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479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479B1
KR101495479B1 KR20140054320A KR20140054320A KR101495479B1 KR 101495479 B1 KR101495479 B1 KR 101495479B1 KR 20140054320 A KR20140054320 A KR 20140054320A KR 20140054320 A KR20140054320 A KR 20140054320A KR 101495479 B1 KR101495479 B1 KR 10149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rame
reflective member
light sour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욱
이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비젼
Priority to KR2014005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479B1/ko
Priority to PCT/KR2015/004572 priority patent/WO2015170897A1/ko
Priority to US15/309,424 priority patent/US201701385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의 출광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출광영역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상기 반사부재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방출되고, 상기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상기 출광영역을 통해 방출되는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방출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실시 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기구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전구와 같은 광원이 방출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등갓을 구비한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기구의 효율은 등갓의 반사효율에 의하여 크게 달라진다.
종래에는 형광등과 등갓을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구성하였으나, 형광등의 경우 소비전력이 높고, 수명이 짧으며, 발열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LED의 경우 출력되는 광의 직진성이 강해 사용시 눈의 피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눈부심을 줄일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의 출광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출광영역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상기 반사부재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방출되고, 상기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상기 출광영역을 통해 방출되는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방출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을 반사부재의 일단에 배치하고, 상기 반사부재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반사면적이 넓어지도록 구성하여 광이 직접 출광되는 것을 방지하여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 및 광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영역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광의 경로와 광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 및 광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 및 광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영역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프레임(10), 반사부재(20) 및 지지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조명장치(1)의 몸체를 형성하는 틀 또는 뼈대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하면이 개구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측면이 곡선인 종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10)은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레임(10)은 방열이 용이하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방열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1) 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열에 의한 내부 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부재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반사부재(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시트형태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일부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전체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일단이 개구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단이 개구된 원뿔대 형상의 반사부재(20)는 종 형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은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반사부재(20)와 평행하는 등간격의 다수의 평행선으로 나누었을 때 인접하는 평행선으로 정의되는 영역의 면적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며, 상기 반사부재(20)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면적이 넓어진다고 할 수 있어,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면적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상기 반사부재(20)에는 평면영역(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영역(21)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평면영역(21)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타단에 연결되므로 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면영역(21)은 상기 출광영역(50)과 평행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평면영역(21)은 상기 반사부재(2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영역(21)은 상기 반사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가 시트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반사부재(20)는 수지층, 발포 또는 충전제(확산제), 금속층 및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지층은 PET, PC, PV, PP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되며, 황산바륨 또는 탄산칼륨과 같은 발포 또는 유/무기계 충전제를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금속층이 형성되고, 금속층의 일면에 상기 반사부재(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율 증대를 위한 무기계 충전제로는 황산바륨(Ba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탄산바륨(BaCO3), 탄산칼슘(CaCO3), 탄산칼륨(K2CO3), 염화마그네슘(MgCl2), 수산화알루미늄(Al(OH)3),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칼슘(Ca(OH)2), 이산화티탄(TiO2),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탈크(H2Mg3(SiO3)4 또는 Mg3Si4O10(OH)2), 제올라이트(Zeolite) 등이 있다. 또한, 반사 부재(20)는 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자외선 흡수 층(열화 방지층)이 추가로 수지층 일면에 포함되거나 수지층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두께는 0.01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도는 60% 내지 99.8%가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부재(20)는 확산 패턴 또는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반사도가 매우 높은 시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도가 높아서 손실되는 광이 적어 결과적으로 출사되는 광의 조사량이 커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광을 반사하는 표면에는 먼지 흡착을 방지하기 위한 광촉매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TiOx:D로 표현되는 티타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D는 도펀트(dopant)를 의미하며, 상기 도펀트는 N, C, -OH, Fe, Cr, Co 또는 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타늄화합물은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질산화티타늄(TiON)이 될 수 있으며, 미립자를 사용하여 친수성으로 코팅될 수 있다. 광촉매의 입자 직경은 수 nm 내지 수백 nm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촉매의 입자 직경은 5nm 내지 900nm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광촉매를 포함한 바인더 또는 용액이 반사부재(20)의 표면에 도포되어 건조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20)에 도포되며, 광촉매를 포함한 바인더 또는 용액은 건조 후 두께가 0.05㎛ 내지 20㎛ 가 될 수 있다.
