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637B1 -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37B1
KR101494637B1 KR20080022031A KR20080022031A KR101494637B1 KR 101494637 B1 KR101494637 B1 KR 101494637B1 KR 20080022031 A KR20080022031 A KR 20080022031A KR 20080022031 A KR20080022031 A KR 20080022031A KR 101494637 B1 KR101494637 B1 KR 10149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external
portable terminal
logic level
exter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940A (ko
Inventor
황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2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37B1/ko
Priority to US12/400,471 priority patent/US8402175B2/en
Priority to CN200910118456A priority patent/CN101534349A/zh
Publication of KR2009009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를 판별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로직 레벨을 판별하고, 상기 로직 레벨에 따라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식별한 후 해당 외부접속기기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 충전기(TA), 외부장치, USB, 데이터케이블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F CONNECTING DEVICE IN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접속기기와 송수신되는 신호 검출에 의하여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단말은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저장이 가능하며,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음성통화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용자 및 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휴대단말은 초기에 배터리 및 기타 소자들의 안정화를 위하여 그 크기가 매우 커서 휴대단말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무게와 크기가 매우 큰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자의 개발과 배터리의 개발에 힘입어 무게와 크기가 매우 작아졌으며, 단말기의 두께 또한 매우 얇아지고 있다.
한편, 휴대단말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모드와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통신모드를 가진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충전모드를 지원하기 위하여 충전기(TA, Terminal Adaptor)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모드를 지원하기 위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을 충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충전기를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data cable)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기가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단말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로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단말은 상기 충전모드에서 사용하는 전원과 통신모드에서 사용하는 전원이 다르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모드 지원을 위하여 상기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외부접속기기와 연결될 때,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충전기로 인식하게 될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상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표준에 규정된 최대전류 이상 전원 공급으로 인해 상기 외부접속기기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미세한 전원에도 영향을 받는 고집적 장치(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와 같은 외부장치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통신모드에 따르는 전원이 아닌 충전모드에 따른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게 될 시, 상기 외부장치는 과잉 전원 공급으로 인해 중앙처리장치 및 주변 하드웨어들이 파손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인지 기타 외부장치인지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장치가 충전을 위한 충전기인지, 상기 휴대단말과 USB 데이터 통신을 위한 외부장치인지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장치의 종류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여, 휴대단말의 충전모드 및 통신모드에 따른 신호 처리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충전기 또는 외부장치를 구분하여, 그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처리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로직 레벨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에 따라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식별하고, 해당 외부접속기기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 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신호라인으로부터 로직 레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하이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충전기로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로우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외부장치로 인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외부접속기기와 연결 가능한 휴대단말에 있어서, 외부접속기기가 접속되는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접속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결과로부터 획득하는 로직 레벨을 출력하는 검출부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검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로직 레벨로부터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해당 외부접속기기에 따른 신호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충전기, 기타 외부장치 등)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정상적인 신호 송수신 처리를 통해, 휴대단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휴대단말과 외부접속기기의 보호 및 정상 동작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데이터케이블(data cable)을 통해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충전기(TA, Terminal Adaptor)를 사용하는 휴대단말에서 휴대단말의 전원을 온(On)하기 전에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인지 또는 다른 외부장치인지 미리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외부접속기기의 인식속도를 높임과 아울러, 휴대단말 및 외부접속기기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접속기기는 상기 충전기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 장치를 통틀어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접속기기는 상기 충전기를 비롯하여, 컴퓨터, 노트북,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MP3 플레이어, 게임기, 디지털방송수신기, 무선통신모듈 등 상기 휴대단말과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 가능한 모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접속기기는 상기 휴대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이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제외한 다른 외부장치를 구분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제외한 외부접속기기로 구분하며, 상기 출전기를 제외한 외부접속기기를 외부장치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외부장치를 