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771B1 - 실험동물용 보정기 - Google Patents

실험동물용 보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771B1
KR101493771B1 KR1020117005182A KR20117005182A KR101493771B1 KR 101493771 B1 KR101493771 B1 KR 101493771B1 KR 1020117005182 A KR1020117005182 A KR 1020117005182A KR 20117005182 A KR20117005182 A KR 20117005182A KR 101493771 B1 KR101493771 B1 KR 10149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tail
main body
hole
rea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739A (ko
Inventor
이정익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1007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2Trocars or cannulas for teats; Vaccina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urg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동물을 보정하기 위한 실험동물용 보정기로서, 판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 선상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뒷다리 중 적어도 무릎까지의 통과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뒷다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실험동물용 보정기{LABORATORY ANIMAL RETAINING APPLIANCE}
본 발명은, 생쥐, 흰쥐 등의 실험동물에게 주사 등을 실시하기 위한 실험동물용 보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쥐 또는 흰쥐 등의 실험동물에 주사 등의 실험을 실시하기 위해, 본체에 실험동물을 넣어 고정하고, 그 중심에 구멍을 설치한 끝단의 판(end plate)으로 부터 꼬리를 꺼내어, 꼬리의 정맥 또는 동맥에 대해 채혈이나 주사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정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개평 8-47502 그런데, 실험동물에 마취를 실시할 때,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보정기를 이용하면 정맥 주사를 통한 마취는 가능하지만, 꼬리의 정맥에 대한 주사는 매우 어렵다. 이는 꼬리의 정맥이 가늘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등의 가스를 이용하는 흡입마취법이 폭넓게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가스는 인화성, 폭발성이 있으므로 실험 실시자에게 위험하다. 게다가 냄새도 불쾌하고 실험 실시자에게 유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스의 농도 조절이 곤란하여, 마취의 실패로 인하여 실험동물이 실험 종료 전에 사망해 버리는 일도 허다하다. 이는 실험동물에게 가능한 고통을 주지 않으며, 사용되는 실험용 쥐의 수를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는 생명윤리상의 관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그밖에도, 복강내 주사를 통해 마취약을 투여하는 방법도 실시되고 있으나, 주사바늘에 의하여 복강내 장기가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마취약이 복강내 장기를 코팅하듯이 분포하기 때문에, 마취약이 장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복강내 장기를 재료로 사용하는 실험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근육주사에 의하여 마취를 실시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보정기는 끝단의 판으로부터 꼬리 밖에 빼낼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근육 주사를 실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실험동물이 발버둥치거나 실험 실시자의 손을 무는 등의 이유로 보정기를 사용하지 않고 실험 실시자가 혼자서 근육 주사를 실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혼자서도 안전하고 쉽게 실험동물에 대해 근육주사 등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동물을 보정하기 위한 실험동물용 보정기로서, 판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 선상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뒷다리 중 적어도 무릎까지의 통과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뒷다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가 제공된다.
상기 "중심"이란 폭방향(widthwise direction) 또는 길이방향(lengthwise direction) 중 적어도 한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을 말한다.
상기 본체의 상기 중심선상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꼬리부와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는 꼬리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기 중심선상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꼬리부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꼬리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뒷다리용 구멍에는, 상기 뒷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후지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험동물용 보정기에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뒷다리용 구멍이 설치된 면에 대해 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험동물용 보정기는 상기 실험동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와 상기 통부는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동물을 보정하기 위한 실험동물용 보정기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외주면을 갖는 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뒷다리 중 적어도 무릎까지의 통과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뒷다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와 상기 통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험동물용 보정기는, 상기 실험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외통, 상기 외통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외통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푸셔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험동물용 보정기에 따르면, 실험 실시자가 혼자서도 실험동물에 대해 쉽고 안전하게 근육주사 등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의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의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의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이하 간단히, "보정기"라 칭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는 수지, 금속 등으로 형성된 직경 약 10 센티미터의 원형인 판모양의 본체(2)를 포함한다.
본체(2)는, 종이나 나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사용 후에 소독하여 재이용이 가능하도록 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의 직경은10 센티미터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실험 실시자의 손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8 센티미터 이상, 사용 용이성을 위하는 측면에서 15 센티미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수치는 생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수치이나, 보다 큰, 예를 들면, 실험용 흰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본체(2)의 직경을 30센티미터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2)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후술하는 사용법을 고려하여, 실험동물의 꼬리 및 뒷다리를 통과시키기 쉽게 하면서, 꼬리부분이나 뒷다리를 고정할 때 쉽게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에 있어서, 본체(2)의 두께는 1 밀리미터로 설정될 수 있다.
