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416B1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 - Google Patents

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416B1
KR101495416B1 KR20130000880A KR20130000880A KR101495416B1 KR 101495416 B1 KR101495416 B1 KR 101495416B1 KR 20130000880 A KR20130000880 A KR 20130000880A KR 20130000880 A KR20130000880 A KR 20130000880A KR 101495416 B1 KR101495416 B1 KR 101495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mattress
groove
pedestal
diaphragm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0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9094A (en
Inventor
김용하
도현옥
Original Assignee
김용하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하,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filed Critical 김용하
Priority to KR2013000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416B1/en
Publication of KR2014008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배설물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 배설물처리장치는 침대 매트리스 위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대소변을 타인의 도움없이 처리하도록 다이아퍼, 다이아퍼받침대 및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배설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로 분절하여 구비되되, 상기 상단매트리스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에서 중심방향으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하단매트리스를 상기 일단부의 타부분에 대면하여 배치하며, 상기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를 감싸서 연장된 홈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내피복을 구비하되, 상기 내피복에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가 맞닿는 부분 인접부위에 밀림방지박음질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다이아퍼받침대가 위치하되, 상기 다이아퍼받침대는 그 단면이 'U'자형 구조인 트레이이어서 상기 다이아퍼의 삽탈이 가능하되, 그 외측면에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의할 때 불편한 사람들이 장시간 침대에 누워생활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되는 욕창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동시나 적재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treating an automatic excrement.
The automatic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diaper, a diaphragm pedestal, and a hose so as to treat a feces of a user who is inconvenient on a bed mattress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And a lower mattress, wherein the upper mattress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in a central direction at a part of one end thereof, and the lower mattress is disposed facing the other portion of the one end portion so that the groove portion is extended, Wherein the inner cover is provided with an anti-jamming protruding portion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upper mattress abuts against the lower mattress, and wherein the groove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diaphragm pedestal , Wherein the diaphragm pedestal The diaper can be inserted and removed by being a tray having a U-shaped structure, and wing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to be fixed to the groove. In this case, when uncomfortable people lie in a bed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ure gauge which is often generated in the case of the pressure gauge, and effectively utilize the space during the movement or the loading.

Description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본 발명은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장시간 침대에 누워서 생활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되는 욕창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동시나 적재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ed sor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ed sor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utomatic excreta disposal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bedsores that can be utilized.

종래에 와병생활의 환자나 노인,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누워 있는 상태에서 배설한 용변을 타인의 시중 없이 처리할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045349호, 제2006-0047685호, 제2006-0052191호, 제2006-0057561호, 제2006-0058212호, 제2006-0058856호, 제2006-0058857호에 종래의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의 구성이 잘 나타나 있다.There has been disclosed an apparatus that allows a person, a senior citizen, and people with uncomfortable behavior to lay in a state of being laid up in the conventional manner, without having to deal with others without permiss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2006-0045349 and 2006-0047685 , 2006-0052191, 2006-0057561, 2006-0058212, 2006-0058856, and 2006-0058857 show well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tomatic slurry cleaning apparatus.

