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672B1 -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672B1
KR101495672B1 KR20140033324A KR20140033324A KR101495672B1 KR 101495672 B1 KR101495672 B1 KR 101495672B1 KR 20140033324 A KR20140033324 A KR 20140033324A KR 20140033324 A KR20140033324 A KR 20140033324A KR 101495672 B1 KR101495672 B1 KR 10149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fitting
item
item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구
이병규
홍성원
Original Assignee
(주)한국브릿지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브릿지개발원 filed Critical (주)한국브릿지개발원
Priority to KR2014003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직자의 구직 요건, 가치 성향, 비전 실현 및 보유 역량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구직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직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직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호 대응되는 구인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인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기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의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하는 피팅 모듈; 및 상기 산출된 피팅률에 따라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게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 따르면, 구직자 피팅 항목에 따른 구직 정보와 구인자 피팅 항목에 따른 구인 정보를 저장하고,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하여 이에 따라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직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피팅률이 높은 구인 정보를 제공받고, 구인자는 회사에 최적의 인재인 피팅률이 높은 구직 정보를 제공받아, 만족도 높은 취업 및 채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직자 피팅 항목과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로 하나의 그래프에 도시함으로써, 구직자와 구인자가 어떤 부분에서 잘 맞고 잘 맞지 않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취업 및 채용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JOB FITTING SYSTEM BY CALCULATING FITTING RATE}
본 발명은 직업 피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구인자와 구직자 간의 정보전달의 매체로 한 부분을 차지하는 직업소개소나 신문, 지역정보지 등이 인터넷을 활용하여 온라인 중심의 영업 형태를 취하는 구인구직 채용포털업체로 변모하였다. 이는 구인자 및 구직자가 자신에게 맞는 직종, 지역, 연령, 성별 등 요구사항에 맞추어진 검색기능이 결여되어 발췌가 어려운 텍스트 중심의 일간지 또는 지역정보지의 구인구직 광고란에 비한다면 사용상의 편의성이나 구인자 구직자 상호 간의 정보전달과 커뮤니티 형성에 있어서 진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산업 전반에 두루 통용되고 있는 전 업종 직업군을 총 망라하여 표준화시켜 코드의 체계화로 다양한 직업군과 계층 간의 구인구직정보를 전달, 유통시키고, 구인자와 구직자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정보만을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실시간 구인 구직 자동 매칭 직업정보 제공 방법이 있다(공개특허 제10-2008-0003515호 참조).
또한, 선별된 고급 구인정보만을 구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급인력 구인을 원하는 기업과 구직 또는 이직을 원하는 고급구직자 간의 정보시장을 형성하게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이 개시되기도 하였다(공개특허 제10-2002-0060047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구인 구직 정보를 검색하거나 요구사항에 맞는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할 뿐, 단순한 채용 공고와 희망 근무지, 인적 사항 등에 따른 정보 수집이 아니라, 구직자가 자신과 가장 잘 맞는 회사가 어디인지 찾거나, 구인자가 자신의 회사와 가장 잘 맞는 구직자를 찾기 위해서는, 각 정보를 구직자 또는 구인자가 직접 확인하고 선택하여야 한다. 수많은 구직 정보 및 구인 정보 중에서, 구직자 또는 구인자가 이와 같이 정보를 확인하고 올바른 선택을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선택에 어려움을 느끼는 구직자 또는 구인자가 많다. 따라서 구직자와 구인자가 서로 잘 맞는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구직 및 채용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직자 피팅 항목에 따른 구직 정보와 구인자 피팅 항목에 따른 구인 정보를 저장하고,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하여 이에 따라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직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피팅률이 높은 구인 정보를 제공받고, 구인자는 회사에 최적의 인재인 피팅률이 높은 구직 정보를 제공받아, 만족도 높은 취업 및 채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직자 피팅 항목과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로 하나의 그래프에 도시함으로써, 구직자와 구인자가 어떤 부분에서 잘 맞고 잘 맞지 않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취업 및 채용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은,
구직자의 구직 요건, 가치 성향, 비전 실현 및 보유 역량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구직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직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직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호 대응되는 구인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인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기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의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하는 피팅 모듈; 및
상기 산출된 피팅률에 따라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게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인자 피팅 항목은,
구인자의 채용 요건, 인재상, 기업 비전 및 필요 능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 및 구인자 피팅 항목은, 항목별 적어도 둘 이상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 모듈은, 상기 세부 항목에 대한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항목별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팅률은,
상기 항목별 일치도를 가중 평균한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팅 모듈은,
