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70B1 - 간이 경사로 형성구 - Google Patents

간이 경사로 형성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70B1
KR101491070B1 KR20130099738A KR20130099738A KR101491070B1 KR 101491070 B1 KR101491070 B1 KR 101491070B1 KR 20130099738 A KR20130099738 A KR 20130099738A KR 20130099738 A KR20130099738 A KR 20130099738A KR 101491070 B1 KR101491070 B1 KR 10149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round
mobile device
stairs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김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2013009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경사로 형성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나 유모차 핸드 카트 등 차륜을 통해 이동, 또는 운반하는 이동장치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다단의 층계가 형성된 계단과 지면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이동장치의 주행 경로인 간이 경사로를 형성하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경사로 형성구{Device for making simple slope way}
본 발명은 간이 경사로 형성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나 유모차 핸드 카트 등 차륜을 통해 이동, 또는 운반하는 이동장치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다단의 층계가 형성된 계단과 지면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이동장치의 주행 경로인 간이 경사로를 형성하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우가 타고 다니는 휠체어나, 유아들이 타고 다니는 유모차, 핸드 카드 등은 차륜을 통해 주행하는 이동장치로, 상기 이동장치에 마련된 차륜은 그 특성상 계단과 같이 단차가 형성된 구간을 이동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당 분야에서도 상기 이동장치에 컨베이어 형태 등 각종 보조수단을 부가하여 계단 등의 이동에 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보조수단를 부가하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동장치의 중량이 무거워지며 정교한 조작이 요구될 뿐 아니라, 기존 이동장치에는 적용이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또 다른 해결방안으로, 계단에 경사로를 형성하는 기구를 제안하여, 이러한 기구를 계단에 설치시켜 차륜을 통한 이동이 가능한 경사로를 형성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 20-0373370호 에서는 좌우 한쌍의 측면가드 내측에 양측 롤러지지수단이 결합되고 이 양측 롤러지지수단의 사이에 다수의 롤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를 기존 경사로가 확보되지 아니한 계단에 고정 설치하면, 차륜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장치의 주행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는 롤러와 롤러지지 수단 등의 무거운 구성요소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향상된 휴대성과 설치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되어, 휠체어나 유모차 핸드카드 등의 이동장치에 수납된 상태로 휴대하고 다니다가, 이동이 요구되는 지점에 임시 설치하여 이동장치의 주행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나 유모차, 핸드 카드 등 차륜을 통해 이동, 또는 운반하는 이동장치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다단의 층계가 형성된 계단에 접지 고정되어 이동장치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동장치 본래의 하중을 통해 지면과 계단 사이에 안정되게 접지 고정되어, 이동장치의 진입 및 등반과정에 정 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경사로 형성구는,
계단의 전방에 형성된 지면에 접지 고정되는 지면 패널부와; 상기 지면 패널부의 후미에 절첩구조로 연결되어, 지면과 경사각을 이룬 계단의 층계에 접지 고정되는 계단 패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면 패널부에는 상향 돌출된 부상바가 형성되어, 지면 패널부를 진입하여 부상바를 통과한 이동장치의 차륜이 지면 패널부에 형성된 부상바와 계단 패널부 사이에 외접된 상태로 부상되어서,
부상된 이동장치의 하중에 의해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가 지면과 계단에 각각 안정되게 접지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단 패널부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확장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확장패널의 진퇴를 통해 경사로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계단 패널부의 저면에는 신축성 재질의 접지 고정패드가 형성되어,
등반하는 이동장치에 의한 가압에 의해 접지 고정패드는 계단에 압착 고정되고;
상기 계단 패널부는 지면 패널부의 후미에 절첩 힌지를 통해 절첩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서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는 확장 패널에는 안내홈부를 요입되게 형성하여,
