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96B1 -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96B1
KR101491096B1 KR20130135742A KR20130135742A KR101491096B1 KR 101491096 B1 KR101491096 B1 KR 101491096B1 KR 20130135742 A KR20130135742 A KR 20130135742A KR 20130135742 A KR20130135742 A KR 20130135742A KR 101491096 B1 KR101491096 B1 KR 10149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te
screw shaft
simulator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종
탁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3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7/0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ouring of molten metal from a casting melt-hold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실제 몰드에서 이루어지는 용강의 유동과 보다 근접한 상황을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고, 몰드의 응고셀을 고려한 보다 정확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몰드모사체와, 몰드모사체 상부에 배치되어 몰드모사체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주입관, 상기 몰드모사체 하단에 연결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몰드모사체의 내면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SIMULATION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MOLD}
본 발명은 연속주조용 몰드에 대한 모의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몰드 내부에서 주편의 응고셀에 따른 용강의 유동에 관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공정은 레들의 용강을 턴디쉬에 저장하고, 저장된 용강을 노즐을 통해 몰드에 주입하여, 일정한 크기의 슬라브를 연속 생산하는 공정이다. 상기 몰드는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구조로, 몰드로 주입된 용강은 몰드 내에서 유동되면서 가장자리부터 응고되기 시작한다.
몰드 내에서 용강의 유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대단히 중요한 부분으로, 모의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용강의 유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용강 유동을 연구하기 위한 모의 실험장치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실제 몰드와 유사하게 제조된 모의 몰드에 용강 대신 물을 주입하고 배수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연속주조공정을 모사하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물의 유동을 확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모의 실험장치는 아크릴 재질로 된 모의 몰드에서 물의 흐름을 통해 용강의 유동을 어느정도 모사할 수 있으나, 실제 몰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여러 변수들을 모두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실제 몰드 내에서 용강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는 바로 응고셀이다. 노즐에서 배출된 용강은 몰드 내벽에 부딪혀 와류하면서 몰드 내벽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상단 내벽에서 용강의 응고셀이 형성되고 몰드 하부로 용강이 빠져나올 때까지 점차적으로 응고셀의 두께는 커져, 몰드의 내벽에 경사면 형태의 응고셀이 형성된다. 상기 응고셀은 용강이 응고된 부분으로, 실제 몰드 내에서의 용강의 유동은 응고셀을 제외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용강의 유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응고셀에 대한 고려가 없이 단순히 물의 흐름을 형성시킨 구조로, 실제 몰드와 같은 조건으로 보다 정확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실제 몰드에서 이루어지는 용강의 유동과 보다 근접한 상황을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된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몰드의 응고셀을 고려한 보다 정확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실험 장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몰드모사체와, 몰드모사체 상부에 배치되어 몰드모사체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주입관, 상기 몰드모사체 하단에 연결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몰드모사체의 내면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는 몰드모사체의 마주보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전면판과 후면판, 몰드모사체 내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은 몰드모사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판과 우측판, 상기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고 각각 좌측판과 우측판에 연결되어 몰드모사체의 측면에 대해 좌측판과 우측판을 회동시켜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좌측판과 우측판에 각각 설치되고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축과, 상기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나사축에 체결되는 너트부재, 상기 각 너트부재에 결합되어 너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은 몰드모사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축과 몰드모사체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변부는 좌측판과 우측판 각각의 양 측단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전후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경사부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각 상단이 몰드모사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각각 