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223B1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223B1
KR101490223B1 KR20140152211A KR20140152211A KR101490223B1 KR 101490223 B1 KR101490223 B1 KR 101490223B1 KR 20140152211 A KR20140152211 A KR 20140152211A KR 20140152211 A KR20140152211 A KR 20140152211A KR 101490223 B1 KR101490223 B1 KR 10149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rotating
fan fixing
grill par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석 filed Critical 강현석
Priority to KR2014015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환풍기는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통공(11)과 연통되는 결합테(12)가 형성되며 판상으로 된 원형 그릴부(10);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내측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그릴부(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부 삽입공(21a)이 형성된 내측커버본체(21)와, 중앙에 상기 그릴부(10)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그릴부 결합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a)에 상기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부 회전부(22)가 구비된 내측커버부재(20);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동수단(24);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25); 일측단부에는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신축가능한 자바라관(30); 내측에 배기팬(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단부에 상기 자바라관(3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테(42a)가 구비된 팬 고정부(42)와,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외측에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팬 고정부(42)가 결합되는 팬 고정부 결합공(43a)이 형성된 외측커버본체(43)가 구비된 외측커버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풍기{Ventilator}
본 발명은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형으로 된 환풍기의 공기흡입방향을 임의로 조정되도록 하여 공기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실내의 탁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환풍기는 보통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고, 보통 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고, 환풍기에는 건물의 외부로 연통되는 배기덕트가 연결된다.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환풍기는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구비된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어댑터로 구성된 환풍기본체와, 저면에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일측 또는 상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환풍기본체의 배기구에 설치된 개폐댐퍼를 포함한다. 또한, 환풍기본체의 저면 흡입구에는 커버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부재의 중앙부에는 그릴부에 의해 환풍기본체의 흡입구와 연통되는 에어통로가 형성된다. 또, 어댑터의 흡기구에는 자바라관이 연결되고, 자바라관에는 팬이 연결된다.
이러한 환풍기는 그릴부가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의 공기를 배기하기 어려운 형태로 되어 있다. 특히, 환풍기가 설치된 곳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공기의 배기가 어려워 환기창이나 별도의 배기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다방향에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그릴부의 형상을 방사형으로 구비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으나, 특정한 위치에서의 공기배기는 어렵고 환풍기에서 특정한 위치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기까지 기다리거나 선풍기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에서의 공기가 배기되기 용이하도록 환풍기 쪽으로 공기를 유동시켜야 한다.
천장에 배기덕트를 설치하기 어려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측벽에 환풍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측벽에 환풍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측벽의 구석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에도 그릴부가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 특정한 위치에서의 공기배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공기배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환풍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릴부를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로 향하도록 회동시키도록 하여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공기배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릴부를 회동시킴에 따라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릴부를 원격조정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는,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통공(11)과 연통되는 결합테(12)가 형성되며 판상으로 된 원형 그릴부(10);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내측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그릴부(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부 삽입공(21a)이 형성된 내측커버본체(21)와, 중앙에 상기 그릴부(10)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그릴부 결합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a)에 상기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부 회전부(22)가 구비된 내측커버부재(20);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동수단(24);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25); 일측단부에는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신축가능한 자바라관(30); 내측에 배기팬(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단부에 상기 자바라관(3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테(42a)가 구비된 팬 고정부(42)와,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외측에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팬 고정부(42)가 결합되는 팬 고정부 결합공(43a)이 형성된 외측커버본체(43)가 구비된 외측커버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공(21a)의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1b)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의 외주연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b)에 결합되는 돌기부(22b)가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10)는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외주연에 