베이스 패널을 따라 확장 패널을 통과하는 이동장치의 차륜이 안내홈부를 따라 정형화된 궤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단 패널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패널과 확장 패널에는 일편에 개구부가 형성된 'L'자형의 클립 가이드들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베이스 패널과 확장 패널은 클립 가이드를 교차되게 압입시켜 진퇴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상호 교차되는 클립 가이드 교차면에는 선형 지지돌기들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교차된 클립 가이드는 선형 지지돌기를 통해 선접촉 상태를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면 패널부에 형성된 부상바는, 상기 지면 패널부와 부상바가 각각 분리 제작되고, 상기 지면 패널부에 길이방향의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에 부상바가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지면 패널부에 형성되는 부상바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이동장치에 형성된 차륜의 직경이나 지면과 계단 사이의 높이에 따른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 사이의 형성각도에 따라 부상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계단을 등반하는 이동장치의 차륜의 안정적인 지지를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가 절곡구조로 연결된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제안함에 있어, 지면 패널부에 부상바를 형성하여 지면 패널부에 진입된 이동장치의 차륜이 부상바에 의해 부상되어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에 외접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장치의 차륜에 의해 외접하는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는 부상된 이동장치의 하중에 의해 안정되게 접지 고정되므로, 지면 패널부를 통과하여 경사진 계단 패널부를 따라 등반하는 이동장치의 등반 과정에, 지면 패널부 및 계단 폐널부의 접지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이동장치의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계단 패널부의 저면에 신축성 재질의 접지 고정패드를 형성하면, 이동장치가 계단을 등반하는 동안에 이동장치에 의해 계단에 압착된 접지 고정패드에 의해 안정적인 고정 접지상태를 형성하므로, 계단 패널부가 계단에서 미끄러져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특히, 상기 지면 패널부 및 계단 폐널부를 강화 패널시트, 또는 장섬유가 혼입된 플라스틱 패널시트는 이동장치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겸비하면서 경량성이 확보되므로, 향상된 휴대 및 이동성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에 있어, 계단 패널부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통해 형성된 경사로를 통한 휠체어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의 전체 구성 및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에 있어, 계단 패널부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통해 형성된 경사로를 통한 휠체어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의 전체 구성 및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경사로 형성구(1)는, 휠체어나 유모차 등 차륜(110)을 통해 이동, 또는 운반하는 이동장치(100)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다단의 층계가 형성된 계단(S)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이동장치(100)의 이동이 가능한 간이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이 경사로 형성구(1)는 이동장치(100)의 차폭보다 넓게 제작되어, 지면(G)과 계단(S) 사이에 차폭보다 넓은 간이 경사로를 형성하여 이동장치(100)의 양 차륜(110)이 간이 경사로를 따라 일괄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간이 경사로 형성구(1)의 폭을 차폭보다 넓게 제작하면, 부피가 비대해지고 무게가 무거워져 휴대에 따른 불편함이 지적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의 차폭보다 좁고 차륜의 주행폭 보다는 넓게 제작된 한 쌍의 간이 경사로(1)를 제작하여, 한 조를 이룬 간이 경사로(1)를 이동장치(100)에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계단 등지에 설치하여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사로의 형성이 요구되는 지점에 차폭보다 좁게 제작된 한 쌍의 간이 경사로 형성구(1)를 좌우 이격되게 배치하여, 이동장치(100)의 차륜(110)이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간이 경사로를 좌우 양편에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간이 경사로 형성구(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단(S)의 전방에 형성된 지면에 접지 고정되는 지면 패널부(10)와; 상기 지면 패널부(10)의 후미에 형성되어 지면과 경사각을 이룬 계단(S)의 층계에 접지 고정되는 계단 패널부(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1)를 구성하는 계단 패널부(20)와 지면 패널부(10)를, 보강 섬유사를 직조한 보강직물(F)을 매트릭스 수지(P)를 통해 고착시킨 강화 패널시트, 또는 보강 섬유사로 이루어진 장섬유를 폴리머에 혼합시켜 성형한 강화 플라스틱 사출시트로 구성함으로써, 이동장치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겸비하면서도 경량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직물 또는 장섬유를 형성하는 보강 섬유사는 카본 섬유사, 유리 섬유사, 아라미드 섬유사, 또는 케톤 섬유사 등이 채택되며, 상기 메트릭스 수지(P)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열가소성 에폭시 수지, 폴리프로펠렌 수지 등이 채택된다.