전면판과 후면판에 연결되어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에 대해 전면판과 후면판을 회동시켜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전면판과 후면판에 각각 설치되고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축과, 상기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나사축에 체결되는 너트부재, 상기 각 너트부재에 결합되어 너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전면판 및 후면과 후면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은 몰드모사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축과 몰드모사체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실링패드는 내부가 빈 중공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 회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압축되고, 회동복귀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밀착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몰드모사체의 전면 또는 측면에 각도검출을 위한 측정자가 설치되어, 좌측판과 우측판 또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회동에 따른 경사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제 몰드와 같은 조건을 부여하여 모의 실험 장치를 통해 몰드 내에서의 용강 유동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응고셀을 고려한 용강의 유동에 대해 정확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조건으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어, 냉각수량이나 강종에 따라 달라지는 응고셀의 두께에 따른 몰드 내 용강 유동을 정확히 모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 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의 실험 장치(100)는 연속조주용 몰드 내부에서의 용강의 유동에 대한 모의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몰드모사체(10)와, 상기 몰드모사체(10) 상부에 배치되어 몰드모사체(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주입관(12), 상기 몰드모사체(10) 하단에 연결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라인(14), 상기 몰드모사체(10)의 내면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모사체(10)는 실제 몰드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모사체(10)는 사각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주입관(12)을 통해 몰드모사체(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몰드모사체(10) 내부에 채워지고 하단에 설치된 배출라인(14)을 통해 설정된 속도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물의 흐름을 통해 실제 몰드 내부에서의 용강의 유동을 모의 실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입관(12)과 배출라인(14)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적용가능하며, 물을 몰드와 동일하게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 몰드의 경우 용강이 몰드 내면과 접하면서 응고되므로, 몰드의 내면에는 응고셀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응고셀은 용강이 응고되어 용강의 유동이 나타나지 않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모의 실험 장치는 몰드모사체(10)의 내면을 응고셀이 형성된 실제 몰드와 대응되도록, 내면의 각도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변부는 몰드모사체(10)의 마주보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전면판(20)과 후면판(22), 몰드모사체(10) 내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20)과 후면판(22)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은 몰드모사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판(24)과 우측판(26), 상기 몰드모사체(10)의 양 측면에 설치되고 각각 좌측판(24)과 우측판(26)에 연결되어 몰드모사체(10)의 측면에 대해 좌측판(24)과 우측판(26)을 회동시켜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의 실험 장치는 몰드모사체(10)의 양 측면 뿐만 아니라 전면과 후면 역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몰드모사체(10)는 양 측면 및 전면과 후면의 각도가 실제 몰드 내부의 응고셀 형성시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실제 몰드와 동일한 조건에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설명에서, 측면이라 함은 도 1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좌측과 우측의 면을 의미하며, 전면과 후면은 도 2에서 z축 방향으로 앞쪽과 뒤쪽의 면을 의미한다. 또한 상하라 함은 도 1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쪽과 아래쪽을 의미한다.
상기 전면판(20)과 후면판(22)은 몰드모사체(10)의 내부에서 앞쪽과 뒤쪽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좌측판(24)과 우측판(26)은 각각 몰드모사체(10) 내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모사체(10) 내부에는 전면판(20)과 후면판(22) 및 좌측판(24)과 우측판(26)이 설치된다. 전면판(20)과 후면판(22) 및 좌측판(24)과 우측판(26)은 실제 물이 접하는 몰드모사체(10) 내면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좌측판(24)과 우측판(26)은 각각 상단에 z축 방향을 따라 회동축(27)이 설치되어 몰드모사체(10) 상부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좌측판(24)과 우측판(26)은 각각 상단의 회동축(27)을 중심으로 도 1에서와 같이 xy 평면을 따라 회동된다.
상기 전면판(20)과 후면판(22) 역시 각각 상단에 회동축(28)이 설치되어 몰드모사체(10) 상부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전면판(20)과 후면판(22)은 각각 상단의 회동축(28)을 중심으로 도 3에서와 같이 yz 평면을 따라 회동한다.