상기 충전기를 제외한 전술한 모든 장치들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은 전술한 충전기를 비롯하여, 다른 다양한 외부장치와의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방송단말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노트북 등과 같이 충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휴대단말, 데이터케이블, 충전기 및 외부장치 간의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능 설명을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휴대단말(100)과, 외부장치(200)와, 충전기(300) 및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장치(200) 또는 상기 충전기(300)를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은 USB(Universal Serial Bus) 데이터케이블을 나타내며,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은 상기 외부장치(200) 및 상기 충전기(300) 각각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외부장치(200) 또는 상기 충전기(300)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하는 검출 값(예컨대, High, Low)에 따라 접속되는 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기 외부장치(200)인지 상기 휴대단말(100)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300)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외부장치(200) 또는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하는 검출 값을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현재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해 접속되는 장치가 상기 외부장치(200)인지, 상기 충전기(300)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가정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 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장치(200)와 충전기(3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연결되는 상기 외부장치(200) 또는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검출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해 접속되는 장치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되는 장치와의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해 접속하는 장치가 외부장치(200)로 판단할 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모드에서 상기 외부장치(200)와의 데이터 통신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해 접속하는 장치가 충전기(300)로 판단할 시 휴대단말(100)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모드에서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배터리 충전 조건에 따라 공급되는 충전용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휴대단말(100)과 접속되면, 상기 휴대단말(100)과 요청되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외부장치(200)는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100)과 접속될 시,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200)와 상기 휴대단말(100) 간의 USB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기(300)는 일 측이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하여 접속됨과 아울러, 타 측이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 등에 접속되어 상기 콘센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기(300)는 상기 콘센트가 제공하는 고전위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다룰 수 있는 크기의 전위로 조정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기(300)는 상기 휴대단말(100) 배터리의 고속 충전을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100) 및 상기 휴대단말(100) 배터리가 허용할 수 있는 일정 마진을 가지는 최대 정격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기(300)와 상기 휴대단말(100) 간의 USB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은 상기 휴대단말(100) 일 측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외부장치(200) 및 상기 충전기(300)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를 연결하는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상기한 장치들에 접속된 이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 측에 후크 형태의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상기 후크 형태 구조물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단자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외부장치(200) 및 상기 충전기(300) 일 측에 USB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내부 USB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100)과 외부접속기기를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이용하여 접속시킨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100)은 접속된 외부접속기기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가 전술한 외부장치(200)인지, 충전기인지(300)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접속된 외부접속기기의 USB 인터페이스 형태를 기반으로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상기 휴대단말(10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단말(100)과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장치(200)와, 상기 휴대단말(100)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300) 및 상기 휴대단말(100)과 외부접속기기를 연결하는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USB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의 USB 인터페이스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장치(200)의 USB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300)의 USB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케이블(150)의 USB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외부장치(200)의 USB 인터페이스는 4개의 신호라인을 가진다. 즉, 상기 외부장치(200)의 USB 인터페이스는 제1 신호라인(D+)과, 제2 신호라인(D-)과, 전원라인(VBus) 및 접지라인(GND)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외부장치(200)의 USB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외부접속기기(예컨대, 휴대단말(10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장치(200)의 USB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외부접속 인터페이스 중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과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충전기(300)의 USB 인터페이스는 4개의 신호라인을 가진다. 즉, 상기 충전기(200)의 USB 인터페이스는 전원라인(VBus)과, 접지라인(GND) 및 폐쇄형라인(D)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300)는 별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역할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USB 인터페이스에서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을 단락(short)시켜 놓은 폐쇄형라인(D)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기(300)의 폐쇄형라인(D)과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는 일정 전압인 휴대단말(100)의 풀 업(PU, Pull Up) 전원이 흐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장치(200)의 USB 인터페이스 구조와 상기 충전기(300)의 USB 인터페이스 구조는 신호라인들의 형태가 다르게 배치된다.