본체(2)의 중심(C)과 둘레의 1점을 지나는 제1 중심선분(L1)의 가운데 점 부근에는 직경 약 0.5 센티미터 내지 1 센티미터 정도의 꼬리용 구멍(3)이, 본체(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꼬리용 구멍(3)의 지름은 상기 치수에 한정되지 않으나, 대상이 되는 실험동물의 꼬리부의 가장 굵은 부분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조금 큰 지름을 갖도록 설정하면, 실험동물의 꼬리부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실험용 흰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직경을 1 센티미터 내지1.5 센티미터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중심선분(L1)과 중심(C)에서 직교하는 제2 중심선분(L2) 상에는, 꼬리용 구멍(3)에 대해 중심(C)보다 좌측으로 소정의 거리, 예를 들면, 1 센티미터 떨어진 위치에, 실험동물의 뒷다리가 통과 가능한 직경 약 2 센티미터의 뒷다리용 구멍(4)이 설치되어 있다.
실험용 흰쥐 등의 경우에는, 중심(C)보다 2 센티미터 정도 떨어진 위치에 직경 3 센티미터 정도의 뒷다리용 구멍(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뒷다리용 구멍(4)의 지름은, 뒷다리에 대해 근육주사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이 되는 실험동물의 뒷다리 중 적어도 무릎까지는 통과 가능한 지름으로 설정한다. 뒷다리용 구멍(4)의 지름을 실험동물의 몸통과 뒷다리 연결 부위까지 통과시킬 수 있는, 즉, 당해 뒷다리의 둔부가 뒷다리용 구멍(4)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하면 근육주사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많은 실험동물의 뒷다리의 단면은 타원형이기 때문에, 뒷다리용 구멍(4)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타원형의 장축을 상기 수치로 설정하면 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정기(1)의 사용시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보정기(1)를 이용하여 생쥐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실험 실시자는 생쥐(실험동물)(100)의 꼬리부(101)를 잡고 적당히 윗 쪽으로 들어올려, 뒷다리만을 띄우고, 앞다리만을 땅에 닿게 하는 소위, "손수레"와 같은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생쥐는 본능적으로 앞다리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나아가려고 하므로, 뒤를 돌아보기 어렵게 된다.
이 상태로 잡은 꼬리부(101)를 본체(2)의 꼬리용 구멍(3)의 뒤쪽으로부터 통과시켜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꼬리용 구멍(3)을 통과한 마우스(100)의 꼬리부(101)를 파지하여 보정한다. 이 상태로 꼬리의 정맥 또는 동맥에 대하여, 주사나 채혈 등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근육주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 2b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우스(100)의 왼쪽 뒷다리(102)를 뒷다리용 구멍(4)으로 통과시켜 보정한다. 이 때, 왼쪽 뒷다리(102)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꼬리부(101) 및 왼쪽 뒷다리(102)를 본체(2)에 보정할 수 있다. 뒷다리용 구멍(4)을 통해서는 생쥐(100)의 둔부가 노출되므로, 실험 실시자는 둔부의 근육에 대해 근육주사 등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왼쪽 뒷다리(102)를 뒷다리용 구멍(4)에 통과시키는 방법은, 실험 실시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왼손잡이인 실험 실시자가 실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체(2)를 뒤집어, 뒷다리용 구멍(4)이 실험 실시자의 기준에서 봤을 때 꼬리용 구멍(3)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생쥐(100)의 오른쪽 뒷다리(103)를 뒷다리용 구멍(4)으로 통과시켜 원활하게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를 통해, 생쥐 등의 실험동물의 꼬리부를 꼬리용 구멍(3)으로 통과시켜 꼬리부를 파지하면, 생쥐는 본능적으로 전방으로 나아가려고 하므로, 실험 실시자가 손을 물릴 위험이 적어진다. 한편, 생쥐가 뒤를 향하게 되는 경우에도, 본체(2)에 의해 실험 실시자의 손이 덮일 수 있게 되므로, 실험 실시자는 생쥐에게 손을 물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험 실시자는 혼자서도 쉽고 안전하게 실험동물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험동물의 꼬리부를 보정하면서, 뒷다리를 뒷다리용 구멍(4)으로 통과시키기 때문에 근육주사가 가능한 상태로 뒷다리를 노출시킬 수 있어, 실험동물에 대하여 쉽고 안전하게 근육주사를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뒷다리용 구멍(4)의 지름이 실험 대상인 생쥐의 몸통과 뒷다리 연결 부위까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인 약 2 센티미터로 설정되기 때문에, 근육주사에 적당한 둔부까지 노출된 상태로 실험동물이 보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1)과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의 다른 점은 