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931B1 -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931B1
KR101491931B1 KR20130123125A KR20130123125A KR101491931B1 KR 101491931 B1 KR101491931 B1 KR 101491931B1 KR 20130123125 A KR20130123125 A KR 20130123125A KR 20130123125 A KR20130123125 A KR 20130123125A KR 101491931 B1 KR101491931 B1 KR 10149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alue
wheel
dri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이상기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13012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19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ll-wheel-driveline means, e.g. transfer gears or clutche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front and rear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023/08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manually actuated
    • B60K2023/089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manually actuated with actuator levers, e.g. shift levers or linkage for changing two-wheel to four-wheel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8Four-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와, 차량을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와,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와,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와,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와, 4륜 전환 완료 단계를 포함한 모더 1의 제어 로직과, 아울러 한편, 상기 단계(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와, 차량을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와,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들의 수행은 동일하되,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와, 제어기의 제어로 2륜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와, 운전자에게 1차 경고하는 단계와, 기설정값과 3차 비교하는 단계와,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한 모더 2의 제어 로직을 병행하여 차량의 고속 주행 시 4륜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운전자에게 미리 예고하여 알리도록 한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Four Transfer Control Method Of Car Installed A Different Kind Of Tires}
본 발명은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타이어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속 주행 시에 4륜 구동 전환으로 야기되는 트랜스 및 구동계의 비틀림 및 부품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트타임(part time) 4륜 구동차량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의 2륜 구동 시에 트랜스미션(20)을 거쳐 리어 추친축(4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4륜 구동 시에는 트랜스퍼 케이스(30)를 통해 리어 추진축(40) 및 프론트 추친축(50)에 동시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전후륜(1)(2)을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트랜스퍼 케이스(30)는 선택모드 스위치(32)에 따라 콘트롤러(31)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런데, 이러한 동력전달장치는 예컨대, 4륜 구동상태에서 저속 주행 중에 급격한 스티어링 휠 조작 시 전후륜(1)(2)간 과도한 회전 차의 발생으로 전후륜 간의 슬립 및 브레이킹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여 파워 트레인계의 내구성 약화, 타이어의 마모 및 차체진동 등을 초래하게 한다.
한편,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2륜 구동차량과 4륜 구동차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륜 구동차량은 실제 구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륜의 위치 즉, 후륜 또는 전륜에 따라 FR(Front engine Rear drive) 형식과, FF(Front engine Front drive) 형식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4륜 구동차량은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륜과 후륜에 모두 전달하여 모든 차량을 구동함으로써, 젖은 빗길이나 눈길 또는 빙판 길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의 안정성과, 자갈 도로나 불규칙 도로와 같은 오프로드에서 차량의 주행 성능을 높여주는 방식을 말한다.
FR타입의 파트 타임 트랜스퍼(part-time transfer)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이종 타이어의 장착 시, 그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2륜에서 4륜 절환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4륜 구동 차량에 이종타이어를 장착하게 되면 전/후 구동계의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차량의 소음 및 부품 파손의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이러한 자동차의 동력전달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공개특허 특1999-0059461(특허문헌 1)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 특1999-0059461(특허문헌 1)호는, 콘트롤러에 스티어링 휠의 각도, 차량의 속도 및 선택된 2륜 또는 4륜 구동 모드를 감지하여 상기 콘트롤러에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 입력된 구동 모드가 2륜 구동 모드인지 또는 4륜 구동 모드인지를 비교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된 구동 모드가 4륜 구동 모드일 때 현재 휠의 각도와 차속이 설정된 휠의 각도 및 차속과 비교 판단하여 설정치 이하일 때 트랜스퍼유니트를 2륜 모드로 작동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4륜 구동 모드로 주행 중에 저속으로 급회전 시 2륜 구동 모드로 자동 절환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개특허 특1999-0059461(특허문헌 1)호의 경우, 4륜 구동 모드로 주행하는 중 저속으로 급회전 시에 2륜 구동 모드로 자동 절환하여 브레이킹 방지 및 타이어의 마모 방지나 파웨 트레인의 내구성 유지 및 차체 진동을 대폭 경감시키는 것을 효과를 갖지만, 이종 타이어를 교체한 차량이 고속 주행 중에 4륜 구동으로 전환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트랜스퍼 및 구동계의 비틀림이나 부품 파손 등과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미리 예고하여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공개특허 특1999-0059461