상기 충전기(300)의 USB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전원라인(VBus)은 직류출력전 원의 플러스단자이고, 상기 접지라인(GND)은 직류출력전원의 마이너스단자(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라인(D+)과 상기 제2 신호라인(D-)은 상기 충전기(300) 내부에서 단락(short)된 형태의 폐쇄형라인(D)을 가지며, 이러한 폐쇄형라인(D)는 상기 충전기(300)의 기타 그 어떤 부분과 연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나의 특수한 연결로 인해,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연결된 장치가 충전기(300)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USB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 각각 4개의 신호라인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케이블(150)의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동일하게 형성되며, 각각의 신호라인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제1 신호라인(D+)과, 제2 신호라인(D-)과, 전원라인(VBus) 및 접지라인(GND)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장치(200)와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충전기(300)와 연결한다.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와 같이 임의의 외부접속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USB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은 상기 휴대단말(100)에 형성된 외부접속 인터페이스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과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은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장치(200)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충전기(300)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일 측의 접속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100)의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타 측의 접속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200) 또는 충전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장치(200)와 상기 충전기(300)와 같은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의 접속부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외부접속기기인 외부장치(200) 및 충전기(300)와, 상기 외부접속기기들과 휴대단말(100)을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15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구성 및 그의 외부접속기기 인식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이 접속되는 외부장치(200)와 충전기(300)를 구분하기 위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입력부(110)와, 오디오처리부(120)와, 표시부(130)와, 메모리부(140)와,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와, 검출부(160)와, 충전회로(180) 및 제어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입력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외부장치(200) 및 충전기(300) 등과 같은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될 시,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휴대단말(100)의 보조 입력장치인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100) 제어에 필요한 키 신호를 생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2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17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처리부(120)는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되었을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접속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20)는 상기 외부접속 기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독립 형태의 오디오 기기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도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기능 활성화 시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통화 채널 형성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표시부(130)는 임의의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 상기 임의의 외부접속기기의 종류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임의의 외부접속기기가 외부장치(200)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200)에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의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300)인 경우, 충전기 형태의 이미지 또는 관련 정보를 표시하거나, 충전중임을 알리는 이미지 또는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LCD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이 용에 따라 발생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휴대단말(1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휴대단말(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상기 휴대단말(100)이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휴대단말(100)에 임의의 외부접속기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외부접속기기와 상호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단말(100)이 임의의 외부접속기기에 접속되었을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어플리케이션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단말(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기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단말(100)에 접속될 수 있는 다양한 외부접속기기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검출되는 신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데이터를 이용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는 임의의 외부접속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연결된 외부접속기기로부터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USB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신호 전송을 위한 내부 구성은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접속기기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170)로 신호 전달을 위한 접속부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는 임의의 외부접속기기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과, 전원라인(VBus)과, 접지라인(GND)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 흐르는 신호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라인(D+)은 일정 전압에서 저하되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라인(D-)은 접지 전압에서 상승되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라인(D+)은 예를 들면, 3.3V에서 1.5V 사이를 하강 및 상승 변화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신호라인(D-)은 예를 들면, 접지 전압에서 1.5V 사이를 상승 및 하강 변화하면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상기 제2 신호라인(D-)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라인에는 풀업(PU, Pull Up) 전압(PU_3.3V)이 걸려 있어, 임의의 외부접속기기와 접속되는 경우 상기 풀업 전압(PU_3.3V)이 풀다운(PD, Pull Down) 전압으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린 풀업 전압이 외부접속기기가 접속된 이후에 풀다운 전압으로 변화하기 위해서 상기 풀업 전압에 외부접속기기에 배치된 저항(R)보다 큰 저항(Rpu)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상기 제1 신호라인(D+)은 충전기(300)가 아닌 외부장치(200)와 같은 외부접속기기와 접속되었을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이 접속하였음을 상기 외부장치(200)에 알리기 위한 풀업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는 일정 전원을 풀업 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면 상기 풀업 전원을 상기 외부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접속되었음을 인지하고,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풀업 전원은 일정 전압 예를 들면, 3.0 ~ 3.3V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풀업 전원은 휴대단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200)를 