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084B1 -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084B1
KR101496084B1 KR20140010499A KR20140010499A KR101496084B1 KR 101496084 B1 KR101496084 B1 KR 101496084B1 KR 20140010499 A KR20140010499 A KR 20140010499A KR 20140010499 A KR20140010499 A KR 20140010499A KR 101496084 B1 KR101496084 B1 KR 101496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density
magnetic flux
longitudinal direction
distribution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1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4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1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the magnetic field is produced by the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38Processing data, e.g. for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직류자력센서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 상의 복수의 스캔 라인별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속밀도 값을 스캔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 라인별로, 상기 길이방향에 대한 자속밀도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라인 별로 획득된 상기 자속밀도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라인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2차원의 편차 분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지각에 존재하는 파쇄대에 의하여 발생한 지자기의 자속밀도 분포로부터 지자기 이상이 있는 부분을 발견하여 파쇄대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 및 분포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평균값에 의한 편차 분포를 활용함에 따라 자력 센서의 좌우 흔들림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센서의 흔들림에도 강인한 결과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Verification method of fractured zone by the deviation distribution of magnetic flux density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자기의 자속밀도 분포로부터 지자기 이상을 발견하여 파쇄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종류의 물리현상을 지표면에서 관측한 자료로부터 지질의 구조나 광상의 존재 등을 조사하는 방법을 물리탐사 또는 물리탐광이라 한다. 물리탐사는 탐사의 실마리가 되는 물리적 현상의 종류에 따라 지층이나 광상의 자기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자력 탐사, 탄성파가 지하를 전파하는 상태를 이용하는 탄성파 탐사, 지층이나 광상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중력가속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중력 탐사, 지층이나 광상의 전기전도도 차이를 이용하는 전기탐사 혹은 전기비저항 탐사, 전자파의 투과와 반사를 이용하는 전자파 탐사, 천연방사능 또는 인공방사선을 이용하는 방사능 탐사, 지표면의 온도분포를 이용하는 지열 탐사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물리탐사는 일반적으로 석유나 천연가스, 석탄, 핵연료 물질, 금속광물, 비금속광물, 지열, 온천, 지하수 등과 같은 지하자원의 탐사나 토목건설공사의 지질조사에 이용된다. 이들 물리탐사는 물리적인 성질의 차이와 탐사방법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구의 외부전류와 내부전류로 설명되는 지구자기장(지자기장)은 지구 표면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데,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의 지자기장은 약 50μT 정도이다. 지표면으로부터 0.5m 이하의 높이에서는 지하의 지질과 지층의 구조에 따라 지자기장의 강도가 변하는데, 이러한 지자기장의 국지적인 변화로부터 지질이나 지층의 구조 및 지층의 구조적 결함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물리탐사방법을 자력탐사라고 하는데, 암석의 자화율이나 잔류자기 등에 의한 자력분포로부터 지하 암석의 자기적 성질, 자성물질의 존재 여부, 지질구조 등을 조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지구의 자력은 벡터량이므로, 수평자력과 수직자력으로 분해된다. 지자기장을 측정할 때는 지구의 자전에 의한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일변화 보정과 높이와 형상에 따른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지형 보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보정을 거친 후에 등자력선도가 작성되며, 이로부터 지질구조나 구조적 결함을 해석할 수 있다.
