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802B1 -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802B1
KR101495802B1 KR20110086733A KR20110086733A KR101495802B1 KR 101495802 B1 KR101495802 B1 KR 101495802B1 KR 20110086733 A KR20110086733 A KR 20110086733A KR 20110086733 A KR20110086733 A KR 20110086733A KR 101495802 B1 KR101495802 B1 KR 10149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indow
execution
user inp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8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754A (ko
Inventor
강유진
이정욱
차재욱
정재훈
고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08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8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DO FOR RUNN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단말 및 단말에 설치되는 운영체제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말은 한정적인 크기의 화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로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2009-0117837호가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윈도우 상에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윈도우 상에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b)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윈도우 상에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상기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를 위한 화면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 키패드에 의해 가려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을 줄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최소화시켜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한 경우, 표시하는 화면.
도 6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연동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경우 표시하는 화면.
도 7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및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투명도 조절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0은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전화면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1은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윈도우에 대한 최소화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2는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하고 윈도우 설정 정보에 따라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3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4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수행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구비한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인터페이스 제공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를 조작하는 입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출력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출력부(12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에 관한 영상(이하, 화면 영상이라 지칭)을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영상을 표시한다.
상술한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의 입력 장치와 연결되거나 상술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모니터, 프로젝터 등의 출력 장치와 연결되거나 상술한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출력부(12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30)는 화면 영상에 포함되어 출력부(120)를 통해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이하 인터페이스 정보라 지칭)를 저장한다. 인터페이스 정보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이미지, 코드 등의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인터페이스 제공부(130)는 제어부(150)의 요청에 따라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저장부(140)는 운영체제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이하 어플리케이션 정보라 지칭)를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과정이 프로그램된 코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표시될 이미지, 영상, 음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면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라 지칭) 또는 일부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 상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라 지칭)일 수 있다. 이 때, 전화면 어플리케이션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은 동일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화면 어플리케이션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수신하거나 송신한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문자 메시지를 저장한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송신한 문자 메시지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윈도우의 크기, 위치, 투명도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설정을 나타내는 윈도우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따라 저장부(140)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입력(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부(14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인터페이스 제공부(13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윈도우 설정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윈도우 설정 정보에 따라 윈도우를 표시하고, 해당 윈도우 상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윈도우 상에는 해당 윈도우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 해당 윈도우를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최소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제어하는 종료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상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가상 키패드를 호출하는 입력일 경우, 윈도우의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는 영역을 클릭(터치)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0)로 가상 키패드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해당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가상 키패드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가상 키패드를 화면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기존 실행 중인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윈도우의 위치를 가상 키패드가 표시된 방향과 반대측면 상으로 수정한 화면을 출력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에 예시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트레이 인터페이스라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 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입력부(110), 인터페이스 제공부(130) 및 저장부(140)를 통해 수행되는 과정이지만, 발명의 간결한 설명을 위해 각 과정의 수행 주체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로 통칭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레이 인터페이스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표시를 요청하는 표시 아이콘(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으로 표시 아이콘(210)을 클릭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윈도우 실행 요청 아이콘(220)을 하나 이상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윈도우 실행 요청 아이콘(220)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해당 윈도우 실행 요청 아이콘(220)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때, 트레이 인터페이스는 표시 아이콘(210) 대신 하나 이상의 윈도우 실행 요청 아이콘(210)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트레이 인터페이스는 최근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트레이 인터페이스는 최근 실행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영역(230)에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였다. 이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최소화시켜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정에 따라 실행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화면 일부의 윈도우 상에 표시한다. 이 때, 윈도우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영역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윈도우 상에는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310),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320),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330), 최소화 인터페이스(340) 및 종료 인터페이스(350),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3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320)는 슬라이드 바(slide bar) 형태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320) 상의 드래그(drag) 입력을 통해 윈도우의 투명도 조절을 명령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의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320)에 따라 윈도우 상에 표시된 각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의 투명도를 조절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330)는 버튼 형식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윈도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이전,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도중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33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현재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상에 입력된 수신자 번호, 메시지 내용 등을 별도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윈도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에 별도로 저장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하였던 정보를 자동으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상에 입력할 수 있다.