상기 좌측판(24)과 우측판(26) 각각의 양 측단은 전면판(20)과 후면판(22)의 내면과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측판(24)과 우측판(26)의 양 측단에는 실링패드(30)가 설치되어 전면판(20)과 후면판(22)에 밀착된다. 상기 실링패드(30)는 전면판(20)과 후면판(22) 회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는 구조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판(24)과 우측판(26)은 상단이 회동축(27)에 의해 몰드모사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어 물과 접하는 몰드모사체(10)의 내면의 각도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좌측판(24)과 우측판(26)을 통해 실제 몰드의 응고셀에 대한 모사가 가능하여, 실제 몰드와 동일한 조건으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좌측판(24)과 우측판(26)에 각각 설치되고 몰드모사체(10)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축(40)과, 상기 몰드모사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나사축(4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42), 상기 각 너트부재(42)에 결합되어 너트부재(42)를 회전시키는 회전핸들(44)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축(40)은 표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바 형태의 구조물로, 몰드모사체(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너트부재(42)는 몰드모사체(10)의 양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40)과 맞물린다. 이에, 상기 너트부재(42)를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부재(42)에 대해 나사축(40)이 풀리거나 감기면서 이동되고, 상기 나사축(40)이 결합된 좌측판(24)이나 우측판(26)이 밀려나거나 당겨지면서 회동축(27)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핸들(44)은 선단에 너트부재(4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소켓이 설치되어, 소켓을 매개로 너트부재(42)에 결합된다. 이에, 회전핸들(44)을 이용하여 너트부재(42)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몰드모사체(10)의 하부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부와 몰드모사체(10) 상단 사이 중간쯤에는 탄성부재(46)가 몰드모사체(10)의 양 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좌측판(24) 및 우측판(26)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46)는 구동부와 회동축(27)과의 중간쯤에서 좌측판(24)과 우측판(26)에 탄성력을 가해 물의 수압에 의해 좌측판(24)이나 우측판(26)이 외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면을 평탄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6)의 설치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에, 회전핸들(44)을 이용하여 너트부재(42)를 돌려주게 되면 너트부재(42)에 결합된 나사축(40)이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나사축(40)의 이동에 따라 나사축(40)이 설치된 좌측판(24) 또는 우측판(26)이 상단의 회동축(27)을 축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모사체(10)의 내벽 즉, 몰드모사체(10)의 내벽을 이루어 실제 물과 접하는 좌측판(24)과 우측판(26)은 y축 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기울어져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나사축(40)의 이동량을 조절하여 좌측판(24)과 우측판(26)의 각도를 원하는 값으로 다양하게 셋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몰드모사체(10)의 전면에는 좌측판(24) 또는 우측판(26)의 경사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도검출을 위한 측정자(48)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측정자(48)를 이용하여 좌측판(24) 또는 우측판(26)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좌측판(24) 또는 우측판(26)의 회동에 따른 경사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확인을 통해 보다 정밀하게 좌측판(24) 또는 우측판(26)의 경사 각도를 셋팅할 수 있고 원하는 실험을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모의 실험 장치는 전후경사부를 더 포함하여, 전면판(20)과 후면판(22)의 각도 역시 조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경사부는 전면판(20)과 후면판(22)의 각 상단이 회동축(28)을 매개로 몰드모사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몰드모사체(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면판(20)과 후면판(22)을 회동시켜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동부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전면판(20)과 후면판(22)에 각각 설치되고 몰드모사체(1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축(40)과, 상기 몰드모사체(10)의 전면과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나사축(4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42), 상기 각 너트부재(42)에 결합되어 너트부재(42)를 회전시키는 회전핸들(44)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판(20)과 후면판(22)의 회동을 위한 구동부는 위에서 언급한 좌측판(24)과 우측판(26)의 회동을 위한 구동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면판(20)과 후면판(22) 역시 몰드모사체(10)와의 사이에 탄성부재(46)가 설치되어, 물의 수압에 의해 전면판(20)과 후면판(22)이 외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판(20)과 후면판(22)의 회동은 실링패드(30)의 압축 및 탄성복원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패드(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빈 중공형태로, 좌측판(24) 및 우측판(26)의 각 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실링패드(30)는 예를 들어, 좌측판(24)과 전면판(20)의 이격된 사이를 연결한다. 