특히,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39121호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은 매트리스(10), 받침대(20), 다이아퍼 팬티(30), 쿠션재(40), 다이아퍼(100), 호스(50)를 구성한 종래의 자동배설물 처리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In particula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39121 can be referred to.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utomatic waste disposal apparatus constituting a mattress 10, a pedestal 20, a diaper pant 30, a cushion 40, a diaphragm 100, and a hose 50. Fig.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10)는 윗측으로는 상부매트(11), 하부 우측으로는 우하부매트(12), 좌측으로는 좌하부매트(13)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중앙에 다이아퍼 및 받침대(20)가 내장되는 공간부(15)가 형성되고 우하부매트(12)와 좌하부매트(13) 사이에는 다이아퍼에서 발생하는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호스(50)가 놓여지는 되는 구조이고, 상기 우하부매트(12)와 좌하부매트(13) 사이 호스(50)가 놓여져 있는 위치에는 지퍼 형태의 덮개(14)가 씌워져 호스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attress 1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mat 11, a lower right mat 12 and a left lower mat 13 on the upper side, A space 15 in which a diaphragm and a pedestal 20 are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lower mat 13 and a hose 50 for discharging the dirt generated in the diaphragm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mat and the lower mat And a zipper-shaped lid 14 is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hose 50 is placed between the lower right mat 12 and the lower left mat 13 to prevent the hose from being seen.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매트리스(10)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등이 배기거나, 또는 상부매트(11)와 우,좌하부매트(13, 12)와의 사이, 상기 상부매트(11)와 우,좌하부매트(13, 12)와 쿠션재(40)와의 사이의 벌어지는 공간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될 뿐만 아니라, 거동이 극히 어려운 환자에게는 욕창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a structure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back of the user lying on the mattress 10 is exhausted, or between the upper mat 11 and the right and left lower mats 13, 12, The space between the lower mat (13, 12) and the cushion material (40)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also causes a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patient is extremely difficult to ac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장시간 침대에 누워생활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되는 욕창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동시나 적재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d for preventing bedsores, which are often caused by people who are uncomfortable living in b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o provide an excrement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홈부를 구비한 매트리스 위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대소변을 타인의 도움없이 처리하도록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다이아퍼받침대,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에 삽탈되어 대소변을 처리하는 다이아퍼 및 상기 다이아퍼에서 처리되는 대소변을 호스를 통하여 흡입보관하는 배설물탱크를 구비한 유틸리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배설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상기 다이아퍼받침대가 위치하되, 상기 다이아퍼받침대는 그 단면이 'U'자형 구조인 트레이이어서 상기 다이아퍼의 삽탈이 가능하되, 그 외측면에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osing a diaphragm pedestal, which is inserted into a groove portion of a mattress having a groove portion, Wherein the diaphragm pedestal is located in the groove, and the diaphragm pedestal is located in the diaphragm, wherein the diaphragm pedestal is located in the groove, wherein the diaphragm pedestal is located in the diaphragm, Wherein the pedestal is a tray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diaper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nd a w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diaphragm to be fixed to the groove portion.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매트리스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로 분절하여 구비되되, 상기 상단매트리스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에서 중심방향으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하단매트리스를 상기 일단부의 타부분에 대면하여 배치하며, 상기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를 감싸서 연장된 홈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내피복을 구비하고, 상기 내피복에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가 맞닿는 부분 인접부위에 밀림방지박음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tress is divided into an upper mattress and a lower mattress, wherein the upper mattress is provided with a groove in a central direction at a part of one end thereof, Wherein the inner mattress is provided with an inner jacket which faces the other portion of the one end and keeps the shape of the groove extended by wrapping the upper mattress and the lower mattress, It may be that an anti-staple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단매트리스의 홈부 주변을 이루는 엉덩이안착부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향하는 음각 형상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ck seating portion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groove of the upper mattress may have a depressed shape facing the hip of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엉덩이안착부는 상단매트리스와 압축밀도가 다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p seating portion may have a compression dens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upper mattr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매트리스는 침대면에서 사용자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그 압축밀도가 감소하는 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tress may be one whose compression density decreases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bed surface to the user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이아퍼받침대는 그 측면부에 'ㄷ'자형으로 타공되어 다이아퍼받침대와 별도로 유동이 가능한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유동방지부의 내면에는 상기 다이아퍼를 전후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pedestal may be provided with a flow prevention part that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so as to be formed in a 'C' shape and can flow separately from the diaphragm pedestal, And a locking jaw for fixing the locking member in a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내측하면에는 탄성들림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lift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내측하면과 탄성들림부와의 사이에 토션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rsion spring or a compression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and the elastic rim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외측하면에는 삽탈거치대가 매립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 removal stand may be embedd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외측면에는 다단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may be provided with a multi-stage height adjuster.

본 발명에 따르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장시간 침대에 누워생활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되는 욕창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동시나 적재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utomatic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bedsores, which are often caused when people who are inconvenienced in their lives lie on a bed for a long period of time, .