상기 티타늄 화합물의 전기적 성질은 반도체 성질을 나타내며, 단파장(380nm) 이하의 자외선 또는 380nm 내지 780nm의 가시광선이 조사되면 여기상태가 되어 강력한 산화력을 나타내고, 화학적으로도 안정된 물질이다. 즉, 상기 티타늄 화합물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흡수하면 표면에서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자와 정공은 대부분의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광촉매는 친수성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진 효과가 있다. 즉, 광촉매 코팅 표면에 물을 뿌렸을 때 뿌려진 물방울과 기재 표면 사이의 접촉각이 작아져서 표면의 친수 효과가 나타나며, 이러한 성질에 따라 표면에 먼지 흡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각종 유기물질(탄소화합물)을 산화 및 분해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의해 암모니아, 황화수소, 아세트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메틸메르캅산,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스틸렌 등의 악취유발 물질을 분해함으로써 냄새 제거, 공기 정화, 살균/항균 등의 효과도 있다.
상기 광촉매는 상기 반사부재(20)의 표면에 액상으로 분사되어 도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분사기구를 이용하여 액상의 광촉매를 상기 반사부재(20)의 표면에 뿌림으로써 간편하게 상기 반사부재(20)의 표면에 광촉매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상기 반사부재(20)의 표면에 스크린 프린팅 방식, 그라비아 프린팅 방식, 분사 방식, 분사 후 롤브러쉬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프린팅은 인쇄용 스크린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메시를 통해 광촉매가 포함되어 있는 액상이 균일하게 도포되는 프린팅 방식이며, 상기 그라비아 프린팅은 오목한 롤러에 묻어 있는 광촉매를 포함한 액체를 반사부재(20)의 표면에 도포하는 프린팅 방식이고, 상기 분사 방식은 광촉매가 포함된 액상을 표면에 분사하는 방식이며, 상기 분사 후 롤브러쉬 방식은 광촉매가 포함된 액상을 표면에 분사한 후 롤브러쉬로 균일하게 문질러 도포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팅 방식에 의해 대량의 반사부재(20) 에 효율적으로 광촉매를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를 도포하기 전에 유기 또는 무기용제를 전처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부재(20) 의 표면에 유기 또는 무기용제로 유무기 오염물을 세정한 후 그 위에 광촉매를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또는 무기용제는 아세톤 또는 알코올 등과 같은 알칼리 약액과 중성세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20)의 표면에 은나노 또는 알루미늄 나노로 형성된 코팅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광촉매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은나노 또는 알루미늄 코팅층은 반사 보조 기구의 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점성(viscosity)을 조절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도포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이 도포됨으로써 상기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이 상기 반사부재(2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재(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은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부재(30)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중앙영역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중앙영역은 개구되어 출광영역(50)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원형의 띠 형상의 지지부재(30)에 의해 상기 출광영역(50)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출광영역(50)의 둘레는 상기 지지부재(30)의 개구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출광영역(50)은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출광영역(50)에는 출광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출광시트는 상기 출광영역(50)으로 향하는 모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출광시트는 상기 조명장치(1)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출광시트가 상기 조명장치(1)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을 차단하여 상기 이물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에는 반사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에 부착되는 반사시트는 상기 반사부재(20)와 동일한 시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에는 반사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에 반사시트가 부착되거나 반사물질이 도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0)로 향하는 광을 상기 반사부재(20)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기 출광영역(50)을 통해 방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조명장치(10)의 광량이 증가하고, 동일 광량대비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재(30)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재(30)는 방열이 용이하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 의 방열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1) 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열에 의한 내부 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제1 돌출영역(31), 제2 돌출영역(33) 및 지지영역(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은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영역(33)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외측에서 상기 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영역(35)은 상기 제1 돌출영역(31)과 제2 돌출영역(33)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돌출영역(31) 및 제2 돌출영역(33)은 상기 지지영역(35)의 양측영역에서 상기 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 제2 돌출영역(33) 및 상기 지지영역(3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영역(35)은 광원(4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은 상기 지지영역(35)과 상기 출광영역(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은 상기 지지영역(35)과 출광영역(5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40)으로부터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직접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돌출영역(31)은 상기 광원(40)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반사부재(20)에 의한 반사과정없이 상기 출광영역(50)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정 각도에서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 및 상기 제2 돌출영역(33)은 상기 지지영역(35)의 양측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반사부재(20)의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 및 제2 돌출영역(33)은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반사부재(20)의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돌출영역(31, 33)은 상기 광원(40)의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조명장치(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지지부재(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영역(3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지지부재(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원형의 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출광영역(50)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출광영역(50)을 감싸는 폐루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출광영역(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 및 다수의 인쇄회로기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는 패키지 형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 실장될 수도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COB(Chip on board)형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출광영역(5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출광영역(50)을 감싸는 폐루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출광영역(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다수의 인쇄회로기판(4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3)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가 실장된 각각의 인쇄회로기판(43)은 연결배선(45)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전원부(60)를 통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4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전원배선(61)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3)과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3)으로 전원을 전달한다.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인쇄회로기판(43)은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41)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배선(45)을 통해 인접하는 인쇄회로기판(43)으로 전원을 전달한다. 인접하는 인쇄회로기판(43) 또한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41)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연결배선(45)을 통해 다른 인쇄회로기판(43)으로 전원을 전달한다. 이를 반복하여,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든 발광 다이오드(41)가 발광한다.
