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467A -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467A
KR20080067467A KR1020070004793A KR20070004793A KR20080067467A KR 20080067467 A KR20080067467 A KR 20080067467A KR 1020070004793 A KR1020070004793 A KR 1020070004793A KR 20070004793 A KR20070004793 A KR 20070004793A KR 20080067467 A KR20080067467 A KR 2008006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b
signal
terminal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두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467A/ko
Publication of KR2008006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단말기와 외부 출력장치가 연결되면 충전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충전신호가 입력되면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유에스비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유에스비 연결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유에스비 연결 신호가 감지되면 유에스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말기 동작 수행 범위를 넓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004793
TTA pin 커넥터, A/V 출력

Description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action control portabl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외부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TA 인터페이스 핀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출력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에스비 및 충전모드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단말기 102...제 1 인터페이스부
104...A/V 모듈 106...USB 모듈
108...베터리부 110...제어부
112...키 입력부 114...오디오처리부
116...저장부 118...표시부
150...외부 출력 장치 152...제 2 인터페이스부
154...스위칭부 156...USB 커넥터
158...충전회로 160...AC 어뎁터
162...영상 출력 단자 164...오디오 출력 단자
본 발명은 TTA 커넥터를 이용한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이하 "PDA")와 같은 단말기에는 오디오 재생 및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에서 음악파일과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피시(PC)와 같은 다른 시스템에서 파일을 전송받아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에는 외부 입/출력 단자기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대부분 유에스비(USB)단자나 1394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게 된다.
요즈음에는 크래들(craddle)과 같은 도킹 시스템(Doking system)이 옵션으로 판매되어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여 배터리 충전을 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도킹 시스템은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에 연결되어 단말기를 도킹 시스템에 꽂게 되면 도킹 시스템의 유에스비 단자와 연결된 컴퓨터 유에비스 단자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 진다.
하지만, 이러한 토킹 시스템은 유에스비 모드로만 동작할 뿐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도킹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도킹 시스템을 통해 A/V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USB를 통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동작 제어 장치는, 외부 출력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출력 시스템과 유에스비 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유에스비 모듈;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출력 모듈;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충전하는 베터리부; 및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외부 출력 시스템의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24 pin TTA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오디오 출력, 비디오 출력, 유에스비(USB) 감지 신호 및 충전 신호 입력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출력 시스템은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 유에스비 단자를 통해 외부장치 감지 및 전원을 공급받는 유에스비 커넥터; 유에스비 입력신호 중 유에스비 연결 모드와 충전모드의 전환을 담당하는 스위칭 부; 및 상기 유에스비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입력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어뎁터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는 교류 어뎁터(AC ADAPTOR)단자와 영상/오디오 출력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는 24 pin TTA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는 오디오 입력, 비디오 입력, 유에스비(USB) 감지 신호 및 충전 신호 출력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동작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단말기와 외부 출 력장치가 연결되면 충전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충전신호가 입력되면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충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유에스비(USB)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에스비가 감지되지 않으면 TTA 커넥터의 미연결 상태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에스비가 감지되면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유에스비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유에스비 연결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에스비 연결 신호가 감지되면 유에스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에스비 연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 연결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충전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외부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하로 설명될 외부 출력 장치는 도킹 시스템(doking system)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은 외부 출력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102)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출력하는 A/V 모듈(104)과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유에스비 감지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USB 모듈(106)과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충전 신호를 받아 충전을 하는 베터리부(108)와 단말기의 동작 수행 명령이 입력되는 키 입력부(112)와 음악파일과 동영상 파일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6)와 상기 저장부(116)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18)와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114)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102)에 연결된 도킹 시스템(150)의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시스템(150)의 구성은 단말기(100)의 제 1 인터페이스부(102)와 연결되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152)와 외부의 시스템과 유에스비 통신을 하는 유에스비 커넥터(USB connector)(156)와 상기 유에스비 커넥터(156)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유에스비 모드 또는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부(154)와 도킹 시스템(15)의 AC 전원을 입력받는 AC 어뎁터(160)와 상기 단말기(100)에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 단자(162)와 오디오 출력 단자(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102)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152)는 TTA 24 pin 커넥터로 구성되어, A/V 입/출력, 오디오 입/출력, VBUS를 통한 충전신호, 유에스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핀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100)와 도킹 시스템(150)은 TTA 24pin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인데, 제 1 인터페이스부(102)는 도시된 것과 같이 TTA 24핀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핀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핀 구성은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100)가 도킹 시스템(150)에 연결된 풀 다운(Pull-down)상태에서,
USB 모듈(106)은 상기 24핀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VBUS 입력이 하이 신호의 입력의 경우에 유에스비 모드로 사용될 때의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베터리부(108)는 상기 24핀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VBUS 입력이 로우 신호 입력인 경우 충전 명령수행 신호로 감지되어 베터리 충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다.