그리고, 계단 패널부(20)와 지면 패널부(10)는 카본 섬유사를 직조한 보강 직물을 매트릭스 수지에 의해 고착 성형시킨 강화 패널시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강화 패널시트는 통상 철에 대비하여 5배 정도 가볍고 또 10배 이상의 강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간이 경사로 형성구를 구성하는 강화 패널시트는 열가소성의 필름지 형상의 메트릭스 수지를 보강 직물에 열간 압착시켜, 용융된 메트릭스 수지가 보강 직물들에 용융하여 고착되도록 하는 열간 압착방식이나, 보강 직물에 에폭시 수지액 등의 액상의 메트릭스 수지를 침투 및 고착시키는 프리 프레그(Prepreg) 방식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카본 섬유사(CFRP), 유리 섬유사(GFRP) 등의 보강 섬유사로 이루어진 장섬유를 혼입된 나일론 계열의 폴리머를 금형 내에 주입시켜 성형된 강화 플라스틱 사출시트로 계단 패널부(20)와 지면 패널부(10)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강화 플라스틱 사출시트는 강화 패널시트와 마찬가지로 경량성과 우수한 강도를 겸비하며, 또 복잡한 형상으로의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계단 패널부(20)와 지면 패널부(10) 사이에는 절첩 힌지(30)가 형성되고, 계단(S)의 층계에 접지되는 계단 패널부(20)는 베이스 패널(21)과 베이스 패널(21)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확장패널(22)을 포함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지면 패널부(10)은 진입구간이 형성된 전방에서 계단 패널부(20)이 설치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위상이 높아진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 패널부(10)에 이동장치(100)의 차륜(110)이 과도한 충격 없이 지면 패널부(1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계단 패널부(20)를 구성하는 베이스 패널(21)에는 확장 패널(22)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도 3b와 도 3c와 같이 확장 패널(22)은 베이스 패널(21)에서 길이방향으로 진출하여 경사로의 길이를 확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4를 보면, 상기 계단 패널부(20)를 구성하는 베이스 패널(21)과 확장 패널(22)에는 일편에 개구부가 형성된 'L'자형의 클립 가이드(21a, 22a)들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베이스 패널(21)과 확장 패널(22)은 클립 가이드(21a, 22a)를 교차되게 압입시켜 진퇴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호 교차되는 클립 가이드(21a, 22a) 교차면에는 선형 지지돌기(21a-a, 22a-a)들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교차된 클립 가이드(21a, 22a)는 선형 지지돌기(21a-a, 22a-a)를 통해 선접촉 상태를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패널(21)에서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는 확장 패널(22)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홈부(22c)가 요입되게 형성하여, 베이스 패널(21)을 따라 확장 패널(22)을 통과하는 이동장치(100)의 차륜(110)이 안내홈부(22c)를 따라 정형화된 궤도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 패널(21)과 확장 패널(22) 사이에는 진출된 확장 패널(22)을 베이스 패널(21)에 고정시키는 고정공(21b, 22b)들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베이스 패널(21)에서 확장패널(22)을 진출시킨 다음 고정공(21b, 22b)에 고정핀(24)을 삽입시켜, 고정공(21b, 22b)을 관통하는 고정핀(24)에 의해 진출된 확장패널(22)이 베이스 패널(21)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간이 경사로 형성구(1)는 절첩 힌지(30)에 의해 지면(G)과 계단(S) 사이에 형성된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어 계단의 층계에 접지 고정되고, 또 계단 패널부(20)는 확장패널(22)의 진출을 통해 계단과 동일한 길이의 경사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휴대 및 운반시에는 도 1b와 같이 절첩 힌지(30)를 통한 지면 패널부(10)와 계단 패널부(20)의 절첩과, 베이스 패널(21)에서 진출된 확장패널(22)의 수용을 통해 부피가 소형화되어,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이동장치(100)에 간편하게 수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간이 경사로 형성구(1)는 강화 패널시트, 또는 강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져,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관계로 용이한 휴대성과 이동성은 제공되지만, 지면(G)이나 계단(S)에 접지 고정이 불안정하게 형성될 소지를 가지므로, 이동장치(100)의 이동시 간이 경사로 형성구(1)가 정 위치를 이탈할 수도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이 경사로 형성구(1)를 지면(G)과 계단(S)에 안정되게 접지 고정시켜 고정할 수 있는 고착구조를 부가하여, 이동장치의 하중에 의해 간이 경사로 형성구가 지면과 계단 사이에 안정되게 접지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면에 접지 고정되는 지면 패널부(10)에 반구형의 부상바(11)를 형성하여, 지면 패널부(10)에 진입된 이동장치(100)의 차륜(110)이 부상바(11)에 의해 지면 패널부(10)와 계단 패널부(20) 사이에 외접되도록 한다.