전술된 문제들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은,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채 차량이 고속 주행 영역에 진입하였을 경우 4륜 구동으로 전환할 때 야기되는 이종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로 인한 구동계의 비틀림 및 구동계 부품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4륜 구동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운전자에게 미연에 예고하여 알리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은, 상호 다른 규격을 갖는 타이어를 차량에 교체하는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와, 차량을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2륜 또는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와, 차량의 차속값을 제한 차속값과 비교하여 그 값이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에서의 제한 차속값과 비교시 그 값이 미만으로 판명될 때 제어기로 모터를 4륜 구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에서의 제어기 제어로 4륜 구동 위치로 이동한 모터에 의해 차량이 4륜으로 전환하여 주행하는 4륜 전환 완료 단계를 포함한 모더 1의 제어 로직인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차속값이 기설정된 제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명될 경우 모더 2에 포함된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로 수행되게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호 다른 규격을 갖는 타이어를 차량에 교체하는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와, 차량을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2륜 또는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와, 차량의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를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하여 그 값이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에서의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시 그 값이 이상으로 판명될 때 제어기로 모터를 미 기동시켜 차량의 2륜 상태가 유지되는 제어기의 제어로 2륜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와, 4륜 램프의 점멸(blink) 표시로 차량의 4륜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알리는 운전자에게 1차 경고하는 단계와, 운전자에게 1차 경고하는 단계에서의 4륜 램프의 점멸 유지시간을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과 비교하여 그 값이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기설정값과 3차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기설정값과 3차 비교하는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과 비교시 그 값이 이상으로 판명될 때 4륜 경고등의 점등 표시로 4륜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최종 알리는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한 모더 2의 제어 로직인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가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 시 미만으로 판명될 경우 모더 1에 포함된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로 수행되게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설정값과 3차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4륜 램프의 점멸(blink) 유지시간 값이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명될 경우 모더 1에 포함된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로 수행되게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리는 운전자에게 1차 경고하는 단계 및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는 단계는, 차속이 기설정된 제한값 이상일 경우와 아울러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가 기설정된 회전 제한 속도차 이상일 경우에 차량이 고속 주행 영역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4륜 구동 전환의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은, 차량이 고속 주행의 영역에 진입할 경우 4륜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 이종 타이어 장착에 따른 구동계의 뒤틀림이나 구동계 부품의 파손 및 소음을 미연에 방지하여 절환 및 구동계 부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트랜스퍼 및 구동계의 뒤틀림이나 구동계 부품의 파손 및 소음 문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부품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에 있어 모더 1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에 있어 모더 2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을 논리 흐름으로 전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존 풀 타임 트랜스퍼(Full-time transfer) 장착차량은 기본적으로 이종 타이어 감지 로직이 반영되어 있으나, 파트 타임 트랜스퍼(Part-time transfer) 장착차량은 반영된 사례가 없고, 현재 양산되는 대부분의 차량은 ABS기본장착 사양이며 전/후, 좌/우 속도는 CAN통신을 사용하여 4WD제어기에서 수신 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여러 경우의 수를 고려한 로직을 고안함에 따라 이종 타이어를 감지하여 트랜스퍼 및 구동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이종 타이어를 차량에 교체 장착한 상태로 주행 중 고속 영역의 범위에 진입하여 4륜 구동 방식으로 주행할 경우에 이종 타이어 교체에 따른 회전 속도 차로 야기될 수 있는 트랜스퍼 및 전후 구동계 부품의 비틀림이나 이로 인한 부품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4륜 구동 전환에 대한 위험 상황을 운전자에게 미연에 알릴 수 있도록 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더 1(100)을 도시한 순차적 블록도로서, 상기 모더 1(100)은,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110)와,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120)와, 스위치 조작하는 단계(130)와,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140)와,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150)와, 4륜 전환 완료 단계(160)를 포함한다.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110)
상기 단계(110)에서는, 폭과 크기 및 종류 등의 규격이 상호 다른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시키는 단계로서, 스페어 타이어를 차량에 교체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120)
상기 단계(120)에서는, 전 단계(110)에서 이종 타이어를 교체한 상태에서 차량을 2륜 구동 방식으로 유지시키며 주행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스위치 조작하는 단계(130)
상기 단계(130)에서는, 전 단계(120)에서 2륜 구동 방식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2륜 또는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140)
상기 단계(140)에서는, 전 단계(130)에서 운전자가 2륜 또는 4륜 구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방식을 선택한 상태로 주행하는 차량의 차속값을 기설정값인 제한값(시속, Km/h)과 1차 비교하는 단계로서, 운전자가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일례로 상기 기설정값의 제한값(시속, Km/h)이라 10km/h 가정할 때, 차량의 차속값이 제한값(시속, Km/h)인 10km/h 미만일 경우 후술되는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150)를 수행하게 되고, 만약 차량의 차속값이 제한값(시속, Km/h)인 10km/h 이상일 경우에는, 후술되는 주행모더 2(200)에 해당되는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240)를 수행하게 된다.