지질이나 그 구조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지하구조의 모델로부터 자기이상(magnetic anomaly)을 계산한 결과와 실제로 측정한 자력분포결과를 비교하거나, 측정한 자기이상으로부터 계산한 일정한 깊이의 자기력분포와 측정한 분포를 비교한다. 항공기에 탑재한 측정 장치로부터 구한 항공자력은 지상에 있는 자성물체에 의한 교란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넓은 지역의 자력분포를 얻을 수 있으며 탐사 초기단계에서 광역의 기반(基盤)구조와 퇴적물의 발달상태를 개략적으로 파악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항공자기탐사 외에도 배의 후미에 자력센서를 부착하여 해상에서의 자력분포를 측정하는 해양 자력탐사도 있다. 이러한 항공 또는 해양 자력탐사는 넓은 지역의 자력분포를 확인하는 방법인데, 공간분해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좁은 지역에 대한 자력분포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0974484호(2010.08.02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지각에 존재하는 파쇄대에 의하여 발생한 지자기의 자속밀도 분포로부터 지자기 이상을 발견하여 파쇄대의 존재 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직류자력센서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 상의 복수의 스캔 라인별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속밀도 값을 스캔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 라인별로, 상기 길이방향에 대한 자속밀도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라인 별로 획득된 상기 자속밀도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라인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2차원의 편차 분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은, 상기 2차원의 편차 분포로부터 상기 파쇄대가 존재하는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자력센서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해당 측정 지점에서의 x,y,z축을 포함하는 3축 방향의 자속밀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편파 분포는, 상기 스캔 라인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축과 상기 길이 방향의 각 측정 지점을 나타내는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직류자력센서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 상의 복수의 스캔 라인별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속밀도 값을 스캔하는 라인 스캔부와, 상기 스캔 라인별로, 상기 길이방향에 대한 자속밀도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를 연산하는 편차 연산부, 및 상기 스캔 라인 별로 획득된 상기 자속밀도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라인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2차원의 편차 분포를 획득하는 편차분포 획득부를 포함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는, 상기 2차원의 편차 분포로부터 상기 파쇄대가 존재하는 지점을 판단하는 파쇄대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자력 센서를 사용하여 지각에 존재하는 파쇄대에 의하여 발생한 지자기의 자속밀도 분포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지자기 이상이 있는 부분을 발견하여 파쇄대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 및 분포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균값에 의한 편차 분포를 활용함에 따라 측정 시 자력 센서의 좌우 흔들림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센서의 흔들림에도 강인한 결과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한 파쇄대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S210 단계에서 라인 스캔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특정 지역에 적용하여 얻어진 자속밀도의 수직 성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결과를 각 라인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의 분포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속밀도의 분포를 2차원 평면 분포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자속밀도의 편차 분포를 2차원 평면 분포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로서 자력 센서를 이용하여 조사 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을 복수의 라인별로 스캔하고 이로부터 상기 지면 영역에 대한 자속 밀도의 2차원 편차 분포를 획득함으로써 파쇄대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 및 분포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한 파쇄대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대 확인 장치(100)는 라인 스캔부(110), 편차 연산부(120), 편차분포 획득부(130), 파쇄대 확인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라인 스캔부(110)는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직류자력센서(10)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 상의 복수의 스캔 라인별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속밀도 값을 스캔한다(S210).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이 되는 영역의 거리 및 범위를 설정하고 직류자력센서(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킨 후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자속밀도를 측정한다. 지표면의 일정 면적에 대하여 자력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측정 선을 따라서 수회 이상의 라인 스캔(Line Scanning)을 수행해야 한다.
도 3은 도 2의 S210 단계에서 라인 스캔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조사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A) 상의 5개의 스캔 라인(L) 별로 길이방향을 따라 자속밀도 값을 측정하는 개념도이다. 이러한 도 3은 설명의 편의상 스캔 라인이 5개 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지면 영역의 크기, 복잡도 등에 따라 스캔 라인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직류자력센서(10)는 각각의 스캔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속밀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직류자력센서(10)는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ex, 0.15m 내외)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해당 측정 지점에서의 자속밀도를 센싱한다.
직류자력센서(10)는 x,y,z축을 포함하는 3축 방향의 자속밀도(자속의 x,y,z 성분)를 동시에 센싱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직류자력센서(10)는 플럭스게이트(FG;Fluxgate)형 센서, 거대 자기저항(GMR;Giant Magnetoresistance)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FG형과 GMR형 센서의 데이터 취득 시간은 대단히 빨라야 하는데, 최소한 1m 초(mili second) 이하여야 한다. 1m 초 이하의 데이터 취득시간일 경우에는 판독기나 컴퓨터를 사용하여 1초에 10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득할 수도 있다.
측정 데이터에 대한 공간 분해능은 직류자력센서(10)의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센서의 이동 방법과 이동 속도는 지표면에서의 파쇄대 측정에서 중요한 측정 인자가 될 수 있다. 이동 속도가 빠르면 측정점과 측정점 간의 간격이 커지므로 공간 분해능이 낮아지고 반대로 이동 속도가 느리면 공간 분해능이 높아진다. 측정 시에 센서가 좌우나 상하로 흔들리는 경우 각 센서의 측정방향이 변하게 되는데, 자속 밀도는 벡터이기 때문에 각 센서의 측정값 또한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 시에 센서의 위치나 방향이 변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S210 단계 이후에는, 편차 연산부(120)는 상기 스캔 라인별로, 상기 길이방향에 대한 자속밀도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를 연산한다(S220).
