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545B1 -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 Google Patents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545B1
KR101495545B1 KR20140130586A KR20140130586A KR101495545B1 KR 101495545 B1 KR101495545 B1 KR 101495545B1 KR 20140130586 A KR20140130586 A KR 20140130586A KR 20140130586 A KR20140130586 A KR 20140130586A KR 101495545 B1 KR101495545 B1 KR 10149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tating
bubbles
fine bubbles
stirring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춘
강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신성메이저글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메이저글러브 filed Critical (주)신성메이저글러브
Priority to KR2014013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pin-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01F23/291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for obtaining foams or aeros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간단한 방식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짐은 물론 코팅액 등을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층으로 배치되는 환형 테; 상기 환형 테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갯 수로 결합 고정되는 교반 핀부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복수의 환형 테 중 어느 하나의 환형 테에 샤프트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코팅 후 기포가 최소한의 점유면적을 가지게 됨에 따라 우수한 통기성은 물론 착용감이 뛰어나며, 내미끄럼성 또한 우수함과 아울러 특히 사용에 따른 마모 발생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Stirrer for generating fine bubbles}
본 발명은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짐은 물론 코팅액 등을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는 손을 보호하거나 작업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갑을 착용한다. 이러한 장갑은 그 용도나 목적에 따라 통상 면사나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또는 아라미드사 등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한 장갑들은 미끄러운 물건을 취급하는 데 적합하지 못하므로, 장갑의 표면에 고무 등과 같은 코팅액을 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코팅 장갑은 코팅액에 장갑을 일정시간 동안 함침시킨 후 꺼내어 건조함에 따라 장갑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이때, 코팅액은 라텍스고무 코팅액이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코팅액(NBR 코팅액) 등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법으로 장갑의 표면으로 코탱액을 코팅할 경우, 코팅액이 장갑의 내부 깊숙이 침투하여 경화됨에 따라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그에 따라 종래에도 통기성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된 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609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팅액을 발포시킨 다음 발포된 코팅액에 장갑을 일정시간 동안 함침시킨 후 꺼내어 건조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발포된 코팅액이 코팅된 장갑은 투과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은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코팅된 표면이 평활하여 내미끄럼성이 개선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6651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팅된 표면에 주름무늬가 형성되어 미끄러운 물건을 취급하는 데 편리하기 사용할 수 있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통기성이 떨어짐은 물론 주름이 굵어 착용감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한 특허문헌 1 내지 2에서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8525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팅액을 교반을 통하여 거품을 발생시킨 후 그 거품이 발생된 코팅액에 일정시간 장갑을 함침킨 후 꺼내어 건조함에 따라 통기성이 우수하면서 내미끄럼성 또한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이때, 코팅액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통상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에 의하여 거품을 발생시켰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4274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 내의 용액을 프로펠러에 의해 교반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60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66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85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4274호
그러나, 특허문헌 3 내지 4의 코팅액을 교반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통상적인 임펠러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비교적 거품이 크게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건조 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코팅층이 단시간 내에 마모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거품이 크게 발생할 경우 코팅 면적이 넓게 분포됨에 따라 사용하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짐은 물론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구동원의 샤프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교반기로서, 상기 교반기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층으로 배치되는 환형 테; 상기 환형 테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갯 수로 결합 고정되는 교반 핀부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복수의 환형 테 중 어느 하나의 환형 테에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핀부는 중간에 위치한 교반 핀이 좌우측으로 위치한 교반 핀 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되게 중간에 위치한 교반 핀은 좌측의 교반 핀 보다 우측의 교반 핀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상기 고정구는 환형 테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와 연결되는 중앙 상면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각 플랜지의 일측단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각각의 보조 교반날개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짐은 물론 코팅액 등을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세정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갑 등의 표면으로 코팅 후 기포가 최소한의 점유면적을 가지게 됨에 따라 우수한 통기성은 물론 착용감이 뛰어나며, 내미끄럼성 또한 우수함과 아울러 특히 사용에 따른 마모 발생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각 교반 핀과 함께 보조 교반날개에 의하여 교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미세하고 균일한 기포 발생을 더욱더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 등의 표면으로 코팅되는 코팅액을 코팅 시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켜 접지력을 높이면서 통기성이 우수하도록 통상적인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의 샤프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교반기(1)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짐은 물론 코팅액 등을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교반기(1)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층으로 배치되는 소정의 폭을 갖는 환형 테(10)와; 상기 환형 테(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즉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갯 수로 통상의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교반 핀부(22)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키는 교반부(20); 및 상기 복수의 환형 테(10) 중 어느 하나의 환형 테(10)에 상기 샤프트(S)가 삽입되어 통상의 볼트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30);를 포함한다.
