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62B1 -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262B1
KR101493262B1 KR20130034288A KR20130034288A KR101493262B1 KR 101493262 B1 KR101493262 B1 KR 101493262B1 KR 20130034288 A KR20130034288 A KR 20130034288A KR 20130034288 A KR20130034288 A KR 20130034288A KR 101493262 B1 KR101493262 B1 KR 10149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skin
hair loss
mixture
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421A (ko
Inventor
이팔진
Original Assignee
이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팔진 filed Critical 이팔진
Priority to KR2013003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262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피부 관리를 위한 회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된 피부 가려움을 완화하고, 또한 두피 가려움이나 이 증상에 의해 발생되는 탈모 증상을 완화함으로써 발모촉진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능성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a) 전처리과정으로서 끓는 물 100℃에서 약 5분 동안 닭의장풀을 넣어 닭의장풀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단계;
⒝ 추출용매인 가공수를 이용, 소금과 닭의장풀을 넣고 이를 일정온도인 95℃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 상기 추출물의 온도를 일정 수준인 50∼60℃까지 낮추고 여기에 멘톨과 티트리에션셜오일을 넣고 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혼합물을 20∼25℃에서 24∼48시간 동안 실온에서 숙성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Skin care cosmetic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 피부 관리를 위한 회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된 피부 가려움을 완화하고, 또한 두피 가려움이나 이 증상에 의해 발생되는 탈모 증상을 완화함으로써 발모촉진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인체의 상태는 개개인별로 다양하고 여러 가지 내외부 요인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반응을 한다. 예를 들면, 모기와 같은 외부 요인의 영향에 의해 가려움이 발생한다거나 인체 건강 상태에 따라 그 결과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거나 염증과 같은 피부 상의 문제에 의하여 가려움이 발생하는 등 예기치 않은 요인에 의한 반응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은 의학적인 치료를 받거나 아니면 민간요법 또는 구전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을 통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약물을 포함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그 증상이 완화되어 치유되어야 하지만, 그 원인에 따라 증상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피부는 근본적으로 물리적인 외부의 힘, 화학적인 독성물질의 침해,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의 침입, 일광욕 등의 외적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방어하는 보호기능과 흡수작용, 공기호흡, 땀과 같은 독소 물질의 배설, 외부 자극에 대한 감각 기능 등을 갖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이 피부를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흔히 정상적이라는 건강상태를 말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뭔가 스스로 판단할 수 없는 이상 징후를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는 체내의 유해물질과 노폐물들을 배설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물질들이 배출되지 못하면 이의 원인으로 다양한 증상이 피부에서 발생된다. 그 중 한 가지는 피부 트러블이라고 할 수 있는 가려움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예기치 않고 순간적으로 발생 되는 증상이라 할 수 있다. 대개는 가려움이 발생 되면 가볍게는 물리적인 힘으로 자극을 가하여 가려움을 완화시키거나 없앨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의학적인 처방에 의한 약물에 의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두피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두피를 피부와 다르게 보는 것은 두피의 증상에 따라 탈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사실 탈모는 특별한 신체적인 문제를 동반하지는 않지만 외모 콤플렉스(complex)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신건강에 위협을 주는 요인이다. 두피에 각질 및 노폐물들이 피지와 섞여 표면에 쌓이게 되면 이 물질이 두피 모공을 막아 피부 호흡에 장애가 발생한다. 또한, 이 물질은 두피에 염증을 유발하여 탈모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그 결과 모발이 가늘어지고 결국은 탈모로 이어지는 극심한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두피 가려움도 남녀를 포함한 다양한 계층에서 발생되기도 하는데, 계속된 두피 가려움은 탈모증세로 이어지기도 한다.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 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다. 또 의학보고에 의하면, 탈모증의 주요 원인은 남성호르몬의 과잉 분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남성호르몬 탈모(male pattern baldness)라고 부르는 안드로겐 탈모증(androgenic alopecia)이다.