도 1은 종래 자동배설물 처리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내피복에 의하여 덮힌 매트리스 전체(a)와 접힌 상태의 매트리스(b)를 사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매트리스에 내피복이 입혀진 일부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매트리스에 내피복이 씌원진 상태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단매트리스의 홈부 주변을 사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이아퍼받침대의 상부면, 사시면, 하부면 및 측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탄성들림부와 개재된 토션스프링의 분리사시도를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이아퍼받침대와 탄성들림부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과 그 측면에 구비된 다단높이조절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utomatic waste disposal apparatu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mattress (a) and the folded mattress (b) covered by the inner covering of the automatic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view of the mat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ner coating appli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t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a groove of the upper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views show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a diaphragm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rim portion and the interposed torsion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ressio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diaphragm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astic rim portion and a multi-height height adjusting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hereof.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대하여 아래에서와 같이, 실시 가능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 및 적재가 용이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침대 매트리스 위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대소변을 타인의 도움없이 처리하도록 다이아퍼, 다이아퍼받침대 및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배설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로 분절하여 구비되되, 상기 상단매트리스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에서 중심방향으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하단매트리스를 상기 일단부의 타부분에 대면하여 배치하며, 상기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를 감싸서 연장된 홈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내피복을 구비하되, 상기 내피복에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가 맞닿는 부분 인접부위에 밀림방지박음질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다이아퍼받침대가 위치하되, 상기 다이아퍼받침대는 그 단면이 'U'자형 구조인 트레이이어서 상기 다이아퍼의 삽탈이 가능하되, 그 외측면에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per, a diaphragm pedestal, and a hose so as to treat the feces of a user who is inconvenient on the bed mattress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Wherein the mattress is divided into an upper mattress and a lower mattress, wherein the upper mattress has a groove portion in a central direction at a portion of one end thereof, and the lower mattress is disposed at a different portion of the one end portion And an inner cover covering the upper mattress and the lower mattres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extended portion, wherein the inner cover is formed with an anti-slip punched material on a portion adjacent to the portion where the upper mattress abuts against the lower mattress, Wherein the groove portion has the diaphragm pedestal, The diaphragm pedestal is a tray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so that the diaphragm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nd a w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thereof to be fixed to the groove por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 및 적재가 용이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내피복에 의하여 덮힌 매트리스 전체(a)와 접힌 상태의 매트리스(b)를 사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mattress (a) and the folded mattress (b) covered by the inner covering of the automatic slurry handl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move and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200)는 상단매트리스(210)와 하단매트리스(220)로 분절하여 구비되되, 상기 상단매트리스(210)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에서 중심방향으로 홈부(212)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212)가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하단매트리스(220)를 상기 일단부의 타부분에 대면하여 배치하며, 상기 상단매트리스(210)와 하단매트리스(220)를 감싸서 연장된 홈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내피복(200')을 구비하되, 상기 내피복(200')에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가 맞닿는 부분 인접부위에 밀림방지박음질(200'')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212)에는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가 위치하되,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는 그 단면이 'U'자형 구조인 트레이이어서 상기 다이아퍼(100)의 삽탈이 가능하되, 그 외측면에는 날개부(미도시, 후술하기로 한다)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212)에 고정된다.2, the mattress 200 is divided into an upper mattress 210 and a lower mattress 220. The upper mattress 210 has a groove 212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t a portion of one end thereof And the lower mattress 220 is arranged to face the other portion of the one end so that the groove 212 is extended and the shape of the groove extended to cover the upper mattress 210 and the lower mattress 220 (200 ') is formed on the inner cloth (200')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upper mattress and the lower mattres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grooved portion (200 ' The diaphragm support 230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diaphragm support 230 is in a U-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diaphragm 10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상단매트리스(210) 또는 하단매트리스(210)는 면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견섬유, 모섬유, 마섬유, 나일론, 아크릴사, 케블라,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압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p mattress 210 or the bottom mattress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tton fibers, cellulose fibers, silk fibers, wool fibers, hemp fibers, nylon, acrylic yarns, Kevlar, rayon, polyester, polyurethane, polyacryl,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또한, 상기 밀림방지박음질(200'')을 더 상세히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매트리스에 내피복이 입혀진 일부분 나타낸 도면이다.Further, the anti-jamming bumpers 200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ure 3 is a partial view of a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ner coating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상단매트리스(210)와 하단매트리스(220)가 맞닿는 부분 인접부위에 밀림방지박음질(200'')이 구비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통상의 미싱가공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anti-skid clasp 200 '' is provid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portion where the upper mattress 210 and the lower mattress 220 abut. This can be formed through conventional sewing.