측벽부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 꼬리용 구멍을 대신하는 꼬리용 홈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 뒷다리용 구멍의 개수 및 형상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의 본체(12)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중심(C)과 본체(12)의 가장자리의 1점을 잇는 선상에는, 꼬리용 구멍(3)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 꼬리용 홈(14)이 본체(12)의 가장자리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뒷다리용 구멍(15)은 중심(C)의 좌우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어 있다. 각 뒷다리용 구멍(15)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되어 있으며 거의 이등변 삼각형 모양을 갖는 8장의 후지고정부(16)가 뒷다리용 구멍(15)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안쪽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12)의 가장자리로부터 두께 방향, 즉, 뒷다리용 구멍(15)이 설치된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는 거의 통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벽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측벽부(17)의 길이는, 대상 실험동물의 몸길이를 고려하여 실험동물이 뒤집지 못할 정도의 길이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0 센티미터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측벽부(17)에도 미부용 홈(14A)이 본체(12)의 미부용 홈(14)과 연속하듯이 단부(端部)까지 설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정기(11)의 사용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보정기(11)를 이용하여 실험용 흰쥐에 실험을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실험 실시자가 실험용 흰쥐(실험동물)(200)의 꼬리부(201)를 잡고, 측벽부(17) 쪽에서부터 꼬리용 홈(14A)를 통과시켜 꼬리용 홈(14)에 보정한다. 이 때, 실험용 흰쥐(200)는 측벽부(17)에 의하여 이동이 규제되어, 몸을 뒤집어 실험 실시자에게 향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꼬리부(201)를 보정하면서, 제1 실시예의 보정기(1)의 사용시와 동일한 조작으로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뒷다리(202)를 뒷다리용 구멍(15)을 통해 통과시켜 노출시킨다. 어느 쪽의 뒷다리용 구멍(15)을 사용할 것인지는 실험 실시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이 어떤 손인지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뒷다리용 구멍(15)으로부터 노출된 흰쥐(200)의 뒷다리(202)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뒷다리용 구멍(15)에 고정되되, 뒷다리용 구멍(15)에 설치된 후지고정부(16)가 저항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뒷다리(202)가 뒷다리용 구멍(15)에 고정되어 실험 실시자가 손을 놓아도 쉽게 뺄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1)를 이용하면 본체(12) 및 측벽부에 설치된 꼬리용 홈에 실험동물의 꼬리부를 통과시켜 꼬리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실험동물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17)가 본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실험동물이 자신의 몸을 뒤집지 못할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실험 실시자가 손을 물리게 되는 위험이 보다 적어진다. 따라서, 본체(12)의 면적을 보다 작게 하여 보정기 전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뒷다리용 구멍(15)이 좌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험 실시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과 관계없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게 되며, 본체(12)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보다 다루기 쉬운 보정기를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뒷다리용 구멍(15)에 설치된 후지고정부(16)가 노출된 실험동물의 뒷다리를 쉽게 뺄 수 없게 고정하므로 실험동물을 보정한 상태로 두고 주사 약제의 조제 등 준비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21)과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와의 차이점은 통부(筒部)를 갖추고 있다는 점, 뒷다리용 구멍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이다. 여기서, 상기 보정기(1)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보정기(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정기(21)은, 본체(22), 본체(22)가 장착되는 통부(23)를 포함한다.