한쌍의 회동돌기(1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는 상기 그릴부 결합공(22a) 내주연에 상기 그릴부(10)의 한쌍의 상기 회동돌기(13)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회동결합구(22c)가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 회동수단(24)은, 하나의 상기 회동돌기(13)에 구비되는 웜기어(24a)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 고정되며 모터축(24b)에 상기 웜기어(24a)와 맞물려 상기 회동돌기(13)를 회전시켜 상기 그릴부(10)를 회동시키는 웜(24c)이 구비된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25)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의 돌기부(22b)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그릴부 회전부(22) 상부 외주연에는 구비된 링기어(25a)와, 모터축(25b)에 상기 링기어(25a)와 맞물려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시키는 평기어(25c)가 구비된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와, 상기 내측커버본체(21)의 상단에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를 고정시키는 브라켓(25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와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는 원격조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바라관(3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자바라관(30)의 일측단부 내주연에 결합되며 내주연에 환형돌기(31a)가 구비된 환형테(31)가 더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 외주연에는 상기 환형돌기(31a)와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환형가이드레일(1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 외측에는 단턱(15)이 형성되고, 한쌍의 상기 회동결합구(22c) 사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단턱(15)에는 상기 외측커버부재(40)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릴부(10)의 회동궤적과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되며 탄성이 부가된 한쌍의 걸림부(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16)와 인접한 상기 그릴부(10)의 외주연과 상기 걸림부(16)는 나사산형태로된 다수의 걸림턱(16a)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 회전부(20)는 상기 걸림부(16)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턱(16a)에 걸리는 한쌍의 걸림돌기(22d)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커버부재(40)는, 상기 팬 고정부(42)와 외측커버본체(43) 사이에 팬 고정부 회전부(44)가 더 구비되며, 상기 팬 고정부(42)는 상기 그릴부(10)의 한쌍의 회동돌기(13)와 상응하는 위치의 외주연에 한쌍의 팬 고정부 회동돌기(42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측커버본체(43)의 팬 고정부 결합공(43a)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43b)이 형성되며, 상기 팬 고정부 회전부(44)는, 중앙에 상기 팬 고정부(42)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팬 고정부 삽입공(44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레일(43b)에 결합되는 돌기부(44b)가 형성되며, 상기 팬 고정부 삽입공(44a)의 내주연에는 한쌍의 상기 팬 고정부 회동돌기(42b)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팬 고정부(42)를 회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팬 고정부 회동결합구(44c)가 구비되고, 상기 그릴부(10)와 상기 팬 고정부(42)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그릴부(10) 회동시 상기 팬 고정부(42)를 연동시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 회전시 상기 팬 고정부 회전부(44)를 연동시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그릴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그릴부(1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로드(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로드(50)의 각각의 단부 연결부위는 상기 그릴부(10) 및 상기 팬 고정부(42)와 각각 힌지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릴부를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로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공기배기가 용이하게 되어 배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선풍기 등의 별도의 공기 유동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배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그릴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팬의 배기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팬을 고정하는 팬고정부를 그릴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시킴으로써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배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천장이나 벽에 환풍기가 설치되는 경우 수동으로 그릴부를 회동 및 회전을 시키지 않고 원격조정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공기배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환풍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환풍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환풍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환풍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풍기는, 그릴부(10), 내측커버부재(20), 자바라관(30), 외측커버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그릴부(10)는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통공(11)과 연통되는 결합테(12)가 형성되며 원형형상을 갖는 판상의 플레이트로 된다. 상기 그릴부(10)는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 결합된다.
상기 내측커버부재(20)는 내측커버본체(21)와, 그릴부 회전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커버본체(21)는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내측에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그릴부(10)가 삽입되는 그릴부 삽입공(21a)이 형성된다.
보통 천장에 환풍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덕트, 조명, 각종 배선 등이 설치된 천장을 마감하는 마감재에 설치되게 되는데, 마감재를 천공하고 환풍기를 덕트와 연결되도록 하여 건물 외부로 실내의 탁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천공된 천장은 천공된 마감재를 의미한다.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는 상기 삽입공(21a)에 삽입결합된다.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는 중앙에 상기 그릴부(10)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그릴부 결합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a)에 상기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는 상기 그릴부(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회동돌기(13)와 회동결합구(22c)가 구비된다.
