표시되는 개별채널표시영역; 및
    다수 채널구간표시영역 사이에는 화살표 모양의 구간전환안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발신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방송국이나 방송송출처로부터 수신받은 다수 채널의 방송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채널다구간분류부; 및
    채널구간의 전환신호의 정보에 의해 분류된 채널정보로부터 해당되는 채널구간정보 및 채널정보를 분석하는 채널구간전환부;
    를 포함하고,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구간"전환을 위한 채널구간전환버튼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는 수신수단의 H/W의 수신부재를 통해 수신되며, 수신된 조작신호는 미들웨어(m/w)로 전달되어 처리되고,
    미들웨어(m/w)에서 채널구간 전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시청중인 채널이 포함된 채널구간을 분석하고, 새로이 전환되는 채널구간을 분석하여, h/w에 채널구간전환 후 이동해야할 채널로 전환 요청하며,
    수신수단의 h/w 에서 해당 채널로 전환 후 수신된 영상신호를 m/w로 전달하고, 영상신호는 m/w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다구간확장지원시스템.
  6. 다수 채널구간들이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수신수단으로 전송되어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며,
    상기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 구비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하여 개별 채널구간이 표시되는 채널구간표시영역;
    개별 채널구간표시영역 내에 개별 방송들의 채널정보가 표시되는 개별채널표시영역; 및
    다수 채널구간표시영역 사이에는 화살표 모양의 구간전환안내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디스플레이.
  7.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다수의 방송들을 포함한 채널구간에 대해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채널다구간 전환 조작신호 발신단계;
    수신수단에서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도록 채널 다구간 전환의 조작신호를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처리단계;
    디스플레이에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포함된 채널구간에서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어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채널구간전환 화면표시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구간"전환을 위한 채널구간전환버튼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는 수신수단의 H/W의 수신부재를 통해 수신되며, 수신된 조작신호는 미들웨어(m/w)로 전달되어 처리되고,
    미들웨어(m/w)에서 채널구간 전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시청중인 채널이 포함된 채널구간을 분석하고, 새로이 전환되는 채널구간을 분석하여, h/w에 채널구간전환 후 이동해야할 채널로 전환 요청하며,
    수신수단의 h/w 에서 해당 채널로 전환 후 수신된 영상신호를 m/w로 전달하고, 영상신호는 m/w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 정보는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된 소정 방송의 방송정보, 소정 웹페이지 정보 및 다른 채널구간으로 전환되는 채널구간 전환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신호처리방법.
KR20130154355A 2013-12-12 2013-12-12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 KR10149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355A KR101496266B1 (ko) 2013-12-12 2013-12-12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355A KR101496266B1 (ko) 2013-12-12 2013-12-12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266B1 true KR101496266B1 (ko) 2015-02-26

Family

ID=5259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4355A KR101496266B1 (ko) 2013-12-12 2013-12-12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400B1 (ko) 2000-10-02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방법
KR100784704B1 (ko) 2006-06-29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방법
KR20110040219A (ko) *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의 자동 채널설정 방법과 이에 적합한 콘텐츠 재생 방법
KR20120091089A (ko) * 2009-09-25 201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400B1 (ko) 2000-10-02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방법
KR100784704B1 (ko) 2006-06-29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방법
KR20120091089A (ko) * 2009-09-25 201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0219A (ko) *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의 자동 채널설정 방법과 이에 적합한 콘텐츠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68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configuration of broadcast contents received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39754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CA2841787C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dynamic banks of subchannels for broadcast or streamed content services ("featured favorites")
WO2007098068B1 (en) Amalgamation of user data for geographical trending
US20120180090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50083289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광고 방송 표시 방법
WO2009018553A1 (en) On-demand system interfaces and features
US20090265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KR20090055429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및 그 표시 방법
KR101496266B1 (ko) Tv채널 다구간 확장지원 리모트 콘트롤러
KR20090054407A (ko) 수신 단계에서 컨텐츠 재편집이 이뤄지는 채널믹스방송서비스 방법과 장치와 시스템
KR10160089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WO2008090610A1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番組選択方法
CN102883228A (zh) 一种点播系统中使用视频马赛克显示节目点播率的节目预览、点播方法
CN108449622B (zh) 一种混合数据源智能电视播放及交互系统
KR20130015658A (ko) 3d영상의 방송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110053683A (ko) 방송재생장치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N101175176A (zh) 电视频道的选择
KR100727976B1 (ko) Dmb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방법을 이용하는 dmb수신 장치
KR101562677B1 (ko)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47750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장르별 채널 탐색 방법
KR20110138698A (ko) Iptv tv브라우저 포커스 이동 방법
JP2011146766A (ja) 放送波受信装置および放送波受信装置における画面表示制御方法
KR19990041788A (ko) Epg 정보를 이용한 채널선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