본체(2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1)의 본체(2)와 같이 원형의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22)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체(12)와 거의 동일하게 꼬리용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꼬리용 홈(25)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 2장의 띠모양 패킹(26)이 부착되어 있다. 패킹(26)은 좌우에 꼬리용 홈(25)를 메우는 형태로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뒷다리용 구멍(27)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22)의 중심(C)에 대해 꼬리용 홈(25)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꼬리용 구멍(27)은 꼬리용 홈(25) 및 중심(C)을 지나는 중심선(L3)의 좌우에 걸쳐 형성된 타원형 또는 장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2)의 가장자리는 모든 둘레에 걸쳐 두께 방향으로 1 센티미터 정도 돌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장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8)가 통부(23)를 덮음으로써 본체(22)는 통부(2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통체(23)는 종이, 수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본체(22)가 장착되는 단부(端部)(23A)는 개방되어 있다. 반대쪽의 단부(23B)는 개방될 수도 있고, 폐쇄될 수도 있는데, 통부(23) 내부에 수용된 실험동물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부(23)의 직경 및 길이는 본체(22)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실험동물을 내부에 수용할 때 틈이 없도록 하고 실험동물이 크게 움직일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통부(23)를 안정감있게 배치하기 위하여 받침대 등에 올려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정기(21)의 사용시의 동작에 대하여 실험용 흰쥐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험 실시자가 흰쥐(실험동물)(200)의 꼬리부(201)를 잡고, 꼬리용 홈(25)을 통과시켜 보정한다. 이 때, 꼬리부(202)는 좌우의 패킹(26) 사이에 끼게 되어 꼬리용 구멍(24)으로부터 쉽게 빠질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흰쥐(200)의 하반신을 꼬리용 구멍(27)을 통해 통과시켜, 도 5에 나타나는 것처럼, 좌우의 뒷다리(202, 203) 및 둔부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흰쥐(200)를 퉁부(23) 내부에 수용한다. 그리고, 본체(22)의 장착부(28)를 통부(23)의 단부(23A)에 덮어 본체(22)와 통부(23)를 하나로 고정한다. 이 때, 흰쥐(200)의 몸은 통부(23)의 내벽에 접촉하게 되므로 본능적으로 안심하여 얌전해진다.
실험 실시자는, 노출되어 고정된 흰쥐(200)의 꼬리부, 뒷다리, 또는 둔부에 대하여 혈관이나 근육으로의 주사 등 소정의 실험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21)를 이용하면, 통부(23)의 내부에 실험동물을 수납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 실시자의 손이 물릴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꼬리부 및 뒷다리가 노출된 상태로 비교적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약제 조제 등 준비작업을, 여유있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뒷다리용 구멍(27)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 실험동물의 좌우 뒷다리를 포함한 하반신을 뒷다리용 구멍(27)로부터 노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여러 곳 또는 넓은 범위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한 번의 조작으로 쉽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꼬리용 홈(25)에 설치된 패킹(26)에 의해 보정된 실험동물의 꼬리부가 쉽게 뺄 수 없게 고정되어 보다 쉬운 실험이 실시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31)와 상기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와 다른점은 뒷다리용 구멍이 통부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의 보정기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보정기(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정기(31)는 꼬리용 홈(32)을 갖는 덮개 본체(33), 덮개 본체(33)가 장착되는 통부(34)를 포함한다.
덮개 본체(33)의 형상은 제3 실시예의 본체(22)와 거의 동일하지만 꼬리용 홈(25)에는 패킹이 없고, 뒷다리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체(22)의 장착부(28)과 거의 동일한 양태로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35)에는 덮개 본체(33)와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계합홈(係合溝, engagement groove)(35A)이 통부(34)의 축선(軸線)에 대해 마주보는 위치에 2개가 설치되어 있다.
통부(34)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생쥐, 흰쥐, 기니피그(guinea pig) 등이 수용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통부(34)에 있어서, 덮개 본체(33)가 장착된 제1 단부(34A)는 개방되어 있고, 반대쪽의 제2 단부(34B)는 거의 방추형(紡錘形)으로 닫혀있어, 전체적으로는 포탄(砲彈)과 같은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통부(34)의 재질로는, 수지나 금속 등이 알맞게 채용할 수 있다. 금속으로 구성하면, 고열멸균 등이 가능하게 되어, 연속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수지를 사용하여 투명하게 형성하면, 내부의 실험동물의 상태를 관찰하기 쉽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연속사용을 위하여 알콜 등을 이용하여 소독을 실시하는 것을 고려하면, 내약품성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의 선택은, 보정기(31)의 사용 양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통부(34)의 원통상 외주면에는, 꼬리용 홈(32)와 거의 동일한 폭의 꼬리용 홈(36)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꼬리용 홈(36)은, 부분적으로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피하주사용 포트(port)(36A)가 설치되어 있다. 꼬리용 홈(36)과 마주보는 외주면에는, 복강내 주사용 포트(37)가 설치되어 있다.