즉, 차량의 주행모더 1(100)에서는 차속값이 제한값 (시속, Km/h)인 10km/h 미만일 경우를 가정할 때 다음 단계인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150)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150)
상기 단계(150)에서는, 전 단계(140)에서 차속값이 제한값(시속, Km/h)인 10km/h 미만일 때, 전 단계(130)에서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 선택한 4륜 구동 방식을 허용하는 단계로서, 제어기로 모터를 기동시켜 4륜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4륜 전환 완료 단계(160)
전 단계(150)에서 제어기로 4륜 구동 방식을 허용함에 따라, 차량이 4륜 구동 방식으로 전환되어 주행됨으로써 모더 1(100)의 단계를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더 2(200)를 도시한 순차적 블로도로서, 상기 모더 2(200)는,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210)와,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220)와, 스위치 조작하는 단계(230)와,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240)와, 제어기의 제어로 2륜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250)와, 운전자에게 1차 경고하는 단계(260)와, 기설정값과 3차 비교하는 단계(270)와,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는 단계(280)를 포함한다.
상기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210)와,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220)와,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230)는 상기의 모더 1(100)에 해당되는 단계들(110,120,130)들과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230)에서 운전자가 스위치를 4륜 구동 방식으로 조작 선택한 경우에 상기 단계들(240,250,260,270,280)들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230)에서 운전자가 스위치를 4륜 구동 방식으로 조작 선택하였다면, 상기 모더 1(100)에 해당되는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140)에서 차량의 차속값이 기설정값인 제한값(시속, Km/h)의 10km/h 이상일 경우에 상기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240)를 수행하게 된다.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240)
상기 단계(240)에서는, 상기 모더 1(100)의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140)에서 차량의 차속값이 기설정값인 제한값(시속, Km/h) 10km/h 이상일 때, 앞 타이어와 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가 기설정값인 제한 회전 속도차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앞 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가 기설정값인 제한 회전 속도차와 비교하여 이상일 때, 후술되는 제어기의 제어로 2륜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250)를 수행하게 된다.
제어기의 제어로 2륜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250)
상기 단계(250)에서는, 전 단계(240)에서의 차량 차속값이 기설정값인 제한값(시속, Km/h) 10km/h 이상으로 판명된 경우, 전 단계(230)에서의 운전자가 스위치를 4륜 구동 방식으로 조작 선택한 지시를 제어하는 단계로서, 4륜 구동 위치로 이동하려는 모터를 제어기로 미 기동 상태 하에 두면서 2륜 구동 방식을 유지한다.
운전자에게 1차 경고하는 단계(260)
상기 단계(260)에서는, 운전자에게 4륜 구동 램프의 점멸(Blink)을 알리면서 4륜 구동 방식으로의 전환에 대한 1차 경고하는 단계로서, 전 단계(250)의 수행에도 불구하고 4륜 구동 방식으로의 전환이 위험하다는 내용을 운전자게 램프의 깜빡(blink)이로 알리게 된다.