상기 밀림방지박음질(200'')에 의하여 상단매트리스(210)와 하단매트리스(220)가 맞닿는 부분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자의 욕창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통하여 설명한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rtion where the upper mattress 210 and the lower mattress 220 are abutted from being depressed by the anti-shrinkage joint 200 '',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pressure ulcer of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매트리스에 내피복이 씌원진 상태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밀림방지박음질(200'')이 없는 경우 누워있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하여 일정 압력(P)이 가해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상단매트리스(210)와 하단매트리스(220)가 맞닿는 부분(C)으로 내피복(200')이 이동하게 되게(m1, m2), 결국 사용자 신체의 일부 피부가 상기 맞닿는 부분(C)로 함몰되어, 욕창 발생을 일으키게 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inner cover is covered. Referring to FIG. 4, in the absence of the anti-shrinkage bumpers 200 '', (M1, m2) such that the inner covering 200 'is moved to the portion C where the upper mattress 210 and the lower mattress 220 abut each other (m1, m2) So that it is caused to sink into the portion C and cause the generation of the bedsor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밀림방지박음질(200'')이 구비된 경우에는 외부 압력(P)가 가해져도 내피복(200')의 이동이 없어, 함몰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욕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nti-shrinkage buckle 20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cover 200 'from moving even when the external pressure P is applied, so that the depression can be prevented, .

한편, 상기 상단매트리스의 홈부(212) 주변을 이루는 엉덩이안착부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향하는 음각 형상일 수 있느데, 이를 도 5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단매트리스의 홈부 주변을 사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인데, 상단매트리스(210)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향하는 부분이 엉덩이안착부(510)로 구비되어 있음을 볼 수 있고, 상기 엉덩이안착부(510)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향하는 치합할 수 있는 음각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Meanwhile, the buttock seating portion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groove 212 of the upper mattress may be in the shape of an obtuse angle opposed to the buttocks of the user,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groove of the upper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mattress 210 is provided with the hip seating portion 510 as a portion facing the user's hip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buttocks 510 may be engagable to the hip of the user.

상기 엉덩이안착부(510)는 상기 상단매트리스의 홈부(212) 주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에 무리없이 결합되는 형상인 한 특별하게 그 크기를 제한하지 아니하며, 그 전체가 상단매트리스의 홈부(212) 주변을 포함하는 상단매트리스(210)의 일부를 이룬다.The hip seating part 510 is provided around the groove part 212 of the upper mattress so as not to limit the size particularly to the shape that is fit to the hip of the user, Thereby forming a part of the upper mattress 210 including the periphery.

또한 상기 엉덩이안착부(510)는 상단매트리스(210)와 접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되,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은 물론 미싱에 의한 박음질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Also, the hip seating part 510 is attached to the upper mattress 210 by an adhesive means, 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stitching by a sewing machine as well as an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한편, 상기 엉덩이안착부(510)는 상단매트리스(210)와 그 압축밀도가 다른 것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누워있는 경우에 엉덩이가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하여 특히 돌출되어 있어 매트리스와 밀착됨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욕창이나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 특별히 상기 엉덩이안착부(510)를 이루는 매트리스의 재질을 상단매트리스(210)와 다르게, 압축밀도가 낮은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hip seating part 510 may have a different compression density from that of the upper mattress 210. When the user is lying down, the hips are particularly protruded compared to other body parts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ttress, It is possible to use the material of the mattress constituting the hip seating portion 510 as a material having a low compression density differently from the material of the upper mattress 210. [

또한, 본 발명에서의 매트리스는 침대에 위치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일정 정도의 강도를 구비하여 취급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상기 매트리스(200)는 침대면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그 압축밀도가 감소하는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즉, 하부의 압축밀도는 높아서 취급성에 일조하고, 상부의 압축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서 사용자의 신체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ften used in a bed, the mattress 200 must have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to maintain handling properties. Therefore, the mattress 200 has a compressive density Can be used, i.e. the lower compression density contributes to handling, and the upper compression density is relatively low, thus providing comfort to the user ' s body.

여기서, 상기 압축밀도는 0.01 내지 1 g/㎤인 밀도를 가질 수 있는데, 만일 0.01g/㎤ 미만이면, 사용자의 신체 구성에 따른 요철에 상관없이 눌리게 되어 오히려 욕창의 발생이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반대로 1 g/㎤을 초과하면 신체의 피부가 오히려 눌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density is less than 0.01 g / cm < 3 >, the compression density may be increased irrespective of the irregularity of the user's body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f the concentration exceeds 1 g / cm 3, the skin of the body may be pressed down.