통부(34)의 제1 단부(34A) 부근 외주면에는 덮개 본체(33)의 계합홈(35A)과 계합 가능한 계합돌기(34C)가 2개 설치되어 있다. 계합돌기(34C)는, 계합홈(35A)과 계합된 상태로 후술하는 장착 조작을 실시하여, 덮개 본체(33)와 통부(34)를 하나로 고정할 때, 덮개 본체(33)의 꼬리용 홈(32)과 통부의 꼬리용 홈(36)이 연결되어 통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통부(34)의 외주면에 있어서, 꼬리용 홈(36)과 복강내 주사용 포트(37)의 사이 영역에는, 뒷다리용 구멍(38)이 설치되어 있다. 뒷다리용 구멍(38)의 형상은, 상기의 각 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좌우 어느쪽이든 설치될 수도 있고,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정기(31)의 사용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험 실시자가 생쥐 또는 실험용 흰쥐 등의 실험동물의 꼬리부를 잡으면, 실험동물은 본능적으로 전방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여기서, 실험 실시자가 통부(34)의 개방된 제1 단부(34A)를 실험동물을 향하여 놓으면 실험동물은 좁은 곳에 들어가려고 하는 습성에 의하여 통부(34)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 때, 몸이 통부(34)의 내벽에 접촉하므로, 본능적으로 안심하게 되고 통부(34) 안에서 정지한다. 이 때, 통부의 제2 단부(34B)는 거의 방추상(紡錘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쥐 등의 머리부분 형상에 잘 맞게 된다. 이에 따라, 실험동물은 보다 더욱 안심할 수 있게 된다. 실험 실시자는 잡은 꼬리부를 꼬리용 홈(36)으로부터 빼고 뒷다리를 뒷다리용 구멍(38)으로부터 빼놓는다.
다음으로, 실험 실시자는 꼬리부 파지하면서, 덮개 본체(33)에 형성된 2개의 계합홈(35A)을 통부(34)에 형성된 2개의 계합돌기(34C)와 계합시켜, 덮개 본체(33)를 통부(34)의 축선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 본체(33)의 꼬리용 홈(32)과 통부(34)의 꼬리용 홈(36)이 연결되어 통하는 상태로 덮개 본체(33)와 통부(34)가 위치를 정하게 되고, 하나로 고정된다. 실험 실시자가 꼬리부 꼬리용 홈(36)에 통과시키면 실험동물이 보정기(31)안에서 안정한 상태로 보정된다.
이 상태로 하면, 실험 실시자는, 뒷다리용 구멍(38)으로부터 나온 실험동물의 뒷다리에 대하여 약제의 근육 내 투여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피하주사용 포트(36A) 및 복강내 주사용 포트(37)를 이용하여 피하주사나 복강내 투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꼬리용 홈(32)으로부터 노출된 꼬리부로부터 정맥내 투여 또는 동맥내 투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31)에 의하면, 통부(34)의 외주면에 뒷다리용 구멍(3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험용 동물이 통부(34)안에서 진정되었을 때에 뒷다리를 뒷다리용 구멍(38)으로부터 빼서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근육내 투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본체(33)에 계합홈(35A)이 설치되어 있고, 통부(34)에 계합돌기(34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를 계합시킴으로써, 꼬리용 홈(32 및 36)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덮개 본체(33)와 통부(34) 간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하여 장착할 수 있고, 하나로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돌기(34C) 및 계합홈(35A)이 각각 2개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꼬리용 홈 등이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한다면, 1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단, 덮개 본체(33)의 고정 및 꼬리용 홈의 위치를 정하는 것 등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계합돌기(34C) 및 계합홈(35A)이 동일 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각각의 계합돌기 및 계합홈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한 쪽의 계합돌기가 다른 한쪽의 계합홈이랑만 계합 가능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통부(34)에 대하여 덮개 본체(33)의 부착 방향이 특정되기 때문에, 꼬리용 홈과의 위치를 정하는 것이 보다 확실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31)에 있어서, 제2 단부(34B)의 형상, 피하주사용 포트(36A) 및 복강내 주사용 포트(37)는 필수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알맞게 설치하면 된다.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용 보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41)와 상기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와의 차이점은 동물을 통부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受容部)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보정기(4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정기(41)는 본체(42), 본체(42) 내에서 실험동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3)를 포함한다.