상기 안드로겐 탈모증이 있는 경우 건강한 모발은 점차로 가늘어지고, 짧아지며, 모발이 약해져서 쉽게 부서지는 축소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결국 가늘고 눈에 잘 보이지 않으며 짧은 솜털로 변하는 사이클을 통해 탈모가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 남성호르몬 활성 억제를 통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두피의 건강성을 유지하여 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모발의 세척을 위해 일반적으로 비누 또는 샴푸와 같은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모발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순한 세척만이 아니라, 두피와 모발의 건강을 통한 탈모를 예방하기 위해 기능성 샴푸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밖에도 한방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들 대부분은 탈모 또는 발모에 대한 기능성을 강화하여 샴푸의 기본 기능인 세척능력이 떨어지거나, 또는 탈모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거나, 탈모에 대한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한약성분의 향이 너무 강하여 역한 냄새가 나거나 샴푸를 하고 나서 머릿결이 뻣뻣해지는 현상이 일어나 소비자들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의학과학과 연계하여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육모 및 탈모 기전에 관여하는 조절인자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모발주기에 관련된 여러 인자들과 그들의 수용체에 의한 신호전달에 의해 육모효과가 조절됨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 가려움이나 탈모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아직까지 없다. 다만, 그 가려움은 일부 해소되지만 중요한 것인 근본적인 원인 규명이 안 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 증상에 대한 해결책은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리하여 멜라민 성분을 억제하고 혈당강화를 하는 "닭의 장풀"을 이용한 화장료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특허 제 10-2010-0124033호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공개 되었는데 그 조성물은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또한, 특허 제 10-0192835호의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닭의장풀 추출물"이 공개되었는데, 그 혼합물은 "닭의장풀을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물로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남은 수층을 농축하여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1-데옥시만노지리마이신, 2,5-디하이드록시메틸 3,4-디하이드록시 피롤리딘 또는 호모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는 활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공개 되었다.
그러나 상기 닭의 장풀을 이용한 공개 특허는 닭의장풀 추출물에 유기용매와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화장료 및 혈당강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지만, 탈모의 방지를 위한 효과를 얻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부 트러블과 이에 의한 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인 인체의 어떠한 부작용도 주지 않고 피부 가려움이 있는 부분에 스프레이 함으로써 그 증상을 완화할 수 있고, 또한 두피의 가려움을 완화함으로써 탈모를 예방하여 발모 촉진을 활성화시키는 피부관리 기능성 화장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선 (a) 전처리과정으로서 끓는 물 100℃에서 약 5분 동안 닭의장풀을 넣어 닭의장풀에 포함된 불순물(예를 들면, 흙, 이물질 등)을 여과하는 단계; ⒝ 추출용매인 가공수를 이용, 소금과 닭의장풀을 넣고 이를 일정온도인 95℃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 상기 추출물의 온도를 일정 수준인 50∼60℃까지 낮추고 여기에 멘톨과 티트리에션셜오일을 넣고 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혼합물을 20∼25℃에서 24∼48시간 동안 실온에서 숙성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가공수는 두 가지의 성질을 활용하는데, pH와 ORP이다. pH는 알칼리 척도를 나타내며, ORP는 산화 및 환원되는 준위를 나타낸다. pH의 값은 1∼14까지의 범위를 갖는데, 이 숫자가 클수록 강한 알칼리 성질을 띠며, ORP의 값이 적을수록 산화 및 환원되는 성질이 강함을 나타낸다.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가공수의 pH는 8.5∼9.5, ORP는 100∼-100㎷ 사이의 값이 되도록 제조하고, 그 용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구분하여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초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가공수에 소금과 음건된 닭의장풀을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다. 가공수 100g 기준에 소금은 1 내지 5g 중량부, 닭의장풀은 음건 후 0.1 내지 1g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소금은 1 내지 2g 중량부, 닭의장풀은 0.2 내지 0.6g 중량부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혼합물을 추출용매에 담아 95℃에서 2∼3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을 50∼60℃사이로 식힌 다음 여기에 멘톨과 티트리에션셜오일을 첨가하는데, 멘톨은 0.05 내지 0.1g 중량부, 티트리에션셜오일은 0.05 내지 0.1g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멘톨은 0.05 내지 0.08g 중량부, 티트리에션셜오일은 0.05 내지 0.07g 중량부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은 밀폐용기에 담아 상온인 20∼25℃에서 24∼48시간 숙성시켜 여과지에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가려움이나 두피 가려움에 의해 발생된 탈모 방지용 천연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해가 없으며,
또한, 피부 가려움이 있는 부분에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고, 가볍게 문질러 마사지함으로써 피부 가려움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는 가려움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두피 가려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탈모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더불어 발모 촉진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탈모는 두피에 쌓여 있는 여러 가지 물질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들 물질들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에 의해 중화되어 제거됨으로써 가려움이 완화되고, 동시에 탈모가 지연되는 현상에 의해 탈모가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밖에도 피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증상 및 다양한 트러블에도 그 효과를 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가공수를 이용, 소금, 닭의장풀, 멘톨, 티트리에션셜오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그 사용 용도가 단순히 피부 가려움을 완화시키기 위한 용도인가 두피 가려움에 의한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용도인가 등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국한되어 사용되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가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각 성분별 중량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내용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가 천연재료들이고, 인체에 해가 없는 성분들이기 때문에, 일부 성분의 중량비가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피부 관리 효과가 크게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금은 염화나트륨(NaCl)이 주성분인 짠 맛이 나는 흰 결정체로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의 생존에 없어서는 안 될 물질이다. 특히, 사람의 체액 속에는 0.9%의 염화나트륨이 함유되어 있다. 이 농도가 유지되어야 세포막의 전위차가 잘 유지가 되고, 혈액 조절을 통해 혈압도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이를 통해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해줄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을 비롯하여 몸을 단단하고 부드럽게 풀어주는가 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체내의 독소를 밖으로 끌어내 소변과 땀으로 나오게 한다.