기설정값과 3차 비교하는 단계(270)
상기 단계(270)는, 전 단계(260)에서의 4륜 구동 램프의 점멸(Blink)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 이상일 경우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4륜 구동 램프의 점멸(Blink)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 이상일 경우에 4륜 구동 전환이 급박한 위험 상황에 놓여질 수 있다는 최종 경고인 후술되는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는 단계(280)를 수행하거나, 4륜 구동 램프의 점멸(Blink)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 미만일 경우에 모더 1(100)에 해당되는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140)를 수행하게 되는 택일 단계를 의미한다.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는 단계(280)
상기 단계(280)는, 전 단계(270)에서의 4륜 구동 램프의 점멸(Blink)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 이상일 경우, 4륜 구동 전환이 가장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최종 경고로서 경고등의 지속적인 점등을 유지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여 알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을 도 4에 도시된 논리 흐름으로 전개한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 이종 타이어를 장착하는 과정을 수행 후, 차량의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과정(S300)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S300) 수행 중에 운전자의 2륜 또는 4륜 선택을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 조작 과정(S310)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S310)에서 운전자가 2륜과 4륜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방식을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한 후, 차속을 기설정값인 제한값(km/h)과 비교하는 과정(S320)을 수행한다.
상기 차속을 기설정값인 제한값(km/h)과 비교하는 과정(S320)에서는, 차속이 기설정값인 제한값(km/h)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비교하여 미만일 경우에는 모터의 4륜 구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S330)을 수행하게 되고, 이상일 경우에는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를 기설정값인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하는 과정(S321)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과정(S330)에서는, 차속값이 기설정값인 제한값(km/h) 미만일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으로서, 일례로 기설정값인 제한값(Km/h)이 10km/h일 경우 차속값이 상기 10km/h의 제한값 미만일 때, 제어기로 모터를 제어하여 4륜 구동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과정(S330)을 수행하게 되면, 차량의 4륜 구동 전환을 완료하게 되는 과정(S340)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모더가 종료된다.
한편, 상기 차속을 기설정값인 제한값(km/h)과 비교하는 과정(S320)에서 차속이 기설정값인 제한값(km/h) 이상으로 판명될 경우,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를 기설정값인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하는 과정(S321)을 수행하는 바, 상기 과정(S321)에서는,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가 기설정값인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하여 이상일 경우 또는 미만일 경우를 판단하게 되는데, 미만일 경우는 상기의 과정(S330)을 거쳐 과정(S340)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모더를 종료하게 되고, 이상일 경우에는 모터의 미 기동 상태인 2륜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S322)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S322)에서는, 전 과정(S310)에서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한 지시에 대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으로서, 제어기가 4륜 구동 위치로 이동하려는 모터를 제어하여 모터의 미 기동 상태, 즉 2륜 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과정(S322)을 제어함에도 불구하고 4륜 구동 전환에 위험성을 운전자에게 고지하도록 4륜 램프의 점멸 과정(S323)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과정(S323)에서는, 4륜 램프가 깜빡(blink)이면서 운전자에게 4륜 구동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1차로 경고하며 알린다.
이후에, 4륜 램프의 깜빡(blink)이는 유지시간을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과 비교하는 과정(S324)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4륜 램프의 깜빡(blink)임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값 미만일 경우와 이상일 경우를 판단한다.
상기 4륜 램프의 깜빡(blink)임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 시간값 미만일 경우에는 차속을 기설정값인 제한값(km/h)과 비교하는 과정(S320)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4륜 램프의 깜빡(blink)임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 시간값 이상일 경우에는 4륜 구동의 경고등을 점등하는 과정(S325)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4륜 구동의 경고등을 점등하는 과정(S325)에서는, 4륜 구동 전환이 급박한 위험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점을 운전자에게 최종으로 고지하기 위하여 경고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차량의 모더를 종료하게 된다.