비롯한 외부접속기기들은 USB 규격에 따라 풀다운 저항(Rpd)을 가지며, 상기 풀다운 저항(Rpd) 값은 통상적으로 15Kohmㅁ5%(14.25Kohm~15.75Kohm)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200)와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될 시, 상기 휴대단말(100) 특히,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 내부에서 풀업 저항(Rpu)을 인가 함으로써 USB 인터페이스가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는 커넥터 포트 및 USB 포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접속기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 접속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로부터 로직 레벨(logic level)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하는 로직 레벨을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상기 로직 레벨의 값으로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하이(Logic High) 신호인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300)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로우(Logic Low) 신호인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외부장치(200)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60)는 USB 인터페이스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이 단락(short)되어 있는 충전기(200)와, 다른 외부장치(300)를 구분하고,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외부장치(300)와 데이터 통신 시 상기 검출부(160) 내 회로의 안정성과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와의 신호라인 분리를 위하여 스위치(SW,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검출부(160)는 회로의 안정성을 위하여 설정된 저항 값을 가지는 저항(R1) 및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저항(R1, R2)의 값은 각각의 회로 구성에 대응하여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 저항(R1, R2)의 값이 각각 100Kohm 및 1Mohm을 적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위치(SW)는 HSUSB(High Speed USB)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SUSB 스위치의 온/오프(On/Off) 제어는 USB 인터페이스의 제1 신호라인(D+) 또는 제2 신호라인(D-)에 풀업 즉, 스위칭 동작을 위해 사용하는 풀업 전압 PU_3.3V(참조부호 S10)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USB 데이터 통신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상기 풀업 전압 PU_3.3V(S10)는 로우(low) 상태이며, 이 경우 상기 검출부(160)의 내부 회로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SW)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기 검출부(160)의 상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에 상기 충전기(300)가 접속되는 경우의 상기 검출부(16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충전기(300)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충전기(3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은 단락(short)되므로,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로부터 로직 하이(Logic High)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로직 하이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의 판별부(175)로 전달하고, 그러면 상기 판별부(175)는 GPIO 또는 검출 핀(detection pin)을 통해 상기 로직 하이 신호를 인가받는다. 이때, 상기 검출부(160)의 저항(R1)에 연결되는 VCC_GPIO는 상기 판별부(175)의 파워 패드(power pad)와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판별부(175)에는 저항(R1) 및 저항(R2)의 전압 분배에 의해 VCC_GPIO*0.9V가 인가될 수 있다. 일반적 으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로직 집적회로(Logic IC)의 입력레벨(VIH)이 VDD*0.7V이므로, 상기 판별부(175)에서 로직 하이 신호를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이때, 상기 저항(R1) 및 저항(R2)의 값은 각각의 회로 구성에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충전기(3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이 단락(short)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제1 신호라인(D+)에 일정 전압(High)을 공급하여, 제2 신호라인(D-)에 상기 일정 전압(High)이 체크되는 경우 현재 접속된 외부접속기기를 충전기(300)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에 상기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 경우의 상기 검출부(16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3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Kohm의 풀다운 저항(Rpd)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부(160)의 저항(R1)이 전술한 가정에서와 같이 100Kohm이므로,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제1 신호라인(D+)에는 {PU_3.3V*Rpd/(Rpd+R1)}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항(R1)과 풀다운 저항(Rpd)이 모두 공차 5%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D+)에는 최소 {PU_3.3V*0.12}V의 전압에서 최대 {PU_3.3V*0.14}V의 전압 범위를 가지게 된다. 이때, USB 규격에 명시된 VIH가 2.0V이므로, 상기 예시의 전압으로는 USB 인터페이스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인한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 다. 또한 상기 저항(R2)에 의해 상기 판별부(175)의 GPIO 또는 검출 핀(Detection pin)은 로직 로우(Logic Low)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제1 신호라인(D+)에 일정 전압(High)을 공급하여, 제2 신호라인(D-)에 일정 전압(Low)이 체크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에 걸린 일정 전압이 외부접속기기로 전달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외부장치(200)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라인(VBus)을 통해 일정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판별부(175)의 GPIO 또는 검출 핀에 입력된 로직 레벨(logic level)의 로직 하이(Logic High)/로직 로우(Logic Low) 신호에 따라 충전기(300)와 외부장치(200)의 구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접속하는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외부장치(200)인 것으로 확인되면 풀업 전압(PU_3.3V)(S10)을 인가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70) 및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검출부(160)의 스위치(SW)에 의해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과 분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 기 설정된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전압의 변화 값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200)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모리부(140)에 기 저장되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검출된 검출 값을 서로 비교하 여 현재 접속된 외부장치가 어떠한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압의 변화에 따라 외부장치(200)가 노트북컴퓨터인지, PDA인지 등의 구분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입력부(11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120)와, 상기 표시부(130)와, 상기 메모리부(140)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 및 상기 검출부(16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통신 단말기인 경우,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부(160)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외부장치(200)로 판별되었을 경우,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300)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충전 기능을 활성화하여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휴대단말(100)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이러한 응용으로,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이동통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모듈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판별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75)는 GPIO 또는 