A/V 모듈(104)은 TTA 케이블 연결에 따른 동작을 결정하는데, 로우(low) 입력시 도킹 연결로 인식하여 A/V 신호를 TTA 커넥터를 통하여 출력한다.
하이(high) 입력시에는 일반 TTA 케이블 연결로 인식하여 A/V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유에스비 +5V VBUS 전원을 하드웨어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TTA 커넥터에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스위칭 부(154)와 충전 IC에 연결하여 셋(set)충전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충전회로(158)로 구성된다.
로우 유지 회로(166)는 A/V 출력 디텍트를 위한 로우(low)신호 발생을 위해 TTA 커넥터의 6pin을 풀다운 저항을 이용하여 로우(low)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TA 인터페이스 핀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TTA 핀 스펙과 다르게 구성된 핀은 EXT-A/V Detect로 사용되는 6핀, Audio L ch OUTPUT으로 사용되는 7핀, Video output으로 사용되는 9핀, Audio R ch OUTPUT으로 사용되는 11핀과 충전신호 출력을 위한 21,22pin이 존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출력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인데, 단말기와 외부 출력장치가 연결되면 충전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00).
상기 판단결과 충전신호가 입력되면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02).
상기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S504).
단계 500의 결과 충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유에스비(USB)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506).
상기 유에스비가 감지되지 않으면 TTA 커넥터의 미연결 상태로 판단한다(S508).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에스비 및 충전모드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유에스비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인데, 유에스비 연결 신호를 감지하는 판단한다(S600).
상기 유에스비 연결 신호가 감지되면 유에스비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S602).
상기 유에스비 연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 연결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604).
상기 충전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S606).
만약, 상기 충전 연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TTA 커넥터가 미연결 상태로 판단한다(S608).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도킹 시스템을 연결하여 입력신호에 따라서 유에스비 동작, 배너리 충전 모드, 오디오/비디오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도킹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도킹 시스템으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도킹 시스템을 통해 A/V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오디오 및 비디오의 외부 출력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TTA 커넥터를 이용하여 도킹 시스템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충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외부 출력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출력 시스템과 유에스비 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유에스비 모듈;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출력 모듈;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충전하는 베터리부; 및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외부 출력 시스템의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24 pin TTA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오디오 출력, 비디오 출력, 유에스비(USB) 감지 신호 및 충전 신호 입력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4.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
    유에스비 단자를 통해 외부장치 감지 및 전원을 공급받는 유에스비 커넥터;
    유에스비 입력신호 중 유에스비 연결 모드와 충전모드의 전환을 담당하는 스위칭 부; 및
    상기 유에스비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입력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어뎁터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는 교류 어뎁터(AC ADAPTOR)단자와 영상/오디오 출력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는 24 pin TTA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는 오디오 입력, 비디오 입력, 유에스비(USB) 감지 신호 및 충전 신호 출력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8.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단말기와 외부 출력장치가 연결되면 충전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충전신호가 입력되면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충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유에스비(USB)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에스비가 감지되지 않으면 TTA 커넥터의 미연결 상태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가 감지되면 오디오/비디오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1.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유에스비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유에스비 연결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에스비 연결 신호가 감지되면 유에스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 연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 연결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충전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070004793A 2007-01-16 2007-01-16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67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93A KR20080067467A (ko) 2007-01-16 2007-01-16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93A KR20080067467A (ko) 2007-01-16 2007-01-16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67A true KR20080067467A (ko) 2008-07-21

Family

ID=3982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793A KR20080067467A (ko) 2007-01-16 2007-01-16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4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1625B (zh) 用于控制usb操作的装置和方法
KR101494637B1 (ko)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JP6173297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KR101494900B1 (ko) 충전 장치 식별을 통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방법
US7886104B2 (en) Detachable adapter and portable system
US10042801B2 (en) System for detecting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00039081A1 (en) System for supplying and receiving power,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90028196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8248035B2 (en) Voltage converting apparatus
KR20190100601A (ko)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신호 단자에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로 출력하는 전압을 제어 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8862921B1 (en) Apparatus for remote wake-up during dedicated charging mode
US20070075680A1 (en) Charging mode control circuit
KR20130122266A (ko) 호스트모드에서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052443B1 (ko)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JP5058083B2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20090084488A (ko)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210014356A (ko) Usb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060178171A1 (en) Audio/charging module and electronic system and porable electronic device thereof
EP19864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external device by portable terminal
CN105098893A (zh) 一种终端设备及其电池
KR100700532B1 (ko) 범용 직렬 버스 포트의 연결 장치 인식 방법과 범용 직렬버스 어댑터
JP2020188626A (ja)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20160081676A (ko) 트래블 어댑터
KR20080067467A (ko)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2020698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switch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