상기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 또는 구인자 피팅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해 상기 피팅률을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피팅률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 또는 상기 피팅률이 높은 순서대로 미리 정해진 개수의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기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로 하나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시각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 따르면, 구직자 피팅 항목에 따른 구직 정보와 구인자 피팅 항목에 따른 구인 정보를 저장하고,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하여 이에 따라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직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피팅률이 높은 구인 정보를 제공받고, 구인자는 회사에 최적의 인재인 피팅률이 높은 구직 정보를 제공받아, 만족도 높은 취업 및 채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직자 피팅 항목과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로 하나의 그래프에 도시함으로써, 구직자와 구인자가 어떤 부분에서 잘 맞고 잘 맞지 않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취업 및 채용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직업 피팅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구인 정보가 제공된 구직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구직 정보가 제공된 구인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항목별 일치도가 도시된 그래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은,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 구인자 데이터베이스(200), 피팅 모듈(300) 및 정보 제공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시각화 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 및 구인자 데이터베이스(200)가 구직자 피팅 항목의 구직 정보 및 구인자 피팅 항목의 구인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피팅 모듈(300)이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하며, 정보 제공 모듈(400)이 피팅률 따라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구직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피팅률이 높은 구인 정보를 제공받고, 구인자는 회사에 최적의 인재인 피팅률이 높은 구직 정보를 제공받아, 만족도 높은 취업 및 채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은, 시각화 모듈(500)을 더 포함함으로써, 구직자 피팅 항목과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로 하나의 그래프에 도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직자와 구인자가 어떤 부분에서 잘 맞고 잘 맞지 않는지를 한눈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 구직자 디바이스(20) 및 구인자 디바이스(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 및 구인자 데이터베이스(200)를 관리할 수 있으며, 피팅 모듈(300) 및 정보 제공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직자 및 구인자에게 직업 피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자 디바이스(20) 및 구인자 디바이스(30)의 접속을 허용하고,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직업 피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wo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구직자 디바이스(20)는 취업 또는 이직을 위해 직장을 구하는 구직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고, 구인자 디바이스(30)는 채용을 하고자 하는 회사의 서버 또는 채용 담당자의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직자 디바이스(20) 및 구인자 디바이스(3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컴퓨터는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직자 디바이스(20) 또는 구인자 디바이스(3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직업 피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구직자 디바이스(20) 또는 구인자 디바이스(3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는, 구직자의 구직 요건, 가치 성향, 비전 실현 및 보유 역량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구직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직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직자 피팅 항목은, 각 항목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세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직자는 구직자 디바이스(20)를 이용해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고, 구직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직자의 구직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에 구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직업 피팅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는,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가 적어도 둘 이상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구직자 피팅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는, 구직자 디바이스(20)로부터 수집한 구직 정보를 그대로 저장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단 및 평가를 통해 도출한 구직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구직요건의 세부 항목인 희망 근무지에 대한 정보는 수집한 그대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보유 역량의 세부 항목인 직무 역량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서버(10)가 구직자 디바이스(20)에 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응답을 입력받아 채점 결과에 따라 점수로 평가된 직무 역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는, 인증이 완료된 구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력, 학점, 외국어 점수 등은 관련 서버를 통해 인증을 함으로써, 인증이 완료된 정확한 구직 정보를 저장하여, 구직 정보를 제공받을 구인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인자 데이터베이스(200)는,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호 대응되는 구인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구인자 피팅 항목은, 구인자의 채용 요건, 인재상, 기업 비전 및 필요 능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인자 피팅 항목은, 항목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세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직 요건과 채용 요건, 가치 성향과 인재상, 비전 실현과 기업 비전, 보유 역량과 필요 능력 등 구직자 피팅 항목과 구인자 피팅 항목은 상호 대응되며, 각각의 피팅 항목을 구성하는 세부 항목도 서로 대응될 수 있다.