한편, 상기 다이아퍼받침대는 그 측면부에 'ㄷ'자형으로 타공되어 다이아퍼받침대와 별도로 유동이 가능한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유동방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이아퍼를 전후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 6 내지 9를 통하여 설명한다.The diaphragm pedestal includes a flow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so as to be able to flow separately from the diaphragm pedestal.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reventive part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protrusion for fixing the diaphragm in the front-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attached hereto.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은 그 단면이 'U'자형 구조인 트레이(tray)이며, 상기 다이아퍼(100)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그 일단(t)은 트여있고(open), 타단은 단벽부(231)로 막혀있는(closed) 구조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diaphragm pedestal 230 is a tray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One end t of the diaphragm pedestal 230 is open so that the diaphragm 100 can be inserted / And the other end is closed by the end wall portion 231. [

상기 단벽부(231)는 다이아퍼(100)와 맞닿도록 대향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할 필요가 없다.The end wall portion 231 may be formed to face the diaphragm 100 so as to face the diaphragm 100. The shape of the end wall portion 2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외측면에는 날개부(2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부(212)에 다이아퍼받침대(230)를 매립하는 경우에 상기 날개부(232)에 의하여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A wing portion 232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When the diaphragm support 230 is embedded in the groove portion 212, The flow of the pedestal 230 can be suppressed.

여기서, 상기 날개부(232)는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외측면에 바(bar)형태로 단면이 '-'자형인 형태뿐만 아니라, '+'자, '*' 와 같이, 상기 홈부(212)에 체결되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Here, the wing portion 232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ba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as well as a shape having a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fastened to the shaft 212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아울러,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측면부에는 'ㄷ'자형으로 타공되어 다이아퍼받침대와 별도로 유동이 가능한 유동방지부(950)가 구비된다.The sid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is provided with a flow prevention part 950 which is formed in a 'C' shape and can flow separately from the diaphragm pedestal.

상기 유동방지부(950)는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를 제조하는 사출이나 금형 가공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사출시 타공된 형태로 제조하는 것은 물론 금형으로 타발해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low restricting portion 95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die processing for manufacturing the diaphragm pedestal 230,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low prevention portion 950 in the form of a bored portion at the time of injection,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950)의 내면에는 상기 다이아퍼(100)를 전후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걸림턱(65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턱(652)은 사용자 키가 다양함으로 인해 다이아퍼의 위치를 전후로 변경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상기 걸림턱(652)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다단계로 위치변화가 가능하다.The stopper 65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revention part 950 to fix the diaphragm 1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atch 65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한편,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내측하면에는 탄성들림부(2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들림부(235)는 그 일측부(235')이 다이아퍼받침대(230)의 내측하면에 힌지결합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 10, 11 참조)를 두어,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내측하면으로부터 타측부(235'')가 이격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rim 235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The elastic rim portion 235 is hing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and has elastic members such as a spring therebetween (see Figs. 10 and 11) And the other side portion 235 " is spac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230.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를 도 10을 통하여 상세하게 보면, 상기 탄성들림부(235)에는 힌지중심축(236)이 구비되어 다이아퍼받침대(230)의 내측하면에 구비된 힌지중심축삽입홈(미도시)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중심축(236)이 원활하게 삽입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그 인접부위에 탄성유동홈(236')을 구비한다.10, the elastic rim 235 is provided with a hinge center axis 236, and a hinge center axis insertion groove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And an elastic flow groove 236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hinge center axis 236 so that the hinge center axis 236 can be smoothly inserted or removed.

상기 탄성들림부(235)에는 별도의 탄성부재수용홈(237)을 구비하여 토션스프링의 일단(237')이 체결되게 하며 그 타단(237'')은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내측하면에 맞닿도록 하여 탄성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The elastic rim portion 235 has a separat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237 to fasten one end 237 'of the torsion spring and the other end 237' So that elastic rot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도 11을 보면,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예로 압축스프링를 볼 수 있는데, 상기 탄성들림부(235)의 하면에 압축스프링수용홈을 두어 압축스프링(1137)을 고정하여 상기 탄성들림부(235)가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11, a compression spring can be seen as another example of the elastic member. The compression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rim 235 to fix the compression spring 1137, Thereby enabling elastic rotation.

따라서, 상기 탄성들림부(235)에 의하여 다이아퍼(100)는 일정 정도 들린 상태(lifted)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근접하거나 닿을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와 닿는 경우 사용자가 거의 느끼기 어려운 정도의 탄성력을 구비한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rim portion 235 can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lifted state of the diaphragm 100, so that the diaphragm 100 can approach or touch the user's body. In particular, when the user touches the user's body, It is possible to use an elastic member having an elasticity that is hard to feel.