본체(42)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꼬리용 구멍(44)이 설치된 단면부(端面部)(45)와, 단면부(45)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속되는 측벽부(통부)(46)를 포함한다. 본체(4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제4 실시예서의 통부(34)와 동일하며, 흰쥐 또는 기니피그 및 이 이하의 크기의 실험동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단면부(45)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본체(42)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수용부(4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뒷다리용 구멍(4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뒷다리용 구멍(38)과 동일하게 측벽부(46)에 형성되되 단면부(45)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뒷다리용 구멍(47)은, 거의 통 형상의 본체(42)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측벽부(46)에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측벽부(46)에는, 통부(34)와 동일하게 꼬리용 구멍(44)과 연결되어 통하는 꼬리용 홈(36), 피하주사용 포트(36A), 및 복강내 주사용 포트(37)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43)는 본체(42)에 삽입 가능한 외통(제2 통부)(48), 축선방향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외통(48)에 삽입되어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pusher)(49)로 구성된다.
외통(48)은 흰쥐 또는 기니피그 및 이 이하의 크기의 실험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벽을 갖으며, 그 외경(外徑)은 본체(42)의 내경(內徑)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외통(48)의 외주면에는 꼬리부를 꺼내기 위해 노치(notch)(48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치는 1개가 설치되지만, 외통(48)의 축선을 끼고 마주보는 위치에 2개가 설치되어 있어도, 3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외통(48)의 외주면에는, 자신의 축선과 거의 평행으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이동홈(sliding groove)(48B)이 형성되어 있다.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는, 거의 원주 형상의 부재로, 외통(48)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이나 볼트 등으로 만들어진 고정부재(50)의 축부(軸部)(미도시됨)가 외통(48)의 외측으로부터 이동홈(48B)에 삽입되어,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에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는, 이동홈(48B)이 설치된 범위 내에서 외통(48)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외통(48)에 일체로 결합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정기(41)의 사용시 동작에 대하여 생쥐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실험 실시자는 실험동물인 생쥐(100)의 꼬리부(101)를 파지하여, 도 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43)의 외통(48)에 수용한다. 상기와 같이, 생쥐(100) 등의 실험동물은 꼬리(101)가 잡히게 되면 본능적으로 전방으로 나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외통(48) 안으로 전진시켜 수용부(43)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실험 실시자는 파지한 꼬리부(101)를 노치(48A)를 통해 노출시킨다. 이 때, 꼬리부(101)를 본체(42)의 꼬리용 홈(36)으로부터 노출시키기 쉽게, 노치(48A)를 위로하여 생쥐(100)를 외통(48)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험 실시자는 외통(48) 안에 생쥐(100)를 수용한 상태로,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43)를 외통(48) 측에서 본체(42)에 삽입한다. 그리고, 노치(48A)를 통해 노출된 생쥐(100)의 꼬리부(101)를 꼬리용 홈(36)에서 본체(42) 외부로 빼놓는다.
도 8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험 실시자가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를 외통(48)을 향하여 밀어 넣으면,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는 외통(48)의 내강(內腔)을 채우듯이 외통(48)안으로 진입한다. 이에 의하여, 생쥐(100)는 서서히 후퇴하여 외통(48)의 밖으로 밀려 나와 본체(42) 내부의 단면부(45) 쪽으로 이동한다. 생쥐(100)의 꼬리부(101)가 꼬리용 구멍(44)까지 이동하게 되면, 실험 실시자는 뒷다리용 구멍(47)으로부터 생쥐(100)의 뒷다리(102)를 빼고, 실험이 가능한 상태로 보정한다. 보정을 한 뒤, 수용부(43)은 본체(42)에서 빼내어도 좋고, 생쥐(100)의 전진을 방지하여 거동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실험이 끝날 때까지 본체(42)안에 유지하여도 좋다.
