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596B1 -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596B1
KR101495596B1 KR20140071425A KR20140071425A KR101495596B1 KR 101495596 B1 KR101495596 B1 KR 101495596B1 KR 20140071425 A KR20140071425 A KR 20140071425A KR 20140071425 A KR20140071425 A KR 20140071425A KR 101495596 B1 KR101495596 B1 KR 101495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trapezoidal shape
connecting device
poin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한
Original Assignee
김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한 filed Critical 김일한
Priority to KR2014007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6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other than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plu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부재(122a) 및 상기 상부 부재(122a)의 양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부재(122b)로 이루어진 상부 부분(122), 상기 상부 부분(122)의 양쪽 단부에서 연결되는 하부 부분(123) 및 상부 부재(122a) 하부 부재(122b) 사이에 걸리는 훅(121)으로 이루어지는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120)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123)은 제1사다리꼴 형상(150)을 이루는 제1측면 부재(123a) 및 제6측면부재(123g), 제2사다리꼴 형상(160)을 이루는 제2측면 부재(123b) 및 제5측면 부재(123f), 제3사다리꼴 형상(170)을 이루는 제3측면 부재(123c) 및 제4측면 부재(123e) 및 하부 원형 부재(123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면 부재, 제2측면 부재(123b), 제3측면 부재(123c), 하부 원형 부재(123d), 제4측면 부재(123e), 제5측면 부재(123f) 및 제6측면부재(123g)는 순차적으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A CONNECTING DEVICE OF ARTIFICAL BAIT FOR FISIHING GEAR }
본 발명은 낚시줄과 루어(인조 미끼)가 연결되는 장치 또는 스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스냅의 하부 부분의 형상을 변형하여 스냅을 잠그는 훅을 풀기 용이하게 하며 하부 부분의 강도를 균일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낚시줄 연결되는 일반적인 표주박형 스냅에 관한 것으로 스냅(20)의 상부 부분(22)에는 낚시줄(10)이 매듭(2)지어 연결되고, 하부 부분(23)에는 루어(30)가 루어의 링(31)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스냅(20)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상부 부분(22)은 상부 부재(22a) 및 하부 부재(22b)로 구성되고, 하부 부분(23)은 제1측면 부재(23a), 하부 원형 부재(23b), 제2측면 부재(23c)로 이루어지고, 제2측면 부재(23c)의 단부에 연결된 훅(21)이 상부 부분(22)의 상부 부재(22a)와 하부 부재(22b) 사이에 걸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측면 부재(23a)와 제2측면 부재(23b)에 힘을 주게 되면, 상기 훅(21)은 상부 부분(22)의 상부 부재(22a)와 하부 부재(22b)에서 빠질 수 있어 풀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루어(30)의 단부에 위치하는 링(31)은 상기 훅(21)을 통하여 상기 스냅의 하부 부분(23)에 놓여지고 상기 훅(21)을 상부 부분(22)의 상부 부재(22a)와 하부 부재(22b) 사이에 걸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부 부분이 넓은 표주박형 스냅은 인조미끼(루어)를 부드럽게 움직이는 장점이 있으나, 훅(21)이 길어서 풀기 힘들고 하부부분의 물방울 형태(원형 형태)로 인해 강도가 불규칙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과 같은 낚시줄용 스냅으로 공개 실용 신안 20-1999-0038171의 스냅도래를 내장한 낚시봉돌, 공개 실용 신안 20-1975-0001020 낚시용도래의스냅, 등록 실용 신안 20-0027819-0000 낚시릴의 스냅 고정된 자중 버턴이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문제에 대하여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원 발명은 종래 스냅에서 훅이 풀기 힘들고 하부부분이 물방울 형태로 인해 강도가 불규칙해지는바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부 부재(122a) 및 상기 상부 부재(122a)의 양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부재(122b)로 이루어진 상부 부분(122), 상기 상부 부분(122)의 양쪽 단부에서 연결되는 하부 부분(123) 및 상부 부재(122a) 하부 부재(122b) 사이에 걸리는 훅(121)으로 이루어지는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120)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123)은 제1사다리꼴 형상(150)을 이루는 제1측면 부재(123a) 및 제6측면부재(123g), 제2사다리꼴 형상(160)을 이루는 제2측면 부재(123b) 및 제5측면 부재(123f), 제3사다리꼴 형상(170)을 이루는 제3측면 부재(123c) 및 제4측면 부재(123e) 및 하부 원형 