상기 그릴부(10)는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외주연에 한쌍의 회동돌기(1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는 상기 그릴부 결합공(22a) 내주연에 상기 그릴부(10)의 한쌍의 상기 회동돌기(13)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회동결합구(22c)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그릴부(10)가 회동가능하게 된다(도 3 참조).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는 상기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동수단(24)이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25)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부 회동수단(24)은, 하나의 상기 회동돌기(13)에 구비되는 웜기어(24a)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 고정되며 모터축(24b)에 상기 웜기어(24a)와 맞물려 상기 회동돌기(13)를 회전시켜 상기 그릴부(10)를 회동시키는 웜(24c)이 구비된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는 수신부(미도시됨)가 구비되어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됨)에 의한 원격조정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는 내측커버본체(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가이드레일(21b)과 돌기부(22b)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커버본체(21)의 상기 삽입공(21a)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1b)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의 외주연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b)에 결합되는 돌기부(22b)가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 회전부(22)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릴부 회전부(22)가 회전되면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그릴부(10)도 같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그릴부(10)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그릴부(10)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 회동가능하게 되므로, 배기하고자 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그릴부(10)를 회전 및 회동시킴으로써 배기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공기배기가 용이하게 되어 배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선풍기 등의 별도의 공기 유동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배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그릴부(10)가 회동가능하게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 결합되는데, 회동된 상기 그릴부(10)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 외측에는 단턱(15)이 형성되고, 한쌍의 상기 회동결합구(22c) 사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단턱(15)에는 상기 외측커버부재(40)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릴부(10)의 회동궤적과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되며 탄성이 부가된 한쌍의 걸림부(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16)와 인접한 상기 그릴부(10)의 외주연과 상기 걸림부(16)는 나사산형태로된 다수의 걸림턱(16a)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 회전부(20)는 상기 걸림부(16)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턱(16a)에 걸리는 한쌍의 걸림돌기(22d)가 더 형성되도록 한다(도 1 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그릴부(10)를 회동시키면 한쌍의 상기 걸림돌기(22d)가 상기 걸림부(16)의 걸림턱(16a)에 걸려 상기 그릴부(10)가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그릴부(10)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16)는 탄성이 부가된 상태이므로 상기 그릴부(10)의 원위치로의 복귀 회동시나 다른 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상기 걸림돌기(22d)가 상기 걸림턱(16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25)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의 돌기부(22b)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그릴부 회전부(22) 상부 외주연에는 구비된 링기어(25a)와, 모터축(25b)에 상기 링기어(25a)와 맞물려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시키는 평기어(25c)가 구비된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와, 상기 내측커버본체(21)의 상단에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를 고정시키는 브라켓(25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는 상기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와 마찬가지로 수신부(미도시됨)가 구비되어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됨)에 의한 원격조정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으로 상기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를 작동시켜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를 작동시켜 상기 그릴부 회전부(22)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환풍기가 천장이나 벽이 높은 곳에 설치되더라도 수동으로 그릴부(10) 회동 및 그릴부 회전부(22) 회전을 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손쉽게 그릴부(10) 회동 및 그릴부 회전부(22) 회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자바라관(30)은 일측단부에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신축가능하게 된다. 상기 자바라관(30)의 타측단부는 후술할 외측커버부재(4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자바라관(30)은 신축가능한 것으로 주름이 형성된다. 상기 자바라관(30)은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자바라관(3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자바라관(30)의 일측단부 내주연에 결합되며 내주연에 환형돌기(31a)가 구비된 환형테(31)가 더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 외주연에는 상기 환형돌기(31a)와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환형가이드레일(14)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그릴부(10)의 회전시 환형테(31)에 구비된 환형돌기(31a)가 상기 환형가이드레일(14)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환형가이드레일(14)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부(10)의 회전시 상기 그릴부(10)에 결합된 상기 자바라관(30)은 상기 그릴부(10)와 같이 회전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외측커버부재(40)는 팬 고정부(42)와, 외측커버본체(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팬 고정부(42)는 내측에 배기팬(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단부에 상기 자바라관(3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테(42a)가 구비된다.