전면판(20)과 후면판(22)은 좌측판(24)과 우측판(26)에 대해 이격되어 있어서 이러한 이격된 간격만큼 회동에 의한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패드(30)는 상기 이격된 부분을 실링함과 더불어 전면판(20)과 후면판(22) 회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압축되고, 회동복귀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밀착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실링패드(30)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패드(30)는 물과 접하는 부분이 평탄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실제 몰드의 내면과 같이 실링패드(30)가 평탄하여 물의 유동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패드(30)의 크기나 중공부의 형태에 대해서는, 두 부재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탄성 변형 및 복원가능한 구조인 경우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전면판(20), 후면판(22), 우측판(26) 및 좌측판(24) 사이에서 실링패드(30)에 의한 전면판(20)과 후면판(22)의 회동 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 실링패드(30)의 작용에 대해 전면판(20)과 좌측판(24) 사이의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20)에 결합된 구동부의 회전핸들(44)을 돌려주게 되면 전면판(20)은 상단의 회동축(28)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전면판(20)은 y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전면판(20)이 회동되는 과정에서 좌측판(24)에 설치되어 전면판(2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실링패드(30)는 전면판(20)에 의해 눌려져 압축된다. 상기 전면판(20)은 상단의 회동축(28)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y축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전면판(20)에 의해 실링패드(30)가 눌려지는 압력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모사체(10)의 상부쪽에서는 전면판(20) 회동에 따른 이동량이 적어 전면판(20)과 좌측판(24) 사이에서 실링패드(30)의 압축량이 적다. 이에, 실링패드(30)의 폭(D)은 상대적으로 크며, 실링패드(30)는 계속 좌측판(24)과 전면판(20)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 상태를 유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모사체(10)의 하부쪽에서는 전면판(20) 회동에 따른 이동량이 크다. 상기 실링패드(30)는 탄성 압축가능한 구조이므로, 전면판(20)이 많이 이동하는 경우 전면판(20)과 좌측판(24) 사이에서 실링패드(30)가 상대적으로 많이 압축되어 실링패드(30)의 폭(d)이 작아지면서 전면판(20)은 회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링패드(30)는 압축된 상태에서 전면판(20)과 좌측판(24) 사이를 계속 실링하게된다.
실링패드(30)는 전면판(20)의 이동에 따른 가압 정도에 따라 압축 변형되면서 전체적으로 전면판(20)과 좌측판(24)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면판(20)은 실링패드(30)를 압축하면서 회동가능하여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몰드모사체(10) 내면을 이루는 좌측판(24)과 우측판(26)은 물론 전면판(20)과 후면판(22)을 움직여 실제 몰드의 응고셀을 모사함으로써, 실제 몰드 내에서의 용강의 유동에 대한 정확한 모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몰드모사체 12 : 주입관
14 : 배출라인 20 : 전면판
22 : 후면판 24 : 좌측판
26 : 우측판 27,28 : 회동축
30 : 실링패드 40 : 나사축
42 : 너트부재 44 : 회전핸들
46 : 탄성부재 48 : 측정자

Claims (10)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몰드모사체와, 몰드모사체 상부에 배치되어 몰드모사체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주입관, 상기 몰드모사체 하단에 연결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몰드모사체의 내면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몰드모사체의 마주보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전면판과 후면판, 몰드모사체 내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은 몰드모사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판과 우측판, 상기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고 각각 좌측판과 우측판에 연결되어 몰드모사체의 측면에 대해 좌측판과 우측판을 회동시켜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좌측판과 우측판 각각의 양 측단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패드를 더 포함하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좌측판과 우측판에 각각 설치되고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축과, 상기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나사축에 체결되는 너트부재, 상기 각 너트부재에 결합되어 너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핸들을 포함하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몰드모사체의 양 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은 몰드모사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축과 몰드모사체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의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전후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경사부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각 상단이 몰드모사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각각 전면판과 후면판에 연결되어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에 대해 전면판과 후면판을 회동시켜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패드는 내부가 빈 중공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 