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674B1 -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 - Google Patents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74B1
KR101494674B1 KR20130142815A KR20130142815A KR101494674B1 KR 101494674 B1 KR101494674 B1 KR 101494674B1 KR 20130142815 A KR20130142815 A KR 20130142815A KR 20130142815 A KR20130142815 A KR 20130142815A KR 101494674 B1 KR101494674 B1 KR 101494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tube
hole
wall
main
fix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돈
Original Assignee
홍익이엔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이엔지 (주) filed Critical 홍익이엔지 (주)
Priority to KR2013014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밀폐공간의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는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설치벽체의 다양한 통공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넓은 면을 갖는 고정날개를 통해 벽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날개는 과압배출구 본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벽체두께에 대응하여 고정되도록하고, 과압배출구의 입구 내경 축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제품을 통해 다양한 장소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OVER PRESSURISATION VENT WITH ORIFICE REDUCTION UNIT AND INSTALLATION POSITION FIXING BLADE}
본 발명은 화재시 밀폐공간의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는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설치벽체의 다양한 통공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넓은 면을 갖는 고정날개를 통해 벽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날개는 과압배출구 본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벽체두께에 대응하여 고정되도록하고, 과압배출구의 입구 내경 축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제품을 통해 다양한 장소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에 의해 신호가 감지되고, 이러한 신호가 수신되면 천장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클러 등의 물분무 소화설비가 일정한 압력으로 미세하고 균일한 물을 안개와 같은 입자로 분사하여 방호공간 내의 연소면을 덮어 화재를 진압한다.
그러나, 물에 의한 소화가 어려운 위험물이나 고압의 전기설비 등으로 전기의 절연성이 요구되는 대상물은 물분무 소화설비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가압가스의 압력으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상기 소화설비는 청정소화약제의 특성상 고압의 압력으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화재시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압력이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구조물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과압배출구(over pressurisation vent)를 벽체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과압배출구의 크기는 실내에 예상되는 공기의 압력 및 풍량에 의해 결정되며 통상적으로는 공기가 관통되는 배출구의 가로세로 크기에 의해 제품사이즈를 구분하며 두께도 벽체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건물 벽체 두께 또는 방화구획용 샌드위치 판넬의 두께가 얇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샌드위치 판넬의 경우에는 제공되는 판넬의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다양화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여 과압배출구를 제공하기에는 곤란함이 있다.
즉, 과압배출구의 전체 크기는 설치장소마다 다양하게 요구되는 공기통공 크기 및 벽체 두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요구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가변설치될 수 있는 과압배출구가 필요하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1767호(2012.07.31)의 과압배출구는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화재시 방호구역 내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할 경우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과압 배출구에 있어서, 내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결합되어 과압 배출을 위한 통로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2);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 내측 전단부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 결합된 회전축(3); 및 상기 회전축에 양측 상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통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부분이 겹치도록 상기 개방구를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차단판(4);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판은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종래 과압배출구는 내부의 차단판에 의한 배출과정에 대한 것으로, 공기통공 사이즈가 고정된 상태이고 다양한 판넬두께에 대응하여 설치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과압배출구는,
과압배출구의 본체관 내부에 통공축소부재를 설치하여 공기통공의 단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는 과압배출구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압배출구 본체관의 전후단 사이에 고정날개를 위치시켜 본체관 길이보다 얇은 벽체에도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과압배출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압배출구는,