상기 팬 고정부(42)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환형으로 된 테두리가 구비되고 이 테두리에서 배기팬(41)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다수의 리브가 구비되고 리브의 중앙에는 배기팬이 고정된 것으로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 외측커버본체(43)는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외측에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팬 고정부(42)가 결합되는 팬 고정부 결합공(43a)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환풍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환풍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환풍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환풍기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와 동일하나, 다른 점은 그릴부(10) 회전에 따라 팬고정부(42)도 회전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환풍기는 상기 그릴부(10)를 회전 및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그릴부(10)가 상기 팬 고정부(42)에 구비된 배기팬(41)과 상기 그릴부(10)를 회전시킨 만큼의 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배기팬(41)과 멀어진 상기 그릴부(10) 하단에서의 배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팬(41)과 그릴부(10)가 평행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팬 고정부(42)는 상기 그릴부(10)와 동일하게 회동 및 회전이 되도록 한다.
우선, 상기 팬 고정부(42)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 고정부(42)와 외측커버본체(43) 사이에 팬 고정부 회전부(44)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측커버본체(43)의 팬 고정부 결합공(43a)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43b)이 형성되며, 상기 팬 고정부 회전부(44)는, 중앙에 상기 팬 고정부(42)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팬 고정부 삽입공(44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레일(43b)에 결합되는 돌기부(44b)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팬 고정부(42)가 상기 그릴부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그릴부(10)와 상기 팬 고정부(42)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그릴부 회전부(22) 회전시 상기 팬 고정부 회전부(44)를 연동시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그릴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그릴부(1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로드(5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팬 고정부(42)가 상기 그릴부(10)와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하고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 고정부(42)는 상기 그릴부(10)의 한쌍의 회동돌기(13)와 상응하는 위치의 외주연에 한쌍의 팬 고정부 회동돌기(42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팬 고정부 삽입공(44a)의 내주연에는 한쌍의 상기 팬 고정부 회동돌기(42b)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팬 고정부(42)를 회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팬 고정부 회동결합구(44c)가 구비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로드(50)가 구비되므로 상기 팬 고정부(42)는 상기 그릴부(10) 회동시 연동되어 회동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그릴부(10)의 회전을 위해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로드(50)가 상기 그릴부(10)와 상기 팬 고정부(42)를 서로 연결하므로, 상기 팬 고정부 회전부(44)가 회전되게 되어 상기 팬 고정부(42)가 회전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그릴부(10)를 회동시키면 상기 연결로드(50)가 상기 그릴부(10)와 상기 팬 고정부(42)를 서로 연결하므로, 상기 팬 고정부(42)가 회동되게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상기 팬 고정부(42)는 상기 그릴부(10)와 동일하게 회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그릴부(10)의 회동시에 상기 그릴부(10)와 상기 팬 고정부(42)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로드(50)가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로드(50)의 각각의 단부 연결부위는 상기 그릴부(10) 및 상기 팬 고정부(42)와 각각 힌지연결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그릴부 11: 통공
12: 결합테 13: 회동돌기
14: 환형가이드레일 15: 단턱
16: 걸림부 16a: 걸림턱
20: 내측커버부재 21: 내측커버본체
21a: 그릴부 삽입공 21b: 가이드레일
22: 그릴부 회전부 22a: 그릴부 결합공
22b: 돌기부 22c: 회동결합구
22d: 걸림돌기
24: 그릴부 회동수단 24a: 웜기어
24c: 웜 24d: 그릴부 회동용 모터
25: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 25a: 링기어
25c: 평기어 25d: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
25e: 브라켓 30: 자바라관
31: 환형테 31a: 환형돌기
40: 외측커버부재 41: 배기팬
42: 팬 고정부 42a: 결합테
42b: 팬 고정부 회동돌기 43: 외측커버본체
43a: 팬 고정부 결합공 43b: 가이드레일
44: 팬 고정부 회전부 44a: 팬 고정부 삽입공
44b: 돌기부 44c: 팬 고정부 회동결합구