소금의 용도는 매우 다양해서 식품용, 의료용, 미용용, 공업용, 절임용, 정수용, 화공약품 등 가정이나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이 중 의학적인 활용 분야를 살펴보면, 감기예방, 축농증, 치질, 화상, 치통, 목이 아플 때, 더위 먹었을 때 사용되며, 그 외에도 두통, 현기증, 가슴앓이, 속이 막힐 때, 위산 부족, 위통 등과 더불어 피부에서 발생되는 두드러기, 부스럼, 알레르기, 종기, 머리비듬, 파상풍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소금은 피부에도 그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통의학에서도 이를 입증하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소금을 넣고 끓인 물로 헌데를 씻으면 종독이 삭아진다"라고 했으며, 『방약합편』에서는 "일체의 충상(蟲傷), 창종(瘡腫), 화작창(火灼瘡)에 살이 돋게 하여 피부를 보호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식품비방』에서는 "큰 병을 앓고 난 뒤에나 산후 또는 빈혈이나 극도로 피로한 경우에 종종 머리가 빠진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럴 때 소금 한 줌을 물 한 되로 달여 마시면 탈모를 줄일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소금의 종류로는 해염과 암염이 있으며, 상기 해염은 바닷물에 포함된 소금으로써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들여 햇볕과 풍력으로 증발, 농축시켜 만들고, 암염은 소금 덩어리로 이루어져 오염이 없고 미네랄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칼륨, 마그네슘, 철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신체에 불필요한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금은 가공수 100g 기준에 1 내지 5g 중량부를 차지하는 것으로, 1g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가려움 완화 효과가 떨어지며, 5g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 관리를 위한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소금은 1 내지 2g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닭의장풀은 학명이 (family, Commenlinaceae, Spiderwort 또는 Dayflower family)이다. 한국에서는 닭의장풀라고 하며, 또한 압척초라고 부른다. 닭의장풀 종(Commenlina species)에는 C. communis L, C. diffusa Burn, C.elegans Kunth, 그리고 C.Benhalensis L.로 분류된다. 높이 20~90 cm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종(species)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흔한 풀이다. 잎은 어긋나게 붙는 데 좁고 긴 달걀 모양이며, 여름철에 잎 모양의 꽃 갓을 쓴 하늘색 꽃이 핀다. 각지의 길섶, 들판, 밭에서 널리 자란다.