화재로 인해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과압배출구에 있어서, 건물 벽체에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통풍압력에 의해 회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차단판이 설치된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면이 벽체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고정날개와; 상기 고정날개가 형성된 본체관 전단에 설치되어 본체관의 공기통공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통공축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공축소부재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단면의 보첨부재 또는 L형 단면을 갖는 L형프레임으로부터 일종 선택하여 본체관 전단의 내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축소부재는 본체관 전단에 설치되는 판체인 통공축소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통공축소판은 내면에 본체관의 공기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부재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재관통공 외측의 사각띠부가 고정날개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날개는 본체관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본체관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날개는 본체관 외면에 결합되도록 L형단면을 갖는 사각띠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본체관과 접하는 면에는 본체관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돌기를 다수 형성하여 본체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리벳 또는 볼트로 구성된 스토퍼를 체결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날개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과압배출구는,
보첨부재, L형프레임 및 통공축소판 중 어느 하나의 통공축소부재를 본체관과 결합하여 본체관의 공기통공의 단면적을 축소시킴으로써 동일한 본체관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요구하는 현장에 대응하여 시공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벽체에 과압배출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날개는 본체관 측면에 결합되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폭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벽체두께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과압배출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날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배출구(10)는 화재로 인해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과압배출구(10)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거나 건물내의 통로를 구획하는 방화벽에 설치되는 등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서의 급격한 고압발생시 내부압력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고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압배출구(10)는 벽체(이하 '건물 내외벽'과 '샌드위치 판넬'을 총칭한다)에 관통설치되는 본체관(20)과, 상기 본체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벽체와 결합되는 고정날개(30)와, 상기 본체관의 공기통공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통공축소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관(20)은 사각통체로 형성되며,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체관에는 실내측인 전방단부에 고정날개(30)가 형성되고, 반대측 단부에는 걸림편(21)이 형성되어 고정날개와 걸림편 사이에 벽체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편(21)은 본체관과 동일한 선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본체관을 벽체 관통공에 내입시키고, 타측 벽체면으로 표출된 걸림편을 절곡하여 타측 벽체면에 접하도록 하거나, 본체관과 분리되어 벽체의 일측으로 본체관을 삽입하고 벽체 타측에서 걸림편을 본체관에 결합시킴으로써 본체관이 고정날개와 걸림편에 의해 벽체에 고정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관(20)의 내부 공기통공(22)에는 차단판(2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2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체관 내부에는 양측벽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4)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으로 구획된 공간에는 상측으로 편향된 방향에 양측벽을 연결하는 힌지축(25)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S"자 형태로 절곡된 차단판(2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차단판(23)은 중간지점의 상측에 힌지축(25)과 연결되어 있어 평소 압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단판의 무게에 의해 본체관의 내부 공기통공이 폐구되고, 화재에 의한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시에는 차단판에 전달되고 통풍압력에 의해 힌지축(25)을 중심으로 차단판(23)이 회전되어 본체관 공기통공(22)이 개구된다. 이러한 본체관 내부 구조는 도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30)는 본체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과압배출구가 설치되는 벽체에 볼트, 앵커, 리벳 등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정날개(30)는 본체관 입구측 단부인 전방단부를 측면방향으로 절곡하여 본체관의 측면과 직각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L자로 절곡된 프레임을 본체관의 전방단부 외측에 체결 또는 용접하여 설치 벽체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공축소부재(40)는 고정날개가 형성된 본체관의 전방단부 내측에 설치되는 바형태의 보첨부재나 L형프레임(41)으로 형성되거나, 전방단부면에 결합되는 통공축소판(4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첨부재는 사각단면 또는 다각형단면을 갖는 바(bar)를 본체관의 내면을 따라 부착한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띠 형태로, 본체관의 내부 공기통로의 단면적을 축소하여 이동되는 공기유량을 한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첨부재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어 본체관 공기통로의 단면적을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같은 보첨부재를 본체관 내면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는 통상적인 용접방식이나, 볼트 리벳등의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L형프레임(41)은 판체를 절곡한 형태로 보첨부재보다 중량을 감소시켜 장비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L형프레임(41)은 2개의 면이 직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측면은 본체관 전방단부 내측에 용접 또는 체결방식에 의해 결합시켜 결합되지 않은 타측면이 본체관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본체관 내부의 공기통공의 단면적을 축소시킨다.