또한,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외측하면에는 삽탈거치대(238)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 removal stand 238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상기 삽탈거치대(238)는 그 일측부(238')가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외측하면에 매립되어 힌지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작은 경우 특히 몸이 말라서 엉덩이의 살이 적은 경우에 다이아퍼받침대(230) 자체의 높이를 높이도록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외측하면에서 회동시켜 바닥면에 거치될 수 있다.The insertion / removal cradle 238 can be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to be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When the user is small, And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230 so a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pedestal 230 itself.

아울러, 상기 다이아퍼받침대(230)의 외측면에는 다단높이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삽탈거치대(238)는 배제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왜냐면, 상기 삽탈거치대(238)는 그 크기가 고정되어 정해진 높이만 높이조절이 가능한 역할을 하기에 그런데,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단높이조절부(1138)은 다단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의 높이조절돌출턱(1138')을 배치하고, 상기 높이조절돌출턱(1138')의 턱홈부(1138'')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하는 스토퍼(1139)를 구비하여 정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230 may be provided with a multi-stage height adjusting unit. In this case, the removable pedestal 238 may be omitted. 11, the multistage height adjusting unit 1138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multistage height adjusting unit 1138. The multistage height adjusting unit 1138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multistage height adjusting unit 1138, And a stopper 1139 having one end inserted and fixed to the shoulder groove 1138 '' of the height adjusting protrusion protrusion 1138 'is dispos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protrusion protrusion 1138' This is possible.

상기 스토퍼(1139)의 타단은 사용자에 의하여 눌릴 수 있어,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에 그 일단이 들리게 되어 턱홈부(1138'')의 위치를 소원하는 높이에 맞춘다음 사용자의 손을 떼면 상기 턱홈부(1138'')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stopper 1139 can be pushed by the user. When the user presses the end, the end of the stopper 1139 can be heard and the position of the jaw groove 1138 '' is adjusted to the desired width. 1138 ").

여기서, 상기 스토퍼(1139)의 일단과 타단은 스토퍼회동축(1139')에 회동하고, 타단에는 별도의 스프링 부재를 두어 사용자에 의하여 누름과 손뗌시에 탄성적인 움직임을 행할 수 있다.
Her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1139 are pivoted to the stopper pivot shaft 1139 ', and a separate spr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elastic movement when pressed and touched.

매트리스 200, 상단매트리스 210,
하단매트리스 220, 홈부 212,
내피복 200', 밀림방지박음질 200'',
다이아퍼받침대 230, 압력 P,
엉덩이안착부 510, 단벽부 231,
날개부 232, 유동방지부 950,
걸림턱 652, 탄성들림부 235,
일측부 235', 타측부 235'',
삽탈거치대 238
A mattress 200, an upper mattress 210,
The lower mattress 220, the groove portion 212,
Inner cover 200 ', anti-jamming 200'',
The diaphragm pedestal 230, the pressure P,
The hip seating portion 510, the end wall portion 231,
A wing portion 232, a flow prevention portion 950,
The engagement jaw 652, the elastic rim portion 235,
One side 235 ', the other side 235'',
Slotting Cradle 238

Claims (10)