Claims (6)

  1. 상호 다른 규격을 갖는 타이어를 차량에 교체하는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110);
    차량을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120);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2륜 또는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130);
    차량의 차속값을 제한 차속값과 비교하여 그 값이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140);
    상기 단계(140)에서의 제한 차속값과 비교시 그 값이 미만으로 판명될 때 제어기로 모터를 4륜 구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150);
    상기 단계(150)에서의 제어기 제어로 4륜 구동 위치로 이동한 모터에 의해 차량이 4륜으로 전환하여 주행하는 4륜 전환 완료 단계(160);
    를 포함한 모더 1의 제어 로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40)에서는,
    차량의 차속값이 기설정된 제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명될 경우 모더 2에 포함된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240)로 수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3. 상호 다른 규격을 갖는 타이어를 차량에 교체하는 이종 타이어 장착하는 단계(210);
    차량을 2륜 구동으로 주행하는 단계(220);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2륜 또는 4륜 구동 방식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230);
    차량의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를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하여 그 값이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기설정값과 2차 비교하는 단계(240);
    상기 단계(240)에서의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시 그 값이 이상으로 판명될 때 제어기로 모터를 미 기동시켜 차량의 2륜 상태가 유지되는 제어기의 제어로 2륜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250);
    4륜 램프의 점멸(blink) 표시로 차량의 4륜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알리는 운전자에게 1차 경고하는 단계(260);
    상기 단계(260)에서의 4륜 램프의 점멸 유지시간을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과 비교하여 그 값이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기설정값과 3차 비교하는 단계(270);
    상기 단계(270)에서의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과 비교시 그 값이 이상으로 판명될 때 4륜 경고등의 점등 표시로 4륜 전환에 대한 위험성을 최종 알리는 운전자에게 최종 경고하는 단계(280);
    를 포함한 모더 2의 제어 로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40)에서는,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가 회전 제한 속도차와 비교 시 미만으로 판명될 경우 모더 1에 포함된 제어기의 제어로 4륜 위치 전환하는 단계(150)로 수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70)에서는,
    4륜 램프의 점멸(blink) 유지시간 값이 기설정된 유지시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명될 경우 모더 1에 포함된 기설정값과 1차 비교하는 단계(140)로 수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260, 280)은,
    차속이 기설정된 제한값 이상일 경우와 아울러 앞뒤 타이어의 회전 속도차가 기설정된 회전 제한 속도차 이상일 경우에 차량이 고속 주행 영역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4륜 구동 전환의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KR20130123125A 2013-10-16 2013-10-16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KR10149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125A KR101491931B1 (ko) 2013-10-16 2013-10-16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125A KR101491931B1 (ko) 2013-10-16 2013-10-16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931B1 true KR101491931B1 (ko) 2015-02-09

Family

ID=5259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125A KR101491931B1 (ko) 2013-10-16 2013-10-16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9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50A (ja) 2002-02-04 2003-08-12 Suzuki Motor Corp 駆動力配分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駆動力配分制御用プログラム
KR20050091717A (ko) * 2002-12-20 2005-09-15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4륜구동차량 구동 트레인의 전환가능한 클러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50A (ja) 2002-02-04 2003-08-12 Suzuki Motor Corp 駆動力配分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駆動力配分制御用プログラム
KR20050091717A (ko) * 2002-12-20 2005-09-15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4륜구동차량 구동 트레인의 전환가능한 클러치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7426B2 (ja) 四輪駆動車
JP6375310B2 (ja) 車両およびその運転支援方法
US20040100373A1 (en) Electronic intelligent turn signal control system
CN104159755B (zh) 轮胎气压监视装置
AU2016275592A1 (en) Control system, vehicle and method
AU2016275586A1 (en) Control system, vehicle and method
WO20130124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operating temperature of a working fluid in a vehicle powertrain
KR101491931B1 (ko) 이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4륜 절환 제어방법
GB2539257B (en) Control system, vehicle and method
KR101723617B1 (ko) 차량을 구동할 때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CN114643979A (zh) 车辆驾驶控制方法、装置和控制设备
US10059253B1 (en) ATV daytime running light control
CN203529754U (zh) 差速锁工作模式切换的控制系统及轮式起重机
JP6178868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641433B1 (ko) 구동륜 제어 방법
US20140052332A1 (en) Tpms connected to propulsion system
KR20150129113A (ko) 파트타임 2륜/4륜 구동 절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96248A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KR100471248B1 (ko) 차량의 휠 축 진단 제어장치 및 방법
CN114852080A (zh) 一种保护适时四驱车型换上非全尺寸备胎的控制方法
JP5779460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378643B1 (ko) 이륜 구동을 기반으로 한 사륜 구동 전환 장치
JP3814244B2 (ja)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KR100357547B1 (ko) 디프렌셜 록 자동해제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4844A (ko) 지게차의 방향 지시등 자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