상기 전원부(60)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ADC(AC to DC conver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외부로부터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변환된 직류전원을 감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3)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조명장치(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조명장치(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가 상기 조명장치(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다수의 인쇄회로기판(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칩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가 ADC기능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는 별도의 DC-DC convertor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DC-DC convertor는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전압을 상기 발광 다이오드(41)의 구동전압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41) 및 인접하는 인쇄회로기판(4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43) 상에 실장됨으로써 별개의 전원부(60)없이 일체로 상기 조명장치(1)를 작동 및 설치할 수 있어, 설치와 이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Al, Cu 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메탈 PCB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FR1, FR4, CEM1 PCB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에폭시 또는 페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외력에 의해 휠 수 있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충진부(45) 및 방열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부(4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의 뼈대 또는 틀이 되는 영역으로 상기 금속물질이 충진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방열부(47)는 상기 금속물질이 충진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방열부(47)는 상기 금속물질이 충진되지 않은 빈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방열부(4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4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부(47)를 통해 상기 충진부(45)는 외부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41) 및 인쇄회로기판(43)에서 발생한 열이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에 의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41) 및 인쇄회로기판(47)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의 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30)로 전달되고, 열전도도가 높은 상기 지지부재(30)는 외부로 열을 배출하여 열에 의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41) 및 인쇄회로기판(43)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광의 경로와 광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반사부재(20) 방향으로 광을 방출한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방출된 광은 적어도 1회 이상 상기 반사부재(2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부재(20)를 향해 높은 입사각으로 입사된 광은 한 번의 반사를 통해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력될 수 있고, 상기 반사부재(20)를 향해 낮은 입사각으로 입사된 광은 2회 이상의 반사를 거쳐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력된다.
상기 반사부재(20)는 난반사 성질을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출력된 광은 상기 반사부재(20)로의 입사각에 종속되지 않는 횟수의 반사를 거쳐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광원(40)과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상기 광원(40)과 이격된 타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반사면적을 가지므로, 일정부분 집광되는 형태로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반사면적의 변화에 의해 상기 출광영역(50)은 균질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광속의 관점에서 보면,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력되는 광은 가우시안 분포를 따른다. 즉,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력되는 광은 상기 출광영역(50)의 중심에서 가장 광속이 높은 광이 출력되고, 상기 지지부재(30) 방향으로 갈수록 광속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가우시안 분포를 따른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출력된 광 중 입사각이 상기 출광영역(50)으로 향하는 광은 상기 제1 돌출영역(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상기 출광영역(50)으로 반사없이 출력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1)는 균질한 광을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평면영역(21)의 존재로 인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반사회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반사회수의 증가로 상기 출광영역(50)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배광분포가 넓어진다.
또한, 상기 평면영역(21)과 상기 출광영역(5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상기 출광영역(50)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출사각이 상기 지지부재(30)와 인접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평면영역(21)과 상기 출광영역(50) 사이의 거리를 짧게함으로써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출사되는 광의 배광분포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 및 광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인쇄회로기판의 형상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30)는 중앙영역이 개구된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개구는 상기 출광영역(50)의 둘레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제1 돌출영역(31), 제2 돌출영역(33) 및 지지영역(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영역(31)은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영역(33)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외측에서 상기 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 상에는 광원(4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영역(3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지지부재(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원형의 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출광영역(50)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출광영역(50)을 감싸는 폐루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상기 출광영역(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 및 인쇄회로기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3)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상기 지지부재(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상기 지지영역(3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은 상기 출광영역(50)을 감싸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실장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와 같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3)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1)를 실장함으로써 연결배선(45)의 개방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을 상기 지지영역(35)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돌출영역(31) 및 제2 돌출영역(33)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외부충격에 의한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예의 조명장치(1)에 있어서, 도 6b 및 도 6c와 같이 상기 광원(40)은 다수 개의 인쇄회로기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인쇄회로기판(43)은 상기 출광영역(50)과 상기 지지부재(30)의 경계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인쇄회로기판(43)에는 각각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41)가 실장될 수 있다.
