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038B1 -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 - Google Patents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038B1
KR101493038B1 KR20130129557A KR20130129557A KR101493038B1 KR 101493038 B1 KR101493038 B1 KR 101493038B1 KR 20130129557 A KR20130129557 A KR 20130129557A KR 20130129557 A KR20130129557 A KR 20130129557A KR 101493038 B1 KR101493038 B1 KR 10149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injection port
segment
shield tunne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콘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콘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콘소재
Priority to KR2013012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에 관한 것이다: (a) 원통의 본체(body); 및 (b)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환형 테두리의 립(lip); 그리고, 상기 환형 테두리의 립은 두께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상기 립의 일면에서 마주보는 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약제 주입구는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에 일체 형성시 콘크리트 소재의 수축 변형으로 인해, 상기 약제 주입구와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인접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상기 립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억제함으로써, 지하수의 누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A Drug Inlet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of Water Leakage of Segment for Shield Tunnel or Propulsion Du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를 위한 구조를 가지는 약제 주입구에 관한 것이다.
도시 기반 시설인 지하철, 상/하수도, 전기, 통신선로, 가스관로 등을 지중에 매설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주로 지반을 개착하여 관로를 설치하는 개착식 공법에 의해 시공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착식 공법의 경우, 소음, 분진 등의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이나 연약지반 등에서는 지반침하의 우려가 있었으며, 나아가 교통이 복잡한 도심 지역 등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교통 장애를 일으켜 생활을 크게 불편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비개착식 공법으로서 지상 굴착 작업 없이 지하에서 굴진기에 의해 지하터널을 만드는 쉴드(shield) 공법이 개발되어 널리 채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쉴드 공법은 주로 대구경의 터널로 지하철이나 전력구 등의 지하터널을 건설할 때 발진구 위치의 지하 수직구 속에서 쉴드 머신(shield machine)이 지층을 뚫고 나아갈 때 막장 전면에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막장압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수식 또는 이토압식 공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굴진으로 형성된 터널에는 세그멘트(segment)라는 터널 형성용 구조물을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쉴드 터널 공사 시에 사용되는 쉴드 터널용 세그멘트는 구조상 그 크기가 대형이고 고중량물이므로 조각 단위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조립 사용된다. 이러한 세그멘트는 반달모양의 조각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장에서 원통형으로 일차 조립된 후 원통형으로 조립된 세그멘트들은 길이방향으로 상호 조립되어 터널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 때 형성된 세그멘트 터널 외부에는 굴진시 오버 컷팅(over cutting)으로 인해 발생된 빈공간인 여울(tail void)이 남아 있게 되는데, 이러한 여울부분을 뒷채움으로 메꾸어주지 않으면 지반의 함몰이나 불균형의 토압이 발생되어 세그멘트의 균열 파손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뒷채움재(back fill)로는 가소상 그라우트 공법이나 LW 공법으로 주로 시공되는데 이는 세그멘트에 만들어져 있는 약제주입구 일명 뒷채움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하게 된다.