고정구(30)는 최 상부에 위치한 환형 테(10)의 직하부 측에 위치한 환형 테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30)는 환형 테(10)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15)와 연결되는 중앙 상면에 통상의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또, 상기 고정구(30)는 도 1에서와 같이 환형 테(10)를 제작 시 상기 고정구(30)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면과 프레스 작업 등에 의해 고정구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일체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통상적인 상기 환형 테의 내측에 프레임을 형성하여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교반 핀부(22)는 3개 정도가 적당하며, 상기 환형 테(22)에 홈 또는 구멍 등을 형성하여 그에 삽입된 후 용접이나 땜납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 핀부(22)는 중간에 위치한 교반 핀(21)이 좌우측으로 위치한 교반 핀(21) 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코팅액을 교반 시 상기 교반 핀부(22)의 각 교반 핀(21)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교반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음을 물론 거품 발생 또한 더욱더 많이 발생시킨다.
즉, 코팅액과 충돌 시 교반 핀부(22)의 각 교반 핀(21)이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더욱더 많은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더욱 많은 거품을 발생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되게 중간에 위치한 교반 핀(21)은 좌측의 교반 핀(21) 보다 우측의 교반 핀(21)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즉, 상기 교반 핀부(22)의 각 교반 핀(21)의 간격을 서로 달리 함으로써, 코팅액이 돌출된 교반 핀(21)과 좌측의 교반 핀(21)과 충돌되면서 그 사이로 유입되는 코팅액은 다시 우측의 교반 핀(21)과 충돌되어 거품 발생을 더욱더 활성화시킨다.
또한,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거품은 상기 교반 핀부(22)의 각 교반 핀(21)이 통과되면서 계속적으로 잘리듯이 분할됨으로써, 미세한 거품으로 다시 발생하게 됨은 물론 지속적인 분할로 인해 균일한 크기의 거품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교반과 함께 잦은 충돌로 인한 많은 거품 발생은 물론 특히 발생된 거품을 교반 핀부의 각 교반 핀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분할하여 미세하면서 균일한 거품으로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써, 이러한 미세한 거품과 균일한 크기로 발생된 거품의 코팅액은 장갑 등의 표면 등으로 코팅 시 미세하고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거품에 의하여 균일하면서 조밀하게 코팅됨으로써, 각 거품이 장갑의 표면으로 최소한의 면적으로 코팅됨으로 인해 사용 시에도 최소한의 접촉면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마모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미세하고 균일한 크기의 거품으로 인해 접지력을 높이면서 통기성 또한 우수한 조건은 물론 착용감도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한편, 상기 최 상부 측의 환형 테(10)와 그 직하부의 환형 테(10)의 높이는 다른 환형 테(1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코팅액을 교반시키고자 회전되는 과정에서 코팅액이 소용돌이 형태로 교반되면서 상부 측의 코팅액이 하부 측으로 원활하게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교반부의 각 교반 핀부에 의해 거품 발생과 함께 미세하면서 균일한 크기로 거품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더욱더 높은 교반 효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 플랜지(15)의 일측단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각각의 보조 교반날개(15a)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 교반날개는 회전에 따른 코팅액과 더 넓은 면적으로 충돌됨으로써, 교반 효율성을 더욱더 높힘은 물론 거품 발생 또한 더욱더 활성화시킨다.