각각의 인접하는 인쇄회로기판(43)은 연결배선(4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45)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반사부재의 형상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반사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일단이 개구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은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반사부재(20)와 평행하는 등간격의 다수의 평행선으로 나누었을 때, 인접하는 평행선으로 정의되는 영역의 면적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광원(40)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며, 상기 반사부재(20)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면적이 넓어진다고 할 수 있어, 상기 반사부재(20)의 반사면적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프레임(10)에 반사물질이 도포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가 상기 프레임(10)에 반사물질이 도포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반사부재(20)를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 실시 예의 반사부재(20)를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집광률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부재(20)를 원뿔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출광영역(50)의 중심에 제1 실시 예보다 더 높은 광속이 출력되고, 상기 지지부재(30) 방향으로 갈수록 광속의 감소비율이 상기 제1 실시 예보다 커진다. 상기 원뿔형상의 반사부재(20)는 높은 집광률이 필요한 공장 등의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프레임과 반사부재의 관계가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4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Al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F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조명장치(1)의 몸체를 형성하는 틀 또는 뼈대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반사부재(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반사부재(20)의 틀 역할을 하는 금속층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즉, 제4 실시 예에서의 반사부재(20)에는 상기 금속층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반사부재(20)의 틀 역할을 함으로써 금속층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여 부착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20)가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에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Al 또는 Fe계열의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용이하게 방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지지부재(30) 사이에는 접착제(39)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접착제(39)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0)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39)는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지지부재(30)는 점용접(spot welding)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용접에 의해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지지부재(30)가 부착되는 영역이 접착제(39)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39)가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40)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30)로 전달되는 열이 상기 프레임(10)으로 빠르게 전달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도 9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5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프레임이 생략되고, 반사부재가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5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5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반사부재(20) 및 지지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30)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30)와 평행하는 평행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행영역은 상기 출광영역(5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와 상기 반사부재의 평행영역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에는 제1 고정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23)은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의 일부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제2 고정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37)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면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고정홀(37)은 상기 지지부재(30)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23) 및 제2 고정홀(37)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23) 및 제2 고정홀(37)은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23) 및 제2 고정홀(37)은 내면에 나사선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23) 및 제2 고정홀(37)에는 고정부재(7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상기 제1 고정홀(23)을 관통하여 제2 고정홀(3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는 나사못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상기 제1 고정홀(23) 및 제2 고정홀(37)의 나사선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30)를 상기 고정부재(71)로 고정함으로써 프레임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을 생략하여 조명장치(1)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고, 간이한 방법으로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지지부재(30)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71)를 통해 상기 반사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30)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정부재(71)를 통해 상기 반사부재(2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홀(37)을 인쇄회로기판(43) 상에 형성하여,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30)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b는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지지부재(30)에 고정하는 다른 예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부재(20)는 삽입부(38)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는 1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는 상기 지지부재(30)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는 상기 출광영역(50)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영역 및 상기 돌출영역으로부터 상기 출광영역(50)으로 절곡된 절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는 상기 지지부재(30)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삽입부(38)는 상기 지지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에는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8)에는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의 단부는 상기 삽입부(38)의 돌출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반사부재(20)의 평행영역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영역은 상기 절곡영역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와 접촉하는 지지부재(30)의 상면 일부영역 및 상기 삽입부(38)와 상기 반사부재(20) 사이에는 접착제를 투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지지부재(30)와 상기 삽입부(38)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지지부재(30)에 상기 삽입부(38)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 