부재(123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면 부재, 제2측면 부재(123b), 제3측면 부재(123c), 하부 원형 부재(123d), 제4측면 부재(123e), 제5측면 부재(123f) 및 제6측면부재(123g)는 순차적으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사다리꼴 형상(150) 및 제3사다리꼴 형상(170)은 밑면이 윗면보다 큰 사다리꼴이고 제2사다리꼴 형상(160)은 윗면이 밑면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3측면 부재(123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과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을 연결하는 선(기준선)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의 하부 부분에 서로 반대 방향의 사다리꼴 형상이 결합된 형태를 구비하여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의 훅을 풀 때 엄지와 검지로 힘을 주는 것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는 하부 부분에 원형으로 이루어져 연결 장치에 연결된 루어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하부 부분의 원형의 최대 돌출지점과 엄지와 검지로 잡는 역삼각형 부분의 돌출지점이 동일한 크기로 돌출되도록 하여 유체의 저항을 적게 받음과 함께 훅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 낚시줄 연결되는 표주박형 스냅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냅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120)로, 상부부분(122)과 하부 부분(1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 부분(122)은 상부 부재(122a) 및 상기 상부 부재의(122a)의 양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부재(122b)로 구성되며, 상부 부재(122a)와 하부 부재(122b) 사이에서 훅(121)이 걸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부분(123)은 상부 부분(122)의 상부 부재(122a)에 연결되는 제1측면 부재(123a), 상기 제1측면 부재(123a)에 연결되는 제2측면부재(123b), 제2측면 부재(123b)에 연결되는 제3측면 부재(123c), 제3측면 부재(123c)에 연결되는 하부 원형 부재(123d), 하부 원형 부재(123d)에 연결되는 제4측면 부재(123e), 상기 제4측면 부재(123e)에 연결되는 제5측면부재(123f), 제5측면 부재(123f)에 연결되는 제6측면 부재(123g)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1측면 부재(123a)와 제6측면 부재(123g)는 하부 방향으로 향하면서 폭이 넓어지는 제1사다리꼴 형상(150)을 이루게 되며, 제2측면 부재(123b)와 제5측면 부재(123f)는 하부 방향으로 향하면서 폭이 좁아지는 제2사다리꼴 형상(160)을 이루고, 제3측면 부재(123c)와 제4측면 부재(123d)는 하부 방향으로 향하면서 폭이 넓어지는 제3사다리꼴 형상(170)을 이루고 하부 원형 부재(123d)는 상기 제3사다리꼴 형상의 밑면의 양쪽 단부에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사다리꼴 형상(150), 제2사다리꼴 형상(160) 및 제3사다리꼴 형상(170)은 폭이 넓어지다 좁아지고 다시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로 힘을 줄 때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힘을 줄 수 있는 형상을 이루어 훅을 용이하게 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3측면 부재(123c)와 제4측면 부재(123e)로 이루어지는 제3사다리꼴의 아래 부분에 하부 원형 부재(123d)를 연결하여,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120)에 연결되는 루어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사다리꼴 형상(150), 제2사다리꼴 형상(160) 및 제3사다리꼴 형상(170)은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3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1은 제3측면 부재(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과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을 연결하는 선(기준선)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제3측면 부재(123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이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보다 상당히 돌출되어 있으면, 하부의 돌출된 형상에 의하여 엄지 검지로 제1사다리꼴 및 제2사다리꼴에 힘을 주기가 어려워 훅을 해제하는 것이 어려우며,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이 제3측면 부재(123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에 비하여 상당히 돌출되어 있으면, 돌출된 각진 부분에 의하여 물의 저항을 받기 쉽기 때문에, 기준선이 수평면에 수직이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 2 내지 3에서처럼, 제3측면 부재(123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과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이 수평면에 수직인 기준선에 동시에 놓여있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중심선에서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의 거리에 비하여 중심선에서 제3측면 부재(123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의 길이의 비율은 70%에서 130%의 범위에 있는 것이어야 한다.