닭의장풀에는 스테롤(sterols), 알카로이드(alkaloids), 카페인(caffeine), 안토시아닌(anthocyanins : 물에서 용해 가능한 플라보노이드 색소)와 카로티노이드(carotinoids)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화합물은 강력한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M.Raquibul Hasan, M.M.Hossain, R.Akter, M.Jamila, M.E.H.Mazumder, M.A.Alam, A.Faruque, S.Rana and S.Rahman, "Analgestic Activity of the Different Fraction of the Aerial Parts of Commmelina benghalensis Linn",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6 (1) : 63-67, 2010)
국내의 동의치료에서는 닭의장풀 전초를 건조하여 끓이고, 이를 복용함으로써 열내림, 이뇨, 염증 완화를 위한 급성열병, 물고임, 콩팥염, 요도염, 눈염증, 적리, 설사, 인후아픔에 사용하였으며, 민가에서는 벤 상처, 뱀에 물린데 등에 칩포제로서 잎을 사용해 왔으며, 신경통에는 목욕을 위한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외국에서도 닭의장풀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Ibrahim, Jemilat: Ajaegbu, Vivian Chioma: egharevba, Henry Omoregie, "Pharmacognostic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Commenlina benghaensis L.", EthnobotanicalLeaflets 14: 610-15, 2010)에 의하면, 닭의장풀에는 phlobatannin, 탄수화물, 타닌, 글리코시드, 휘발성오일, 레진, 발삼, 플라보노이드와 사포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제, 항알레르기, 항염, 항균성, 항암작용을 가지며, 타닌은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성질이 있어 상처 및 화상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레진과 발삼은 인후염 류마티즘, 상처 및 화상을 위한 치료뿐만 아니라 진정 및 완화제로 사용되는데 레진과 발삼에 소독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사포닌과 글루코시드는 신진대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심장기능과 심장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특히, 사포닌은 항암과 면역조절기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Makio Shibano, Koji Kakutani, Masahiko Taniguchi, masahide Yasuda, Kimiye Baba, "Antioxidant constituents in the dayflower(Commenlina communis L.) and their α-glucosidase-inhibitory activity", Journal of National Medical(2008) 62 : pp349-353)에 의하면, 닭의장풀에는 11가지의 flavonoid glycosides(antioxidants, isoquercitrin, isorhamnetin-3-O-rutinoside, isorhamnetin-3-O-β-D-glucoside, glucoluteolin, chrysoriol-7-O-β-D-glucoside, orientin, vitexin, isoorientin, isovitexin, swertisim, flavocommelin)가 지상부로부터 확인되었다. 이 중 glucoluteolin, orientin, isoorientin, isoquercitrin은 매우 뛰어난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질에 의해 닭의장풀은 다양한 치료 또는 치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Mohammad A A Khann, Mohammad T Islam, Md.Asheikur Rahman and Qamrul Ahsan, "Antibacterial activity of different fraction of Commenlina benghalensis L. ". Der Pharmacia Sinica, 2011, 2(q) : 320-326, http://www.pelagiaresearchlibrary.com)에서 닭의장풀은 의학적 성질을 통한 귓병, 화농성 통증, 화상, 결막염과 피부병(습진, 종기, 여드름, 옴, 사마귀)에 사용되며, 이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은 피부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 장내구균, 세균성 인두염, 장티푸스균, 대장균, 이질의 기인균, 녹농균 등에 탁월한 살균 및 살충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Parekh J and Chanda S, "In vitro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aqueous and alcoholic extracts of various Indian plant species against selected pathogens from Enterobacterialaceae," African Journal of Microbiology Research Vol. 1(6) pp.092-099, November 2007)에서는 닭의장풀과는 전초로부터 이뇨, 설사, 열, 나병 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닭의장풀을 이와 같은 치료 또는 치유와 같은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가들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brahim, Jemilat: Ajaegbu, Vivian Chioma: egharevba, Henry Omoregie, "Pharmacognostic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Commenlina benghaensis L.", EthnobotanicalLeaflets 14: 610-15, 2010에 의하면 많은 나라에서 닭의장풀을 의학적 목적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데, 나이지리아에서는 발이 아픈 곳에 칩포제로 사용되며, 동아프리카에서는 식물 즙을 이용하여 결막염, 인후염과 화상에 사용되며, 잠비아에서는 이 식물 즙을 이용하여 눈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디아에서는 진정제, 수렴성의 완화제, 쓰린 곳의 치료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카메룬에서는 줄기를 상처치료에 사용되며, 이뇨, 열을 내릴 때, 항염과 완화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Wendy Ann P. Isaac and Richard A. I. Brathwaite, "Commenlina Species - A Review of its Weed Status and Possibilities for Alternative Weed Management in the Tropics," AgroThesis(2007); Vol5, No.1 : 3-18에 의하면 닭의장풀의 약효 활용에 대한 각 나라별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종기, 복수, 출혈, 벌레 물린데, 감기, 결막염, 설사, 이질, 임질과 심장질환에 사용되고 있으며, 네팔에서는 치질, 염증이 있는 자궁, 후두염, 나병, 말라리아, 볼거리, 중이염, 고통을 수반한 생리, 인두염, 류마티스성혈관염, 인후염, 뱀에 물린 상처, 편도염과 종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Latin과 남아메리카는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닭의장풀을 사용하고 있다. 