검출 핀(detection pin)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75)는 상기 검출부(160)에 의해 검출된 검출 값을 상기 GPIO 또는 검출 핀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검출 값의 로직 레벨(logic level)을 구분하여, 외부접속기기가 외부장치(200)인지 또는 충전기(300)인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검출부(160)에 의해 검출된 검출 값을 서로 비교하여 현재 접속된 외부장치(200)가 어떠한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회로(180)는,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200)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의 배터리 충전과 관련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충전회로(180)는 배터리를 충전할 충전전류량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180)는 접속되는 충전기(3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량을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통신모듈, 카메라 모듈, 전자 결재 모듈, 디지털 방송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접속기기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외부접속기기와의 상호 연동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100)에 외부접속기기가 접속되면(501단계), USB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시작한다(503단계). 상기 USB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 시작은 USB 규격에 따르면 상기 외부접속기기에 풀다운 저항(Rpd)이 존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접속되면, 상기 휴대단말(100) 내부에서 풀업 저항(Rpu)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USB 인터페이스가 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가 시작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로부터 로직 레벨(logic level)을 검출한다(505단계). 상기 로직 레벨은 로직 하이(Logic High) 신호와 로직 로우(Logic Low) 신호로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직 하이 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충전기(300)인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로직 로우 신호가 검출될 시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외부장치(200)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충전기(300)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3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이 단락(short)되므로, 상기 휴대단말(100)에는 로직 하이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외부장치(200)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장치(2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 USB 규격에 따른 풀다운 저항(Rpd)이 연결되며, 전술한 검출부(160)의 내부 회로 구성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로직 로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검출하는 로직 레벨이 로직 하이인지 로직 로우인지를 판별한다(507단계).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하이이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300)인 것으로 인지한다(509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충전모드를 활성화(511단계)한 후 상기 휴대단말(100)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한다(513단계).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로우이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외부장치(200)인 것으로 인지한다(515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통신모드를 활성화(517단계)한 후 상기 외부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519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접속기기 판별을 위한 로직 레벨 검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임의의 외부접속기기가 접속(601단계)되면, 로직 레벨(logic level) 검출을 위하여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150)의 제1 신호라인(D+)에 하이(High) 신호를 인가하고(603단계), 이어서, 제2 신호라인(D-)에 걸리는 신호를 체크한다(605단계, 607단계).
상기 제2 신호라인(D-) 체크결과, 상기 제2 신호라인에 상기 하이(High) 신호가 검출되면(607단계), 살기 로직 레벨을 로직 하이(Logic High)로 설정하여 출력한다(609단계).
상기 제2 신호라인(D-) 체크결과, 상기 제2 신호라인에 상기 하이(High)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607단계), 상기 로직 레벨을 로직 로우(Logic Low)로 설정하여 출력한다(611단계).
그리고 상기 로직 레벨이 상기 로직 로우로 설정되면, 풀업 전압을 인가하여 스위치를 제어하여(613단계),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과 검출회로를 분리한다(615단계).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충전기(300)와 외부장치(200)를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상기 외부장치(200)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본 발명은 크기나 형태가 다른 입력 신호 검출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하는 외부장치(200)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 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의 USB 인터페이스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이 접속되는 외부장치와 충전기를 구분하기 위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접속기기 판별을 위한 로직 레벨 검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

Claims (21)

  1.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제1 신호라인과 제2 신호라인으로부터 로직 레벨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이 제1의 값일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충전기로 인지하여 충전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이 제2의 값일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외부장치로 인지하여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으로부터의 입력을 차단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레벨을 판별하는 과정은,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신호라인에 일정 전압의 하이(High) 신호를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신호라인에 걸리는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라인에 상기 일정 전압의 하이(High)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로직 레벨을 상기 제1의 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라인에 일정 전압의 로우(Low)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로직 레벨을 상기 제2의 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값은 로직 하이 값이고, 상기 제2의 값은 로직 로우 값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
  4. 삭제
  5.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제1 신호라인과 제2 신호라인으로부터 로직 레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이 제1의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충전기로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로직 레벨이 제2의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외부장치로 인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로직 레벨이 상기 제2의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과의 경로 연결을 온/오프 하는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라인과 상기 제2 신호라인과의 연결 경로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레벨을 판별하는 과정은,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신호라인에 일정 전압의 하이(High) 신호를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신호라인에 걸리는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라인에 상기 일정 전압의 하이(High)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로직 레벨을 상기 제1의 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라인에 일정 전압의 로우(Low)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로직 레벨을 상기 제2의 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식별 방법.