상기 삽입부(38)를 형성하여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43)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30)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6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프레임(110), 반사부재(120) 및 광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외형은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외형은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사각뿔대 형상의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뿔대의 하면은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과 대응되고, 상기 사각뿔대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함입부에는 반사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함입부에는 상기 반사부재(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프레임(110)의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40)은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의 일단은 사각뿔대 형상의 하면이므로 상기 광원(140)은 사각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40)은 사각 띠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광원(140)의 사각띠 형상에 의해 출광영역(150)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140)은 상기 출광영역(1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40)이 사각띠 형상으로 배열되므로 상기 출광영역(150)은 사각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40)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41) 및 인쇄회로기판(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41)가 사각띠 형상의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43)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41)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143)에 나누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41)를 사각 띠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사각형상의 출광영역(150)에 출광되는 광의 균질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141)를 사각띠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출광영역(150)의 각변에서의 광의 편차없이 균질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전원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60)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배선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6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함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43)에 칩형태로 실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부재(120)의 반사면적은 상기 광원(140)과 인접한 상기 반사부재(120)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반사부재(120)의 타단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120)는 상기 광원(140)과 인접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광원(140)과 이격된 타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반사면적을 가지므로, 일정부분 집광되는 형태로 상기 출광영역(150)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반사면적의 변화에 의해 상기 출광영역(150)은 균질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조명장치
10: 프레임
20: 반사부재
30: 지지부재
31: 제1 돌출영역
33: 제2 돌출영역
35: 지지영역
40: 광원
41: 발광 다이오드
43: 인쇄회로기판
45: 연결배선
50: 출광영역
60: 전원부
61: 전원배선

Claims (13)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의 외곽에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재의 타단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반사면적이 넓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은 점용접 방법을 통해 접착제로 부착되는 조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와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와 지지부재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상에 돌출된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의 일단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광이 출광되는 출광영역의 둘레를 한정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출광영역의 둘레를 따라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는 조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원뿔대, 원뿔 또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조명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에는 티타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촉매가 도포되는 조명장치.
  13. 삭제
KR20140054320A 2014-05-07 2014-05-07 조명장치 KR10149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4320A KR101495479B1 (ko) 2014-05-07 2014-05-07 조명장치
PCT/KR2015/004572 WO2015170897A1 (ko) 2014-05-07 2015-05-07 조명장치
US15/309,424 US20170138565A1 (en) 2014-05-07 2015-05-07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4320A KR101495479B1 (ko) 2014-05-07 2014-05-07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479B1 true KR101495479B1 (ko) 2015-02-23

Family

ID=5259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4320A KR101495479B1 (ko) 2014-05-07 2014-05-0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4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58Y1 (ko) * 2001-02-06 2001-09-26 주식회사 엘엠 산화티탄층을 코팅한 형광등기구
KR20090050394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광소자 조명장치
KR100980335B1 (ko) * 2010-03-22 2010-09-06 주식회사 지엘비젼 최대 조도각을 가지는 반사 보조 기구 및 조명 기구
KR101146355B1 (ko) * 2009-10-06 2012-05-21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58Y1 (ko) * 2001-02-06 2001-09-26 주식회사 엘엠 산화티탄층을 코팅한 형광등기구
KR20090050394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광소자 조명장치
KR101146355B1 (ko) * 2009-10-06 2012-05-21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KR100980335B1 (ko) * 2010-03-22 2010-09-06 주식회사 지엘비젼 최대 조도각을 가지는 반사 보조 기구 및 조명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874B2 (ja) 反射器装置、及びこのような反射器を有する照明装置
JP2011034969A (ja) ランプ
KR101665760B1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US20170138565A1 (en) Lighting device
JP2011129473A (ja) 照明器具
KR102173117B1 (ko) 차량용 조명유닛
JP2012511244A5 (ko)
JP2009009870A (ja) 光源ユニット及び電球形ランプ
KR101495479B1 (ko) 조명장치
KR101464108B1 (ko) 조명장치
JP6650621B2 (ja) 照明装置
KR101726079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장치
JP2005251637A (ja) 照明装置
US20150241033A1 (en) Lamp Apparatus and Luminaire
JP7105605B2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KR20120017197A (ko) Led 전구
KR20180130822A (ko) 살균 장치
KR20100100570A (ko) 다운 라이트 조명장치
JP2019021463A (ja) 発光装置
KR20160132158A (ko) 조명장치
JP2016146260A (ja) 照明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101137298B1 (ko) 먼지 흡착 방지 기능을 가진 반사 보조 기구 및 조명 기구
KR101389979B1 (ko) 엘이디 램프
KR101350149B1 (ko) 월워셔용 비대칭 배광 반사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JP7190659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