멕시코에서는 결막염, 피부염, 생리통에 사용하고 있으며, 파라과이에서는 장염, 임질, 불임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도미니카 공화국의 Haitai와 South America에서는 신장병, 백대하, 말라리아, 신경질환, 분만 후의 고통, 폐결핵, 종양과 성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에콰도르와 페루에서는 두통을 줄이기 위해 차로 사용하고 있다. (S.M.Raquibul Hasan, M.M.Hossain, R.Akter, M.Jamila, M.E.H.Mazumder, M.A.Alam, A.Faruque, S.Rana and S.Rahman, "Analgestic Activity of the Different Fraction of the Aerial Parts of Commmelina benghalensis Linn",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6 (1) : 63-67, 2010)에서도 유사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인디아(Indian)에서는 전통의학으로서 다양한 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는데, 아구창, 결막염, 정신이상, 간질, 어린이의 코막힘, 정신이상, 안구돌출에 사용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뇨, 열, 항염에 사용되며, 파키스탄에서는 동물사료로 사용되며, 야채로 먹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염증 및 나병을 치료한다거나 완화제로서의 의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닭의장풀은 전초(whole plants)에 대해 건조한 후에 사용되는데, 물 100g 기준에 0.1 내지 1g 중량부가 사용되는 특징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g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g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닭의장풀의 기능 효과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1g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 관리를 위한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닭의장풀은 0.2 내지 0.6g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멘톨은 박하뇌라고도 하며, 소염작용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그 중 피부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염증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복용하여도 효과를 볼 수 있는데 특히, 피부점막의 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피부 가려움증에 도움이 된다. 화학식은 C10H20O. 분자량은 156.27, 녹는점은 41.6℃, 비중은 0.890(15℃)이다.
종래의 합성 멘톨은 이성질체의 혼합물인 경우가 많아 녹는점이나 향기면에서 천연의 박하보다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정제법이 발달하여 천연품 못지않은 합성 L-멘톨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양을 입에 넣으면 혀를 찌르는 듯한 느낌이 있으나 소량일 때에는 청량감이 난다. 의약품·과자·화장품 등에 첨가하며, 진통제나 가려움증을 멈추는 데에도 사용된다. L-멘톨 외에 D-멘톨과 DL-멘톨도 알려져 있으나 천연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DL체는 녹는점 35~36℃이며, 티몰을 환원하면 생기고, D체는 DL체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멘톨은 가공수 100g 기준에 0.05 내지 0.1g 중량부가 사용되는 특징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멘톨은 0.05 내지 0.08g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5g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멘톨의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0.5g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 관리를 위한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멘톨은 0.05 내지 0.08g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트리에션셜오일에서 티트리의 학명은 Melaleuca Alternifolia로 도금양목 도금약과의 상록교목으로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이며, 늪지대에서 자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항 박테리아 기능이 있기 때문에 각종 트러블 피부를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공기를 상쾌하게 하는 정화작용을 통해 각종 감염증, 입냄새, 무좀, 비듬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주기도 한다. 가공하지 않는 자연 상태의 티트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지루염, 건선(각질과 붉음을 줄이기 위해), 습진(가려움과 홍반을 없애기 위해) 등의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쓰여 왔고, 살균소독제, 탈취제, 비누, 공기 정화제에도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티트리의 활성성분은 cineol, pinene, terpinenes, 다양한 알코올과 함께 상당량의 terpineol을 함유하고 있다. 유칼립투스와 조금 비슷하며 강력한 의료 향을 지니며 오일색상은 창백한 노랑이거나 거의 무색에 가깝다. 특히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에센셜 오일은 많으나 살균효과가 있는 에센셜 오일은 그리 많지 않다는 점에서 티트리는 유용하다. 백선과 무좀과 같은 균 감염에 효과적인 치료제로써 그리고 칸디다 또는 아구창의 원인 균인 Candida albicans 증식 조절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또한, 예방차원으로 티트리를 수술 전의 환자에게 사용하여 면역력을 증가시키는데 사용한다. 수술하기 몇 주 전에 목욕 또는 마사지를 해주고 수술 후에도 환부를 피해서 계속해서 사용해주면 수술 후 쇼크 예방에도 좋다.