최소화 인터페이스(340)는 버튼 형식의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최소화 인터페이스(34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도 4와 같이 최소화한 화면을 표시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상의 영역 중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360)을 제외한 영역(380)만을 표시한다. 이 때, 최소화된 윈도우 상에는 최소화 인터페이스(340)에 해당하는 영역에 최소화된 윈도우를 최소화하기 이전 크기의 윈도우로 전환을 명령하는 최대화 인터페이스(370)가 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최대화 인터페이스(37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경우, 윈도우를 최소화하기 이전 크기로 전환한다.
종료 인터페이스(350)는 버튼 형식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종료 인터페이스(35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경우,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현재 윈도우의 위치 및 크기, 투명도 등에 대한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종료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시점의 윈도우 상태에 상응하도록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이후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때 이전 종료 시점 상태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한 경우, 표시하는 화면이고, 도 6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연동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경우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윈도우를 표시한다. 이 때, 윈도우 이외 영역은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아닌 바탕화면,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연동되는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해당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해당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도 7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및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기존 실행 중인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제1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라 지칭하고, 제1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새로이 실행 요청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제2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은 제1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실행되는 경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영역 상에서 별도의 윈도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2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제2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제2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전화면 상에 표시하고, 제2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영역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제1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 제2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표시되는 영역은 유지한 채, 제1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표시 영역 상에 제2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키패드를 표시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윈도우를 가상 키패드를 표시한 측면의 반대측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윈도우를 제1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윈도우의 위치는 해당 윈도우의 좌측 상단 모서리의 좌표로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윈도우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준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상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영역을 클릭하는 입력인 가상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화면의 하측면에 가상 키패드를 표시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의 위치가 상측면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가상 키패드의 표시로 인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가려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도 9는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투명도 조절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92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단계 93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윈도우에 대한 투명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94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단계 930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에 상응하는 투명도를 조절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및 윈도우 상에 표시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에 대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전화면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1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02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단계 103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화면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04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단계 1030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단계 105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한다.
도 11은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윈도우에 대한 최소화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1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12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단계 113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최소화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윈도우의 최소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14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단계 1130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최소화하고, 최소화된 윈도우 상에 최대화 인터페이스(370)를 표시한다.
단계 115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최대화 인터페이스(37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16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의 최소화를 해제하고 최소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도 12는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하고 윈도우 설정 정보에 따라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121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22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단계 123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이 때,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은 종료 인터페이스(35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뿐만 아니라,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330)를 선택하는 입력 등의 해당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사용자 입력을 지칭한다.
단계 124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형태에 따라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위치, 크기, 투명도, 최소화 상태 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한다. 이 때, 윈도우 설정 정보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되는 정보이거나, 전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25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단계 126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27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설정 정보에 따른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도 13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윈도우에 상응하는 윈도우 설정 정보는 임의의 좌표인 제1 위치로 설정된 정보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131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32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위치에 표시된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단계 133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가상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34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가상 키패드를 화면의 일측면에 표시한다.
단계 135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를 가상 키패드를 표시한 일측면의 반대측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단계 136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가상 키패드를 통한 입력의 종료를 알리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37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가상 키패드의 표시를 중단하고, 윈도우를 제1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4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141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42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윈도우 상에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단계 143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단계 144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단계 1430에서 실행 요청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 단계 1420에서 표시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한다.
단계 1440에서 실행 요청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된 경우, 단계 145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이 때, 현재 임의의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인 경우, 해당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한다.