보정한 상태에서, 실험 실시자는, 근육주사, 피하주사, 동정맥주사, 복강내 주사 등 각종의 소정 실험을 생쥐(100)에 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기(41)는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를 갖는 수용부(43)를 갖고 있으므로, 일단 실험동물을 수용부(43)에 수용하게 되면 실험동물을 용이하게 본체(42)의 내부로 이동시켜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를 외통(48)을 향하여 진입시킴으로써, 실험동물을 본체(42)의 단면부(45) 쪽에 후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생쥐와 같이 본체(4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실험동물이라 할지라도 적절하게 단면부(45)와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 뒷다리나 미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의 밀어 넣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수용하는 실험동물의 크기에 적당한 크기로 본체(42)의 내부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체(42)안에서 실험동물의 이동을 막고, 안정된 상태로 실험을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험동물의 크기에 관계에 없이 용이하게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43)에 있어서,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가 외통(48)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가 반드시 외통(48)과 일체로 붙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외통(48)에 삽입이 가능하다면 별개의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를 외통(48)에 일체로 부착시키게 되면, 실험 중에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가 외통(48)으로부터 빠지거나,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만이 분실되는 경우가 없어져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의 단면(端面)에 실험동물의 두부가 접촉한다. 따라서, 실험동물의 두부가 향하는 쪽의 단면은 생쥐 등의 두부에 잘 맞도록, 제4 실시예의 보정기(31)의 통체(34)의 제2 단부(34B)와 같이 거의 방추형으로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49)에 고정된 고정부재(50)가 외통(48)에 설치된 이동홈(48B) 내측을 이동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외통에 고정된 고정부재가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에 설치된 이동홈 안을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가 평면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도 9에 도시되는 변형예에서와 같이, 본체(42A)의 외면 전체를 곡면상(曲面狀)으로 형성하여, 단면부(45A)와 측벽부(46A)가 경계가 없이 연속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면부(45A) 및 측벽부(46A) 양쪽에 걸치는 위치에 뒷다리용 구멍(47A)을 형성하는 것이 쉬워지기 때문에 뒷다리용 구멍의 형성 위치가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변형예에서와 같이, 뒷다리용 구멍(47B)를 비교적 크게 형성하여 그 일부에 부세부재(付勢部材)(미도시됨), 즉, 항상 닫혀지려는 힘이 가해지는 문짝(51)을 부착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노출된 뒷다리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험동물의 크기에 따라 뒷다리용 구멍의 크기가 자동적으로 적절한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체의 본체 또는 본체에 붙어있는 통체의 개방 단부에 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sheet)(52)를 설치하여도 된다. 통상적으로, 꼬리부가 파지된 실험동물에 대하여 꼬리부를 견인해서 후퇴하도록 하면, 앞다리로 지탱하며 저항하는데, 시트(52)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트(52)를 통상의 본체 등의 개방된 측에 접어 겹치게 함으로써 실험동물이 앞다리로 지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실험동물을 후퇴시키면서도 용이하게 통체 등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체를 원형으로 형성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 모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의 길이방향 혹은 폭방향의 중심 중 한 쪽을 중심C로 설정하고, 꼬리용 구멍 또는 미부용 홈, 및 뒷다리용 구멍을 설치하면 된다. 또한, 통체나 측벽부의 형상은, 본체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체에 꼬리용 구멍 혹은 꼬리용 홈을 설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동물의 취급에 능숙한 실험 실시자라면, 본체에 뒷다리용 구멍만 설치된 본 발명의 보정기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에게 안전하게 근육주사 등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꼬리용 구멍 또는 꼬리용 홈을 설치하는 것이 실험 실시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훨씬 더 용이하게 본 발명의 보정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상기의 꼬리 보정용 구조 중 어느 한 구조를 병행하여 본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내용을 포함하여, 꼬리용 구멍, 꼬리용 홈 또는 뒷다리용 구멍 등의 형성 위치나 형상 등의 설치 형태 등에 있어서는, 각 실시예의 것들을 알맞게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정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생쥐 및 실험용 흰쥐에 대해 사용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크기를 변화시키면 기니피그 등의 다른 실험동물에도 적용 가능하다.
1, 11, 21, 31, 41: 실험동물용 보정기
2, 12, 22: 본체
3, 44: 꼬리용 구멍
4, 15, 27, 38, 47, 47A, 47B: 뒷다리용 구멍
14, 14A, 25, 32, 36: 꼬리용 홈
16: 후지고정부
17: 측벽부
23: 통부
33: 덮개 본체
34: 통부
42, 42A: 본체
43: 수용부
46, 46A: 측벽부
48: 외통(제2 통체)
49: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pusher)
100: 생쥐
101, 201: 꼬리부
102, 103, 202, 203: 뒷다리
200: 실험용 흰쥐

Claims (10)

  1. 실험동물을 보정하기 위한 실험동물용 보정기로서,
    판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 선상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뒷다리 중 적어도 무릎까지의 통과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뒷다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중심선상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꼬리부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꼬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중심선상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꼬리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꼬리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다리용 구멍에는, 상기 뒷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후지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뒷다리용 구멍이 설치된 면에 대해 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동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통부는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7. 실험동물을 보정하기 위한 실험동물용 보정기로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외주면을 갖는 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험동물의 뒷다리 중 적어도 무릎까지의 통과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뒷다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통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외통을 포함하며 상기 통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외통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밀어 넣을 수 있는 푸셔(pushe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용 보정기.