상기 티트리에션셜오일은 가공수 100g 기준에 0.05 내지 0.1g 중량부가 사용되는 특징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7g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5g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티트리에션셜오일의 기능 효과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0.1g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 관리를 위한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티트리에션셜오일은 0.05 내지 0.07g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두 가지로 나누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 예1.
가공수를 이용하여 음건된 닭의장풀을 넣고 끓는 물 100℃에서 약 5분 동안 끓인 후 닭의장풀을 세척, 살균 및 살충한다. 초기 닭의장풀에는 흙을 비롯한 벌레, 이물질 등 많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끓는 물에 세척 또는 살균, 살충 등을 통해 적용 가능한 최적으로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두 번째로, 가공수 100g 기준에 소금 1.5g 중량부, 닭의장풀 0.2g 중량부를 넣고 100℃로 가열하여 끓인 후에 온도를 95℃로 낮추어 2시간 동안 가열한다. 셋째로, 이 과정이 끝나고 상온에 의해 온도가 50℃에 되면 여기에 멘톨 0.05g 중량부와 티트리 에센션 오일 0.05g 중량부를 넣고 이를 혼합한다. 넷째로, 세 번째 단계에 의해 발생된 기능성 조성물의 결과물을 실온 25℃에서 36∼48시간동안 숙성시키고, 이를 여과포를 통해 최종 기능성 조성물을 완료한다.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가 가려운 남녀 포함하여 10명을 대상으로 약 2개월 동안 사용하면서 그 상태를 추적하였다. 이들의 증상은 피부질환이라고 할 수 있는 목 주변, 팔 상박, 허벅지, 배 등의 위치에서 가려움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기 가려움 상태는 피시험자의 의사표현을 통해 그대로 적용했다. 이들의 공통점은 특정 부위 중심으로 가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처방요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을 권장함에 있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방법과는 관계없이 블라인드 테스트(BLIND TEST)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사용방법은 가려움이 있는 부분에 스프레이 한 후 가볍게 마사지하도록 권장했고, 가려움이 발생할 때마다 수시로 스프레이 하도록 권장했다. 특히 가려움은 내적인 요인과 외적인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내적인 요인으로는 신체 내의 불균형에 의한 피부 건조 등과 같은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외적인 요인으로는 모기와 같은 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피시험자 나이 가려운 부분 초기상태 경과
1개월 2개월
1 48 어깨 종종가려움
2 35 목 주변 자주가려움
3 54 발목 심하게 가려움
4 15 엉덩이 종종가려움
5 50 팔, 다리 자주가려움
6 44 목 주변 자주가려움
7 23 복부 자주가려움
8 40 허벅지 종종가려움
9 42 무릎 종종가려움
10 26 다리 자주가려움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월이 지나고 2개월 쯤 되어서야 가려움이 거의 사라짐을 알 수 있다. 초기 1개월 동안에 일부(20%)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의 신뢰성에 대한 확신이 약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즉, 단순한 블라인드 테스트를 위한 목적으로 이에 대한 시도가 희박했음을 의미한다. 다만 가려운 부분에 대한 효과가 있다고는 하지만 가려움은 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마다 스프레이를 하도록 권장했다.
실시 예2.