이러한 자속밀도 편차의 연산 과정을 도 3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한 개의 라인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10개의 측정 지점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우선, 라인 1에 대해, 길이 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서 얻은 10개의 자속밀도 값에 대한 평균 값을 획득한다. 이후, 각각의 자속밀도 값이 평균 값으로부터 떨어진 정도를 환산하여 상기 각각의 자속밀도 값의 편차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라인에 대하여 수행하면, 상기 지면 영역 상의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편차분포 획득부(130)는 상기 스캔 라인 별로 획득된 상기 자속밀도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라인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2차원의 편차 분포를 획득할 수 있다(S230).
이러한 2차원의 편차 분포는, 상기 스캔 라인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가로 축과 상기 길이 방향의 각 측정 지점을 나타내는 세로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파쇄대 확인부(140)는 상기 2차원의 편차 분포로부터 상기 파쇄대가 존재하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S24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자속밀도로부터 자속 밀도의 일반적인 분포뿐만 아니라 평균값을 이용한 편차 분포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자기 이상으로부터 파쇄대에 의한 자기 이상을 찾아내어 지자기의 자속 밀도 분포 이상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자속밀도의 평균 값을 이용한 편차 분포를 이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센서의 흔들림은 상하, 좌우 및 진행 방향의 변화로 나뉜다. 이 중에서 상하의 변화는 센서를 차량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데, 0.5m 이내의 높이 차이는 지자기의 총 자력, 수평 및 수직 분력에 큰 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특히 수평 분력에는 아무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의 흔들림에 의한 오차의 발생은 센서의 진행 방향과 진행 방향에 대한 좌우 흔들림에 주로 기인하는데, 차량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진행방향의 변화가 순간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도보에 의한 센서 이동도 순간적인 진행 방향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다라서, 오차의 발생은 센서의 좌우 흔들림(방향 변화)에 기인한다. 좌우 흔들림은 자력의 수직 분력과 수평 분력 모두에 영향을 주는데, 흔들림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얻어진 자속 밀도의 평균값을 구한 후, 측정한 자속밀도 값과의 편차 분포를 도출하여, 이로부터 파쇄대의 존재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출한다. 상기 평균으로부터의 편차 분포를 구할 경우 지하 암반의 경사나 물리화학적 성질 또는 전자기적인 성질 차이에서 비롯되는 자력의 변화는 모두 평균값 처리에 의해서 제외되고, 암반 내에 존재하는 구조적 결함들 중에서 파쇄대와 단층 경계 및 싱크홀의 경계와 같이 구조적으로 경계가 분명한 결함의 경계에 대한 자기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제 실험 결과로부터 편차 분포를 활용할 경우 센서의 좌우 흔들림(방향 변화)에도 강인하여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특정 지역에 적용하여 얻어진 자속밀도의 수직 성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러한 도 4는 경기도 포천군 화현면 명덕리 부근의 영역에서 도보로 1m/sec의 속도로 직류자력센서(10)를 이동시켜서 라인 스캔한 결과로부터 얻은 것으로서, 지표에서 0.15m 높이에서의 획득한 자속밀도의 수직성분(Bz,150)을 나타낸다.
도 4의 가로 축은 길이 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 대응하며, 세로 축은 자속밀도의 수직성분을 나타내며, 도 4에는 총 3개의 라인 스캔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라인 스캔 대상의 영역은 가로 22m, 세로 20m인 평지로서, 도 4는 1.0m의 간격을 가지고 20m 길이를 갖는 총 23개의 라인에 대한 스캔 결과 중에서 3개의 라인의 스캔 결과(계열 1,2,3 참조)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동일 지점에서 수직성분의 차이 값이 최대가 되는 지점은 화살표로 나타낸 지점이며 그 차이 값은 약 1.0μT이다.