구인자 데이터베이스(200)는, 서비스 서버(10)가 구인자 디바이스(30)를 통해 수신한 구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구인자 데이터베이스(200)의 관리자가 채용을 하고자 하는 회사로부터 구인 정보를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피팅 모듈(300)은, 구직자 피팅 항목과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의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피팅 모듈(300)은 피팅 알고리즘을 이용해 구직자와 구인자가 잘 맞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항목별 일치도 및 피팅률을 통해 이를 수치화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팅 모듈(300)은 구직 요건과 채용 요건을 비교하여 기본 항목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가치 성향과 인재상을 비교하여 가치 항목의 일치도, 비전 실현과 기업 비전을 비교하여 비전 항목의 일치도, 보유 역량과 필요 능력을 비교하여 역량 항목의 일치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피팅 모듈(300)은 세부 항목에 대한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구직 요건의 세부 항목 중 희망 급여, 희망 직무, 희망 근무지 등을 채용 요건의 급여 수준, 채용 분야, 근무 지역 등 대응되는 세부 항목과 상호 비교하여, 모두 일치 시 기본 항목의 일치도를 100%, 일치하는 세부 항목이 없을 때는 기본 항목의 일치도를 0%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역량의 경우, 세부 항목인 직무 역량을 5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기초 직무 능력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를 점수화하여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는데, 피팅 모듈(300)은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5개 능력의 기초 직무 능력 테스트 결과가 필요 능력의 직무 기초 능력 수준의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률로 표시하여 역량 항목의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피팅 모듈(300)은, 이와 같이 산출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하여 피팅률을 산출할 수 있다. 피팅률은, 항목별 일치도를 가중 평균한 것일 수 있으며, 피팅 모듈(300)은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구직자 피팅 항목 또는 구인자 피팅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해 피팅률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구직자에 따라 취업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회사의 항목이 상이할 수 있고, 구인자도 채용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구직자 또는 구인자가 가중치를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바에 맞는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찾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피팅 모듈(300)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에 따라 피팅률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팅 모듈(300)의 피팅 알고리즘에서는, 기본 항목 30, 가치 항목 20, 비전 항목 20, 역량 항목 30으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피팅 모듈(300)은 이에 따라 가중 평균 된 피팅률을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400)은, 산출된 피팅률에 따라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게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정보 제공 모듈(400)은, 피팅률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 또는 피팅률이 높은 순서대로 미리 정해진 개수의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모듈(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자 디바이스(20) 또는 구인자 디바이스(30)에 직업 피팅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구인 정보가 제공된 구직자 디바이스(2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의 정보 제공 모듈(400)은, 피팅률이 높은 순서대로 구인 정보를 구직자 디바이스(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직자는 구직자 디바이스(20)에 수신된 구인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과 잘 맞는 회사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구직 정보가 제공된 구인자 디바이스(3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의 정보 제공 모듈(400)은, 피팅률이 높은 순서대로 구직 정보를 구인자 디바이스(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용을 하고자 하는 회사에서는 회사에 적합한 인재를 피팅률을 통해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시각화 모듈(500)은, 구직자 피팅 항목과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항목의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비교하여 항목별로 하나의 그래프에 도시할 수 있다. 즉, 전체 피팅률에서는, 어떠한 항목이 특히 잘 맞고 어떠한 항목은 잘 맞지 않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은, 시각화 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각 항목별로 매칭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프로 도시하고, 정보 제공 모듈(400)을 통해 그래프를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에서, 항목별 일치도가 도시된 그래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의 시각화 모듈(500)은, 기본 항목, 가치 항목, 비전 항목, 역량 항목별로 구직자(지원자(홍길동))와 구인자(기업(ASML))의 구직 정보 및 구인 정보를 비교하여 표시함으로써, 가치 항목과 비전 항목은 부합하나 기본 항목과 역량 항목이 부족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서비스 서버 20: 구직자 디바이스
30: 구인자 디바이스 100: 구직자 데이터베이스
200: 구인자 데이터베이스 300: 피팅 모듈
400: 정보 제공 모듈 500: 시각화 모듈

Claims (7)

  1. 직업 피팅 시스템으로서,
    구직자의 구직 요건, 가치 성향, 비전 실현 및 보유 역량으로 구성되는 구직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직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되,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에 따라 진단 및 평가를 통해 도출한 구직 정보, 또는 인증이 완료된 구직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보유 역량의 세부 항목인 직무 역량을 5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기초 직무 능력 테스트를 실시하고, 상기 기초 직무 능력 테스트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저장하는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호 대응되는 구인자의 채용 요건, 인재상, 기업 비전 및 필요 능력으로 구성되는 구인자 피팅 항목에 대한 구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인자 데이터베이스(200);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기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피팅 항목의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비교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항목별 일치도를 이용해 상기 항목별 일치도를 가중 평균한 피팅률을 산출하는 피팅 모듈(300); 및
    상기 산출된 피팅률에 따라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게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400)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 모듈(300)은,
    상기 구직 요건과 채용 요건을 비교하여 기본 항목의 일치도, 상기 가치 성향과 인재상을 비교하여 가치 항목의 일치도, 상기 비전 실현과 기업 비전을 비교하여 비전 항목의 일치도, 보유 역량과 필요 능력을 비교하여 역량 항목의 일치도를 각각 산출하되,