가공수를 이용하여 음건된 닭의장풀을 넣고 끓는 물 100℃에서 약 5분 동안 끓인 후 닭의장풀을 세척, 살균 및 살충한다. 초기 닭의장풀에는 흙을 비롯한 벌레, 이물질 등 많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끓는 물에 세척 또는 살균, 살충 등을 통해 적용 가능한 최적으로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두 번째로, 가공수 100g 기준에 소금 1.5g 중량부, 닭의장풀 0.3g 중량부를 넣고 100℃로 가열한 후에 온도를 95℃로 낮추어 2시간 동안 가열한다. 셋째로, 이 과정이 끝나고 상온에 의해 온도가 50℃에 되면 여기에 멘톨 0.08g 중량부와 티트리 에센션 오일 0.07g 중량부를 넣고 이를 혼합한다. 넷째로, 세 번째 단계에 의해 발생된 기능성 조성물의 결과물을 실온 25℃에서 36∼48시간동안 숙성시키고, 이를 여과포를 통해 최종 기능성 조성물을 완료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을 탈모가 있는 남녀 포함하여 20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 동안 사용하면서 그 상태를 추적하였다. 이들의 증상은 탈모가 진행되고 있거나 심한 경우, 그리고 두피에 가려움이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탈모가 진행되고 있거나 심한 경우 대부분 타사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고 또한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어서 어떠한 새로운 제품에 대해 크게 신뢰감을 갖고 있지는 않은 듯 했다. 또한, 가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약제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 가려움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듯했다. 특히, 탈모가 심한 피시험자 일부는 초기와는 달리 지금은 일부 줄었다는 의견도 있는데, 아마도 탈모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을 꾸준히 사용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여기서 두피의 초기 상태는 피시험자의 판단한 상태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비록 제 3자 시각에서 탈모로 볼 수는 없지만, 본인이 느끼는 그 상태가 가장 적절한 판단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피시험자 나이 두피상태
(초기)
경과
1개월 2개월 3개월
1 44 탈모진행
2 52 탈모심함
3 56 탈모심함
4 53 탈모심함 ×
5 37 가려움
6 40 탈모진행 ×
7 48 탈모심함
8 50 가려움
9 52 탈모진행
10 50 탈모심함
11 50 탈모심함
12 47 탈모심함
13 45 탈모심함
14 25 가려움
15 27 가려움
16 35 탈모진행 ×
17 42 탈모심함
18 47 탈모진행 ×
19 50 탈모진행
20 49 가려움
상기 [표 2]에서 두피 상태를 나타내는 ‘탈모진행’, ‘탈모심함’, ‘가려움있음’에 대한 기준은 피시험자 의견에 따른 내용이며, ○(양호), △(보통), ×(변화없음)에 대한 기준은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한 피시험자의 확인을 통해 얻은 결과이다. 피험자에 대한 평가는 초기 1개월이 지난 후 결과는 20%만이 ‘변화없음’을 나타냈지만, 2개월 사용 후에는 모두 ‘보통’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3개월 후에는 이 실험에 참여한 피시험자 80%가 ‘양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은 피부가려움이나 이 원인에 의한 탈모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관리를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a) 전처리과정으로서 끓는 물 100℃에서 5분 동안 닭의장풀을 넣어 닭의장풀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단계;
    ⒝ 추출용매인 가공수 100g에 소금 1 내지 5g중량부, 닭의장풀 0.1 내지 1g 중량부를 넣고 100℃로 가열한 후에 온도를 95℃로 낮추어 2∼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 상기 추출물의 온도를 50∼60℃까지 낮추고 여기에 멘톨 0.05 내지 0.1g 중량부과 티트리에션셜오일 0.05 내지 0.1g 중량부를 넣고 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혼합물을 20∼25℃에서 36∼48시간 동안 실온에서 숙성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034288A 2013-03-29 2013-03-29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4288A KR101493262B1 (ko) 2013-03-29 2013-03-29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4288A KR101493262B1 (ko) 2013-03-29 2013-03-29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421A KR20140118421A (ko) 2014-10-08
KR101493262B1 true KR101493262B1 (ko) 2015-02-13

Family

ID=5199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4288A KR101493262B1 (ko) 2013-03-29 2013-03-29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2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751A (ja) 2005-11-28 2007-06-14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老化剤、スリミング剤、及び保湿剤、並びに皮膚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751A (ja) 2005-11-28 2007-06-14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老化剤、スリミング剤、及び保湿剤、並びに皮膚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421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0050A (zh) 沉香挥发油原液在制备护肤品中的用途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CN107496977B (zh) 一种用纯天然植物提取物制备的液体敷料及其制备方法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CN101181208B (zh) 一种含天然抗菌素的漱口液及其制备方法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Rizvi et al. Medicinal flowers of Pakistan
CN110327232A (zh) 一种救必应漱口水
KR101604109B1 (ko) 야외활동용 천연화장료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umar et al. Traditional Indian herbal plants tulsi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CN105708763A (zh) 一种含有艾叶提取物的花露水及其制备方法
CN104924953A (zh) 一种具有提神健脑功能的汽车脚垫组件
KR102282642B1 (ko)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0486636C (zh) 治疗牙齿敏感证的糊剂及其制备方法
KR101493262B1 (ko)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ndit et al. A short overview on significance of betel leaf (Piper betle) and its applications
CN111481567A (zh) 一种复方臭氧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JPH11322627A (ja) 抗アレルギー性皮膚外用組成物
CN104921567B (zh) 一种具有红外线保健功能的多用途卧室用地毯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6711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