도 5는 도 4의 결과를 각 라인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의 분포로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의 각각의 스캔 라인 별로 자속 밀도의 평균 값을 구하고, 각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의 측정값을 그 평균으로부터 벗어난 정도인 편차 값으로 나타내면 도 5와 같이 각각의 라인별로 자속밀도의 편차 분포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의 세로 축에서 0인 지점은 각 라인에서의 자속밀도의 평균 값 지점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상기 평균 값으로부터 + 방향, 또는 - 방향으로 벗어난 정도를 각 라인의 측정 지점별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라인에 대한 스캔 결과를 편차 변화로 전환하면, 각 라인에 대한 센서(10)의 진행방향에 따른 오차가 다소 줄어들게 되며, 도 4와 도 5의 비교를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에 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3개의 라인 스캔 결과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Surf-8 프로그램)을 통하여 2차원 평면 분포로 나타낸 결과는 도 6 및 도 7과 같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속밀도의 분포를 2차원 평면 분포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자속밀도의 편차 분포를 2차원 평면 분포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6은 자속밀도의 단순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자속밀도의 편차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6 및 도 7의 2차원 평면 분포의 결과에서, 가로 축은 상기 스캔 라인의 인덱스(라인 1~23)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스캐닝이 수행되는 방향인 상기 길이방향에 대한 각 측정 지점을 나타낸다.
측정 과정에서 센서의 방향에 변화가 발생할 때(센서의 좌우 흔들림이 발생할 때)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로 도 4 및 도 5의 측정 시에는 각 라인 별로 측정 방향을 인위적으로 변화시켜 보았다.
이때, 도 6의 일반 분포에서는 라인 14번과 15번 사이에 큰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도 7의 편차 분포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일반 분포에서는 각각의 라인마다 자력 분포의 골과 마루가 선명하기 드러나 있으며, 이는 파쇄대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며 일종의 노이즈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도 7에서는 도 6과 같이 골과 마루가 라인별로 발생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각 라인 스캔의 결과를 자속 밀도의 평균에 대한 편차 분포로 처리하고 있어, 센서 방향의 변화에서 기인하는 오차를 거의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일부 영역에 데이터의 요동(fluctuation)이 관찰되었는데(동그라미 부분 참조), 이 부분은 파쇄대에 의해 자기 이상이 발생한 영역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쇄대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 및 분포를 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속밀도 분포의 측정 결과로부터 편차 분포를 분석하여 여러 종류의 자기이상으로부터 파쇄대에 의한 자기이상만을 찾아낼 수 있으며, 편차 분포를 이용하여 지하에 존재하는 지하광물과 지하수의 부존 여부와 이들의 분포 및 분포의 중심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각에 존재하는 파쇄대에 의하여 발생한 지자기의 자속밀도 분포로부터 지자기 이상이 있는 부분을 발견하여 파쇄대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 및 분포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측정 시 자력 센서의 좌우 흔들림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센서의 흔들림에도 강인한 결과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직류자력센서 100: 파쇄대 확인 장치
110: 라인 스캔부 120: 편차 연산부
130: 편차분포 획득부 140: 파쇄대 확인부

Claims (8)

  1.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직류자력센서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 상의 복수의 스캔 라인별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속밀도 값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 라인별로, 상기 길이방향에 대한 자속밀도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라인 별로 획득된 상기 자속밀도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라인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2차원의 편차 분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원의 편차 분포로부터 상기 파쇄대가 존재하는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류자력센서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해당 측정 지점에서의 x,y,z축을 포함하는 3축 방향의 자속밀도를 센싱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원 편파 분포는,
    상기 스캔 라인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축과 상기 길이 방향의 각 측정 지점을 나타내는 축으로 구성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5.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직류자력센서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이 되는 지면 영역 상의 복수의 스캔 라인별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속밀도 값을 스캔하는 라인 스캔부;
    상기 스캔 라인별로, 상기 길이방향에 대한 자속밀도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속밀도의 편차를 연산하는 편차 연산부; 및
    상기 스캔 라인 별로 획득된 상기 자속밀도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라인 및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2차원의 편차 분포를 획득하는 편차분포 획득부를 포함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차원의 편차 분포로부터 상기 파쇄대가 존재하는 지점을 판단하는 파쇄대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직류자력센서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스캔 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해당 측정 지점에서의 x,y,z축을 포함하는 3축 방향의 자속밀도를 센싱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차원 편파 분포는,
    상기 스캔 라인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축과 상기 길이 방향의 각 측정 지점을 나타내는 축으로 구성되는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장치.