  7. 삭제
  8. 외부접속기기와 연결 가능한 휴대단말에 있어서,
    외부접속기기가 접속되는 제1 신호라인 및 제2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접속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결과로부터 획득하는 로직 레벨을 출력하며,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과의 경로 연결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검출부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검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로직 레벨로부터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해당 외부접속기기에 따른 신호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접속기기의 종류가 외부장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제1 신호라인 및 제2 신호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라인에 풀업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풀업 전압이 인가되는 신호라인과 다른 신호라인으로부터 상기 로직 레 벨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다른 신호라인으로부터 상기 풀업 전압을 검출할 시 상기 로직 레벨을 로직 하이(Logic High) 값으로 출력하고, 상기 다른 신호라인으로부터 상기 풀업 전압을 검출에 실패할 시 상기로직 레벨을 로직 로우(Logic Low)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상기 로직 하이 값이 인가될 시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충전기로 인지하고, 상기 검출부로부터 상기 로직 로우 값이 인가될 시 상기 외부접속기기를 외부장치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직 레벨에 따른 외부접속기기를 구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GPIO 또는 검출 핀(detection pi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은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충전기일 시 단락(shor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On/Off) 제어를 위한 풀업 전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전압은,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데이터 통신 시작 시까지 로우 값을 가지며, 상기 풀업 전압이 로우 값일 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검출부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제2 신호라인과의 경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전압은, 상기 외부접속기기와 데이터 통신 시 하이 값을 가지며, 상기 풀업 전압이 하이 값일 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검출부와 상기 외부접속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제2 신호라인과의 경로 연결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제2 신호라인에 걸리는 전압의 변화 값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상기 전압의 변화 값을 서로 비교하여 접속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외부접속기기가 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외부접속기기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20080022031A 2008-03-10 2008-03-10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149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2031A KR101494637B1 (ko) 2008-03-10 2008-03-10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US12/400,471 US8402175B2 (en) 2008-03-10 2009-03-09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xternal connection device in mobile terminal
CN200910118456A CN101534349A (zh) 2008-03-10 2009-03-09 在移动终端中确定外部连接装置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2031A KR101494637B1 (ko) 2008-03-10 2008-03-10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940A KR20090096940A (ko) 2009-09-15
KR101494637B1 true KR101494637B1 (ko) 2015-02-23

Family

ID=4105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2031A KR101494637B1 (ko) 2008-03-10 2008-03-10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02175B2 (ko)
KR (1) KR101494637B1 (ko)
CN (1) CN1015343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609B2 (ja) * 2006-08-28 2012-02-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ータ通信用アダプタ及び無線通信モジュール
TWI384721B (zh) * 2009-08-19 2013-02-01 Richtek Technology Corp 充電器及具有該充電器的可攜式裝置
US20120161547A1 (en) * 2010-12-27 2012-06-28 Ever Win International Corporation USB AC Adapter With Automatic Built-In Power Switch
US9494975B1 (en) * 2011-03-28 2016-11-15 Amazon Technologies, Inc. Accessory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JP2012221057A (ja) * 2011-04-05 2012-11-12 Sharp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CN103092793B (zh) * 2011-11-01 2016-03-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及电子终端
DE102012205802A1 (de) * 2012-04-10 2013-10-10 Dr. Johannes Heidenhai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Energie und Daten zwischen einer Steuerungseinheit und einem Positionsmessgerät
CN102821176B (zh) * 2012-08-22 2015-10-07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外部设备检测方法
GB2520857B (en) 2012-09-20 2019-12-04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etecting key positions to determine a type of cable
JP5910612B2 (ja) * 2013-10-31 2016-04-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ファイル処理プログラム
KR101648028B1 (ko) * 2014-08-13 2016-08-23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장치에서의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CA2910341C (en) 2014-10-28 2022-07-26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wer and data adapt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251964B1 (ko) * 2014-11-04 2021-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CN105677596B (zh) * 2014-11-21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3234729A4 (en) * 2014-12-15 2018-08-08 Targus International LLC Power and data adapter
CN106159608A (zh) * 2015-04-23 2016-11-23 宏碁股份有限公司 直流电源插头以及电子系统