70%이하이면 루어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못하고 130%이상이면 물의 저항으로 인하여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의 움직임이 둔탁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측면 부재(123b)와 제3측면 부재(123c)가 만나는 점(180)과 중심선과의 거리는 중심선에서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의 거리에 비하여 20~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유로운 액션이 필요한 루어가 있고, 정확한 액션이 필요한 루어가 있는 루어를 고려할 때, 점(180)과 중심선과의 거리는 중심선에서 점(130)의 거리에 비하여 20~95%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하부 부분의 하부 원형 부재(123d)에 의하여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에 걸린 루어가 원할하게 움질일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제1측면 부재 내지 제6측면 부재에 의하여 각진 형상을 구비하도록 하여 훅을 해제할 때 엄지 검지에 의해 용이하게 힘을 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종래 발명에서는 루어가 스냅에 연결된 경우 물고기가 루어를 물고 루어를 잡아당기게 되면 곡선 부분의 하부 부분 전체에서 움직이게 되며 훅이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과 같은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형상에서는 제2사다리꼴 형상(160)과 제3사다리꼴 형상(170) 사이에서 각진 형상이 이루어지고,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에 연결된 루어를 물고기가 잡아당기는 경우 제3사다리꼴 형상(170)과 하부 원형 부재(123d)에서만 이동이 되므로 훅이 쉽게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120: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121: 훅
122: 상부 부분 123: 하부 부분
122a: 상부 부분의 상부 부재 122b: 상부 부분의 하부 부재
123a: 제1측면 부재 123b: 제2측면 부재
123c: 제3측면 부재 123d: 하부 원형 부재
123e: 제4측면 부재 123f: 제5측면 부재
123g: 제6측면 부재

Claims (3)

  1. 상부 부재(122a) 및 상기 상부 부재(122a)의 양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부재(122b)로 이루어진 상부 부분(122);
    상기 상부 부분(122)의 양쪽 단부에서 연결되는 하부 부분(123); 및
    상부 부재(122a) 하부 부재(122b) 사이에 걸리는 훅(121)으로 이루어지는 낚시줄용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120)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123)은 제1사다리꼴 형상(150)을 이루는 제1측면 부재(123a) 및 제6측면부재(123g), 제2사다리꼴 형상(160)을 이루는 제2측면 부재(123b) 및 제5측면 부재(123f), 제3사다리꼴 형상(170)을 이루는 제3측면 부재(123c) 및 제4측면 부재(123e), 및 하부 원형 부재(123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면 부재(123a), 제2측면 부재(123b), 제3측면 부재(123c), 하부 원형 부재(123d), 제4측면 부재(123e), 제5측면 부재(123f) 및 제6측면부재(123g)는 순차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제1사다리꼴 형상(150) 및 제3사다리꼴 형상(170)은 밑면이 윗면보다 큰 사다리꼴이고 제2사다리꼴 형상(160)은 윗면이 밑면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이며,
    중심선에서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의 거리에 비하여 중심선에서 제3측면 부재(123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의 거리의 비율은 70%에서 13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3측면 부재(123c)와 하부 원형 부재(123d)가 만나는 점(140)과 제1측면 부재(123a)와 제2측면 부재(123b)가 만나는 점(130)을 연결하는 선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KR20140071425A 2014-06-12 2014-06-12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KR101495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1425A KR101495596B1 (ko) 2014-06-12 2014-06-12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1425A KR101495596B1 (ko) 2014-06-12 2014-06-12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596B1 true KR101495596B1 (ko) 2015-02-25

Family

ID=5259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1425A KR101495596B1 (ko) 2014-06-12 2014-06-12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5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620A (ko) * 2016-03-11 2017-09-21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101842662B1 (ko) 2015-12-07 2018-03-29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JP2021108645A (ja) * 2020-01-07 2021-08-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用スナップ
KR102436640B1 (ko) * 2021-03-16 2022-08-25 이달식 어로용 통발의 체결 분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955A (ja) * 2007-07-26 2009-02-12 Daiwa Seiko Inc 釣用スナ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955A (ja) * 2007-07-26 2009-02-12 Daiwa Seiko Inc 釣用スナッ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662B1 (ko) 2015-12-07 2018-03-29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20170106620A (ko) * 2016-03-11 2017-09-21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102258734B1 (ko) 2016-03-11 2021-06-01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JP2021108645A (ja) * 2020-01-07 2021-08-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用スナップ
JP7235694B2 (ja) 2020-01-07 2023-03-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用スナップ
KR102436640B1 (ko) * 2021-03-16 2022-08-25 이달식 어로용 통발의 체결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596B1 (ko) 어구용 인조 미끼 연결 장치
DK2549860T3 (en) Fishing lure
KR101540416B1 (ko) 스패츠 및 아이젠
US2720014A (en) Safety snap fastener for fishing tackle
US2577143A (en) Combined fishline sinker and hook spreader
US8359782B1 (en) Fishing lure device
US2867936A (en) Push-button fishing bobber
US2816392A (en) Fish hook
US10624329B2 (en) Fishing line indication device
US2245061A (en) Fish lure
JP2014217289A (ja) ルアー仕掛け
KR20200000362U (ko) 오징어 낚시용 루어
JP5285646B2 (ja) 玉網の柄
US2593728A (en) Casting bobber
US20140165449A1 (en) Fishing lure
US2445601A (en) Fishhook
US2710481A (en) Fish hook
CN207836558U (zh) 全自动钓鱼器
KR20200120850A (ko) 안걸리는 원터치스냅
KR200486993Y1 (ko) 고리를 구비한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US2441232A (en) Bait fishhook
KR200381868Y1 (ko) 낚시 유인 미끼
US1946979A (en) Artificial bait
KR20170000078U (ko) 주꾸미 낚시용 바늘채비
US1340780A (en) Fishh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