    상기 구직 요건과 채용 요건을 구성하는 세부 항목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부 항목의 개수에 따라 상기 기본 항목의 일치도를 확률로 산출하고, 상기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5개 영역의 기초 직무 능력 테스트의 결과가 상기 필요 능력의 직무 기초 능력 수준의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률로 표시하여 역량 항목의 일치도를 산출하며,
    상기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 또는 구인자 피팅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해 상기 피팅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 및 구인자 피팅 항목은, 항목별 적어도 둘 이상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 모듈(300)은, 상기 세부 항목에 대한 구직 정보와 구인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항목별 일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400)은,
    상기 피팅률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 또는 상기 피팅률이 높은 순서대로 미리 정해진 개수의 구인 정보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피팅 항목과 상기 구인자 피팅 항목 중에서, 상호 대응되는 항목을 비교하여 항목별로 하나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시각화 모듈(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KR20140033324A 2014-03-21 2014-03-21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KR10149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3324A KR101495672B1 (ko) 2014-03-21 2014-03-21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3324A KR101495672B1 (ko) 2014-03-21 2014-03-21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672B1 true KR101495672B1 (ko) 2015-02-27

Family

ID=5259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3324A KR101495672B1 (ko) 2014-03-21 2014-03-21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6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2914A3 (en) * 2015-12-23 2017-08-10 Pyme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driven identification of talent
KR20180090624A (ko) 2017-02-03 2018-08-13 김동현 직업 및 직무 추천 시스템
KR101996916B1 (ko) * 2018-10-15 2019-07-05 (주)교림소프트 인공지능 기반 핵심 역량 유전자 생성 및 매칭 방법
US10902384B2 (en) 2014-06-27 2021-01-26 Pyme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employment candidat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03B1 (ko) * 2007-10-18 2009-12-24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사례기반추론을 활용한 채용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71504A (ko) * 2008-12-19 2010-06-29 정철영 인터넷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03B1 (ko) * 2007-10-18 2009-12-24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사례기반추론을 활용한 채용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71504A (ko) * 2008-12-19 2010-06-29 정철영 인터넷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2384B2 (en) 2014-06-27 2021-01-26 Pyme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employment candidates
US11514401B2 (en) 2014-06-27 2022-11-29 Pyme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driven identification of talent
WO2017112914A3 (en) * 2015-12-23 2017-08-10 Pyme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driven identification of talent
US11030554B2 (en) 2015-12-23 2021-06-08 Pyme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driven identification of talent
KR20180090624A (ko) 2017-02-03 2018-08-13 김동현 직업 및 직무 추천 시스템
KR101996916B1 (ko) * 2018-10-15 2019-07-05 (주)교림소프트 인공지능 기반 핵심 역량 유전자 생성 및 매칭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nhar et al. Project success: a multidimensional strategic concept
US8464162B2 (en) System and method of ranking and searching for professional profiles
US86452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uterized employment recruiting
US20110238591A1 (en) Automated profile standardization and competency profile generation
US20110022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king candidates
WO2015013663A1 (en) Managing reviews
Li et al. A Bayesian best‐worst method‐based multicriteria competence analysis of crowdsourcing delivery personnel
US7761441B2 (en) Community search system through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20150339631A1 (en) GoGig: A Mobile Platform that Matches Job Seekers with Job Recruiters Based on Desired Job Characteristics and Geo-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KR101495672B1 (ko) 피팅률 산출에 의한 직업 피팅 시스템
AU2017210542A1 (en) System for sourcing talent utilizing crowdsourcing
WO20061021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king candidates
KR20100020587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Herda et al. How the auditor-client relationship affects the extent of value-added service provided to the client
KR20170116753A (ko) 일자리 추천 매칭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매칭 방법
KR20200056153A (ko) 시간제 일자리 구직 인력과 구인 기업을 연결하는 매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521561B1 (ko) 직무역량 기반의 직업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Bauernfeind et al. The application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tourism website evaluation
US9280558B1 (en) Revising a map area based on user feedback data
US20150310394A1 (en) System and method of hiring, onboarding, and collaborating
JP6273515B2 (ja) 検索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048807A1 (en) Executive search and recruiting tool
JP202105141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278693B1 (ko) 합격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1716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nding similar f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