KR20140010499A 2014-01-28 2014-01-28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1496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0499A KR101496084B1 (ko) 2014-01-28 2014-01-28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0499A KR101496084B1 (ko) 2014-01-28 2014-01-28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084B1 true KR101496084B1 (ko) 2015-02-25

Family

ID=5259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0499A KR101496084B1 (ko) 2014-01-28 2014-01-28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667B1 (ko) * 2015-05-20 2015-09-0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자기교란요소 제거를 통한 해양자력탐사 총지자장 측정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11239838A (zh) * 2020-01-16 2020-06-0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磁探测精度的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402A (ko) * 2010-04-27 2011-11-02 한국과학기술원 터널 전기비저항 탐사 방법 및 그 장치
US20120038362A1 (en) 2009-03-12 2012-02-16 Kjerstad Jostein Kaare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Hydrocarbon Electromagnetic Prospecting based on Circulation of Magnetic Field Derivative Measurements
KR20120032122A (ko) * 2010-09-28 2012-04-05 이문호 지자기의 자속밀도분포 이상에 의한 파쇄대 분포 확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362A1 (en) 2009-03-12 2012-02-16 Kjerstad Jostein Kaare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Hydrocarbon Electromagnetic Prospecting based on Circulation of Magnetic Field Derivative Measurements
KR20110119402A (ko) * 2010-04-27 2011-11-02 한국과학기술원 터널 전기비저항 탐사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2122A (ko) * 2010-09-28 2012-04-05 이문호 지자기의 자속밀도분포 이상에 의한 파쇄대 분포 확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7권 2호(1997), PP.113-135
대한지질공학회, 7권 2호(1997), PP.113-135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667B1 (ko) * 2015-05-20 2015-09-0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자기교란요소 제거를 통한 해양자력탐사 총지자장 측정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WO2016186283A1 (ko) * 2015-05-20 2016-1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자기교란요소 제거를 통한 해양자력탐사 총지자장 측정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11239838A (zh) * 2020-01-16 2020-06-0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磁探测精度的检测方法
CN111239838B (zh) * 2020-01-16 2022-04-1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磁探测精度的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o et al. Automatic fracture detection based on Terrestrial Laser Scanning data: A new method and case study
CA2776893C (en) Method of geo-electrical prospecting
Malehmir et al. Post-glacial reactivation of the Bollnäs fault, central Sweden–a multidisciplinary geophysical investigation
Baryshnikov et al. GPR detection of inhomogeneities in concrete lining of underground tunnels
CN104374828A (zh) 一种隐患探测的超声波层析成像方法
CN111812730B (zh) 一种用于滑坡探测的电阻率数据融合三维成像方法及系统
KR101496084B1 (ko) 자속 밀도의 편차 분포에 의한 파쇄대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Narkhov et al. Novel quantum NMR magnetometer non-contact defectoscopy and monitoring technique for the safe exploitation of gas pipelines
McKenna et al. Feasibility and limitations of void detection using gravity gradiometry
AU20172012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ophysical surveying using electromagnetic fields and gradients
CN107145633A (zh) 一种岩石裂隙网络产状三维统计分布的预测方法
CN108732628A (zh) 沿管线走向的高密度电法管线探测观测方法及系统
CN107526108A (zh) 碳酸盐岩缝洞体积校正方法
Guo et al. Water-bearing body prospecting ahead of tunnel face using moving electrical-source method
CN113050182B (zh) 一种水域地磁场观测方法及系统
CN109932746B (zh) 一种深部含金构造的地震探测方法
Bobrov et al. Physical and mathematical modeling of transient electromagnetic soundings over salt-dome structures
KR20120032122A (ko) 지자기의 자속밀도분포 이상에 의한 파쇄대 분포 확인 방법
Men et al. Investigation of Caves under Complicated Engineering Geological Conditions Using High-Density Resistivity Method
KR101585921B1 (ko) 중력 변화율을 이용한 지하 터널 검출방법
Tontini et al. Semi-automatic determination of dips and depths of geologic contacts from magnetic data with application to the Turi Fault System, Taranaki Basin, New Zealand
Li et al. Transformations between aeromagnetic gradients in frequency domain
Smith The state of the art of geophysics and karst: a general literature review
RU2528115C1 (ru) Способ геоэлектроразведки в условиях техногенной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Gao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dvanced detection simul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ERT) based on ANS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