그로 인해 상기 환형 테에 형성된 교반 핀부의 각 교반 핀에 의하여 미세한고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거품을 더욱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1 : 교반기
10 : 환형 테 12 : 관통공
15 : 플랜지 15a : 보조 교반낡개
20 : 교반부 21 : 교반 핀
22 : 교반 핀부 30 : 고정구

Claims (5)

  1.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구동원의 샤프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교반기로서,
    상기 교반기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층으로 배치되는 환형 테;
    상기 환형 테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갯 수로 결합 고정되는 교반 핀부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미세한 거품을 균일하게 발생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복수의 환형 테 중 어느 하나의 환형 테에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는 환형 테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와 연결되는 중앙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핀부는 중간에 위치한 교반 핀이 좌우측으로 위치한 교반 핀 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되게 중간에 위치한 교반 핀은 좌측의 교반 핀 보다 우측의 교반 핀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의 일측단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각각의 보조 교반날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KR20140130586A 2014-09-29 2014-09-29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KR10149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0586A KR101495545B1 (ko) 2014-09-29 2014-09-29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0586A KR101495545B1 (ko) 2014-09-29 2014-09-29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545B1 true KR101495545B1 (ko) 2015-02-26

Family

ID=5259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0586A KR101495545B1 (ko) 2014-09-29 2014-09-29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5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120A (ja) 2008-01-10 2010-07-08 Mg Grow Up:Kk 静止型流体混合装置
KR101077266B1 (ko) 2011-05-24 2011-11-01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코팅장갑용 코팅액의 폼 생성장치
KR101235663B1 (ko) * 2013-01-21 2013-02-21 신 한 나노버블 형성장치
KR101252673B1 (ko) * 2011-12-01 2013-04-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오존 나노버블 및 와류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120A (ja) 2008-01-10 2010-07-08 Mg Grow Up:Kk 静止型流体混合装置
KR101077266B1 (ko) 2011-05-24 2011-11-01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코팅장갑용 코팅액의 폼 생성장치
KR101252673B1 (ko) * 2011-12-01 2013-04-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오존 나노버블 및 와류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5663B1 (ko) * 2013-01-21 2013-02-21 신 한 나노버블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8231B (zh) 攪拌裝置
US6464579B1 (en) Rotatable air vent
US20080130406A1 (en) Mixer for viscous materials
CN106152437A (zh) 送风设备及其出风孔板
KR102250601B1 (ko) 수반 내의 폐수의 순환을 위한 교반 소자, 및 장치
JP6606077B2 (ja) 容器に収納された液体を循環させる装置
KR101495545B1 (ko) 미세 거품 발생용 교반기
JP200806871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6539798A5 (ko)
US2639947A (en) Liquid distributing tray
EP3498651A2 (en) Pneumatic vacuum elevator seal
JP2016097608A (ja) モルタル等の撹拌装置
CN106149310B (zh) 用于洗衣机的喷淋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US20150290603A1 (en) Stirrer having recesses formed inside container
WO2012134983A2 (en) Circular grill for an air circulator unit
JP6146657B2 (ja) 糊供給装置
JP2014145833A5 (ko)
CN205903832U (zh) 一种搅拌装置
CN107062409A (zh) 电机安装结构及嵌入式空调器
CN105971927A (zh) 一种水泵叶轮及水泵
JP2018000540A (ja) 石鹸泡立て器
JP5888534B2 (ja) 改善された液だれ防止装置
US20150308450A1 (en) Ceiling fan blade attachment
KR940703951A (ko) 세탁기 교반기(laundry machine agitator)
CN106040044B (zh) 一种改良式混炼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