삭제delete 홈부를 구비한 매트리스 위에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대소변을 타인의 도움없이 처리하도록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다이아퍼받침대,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에 삽탈되어 대소변을 처리하는 다이아퍼 및 상기 다이아퍼에서 처리되는 대소변을 호스를 통하여 흡입보관하는 배설물탱크를 구비한 유틸리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배설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상기 다이아퍼받침대가 위치하되, 상기 다이아퍼받침대는 그 단면이 'U'자형 구조인 트레이이어서 상기 다이아퍼의 삽탈이 가능하되, 그 외측면에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고정되며,
상기 매트리스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로 분절하여 구비되되, 상기 상단매트리스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에서 중심방향으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하단매트리스를 상기 일단부의 타부분에 대면하여 배치하며, 상기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를 감싸서 연장된 홈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내피복을 구비하고, 상기 내피복에는 상단매트리스와 하단매트리스가 맞닿는 부분 인접부위에 밀림방지박음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A diaphragm pedestal inserted into the groove so as to process the left and right feces of a user who is uncomfortable on the mattress having the groove part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a diaphragm which is inserted into the diaphragm pedestal and processes the left and right feces, And an utterance tank for sucking and storing through a hose, the apparatus comprising:
Wherein the diaphragm support is positioned in the groove and the diaphragm support is a tray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diaphragm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nd a w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hragm support to be fixed to the groove,
The mattress is divided into an upper mattress and a lower mattress, wherein the upper mattress has a groove portion in a central direction at a part of one end thereof, and the lower mattress is disposed on the other portion of the one end portion And an inner cover covering the upper mattress and the lower mattres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extended groove, wherein the inner cover is formed with anti-rubbing seams on a portion adjacent to the portion where the upper mattress and the lower mattress abut each other An automatic waste disposal device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bedsor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매트리스의 홈부 주변을 이루는 엉덩이안착부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향하는 음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ip seating part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groove of the upper mattress has a depressed shape facing the hip of the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안착부는 상단매트리스와 압축밀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ip seating portion is different in compression density from the upper mattress.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퍼받침대는 그 측면부에 'ㄷ'자형으로 타공되어 다이아퍼받침대와 별도로 유동이 가능한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유동방지부의 내면에는 상기 다이아퍼를 전후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aphragm pedestal includes a stopper portion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so that the diaphragm pedestal can be separately formed from the diaphragm pedestal. The stopper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portion to fix the diaphrag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urrence of a pressure ulcer is preven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내측하면에는 탄성들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elastic lifting unit is provid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내측하면과 탄성들림부와의 사이에 토션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torsion spring or a compression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pedestal and a resilient rim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외측하면에는 삽탈거치대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lip-on rest unit is embedded on an outer side of the diaphragm res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퍼받침대의 외측면에는 다단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aphragm pedestal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height adjusting unit on an outer surface thereof.
KR20130000880A 2013-01-04 2013-01-04 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 KR101495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0880A KR101495416B1 (en) 2013-01-04 2013-01-04 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0880A KR101495416B1 (en) 2013-01-04 2013-01-04 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94A KR20140089094A (en) 2014-07-14
KR101495416B1 true KR101495416B1 (en) 2015-02-25

Family

ID=5173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0880A KR101495416B1 (en) 2013-01-04 2013-01-04 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41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92Y1 (en) 2002-09-14 2002-12-27 조기학 Natural jade mat combined folding springless bed mattress
JP2003310669A (en) 2002-04-22 2003-11-05 Paramount Bed Co Ltd Bedsore preventing mattress
KR100905529B1 (en) * 2007-10-17 2009-07-01 김정숙 Automatic excretion cleaner and the method
KR20090117112A (en) * 2008-05-08 2009-11-12 김정숙 A swingable automatic excretion cleaning apparatus and th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669A (en) 2002-04-22 2003-11-05 Paramount Bed Co Ltd Bedsore preventing mattress
KR200298692Y1 (en) 2002-09-14 2002-12-27 조기학 Natural jade mat combined folding springless bed mattress
KR100905529B1 (en) * 2007-10-17 2009-07-01 김정숙 Automatic excretion cleaner and the method
KR20090117112A (en) * 2008-05-08 2009-11-12 김정숙 A swingable automatic excretion cleaning apparatus and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94A (en)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2639B2 (en) Pad, in paticular for a mattress in the nursing care and hospital sector
US9095481B2 (en) Pad, in particular for use in the nursing care and hospital sector
US20140082843A1 (en) Sleepin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Panels
US20130167297A1 (en) Pillow stay
WO2017023832A1 (en) Cushioning device
KR101495416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excellent anti-bedsore
JP2005118097A (en) Body pressure dispersing mattress
US20150150744A1 (en) Lower leg protector
JP3160242U (en) mattress
KR200399424Y1 (en) Mattress for a bed
KR100536623B1 (en) A supplementary mattress for medical treatment accomplishing the multifunction such as cushion, ventilation and sanitation
KR200331819Y1 (en) A supplementary mattress for medical treatment accomplishing the multifunction such as cushion, ventilation and sanitation
JP3216802B2 (en) Double-layer mattress
KR200172762Y1 (en) Seperable bed
KR200370104Y1 (en) mat for patient
JP2004049352A (en) Mattress device
JP5200086B2 (en) Bedsore prevention mat
JP2002325806A (en) Bedsore preventing bedding
JP2886073B2 (en) Rug
JP3126974U (en) Body pressure dispersion mat
JP2004242797A (en) Futon device
JP5599265B2 (en) mattress
JP6948909B2 (en) mattress
KR20170023594A (en) Foam mattress comprising five layers
JP2023078109A (en) Body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