한편, 추진관 공법(SEMI-Shield)은 소형관로를 매설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채택되고 있는데, 이 추진관 공법은 수직 작업구 내에 세미-쉴드 머신(SEMI-shield machine)이라는 강재 원통형의 굴진기를 투입시킨 다음 기계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토사 굴착용 커터헤드를 회전시키면서 지반을 굴착하여 나가고, 추진관을 유압 잭(jack)을 사용하여 압입 추진시켜 설치하는 것을 반복함에 의해 터널을 굴착하고 관을 매설하는 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추진관 공법에 있어서 지중에 굴착된 공간 내로 관체(주로 흄관을 사용)를 밀어 넣을 때에는 관외부와 지반 사이의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상당한 추진력이 요구되는데, 이때 유압잭에 요구되는 추진력을 감소시기 위하여 흄관에는 약제주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약제 주입구를 통해 각종 윤활제를 관 외측으로 주입시킴으로써 흄관이 굴착면을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굴진과 추진관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관체 외부의 공극을 메우기 위하여 상기한 약제주입구를 통해 시멘트 몰탈 가소상그라우트재 등으로 이루어진 뒷채움재를 충진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어지는 약제주입구는 나일론 또는 플라스틱수지의 소재로 구조는 원통형으로 세그멘트나 추진관의 콘크리트 중간에 삽입되어 있다. 그런데 콘크리트와 접하는 외부면에는 상이한 소재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수축 변형시 접하는 면이 분리되어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도 4). 이 때 발생된 틈새를 통해 지하수가 터널내로 스며들어 터널 내부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콘크리트에 삽입되어 있는 약제주입구는 나일론 또는 플라스틱수지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콘크리트와 상이한 소재임으로 인하여 수축 변형시 접하는 면이 분리되어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약제 주입구의 외주면에, 두께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진 테모양의 립(lip)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약제 주입구를 제조한 결과, 약제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립의 두꺼운 부분이 콘크리트의 수축 변형시 틈의 발생을 방지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에 이용되는 걸림턱 역할의 테모양의 립(lip)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약제 주입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를 제공한다: (a) 원통의 본체(body); 및 (b)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환형 테두리의 립(lip); 그리고, 상기 환형 테두리의 립은 두께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상기 립의 일면에서 마주보는 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는 (c) 상기 원통형 본체와 체결되는 캡; 및 (d)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캡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하는 고무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d)의 고무링은 ⅰ)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 ⅱ)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 및 ⅲ) 상기 캡의 상부면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의 상부에는 고무링 안쪽으로 환형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를 제공한다: (a) 원통의 본체(body); 및 (b)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환형 테두리의 립(lip); 그리고, 상기 환형 테두리의 립은 두께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상기 립의 일면에서 마주보는 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b) 본 발명의 약제 주입구는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에 일체 형성시 콘크리트 소재의 수축 변형으로 인해, 상기 약제 주입구 외부면과 콘크리트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상기 립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억제함으로써, 지하수의 누수를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주입구에 포함되는 고무링(O-링) 및 상기 고무링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주입구에 포함되는 고무링 및 상기 고무링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주입구에 포함되는 고무링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으며,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200)의 약제 주입구(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약제 주입구(100)는 도 2 및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a) 원통의 본체(body)(10); 및 (b)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환형 테두리의 립(lip)(20);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테두리의 립은 두께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상기 립의 일면에서 마주보는 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자들은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콘크리트와 접하는 약제 주입구의 외부면에는 상이한 소재임으로 인하여 수축 변형시 접하는 면이 분리되어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약제 주입구의 외주면에 직경이 일면에서 마주보는 면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진 다수의 립(lip)을 형성하여 약제 주입구를 제조한 결과, 약제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립이 콘크리트의 수축 변형시 틈의 발생을 방지함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약제 주입구는 고분자 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를 보여주고 있는데, 종래 약제 주입구는 원통의 본체(body)를 주 구성으로 하고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콘크리트 소재와 접촉면(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돌기가 형성이 되어 있으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에 상기 약제 주입구를 삽입시켜 일체로 형성시 세그먼트 및 추진관의 콘크리트 소재가 건조되면서 수축 변형이 되는 경우 약제 주입구와 인접면에 틈새가 발생하여 지하수 누수의 문제가 있다.
도 4는 종래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가 건조 양생되면서 수축 변형되면 약제 주입구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보면, 약제 주입구(100)의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환형 테두리의 립(lip)(20)의 두께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일면에서 마주보는 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짐으로써, 약제 주입구의 외주면과 인접한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200)의 인접면은 반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그먼트의 콘크리트 소재가 건조되면서 수축 또는 변형이 일어나도 약제 주입구의 환형 테두리의 립이 걸림턱 역할을 하여 상기 약제 주입구와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인접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밀봉하게 된다.
특히, 도 5의 확대도를 보면, 세그먼트 또는 수직관(200)의 콘크리트가 수축 변형되더라도, 약제 주입구(100)의 환형 테두리의 립(20)의 두꺼운 부분에 인접한 콘크리트 부분이 걸리게 되어 콘크리트와 약제 주입구의 인접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환형 테두리의 립(20)은 원통형 본체(1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원통형 본체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증가하다가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립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이다.