상기 보첨부재와 L형프레임(41)은 띠형태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몸체를 이용하고 본체관 내면을 따라 설치되고 본체관(20) 내면의 절곡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부분은 V자형태로 홈을 형성해 절곡이 용이하게 하거나, 본체관의 상하 가로와 좌우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각 부를 개별적으로 분리구성하여 각각을 본체관 내면에 결합 또는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보첨부재와 L형프레임(41)은 본체관 내측으로 돌출된 폭만큼 공기통공(22)의 단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과압배출구의 사이즈에 따라 보첨부재 또는 L형프레임의 돌출 폭을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공기통공의 단면적을 갖는 과압배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공축소판(42)은 도 3a와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체관(20) 전단에 설치되는 판체로, 내면에는 본체관의 공기통공(2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부재관통공(421)이 형성된다. 상기 부재관통공 외측의 사각띠부(422)는 본체관의 고정날개에 리벳 또는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통공축소판(42)은 본체관(20)과 접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과압에 의해 연결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공축소판(42)의 사각띠부(422)는 폭을 확장하여 벽체와 접하는 면을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각띠부(422)에 면접하여 체결되는 본체관의 고정날개(30)는 도 2a와 같이 넓은 폭으로 형성되지 않고 리벳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통공축소판(42)과 결합할 수 있는 정도로 좁은 폭으로만 돌출되어 통공축소판과 결합이 이루어지고, 벽체로의 지지는 통공축소판(42)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공축소판(42)을 구비한 과압배출구(10)를 설치할 경우에는 본체관(20)은 규격용으로 구비하고, 통공축소판(42)은 다양한 사이즈의 부재관통공(421)을 형성한 것을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적합한 사이즈의 부재관통공이 형성된 통공축소판을 본체관에 결합시킨 과압배출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사이즈의 본체관을 구비할 필요없이 부피가 작은 통공축소판만 다수 준비하면 됨으로,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범용적인 과압배출구의 제공이 가능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고정날개(30)를 본체관(20)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30)는 L자로 절곡된 프레임을 본체관 측면에 결합하여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거나, 본체관 제조시 측면을 절곡하여 고정날개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고정날개(30)를 본체관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하지 않고 그 사이의 측면에 형성되도록 한 것은 설치되는 벽면의 두께가 얇아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통상적인 건물의 콘크리트벽체의 경우에는 벽체 두께의 차이가 크게 형성되지 않으나, 방화구획용 샌드위치 판넬의 경우에는 두께가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설치장소마다 벽체의 두께가 차이가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본체관(20)의 전단 또는 후단이 아닌 전후단 사이에 고정날개(30)를 형성하여 두께차이로 인한 벽체결합이 곤란한 문제를 하소할 수 있다.
상기 본체관(20) 측면의 고정날개(30)는 본체관과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본체관에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벽체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30)는 도 5a와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체관(20) 외면에 형성되되 본체관의 전단과 후단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홈(26)을 길게 형성하고, 본체관의 측면과 접하는 고정날개의 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6)과 대응하는 돌기(31)가 돌출되도록 하여 돌기(31)가 가이드홈(26)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6)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을 확장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돌기(31)도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하여 길이방향으로는 이동되되 측면방향으로 탈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시된 형태 이외에 본체관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접하는 고정날개면에 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관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날개(30)는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7)가 체결되어 고정날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고정날개(30)의 전후면의 가이드홈(26)에 리벳 또는 볼트를 직접 결합시키거나, 가이드홈에 보조판을 끼우고 이를 리벳이나 볼트에 의해 본체관에 결합시킨 스토퍼에 의해 고정날개가 본체관의 가이드홈에서 이동되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현장에서 설치된 벽체(50)의 두께에 맞도록 본체관(20) 가이드홈(26)에 끼워진 고정날개(30)를 이동시키고, 고정날개의 전후면에 스토퍼(27)를 설치하여 고정날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고, 과압배출구의 본체관(20)을 벽체의 통공에 삽입하여 타측 벽면으로 표출되는 본체관 후단의 걸림편(21)을 절곡시킨 다음 고정날개(30)를 벽체면에 체결함으로써 얇은 벽체(50)에도 기존의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과압배출구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10 : 과압배출구
20 : 본체관
21 : 걸림편 22 : 공기통공
23 : 차단판 24 : 수평프레임
25 : 힌지축 26 : 가이드홈
27 : 스토퍼
30 : 고정날개
31 : 돌기
40 : 통공축소부재
41 : L형 프레임 42 : 통공축소판
421 : 부재관통공 422 : 사각띠부
50 : 벽체

Claims (5)

  1. 화재로 인해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과압배출구에 있어서,