이때, 지면 패널부(10)에 형성된 부상바(11)와 계단 패널부(20) 사이의 간격은 이동장치(100)에 형성된 차륜(110)의 직경보다 좁도록 구성되어, 지면 패널부(10)의 부상바(11)와 계단 패널부(20) 사이에 외접된 이동장치(100)의 차륜(110)은 부상바(11)에 의해 부상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단 패널부(20)와 지면 패널부(10)의 저면에 고무나 우레탄 등의 신축성 재질의 접지 고정패드(23)를 형성하여, 이동장치(100)의 하중에 의해 계단 패널부(20)와 지면 패널부(10)에 형성된 접지 고정패드(12, 23)는 압착되어 계단과 지면에 보다 안정되게 접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 5b와 같이 상기 접지 고정패드(12, 23)의 저면에는 복수의 접지돌기(12a, 23a)들이 배치되어, 접지 고정패드(12, 23)는 접지돌기(12a, 23a)들을 통해 계단(S)과 지면(G)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면 패널부(10)를 진입하여 부상바(11)를 통과한 이동장치(100)의 차륜(110)은 부상바(11)와 계단 패널부(20) 사이에 외접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부상된 이동장치(100)의 하중에 의해 지면 패널부(10)와 계단 패널부(20)는 지면(G)과 계단(S)에 가압된 상태로 접지 고정되고, 또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 사이에 형성된 절첩 힌지가 이동장치의 차륜에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현상이 예방되며, 또 계단 패널부(20)에 형성된 접지 고정패드(20)는 이동장치(100)의 하중에 의해 압착되어 계단에 고착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이 경사로 형성구(1)는 이동장치(100)의 등반과정에, 계단 패널부(20) 및 지면 패널부(10)가 계단(S)이나 지면(G)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간이 경사로 형성구(1)를 통해 형성된 경사로를 통해 이동장치의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면 패널부(10)에 부상바(11)를 진퇴구조로 배치하여, 이동장치에 형성된 차륜의 직경이나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 사이의 형성각도에 따라 부상바의 위치를 변경시켜, 계단을 등반하는 이동장치의 차륜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면 패널부(10)와 부상바(11)를 분리 제작하고, 상기 지면 패널부(10)에 길이방향의 레일(10a)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10a)에 부상바(11)를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지면 패널부(10)에 형성되는 부상바(1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장치에 형성된 차륜의 직경이나 지면과 계단 사이의 높이에 따른 지면 패널부(10)와 계단 패널부(20) 사이의 형성각도에 따라 부상바(11)의 위치를 조절하여, 계단을 등반하는 이동장치의 차륜의 안정적인 지지를 도모할 수 있다.
1. 간이 경사로 형성구
10. 지면 패널부 10a. 레일
11. 부상바
12. 접지 고정패드 12a. 접지돌기
20. 계단 패널부 21. 베이스 패널
21a. 'L'자형 클립 가이드 21a-a. 선형 지지돌기
21b. 고정공
22. 확장패널 22a. 'L'자형 클립 가이드
22a-a. 선형 지지돌기 22b. 고정공
22c. 안내홈부 23. 접지 고정패드
23a. 접지돌기 24. 고정핀
30. 절첩힌지
F. 보강 직물 P. 메트릭스 수지

Claims (7)

  1. 계단의 전방에 형성된 지면에 접지 고정되는 지면 패널부와; 상기 지면 패널부의 후미에 절첩구조로 연결되어, 지면과 경사각을 이룬 계단의 층계에 접지 고정되는 계단 패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면 패널부에는 상향 돌출된 부상바가 형성되어, 지면 패널부를 진입하여 부상바를 통과한 이동장치의 차륜이 지면 패널부에 형성된 부상바와 계단 패널부 사이에 외접된 상태로 부상되어서,
    부상된 이동장치의 하중에 의해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가 지면과 계단에 각각 안정되게 접지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단 패널부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확장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확장패널의 진퇴를 통해 경사로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계단 패널부의 저면에는 신축성 재질의 접지 고정패드가 형성되어,
    등반하는 이동장치에 의한 가압에 의해 접지 고정패드는 계단에 압착 고정되고;
    상기 계단 패널부는 지면 패널부의 후미에 절첩 힌지를 통해 절첩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서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는 확장 패널에는 안내홈부를 요입되게 형성하여,
    베이스 패널을 따라 확장 패널을 통과하는 이동장치의 차륜이 안내홈부를 따라 정형화된 궤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단 패널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패널과 확장 패널에는 일편에 개구부가 형성된 'L'자형의 클립 가이드들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베이스 패널과 확장 패널은 클립 가이드를 교차되게 압입시켜 진퇴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상호 교차되는 클립 가이드 교차면에는 선형 지지돌기들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교차된 클립 가이드는 선형 지지돌기를 통해 선접촉 상태를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면 패널부에 형성된 부상바는, 상기 지면 패널부와 부상바가 각각 분리 제작되고, 상기 지면 패널부에 길이방향의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에 부상바가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지면 패널부에 형성되는 부상바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이동장치에 