상기 환형 테두리의 립(20)은 하나 또는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1-6 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개,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 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200)의 약제 주입구(100)는 (c) 상기 원통형 본체(10)와 체결되는 캡(40); 및 (d)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캡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하는 고무링(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 주입구(100)의 (a) 원통형 본체(10)는 약제를 주입하는 일 말단의 내부에 암나사 형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약제 주입구는 (c) 상기 원통형 본체의 암나사 형태에 상응하는 수나사 형태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와 체결되는 약제 주입구 캡(40); 및 (d) 상기 암나사 형태가 형성된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약제 주입구 캡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하는 고무링(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약제 주입구(100)의 (a) 원통형 본체(10)는 약제를 주입하는 일 말단의 내부에 수나사 형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약제 주입구는 (c) 상기 원통형 본체의 수나사 형태에 상응하는 암나사 형태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와 체결되는 약제 주입구 캡(40); 및 (d) 상기 수나사 형태가 형성된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약제 주입구 캡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하는 고무링(30, 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주입구에 포함되는 고무링(O-링)(30) 및 상기 고무링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약제 주입구(100)를 통하여 약제(뒷채움재)를 주입한 후 고무링(30)이 끼어 있는 약제 주입구 캡(40)으로 약제 주입구를 막음으로써 지하수의 누수 및 약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주입구에 포함되는 고무링(30’) 및 상기 고무링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주입구(100)에 포함되는 고무링(3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고무링(30)은 도 7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O-링을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약제 주입구의 약제를 주입하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체결되는 캡 사이에 밀봉 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도 8 및 9와 같이 형성된 고무링(30’)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d)의 고무링(30’)은 ⅰ)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31), ⅱ)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32) 및 ⅲ) 상기 캡의 상부면 접촉부(33)로 구성되고,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10)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32)의 상부에는 고무링 안쪽으로 환형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33)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32)와 상기 ⅰ)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31) 및/또는 ⅲ) 상기 캡의 상부면 접촉부(33)와 이루는 각(a)이 90°또는 둔각(鈍角)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캡과 체결되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b)과 상응하게 각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의 내주면에 경사면이 90°보다 크고 110°보다 작은 각(b)으로 형성되었다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32)와 상기 ⅰ)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31) 및/또는 ⅲ) 상기 캡의 상부면 접촉부(33)와 이루는 각(a)은 90°보다 크고 110°보다 작은 각을 이루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의 내주면이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32)에 미끄러지듯이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의 내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았다면(b= 90°),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32)와 상기 ⅰ)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31) 및/또는 ⅲ) 상기 캡의 상부면 접촉부(33)와 이루는 각(a)이 90°로 형성된다.
상기 (d)의 고무링(30’)의 상기 ⅰ)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31)는 약제를 주입하는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일 말단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또는 수나사)와 수나사(또는 암나사)가 형성된 캡(40)을 체결하면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은 상기 ⅰ)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31)에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d)의 고무링(30’)의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33)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체결되는 캡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원통형 본체(10)와 캡(4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ⅰ)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31)에 가해진 힘에 의해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33)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힘이 가해져 개구 형성된 홈의 끝단은 벌어짐과 아울러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32)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어 일반 고무링(O-링)(30)에 비해 원통형 본체와 캡과의 접촉면이 늘어남으로 인해 밀봉 효과가 보다 개선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채택된 도 8의 고무링(30’)의 밀봉 작용과 관련해서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33)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체결되는 캡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개 형성되어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개 형성된다.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33)의 하부에 형성된 홈은 상기 캡의 상부면을 향해 개구 형성된 홈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홈은 ∩, ∧ 또는