    건물 벽체에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통풍압력에 의해 회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차단판이 설치된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면이 벽체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고정날개와;
    상기 고정날개가 형성된 본체관 전단에 설치되어 본체관의 공기통공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통공축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축소부재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단면의 보첨부재 또는 L형 단면을 갖는 L형프레임으로부터 일종 선택하여 본체관 전단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축소부재는 본체관 전단에 설치되는 판체인 통공축소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통공축소판은 내면에 본체관의 공기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부재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재관통공 외측의 사각띠부가 고정날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는 본체관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날개는 본체관 외면에 결합되도록 L형단면을 갖는 사각띠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본체관과 접하는 면에는 본체관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돌기를 다수 형성하여 본체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리벳 또는 볼트로 구성된 스토퍼를 체결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날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KR20130142815A 2013-11-22 2013-11-22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 KR10149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815A KR101494674B1 (ko) 2013-11-22 2013-11-22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815A KR101494674B1 (ko) 2013-11-22 2013-11-22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674B1 true KR101494674B1 (ko) 2015-03-04

Family

ID=5302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2815A KR101494674B1 (ko) 2013-11-22 2013-11-22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959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양방향 과압 배출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376A (ja) * 1999-06-11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系の端末器
KR200215288Y1 (ko) * 1998-05-16 2001-12-20 김석봉 플랩 댐퍼
JP2009132388A (ja) * 2002-03-15 2009-06-18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通風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KR100944370B1 (ko) * 2008-04-16 2010-03-02 박병덕 릴리프 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88Y1 (ko) * 1998-05-16 2001-12-20 김석봉 플랩 댐퍼
JP2000356376A (ja) * 1999-06-11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系の端末器
JP2009132388A (ja) * 2002-03-15 2009-06-18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通風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KR100944370B1 (ko) * 2008-04-16 2010-03-02 박병덕 릴리프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959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양방향 과압 배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55527B2 (en) Hub with locking mechanism
AU2016204388B2 (en) Clamp for sprinkler support assembly
US10203050B2 (en) Bracket for fixing reducer in fire sprinkler
AU2019200304B2 (en) Self-sealing membrane sleeve assembly
US9737175B2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KR101494674B1 (ko) 통공축소부재와 설치위치 가변형 고정날개를 구비한 과압배출구
KR101065516B1 (ko) 세트형으로 구성한 소방용 스프링클러시공 장치
US20060070319A1 (en) Devices and systems for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fire along cables and methods of preventing same
US8607814B1 (en) Active pipe cutoff valve installation assembly
US10927575B2 (en) Fireplace latch system
US8276345B2 (en) Jamb stud connec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JP6470946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US20210222802A1 (en) Firestop penetration device and sealing system
JP6378613B2 (ja) 消火栓装置
JP2021502507A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用ロックデバイスおよび対応する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
JP2015080544A (ja) 消火栓装置
KR20170039469A (ko) 체크 밸브식 과압 배출구
JP5848048B2 (ja) 耐火遮煙ボックス及び耐火遮煙構造
US20230001248A1 (en) Adjustable deflector to floor sprinkler adapter for sloped ceiling
CN218510342U (zh) 一种消防管道穿墙套管装置
CN217735325U (zh) 一种多层复合防火门
WO2021059232A2 (en) Systems and methods of angled fittings for sloped ceilings
CN116641753A (zh) 防火a级隧道盖板
GB2568317A (en) Flush bo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