단계 146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단계 1430에서 실행 요청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1440에서 실행 요청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지 않은 경우, 단계 146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실행 요청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때, 현재 임의의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인 경우, 해당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후 실행 요청된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단계 1440에서 별도로 저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상에 입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윈도우 상에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의 크기, 위치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인 윈도우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상기 화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은 시점에 상기 윈도우의 크기, 위치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도록 상기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의 요청,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 요청 및 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설정 정보는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되는 정보이거나 전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공통으로 설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6.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윈도우 상에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인 연동 어플리케이션과 공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연동 어플리케이션 외의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가상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가상 키패드를 화면의 일측면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의 반대 측면으로 상기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후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 상기 윈도우를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최소화 인터페이스,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제어하는 종료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12.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b)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윈도우 상에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상기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은 시점에 상기 윈도우의 크기, 위치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도록 상기 윈도우 설정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c)는 상기 윈도우의 크기, 위치 및 투명도에 대한 윈도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상기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의 요청,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 요청 및 타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설정 정보는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되는 정보이거나 전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공통으로 설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7.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b)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윈도우 상에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상기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인 연동 어플리케이션과 공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연동 어플리케이션 외의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1.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 가상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가상 키패드를 화면의 일측면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의 반대 측면으로 상기 윈도우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2.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 인터페이스,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후 상기 전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전화면 전환 인터페이스, 상기 윈도우를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최소화 인터페이스, 상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제어하는 종료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110086733A 2011-08-29 2011-08-29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149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6733A KR101495802B1 (ko) 2011-08-29 2011-08-29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6733A KR101495802B1 (ko) 2011-08-29 2011-08-29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54A KR20130023754A (ko) 2013-03-08
KR101495802B1 true KR101495802B1 (ko) 2015-02-25

Family

ID=4817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6733A KR101495802B1 (ko) 2011-08-29 2011-08-29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6072B2 (en) 2013-02-20 2018-03-13 Lg Electronics Inc. Application and notification window display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KR102138507B1 (ko) * 2013-08-02 202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86160B2 (en) * 2013-03-15 2018-02-06 Google Llc Managing audio at the tab level for user notification and contr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14A (ko) * 2001-04-19 2002-10-30 박창준 누드 브라우징 기법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9341A (ko) * 2004-04-28 2004-09-14 (주)신엠 화면공유방법 및 공유된 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7257777B1 (en) 2000-07-19 2007-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window viewing
KR20080039642A (ko)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각적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7777B1 (en) 2000-07-19 2007-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window viewing
KR20020081714A (ko) * 2001-04-19 2002-10-30 박창준 누드 브라우징 기법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9341A (ko) * 2004-04-28 2004-09-14 (주)신엠 화면공유방법 및 공유된 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80039642A (ko)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각적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54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4372B2 (ja) 機能アイコン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EP3591509B1 (en) Split-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282081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CN105940365B (zh) 一种通知信息处理方法、装置和终端
CN105335048B (zh) 具有隐藏应用图标的电子设备及隐藏应用图标的方法
EP272547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witching a mobile device screen from lock to unlocked state
EP2372514A1 (en) Device and method to operate a window displayed on a screen via a corresponding thumbnail displayed on a touch sensitive screen.
CN103309555B (zh) 基于多窗口的焦点切换的方法及装置
US20170293421A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5511675A (zh) 触摸控制方法、用户设备、输入处理方法、移动终端及智能终端
CN102955671A (zh) 使用触摸屏执行应用程序的终端和方法
CN108319410B (zh) 用于控制媒体装置中的菜单的方法和设备
CN11343406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
KR20140019835A (ko)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환방법 및 장치
CN102880420B (zh) 基于触摸屏的启动并执行区域选择操作的方法及系统
CN102893250B (zh) 确定操作对象的方法和终端
CN103076973A (zh) 一种窗口切换方法、系统及智能终端
CN102934065A (zh) 信息处理装置
JP201200900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2561220A (en) A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KR102094498B1 (ko) 멀티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US92445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ouch panel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700763A (zh) 终端界面窗口的移动方法及装置
CN104731478A (zh) 一种智能终端的单手操作方法及装置
CN106371715B (zh) 实现多条目切换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