US10705566B2 (en) 2016-09-09 2020-07-07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ative and virtualized video in a hybrid docking station
US10663498B2 (en) 2017-07-20 2020-05-26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power management and discovery
US11231448B2 (en) 2017-07-20 2022-01-25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power management and discovery
US10503235B2 (en) 2017-10-24 2019-12-10 Hing S Tong Wake from off state power system
CN108964188B (zh) * 2018-07-24 2020-12-18 南京车链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充电控制电路、充电电路及电子设备
SG11202106020TA (en) 2018-12-19 2021-07-29 Targus International Llc Display and dock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017334B2 (en) 2019-01-04 2021-05-25 Targus International Llc Workspac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smart docking station for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occupancy, and usage displayed via heat maps
US11360534B2 (en) 2019-01-04 2022-06-14 Targus Internatonal Llc Smart workspace management system
CA3148974A1 (en) 2019-08-22 2021-02-25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ipant-controlled video conferencing
WO2021050575A1 (en) 2019-09-09 2021-03-18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ocking stations removably attachable to display apparatuses and docking stand assemblies
CN114201428A (zh) * 2020-09-18 2022-03-18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电子装置及usb接口切换方法
CN113032308A (zh) * 2021-04-21 2021-06-25 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多功能单接口式电子扩充设备和外接式电子扩充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333A (ja) * 2005-08-31 2007-03-15 Sony Corp 電源供給専用装置,端末,電源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源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094B1 (en) * 1998-07-08 2002-10-01 Microsoft Corporation Peripheral device configured to detect the type of interface to which it is connected and configuring itself accordingly
US6725061B1 (en) * 1999-01-12 2004-04-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ccessories coupl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819658B2 (ja) * 1999-12-27 2006-09-13 三洋電機株式会社 共通シリアルバスコネクターを具えた携帯電子機器
TWI263902B (en) * 2004-09-10 2006-10-11 Mediatek Inc Multiple apparatuses conn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US7478191B2 (en) * 2006-04-14 2009-01-13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USB peripherals between USB hosts
US20080272741A1 (en) * 2007-05-03 2008-11-06 Summit Microelec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ower sources
US7863865B2 (en) * 2007-07-26 2011-01-04 Summit Microelec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ulse charging a battery
CN101420480B (zh) 2007-10-25 2011-02-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检测电路以及相关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333A (ja) * 2005-08-31 2007-03-15 Sony Corp 電源供給専用装置,端末,電源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源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28614A1 (en) 2009-09-10
CN101534349A (zh) 2009-09-16
KR20090096940A (ko) 2009-09-15
US8402175B2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637B1 (ko)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1329014B1 (ko)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09766B1 (ko) 외부 장치 접속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휴대 단말기
US9418032B2 (en) Adaptive accessory detection and mode negotiation
TWI451703B (zh) 察覺外部裝置的行動終端以及其控制方法
EP1912125B1 (en) Electronic machine, connected machine identifying method for electronic machine and control system
KR101397932B1 (ko) 외부 접속 장치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US7502949B2 (en) Data cabl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ower source with charger integrated circuit
EP2402864B1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charging method thereof, and charging system
KR20160137352A (ko) Usb 인터페이스 감지기, 감지 방법, usb 커넥터 및 전자 장치
WO2009091193A2 (ko)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00169534A1 (en) Multiple connections to a single serial interface
US8862921B1 (en) Apparatus for remote wake-up during dedicated charging mode
KR20090028196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20130335010A1 (en) Connector and control chip
US9223727B2 (en) Input-output circuit
CN103064489A (zh) 一种根据usb接口状态进行内部电路选择的方法及终端
KR101477056B1 (ko)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16014307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US20140068113A1 (en) Data transmission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arious accessory devices via respective dedicated connection interfaces
KR100700532B1 (ko) 범용 직렬 버스 포트의 연결 장치 인식 방법과 범용 직렬버스 어댑터
KR20060100054A (ko) 충전 케이블 감지를 통한 충전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00043824A (ko)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 장치 구별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7467A (ko)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4123312A (ja) Usb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