Figure 112013098286955-pat00001
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의 형태의 홈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약제 주입구; 10: 원통형 본체(body);
20: 립(lip); 30, 30’: 고무링;
31: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 32: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
33: 캡의 상부면 접촉부; 40: 약제 주입구 캡;
200: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

Claims (3)

  1. 다음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소재의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약제 주입구:
    (a) 원통형의 본체(body);
    (b)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환형 테두리의 립(lip);
    (c) 상기 원통형 본체와 체결되는 캡; 및
    (d)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과 캡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하는 고무링;
    그리고, 상기 (b)의 환형 테두리의 립은 두께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된 상기 립의 일면에서 마주보는 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d)의 고무링은 ⅰ)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접촉부, ⅱ)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 및 ⅲ) 상기 캡의 상부면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ⅱ)의 원통형 본체의 일 말단 내주면 접촉부의 상부에는 고무링 안쪽으로 환형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ⅲ)의 캡의 상부면 접촉부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삭제
  3. 삭제
KR20130129557A 2013-10-29 2013-10-29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 KR10149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9557A KR101493038B1 (ko) 2013-10-29 2013-10-29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9557A KR101493038B1 (ko) 2013-10-29 2013-10-29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038B1 true KR101493038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9557A KR101493038B1 (ko) 2013-10-29 2013-10-29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11A (ko) 2020-07-01 2022-01-10 맥스콘소재 주식회사 세그먼트 뒷채움용 약제 주입구
KR20230022681A (ko) 2021-08-09 2023-02-16 정길영 터널 세그먼트에 형성되는 약제주입구의 방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397U (ko) * 1989-12-22 1991-09-05
JPH0744350U (ja) * 1991-12-13 1995-11-14 錫光 尹 埋込多様式インバート
JP2002038887A (ja) 2000-07-25 2002-02-06 Sumiken Concrete Kogyo Kk セグメントの注入孔部
JP2002295192A (ja) 2001-03-29 2002-10-09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セグメント用補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397U (ko) * 1989-12-22 1991-09-05
JPH0744350U (ja) * 1991-12-13 1995-11-14 錫光 尹 埋込多様式インバート
JP2002038887A (ja) 2000-07-25 2002-02-06 Sumiken Concrete Kogyo Kk セグメントの注入孔部
JP2002295192A (ja) 2001-03-29 2002-10-09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セグメント用補助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11A (ko) 2020-07-01 2022-01-10 맥스콘소재 주식회사 세그먼트 뒷채움용 약제 주입구
KR20230022681A (ko) 2021-08-09 2023-02-16 정길영 터널 세그먼트에 형성되는 약제주입구의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26624U (zh) 一种顶管的组合式中继间
US36657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ongated rods in unstable earth formations
KR101493038B1 (ko) 쉴드 터널용 세그먼트 또는 추진관의 누수 방지 구조의 약제 주입구
CN106979031B (zh) 一种隧道的瓦斯抽放系统及隧道结构
KR20190139507A (ko) 세미쉴드 공법의 추진관 및 이의 수밀구조
US20110061760A1 (en) Conduits and coupling systems for trenchless applications
CN210106788U (zh) 一种圆形沉井的顶管结构
JP2001254588A (ja) 推進工法の到達坑口壁
JP4467477B2 (ja) 推進管の到達用エントランス、到達用エントランスの構造および到達用エントランスの止水工法
CN106285696A (zh) 砂卵石地层矩形盾构顶掘土压平衡建立施工方法
CN1046981C (zh) 防止水流入地下管铺设区域的装置和方法
CN108474192A (zh) 在用于压低地面斜坡的压板侧具有固定装置的锚固器及其安装方法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KR102301170B1 (ko) 터널 세그먼트용 약제주입구의 방수구조
KR102579407B1 (ko) 터널 세그먼트에 형성되는 약제주입구의 방수구조
CN217558330U (zh) 一种顶管进出洞口加固结构
JP2005273170A (ja) 発進坑口壁
CN217872811U (zh) 一种淤泥质岩层的大口径顶管末端洞口止水装置
KR200427815Y1 (ko) 지하 추진관 약제주입구 막음변
JPH037797B2 (ko)
CN213269901U (zh) 一种预埋槽道的地铁pc管片
JP4133898B2 (ja) 掘進機の到達方法
JP4842613B2 (ja) 管路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JP2005163382A (ja) トンネル背面側空洞充填方法
JP2005344360A (ja) シールド工法及び推進工法における到達坑口止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