KR1020117005182A 2008-09-04 2008-09-04 실험동물용 보정기 KR101493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5201 WO2010027110A1 (ja) 2008-09-04 2008-09-04 実験動物用保定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739A KR20110074739A (ko) 2011-07-01
KR101493771B1 true KR101493771B1 (ko) 2015-02-17

Family

ID=4179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182A KR101493771B1 (ko) 2008-09-04 2008-09-04 실험동물용 보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84621B2 (ko)
JP (1) JP5080650B2 (ko)
KR (1) KR101493771B1 (ko)
WO (1) WO20100271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135A (ko) 2015-09-22 2017-03-30 한국원자력연구원 종양이식 실험용 마우스의 보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6862B2 (ja) * 2011-11-07 2016-01-20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小動物用保定器
US10292371B2 (en) * 2016-03-14 2019-05-21 Andrea Cabibi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sperm collec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in small birds
US10926042B2 (en) * 2016-06-29 2021-02-23 Jayesh Shah Animal injection clip
JP6181251B1 (ja) * 2016-07-21 2017-08-16 督規 谷浦 動物用保定具
CN108514460B (zh) * 2018-03-15 2024-03-26 华南师范大学 一种动物实验固定装置
CN109363793A (zh) * 2018-11-09 2019-02-22 江汉大学 一种用于大鼠注射的设备及其方法
US10412928B1 (en) 2018-12-31 2019-09-17 King Saud University Push button operated rodent restr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751A (en) * 1970-07-08 1973-06-19 T Mohr Restrainer and metabolism cage for test animals
US5320069A (en) * 1992-04-28 1994-06-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mall animal restraint device
US5927234A (en) * 1997-09-12 1999-07-27 Daniel M. Siegel Animal restraining method
JP2005111108A (ja) * 2003-10-10 2005-04-28 Hokkaido Technology Licence Office Co Ltd 動物固定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0650A (en) * 1947-03-22 1951-02-06 American Cyanamid Co Animal holder
JPS487583Y1 (ko) * 1969-04-25 1973-02-27
JPS5117178Y2 (ko) * 1973-03-07 1976-05-10
US3973522A (en) * 1975-05-23 1976-08-10 Carl Rosow Animal holder frame means
JPS52170685U (ko) * 1976-06-18 1977-12-24
JPS5383478U (ko) * 1976-12-10 1978-07-10
JPS55175410U (ko) * 1979-06-04 1980-12-16
US5816197A (en) * 1997-10-07 1998-10-06 Destefano; Michelle S. Injection shield
JP2005027836A (ja) * 2003-07-11 2005-02-03 Sumitomo Chem Co Ltd ウサギ用実験保定器
JP2008212410A (ja) * 2007-03-05 2008-09-18 Teiyoku Ri 実験動物用保定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751A (en) * 1970-07-08 1973-06-19 T Mohr Restrainer and metabolism cage for test animals
US5320069A (en) * 1992-04-28 1994-06-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mall animal restraint device
US5927234A (en) * 1997-09-12 1999-07-27 Daniel M. Siegel Animal restraining method
JP2005111108A (ja) * 2003-10-10 2005-04-28 Hokkaido Technology Licence Office Co Ltd 動物固定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135A (ko) 2015-09-22 2017-03-30 한국원자력연구원 종양이식 실험용 마우스의 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27110A1 (ja) 2012-02-02
WO2010027110A1 (ja) 2010-03-11
KR20110074739A (ko) 2011-07-01
JP5080650B2 (ja) 2012-11-21
US20110308478A1 (en) 2011-12-22
US8584621B2 (en)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771B1 (ko) 실험동물용 보정기
US10821277B2 (en) Kit f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pplicator for inserting an implant
JP2008212410A (ja) 実験動物用保定器
ES2685795T3 (es) Aplicador para insertar un implante
KR100916509B1 (ko) 실험용 설치류 고정장치
US20180256108A1 (en) Inserter and method of inserting an implant under the skin
US8374669B2 (en) Needle electrode with displaceable cover and method of using said needle electrode
KR20220073836A (ko) 병렬 경로 천공 장치 가이드
JP7221570B1 (ja) 頭部固定具
US20230149635A1 (en) Applicator for Implant Insertion
WO2024080129A1 (ja) 供試魚保持装置、及び供試魚の処置方法
AU2007206957B2 (en) Kit f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pplicator for inserting an implant
CN209917033U (zh) 具有可拆卸护鞘的药物涂层球囊导管
WO2023086434A2 (en) Applicator for implant insertion
WO2023102155A1 (en) Device for subdermal insertion of solid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