형성된 차륜의 직경이나 지면과 계단 사이의 높이에 따른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 사이의 형성각도에 따라 부상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계단을 등반하는 이동장치의 차륜의 안정적인 지지를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경사로 형성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30099738A 2013-08-22 2013-08-22 간이 경사로 형성구 KR10149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738A KR101491070B1 (ko) 2013-08-22 2013-08-22 간이 경사로 형성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738A KR101491070B1 (ko) 2013-08-22 2013-08-22 간이 경사로 형성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70B1 true KR101491070B1 (ko) 2015-02-12

Family

ID=5259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738A KR101491070B1 (ko) 2013-08-22 2013-08-22 간이 경사로 형성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23U (ko) * 2016-01-13 2017-07-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경사블럭 세트
US20200354963A1 (en) * 2019-05-06 2020-11-12 Richard Hoffberg Wheelchair ramp
KR20210091626A (ko) 2020-01-14 2021-07-22 오양순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346U (ko) * 1989-10-04 1991-06-03
KR100554525B1 (ko) * 2005-10-28 2006-03-03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출입구 경사로구조
US20130006446A1 (en) * 2011-06-28 201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climbing device for moving robots, step climbing system for moving robots and step climbing method of moving rob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346U (ko) * 1989-10-04 1991-06-03
KR100554525B1 (ko) * 2005-10-28 2006-03-03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출입구 경사로구조
US20130006446A1 (en) * 2011-06-28 201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climbing device for moving robots, step climbing system for moving robots and step climbing method of moving robo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23U (ko) * 2016-01-13 2017-07-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경사블럭 세트
KR200485545Y1 (ko) * 2016-01-13 2018-01-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경사블럭 세트
US20200354963A1 (en) * 2019-05-06 2020-11-12 Richard Hoffberg Wheelchair ramp
US11834838B2 (en) * 2019-05-06 2023-12-05 Richard Hoffberg Wheelchair ramp
KR20210091626A (ko) 2020-01-14 2021-07-22 오양순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KR102355007B1 (ko) 2020-01-14 2022-01-24 휠링보장구협동조합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70B1 (ko) 간이 경사로 형성구
CN101553391B (zh) 婴儿车的装置及推杆的使用
WO2009022905A3 (en) A rollercoaster amusement device
US2301341A (en) Hand truck
KR101885475B1 (ko) 이동체용 가변형 트랙 시스템
JP6243224B2 (ja) トラックロール式搬送台車
US9669860B2 (en) Stroller track system
KR20160092176A (ko) 차륜 이동장치용 간이 등반구
CN112693516B (zh) 婴儿车
KR101889899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RU2461514C2 (ru) Движу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с упрощенными грузонесу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CN108313114A (zh) 具有滑动有轨部件的折叠式儿童载具
CN210301455U (zh) 车用可伸缩无障碍通道
KR101772369B1 (ko) 손쉽게 턱을 넘어가는 밀차
JP2002284049A (ja) 車椅子の座面や荷台を水平に保って平地走行並びに階段昇降が可能な運搬車とその走行方法
WO2020115542A1 (en) Suitcase, case or bag with height adjustable wheels
KR101872581B1 (ko) 착탈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
JP6061204B2 (ja) 搬送台車利用の摩擦駆動搬送装置
KR101473178B1 (ko) 계단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모차
CN211869426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可调节型支撑车
CN213893915U (zh) 一种前伸式货物接驳装置及rgv小车
KR20170109960A (ko) 착탈 가능한 탑승체를 구비하는 전동 카트
JPH02225288A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
JP5896430B2 (ja) 雪面移動補助装置
JP2012035754A (ja) 搬送台車移動システム、搬送ライン及び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