회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압축되고, 회동복귀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밀착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구조의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경사부의 구동부는 전면판과 후면판에 각각 설치되고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축과, 상기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나사축에 체결되는 너트부재, 상기 각 너트부재에 결합되어 너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핸들을 포함하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모사체의 전면과 전면판 및 후면과 후면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은 몰드모사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축과 몰드모사체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의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모사체의 전면 또는 측면에 각도검출을 위한 측정자가 설치되어, 좌측판과 우측판 또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회동에 따른 경사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KR20130135742A 2013-11-08 2013-11-08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KR10149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5742A KR101491096B1 (ko) 2013-11-08 2013-11-08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5742A KR101491096B1 (ko) 2013-11-08 2013-11-08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96B1 true KR101491096B1 (ko) 2015-02-09

Family

ID=5259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5742A KR101491096B1 (ko) 2013-11-08 2013-11-08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62B1 (ko) 2017-10-13 2019-07-31 주식회사포스코 연속 주조용 몰드
WO2020067714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모사 장치 및 주조 모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20B1 (ko) 2013-03-28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유동 모의 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20B1 (ko) 2013-03-28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유동 모의 실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62B1 (ko) 2017-10-13 2019-07-31 주식회사포스코 연속 주조용 몰드
WO2020067714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모사 장치 및 주조 모사 방법
KR20200036589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모사 장치 및 주조 모사 방법
KR102171086B1 (ko) * 2018-09-28 2020-10-28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모사 장치 및 주조 모사 방법
CN112789673A (zh) * 2018-09-28 2021-05-11 株式会社Posco 铸造模拟装置及铸造模拟方法
JP2022502262A (ja) * 2018-09-28 2022-01-11 ポスコPosco 鋳造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鋳造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7111896B2 (ja) 2018-09-28 2022-08-02 ポスコ 鋳造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鋳造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827B2 (en) Position detection techniques for additive fabrication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491096B1 (ko) 연속주조몰드의 용강 유동 모의 실험 장치
KR101495469B1 (ko) 시뮬레이션 방법,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액적 배치 패턴들의 작성 방법, 나노임프린팅 방법, 패터닝된 기판들의 제조 방법, 및 잉크젯 장치
CN103660301B (zh) 一种立体光固化三维成型机
CN104608387A (zh) 一种用于3d打印机的模型分离装置
Zhang et al. Replication integrity of micro features using variotherm and vacuum assisted microinjection moulding
KR20190065834A (ko) 사출성형기 및 사출 제어 데이터 생성 방법
CN202213119U (zh) 多动模电动数控压铸机
CN108264756A (zh) 一种三维激光沉积成型的3d打印材料及设备
EP3760409A1 (en) Foam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235613B1 (ko) 수모델 몰드를 이용한 응고층 두께 모사장치
CN203665955U (zh) 一种立体光固化三维成型机
CN104842533B (zh) 注射成型机的平行度测量方法、注射成型机的平行度测量装置以及注射成型机
US20220072750A1 (en) Method of adjusting a dimension of a molded product
WO2021259178A1 (zh) 一种光固化型3d打印装置及打印方法
CN212967621U (zh) 一种布球装置及植球系统
Attar et al. Modelling of air pressure effects in casting moulds
CN104708763B (zh) 制镜系统及镜片的制备方法
CN209166720U (zh) 一种具有新型安装基座的气密性检测设备
JP2010247414A (ja) ガスカウンタープレッシャー成形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112068398A (zh) 模拟方法、模拟装置、存储介质、膜形成方法和生产固化产物的方法
JP7102298B2 (ja) 射出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Lin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the movement, breakup and entrapment of oxide films during aluminum casting
JP2002018917A (ja) 固形材含有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7102222B2 (ja) 射出装置、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