50: 연결로드

Claims (7)

  1.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통공(11)과 연통되는 결합테(12)가 형성되며 판상으로 된 원형 그릴부(10);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내측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그릴부(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부 삽입공(21a)이 형성된 내측커버본체(21)와, 중앙에 상기 그릴부(10)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그릴부 결합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a)에 상기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부 회전부(22)가 구비된 내측커버부재(20);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동수단(24);
    상기 내측커버부재(2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되도록 하는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25);
    일측단부에는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신축가능한 자바라관(30);
    내측에 배기팬(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단부에 상기 자바라관(3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테(42a)가 구비된 팬 고정부(42)와, 외측이 환풍기 설치를 위해 천공된 벽체 또는 천장의 외측에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팬 고정부(42)가 결합되는 팬 고정부 결합공(43a)이 형성된 외측커버본체(43)가 구비된 외측커버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21a)의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1b)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의 외주연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b)에 결합되는 돌기부(22b)가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10)는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외주연에 한쌍의 회동돌기(1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는 상기 그릴부 결합공(22a) 내주연에 상기 그릴부(10)의 한쌍의 상기 회동돌기(13)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그릴부(10)를 회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회동결합구(22c)가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 회동수단(24)은, 하나의 상기 회동돌기(13)에 구비되는 웜기어(24a)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에 고정되며 모터축(24b)에 상기 웜기어(24a)와 맞물려 상기 회동돌기(13)를 회전시켜 상기 그릴부(10)를 회동시키는 웜(24c)이 구비된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수단(25)은, 상기 그릴부 회전부(22)의 돌기부(22b)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그릴부 회전부(22) 상부 외주연에는 구비된 링기어(25a)와, 모터축(25b)에 상기 링기어(25a)와 맞물려 상기 그릴부 회전부(22)를 회전시키는 평기어(25c)가 구비된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와, 상기 내측커버본체(21)의 상단에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를 고정시키는 브라켓(25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 회동용 모터(24d)와 상기 그릴부 회전부 회전용 모터(25d)는 원격조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관(3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자바라관(30)의 일측단부 내주연에 결합되며 내주연에 환형돌기(31a)가 구비된 환형테(31)가 더 구비되며,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 외주연에는 상기 환형돌기(31a)와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환형가이드레일(1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10)의 결합테(12) 외측에는 단턱(15)이 형성되고, 한쌍의 상기 회동결합구(22c) 사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단턱(15)에는 상기 외측커버부재(40)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릴부(10)의 회동궤적과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되며 탄성이 부가된 한쌍의 걸림부(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16)와 인접한 상기 그릴부(10)의 외주연과 상기 걸림부(16)는 나사산형태로된 다수의 걸림턱(16a)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 회전부(20)는 상기 걸림부(16)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턱(16a)에 걸리는 한쌍의 걸림돌기(22d)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부재(40)는,
    상기 팬 고정부(42)와 외측커버본체(43) 사이에 팬 고정부 회전부(44)가 더 구비되며,
    상기 팬 고정부(42)는 상기 그릴부(10)의 한쌍의 회동돌기(13)와 상응하는 위치의 외주연에 한쌍의 팬 고정부 회동돌기(42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측커버본체(43)의 팬 고정부 결합공(43a)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43b)이 형성되며,
    상기 팬 고정부 회전부(44)는, 중앙에 상기 팬 고정부(42)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팬 고정부 삽입공(44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레일(43b)에 결합되는 돌기부(44b)가 형성되며,
    상기 팬 고정부 삽입공(44a)의 내주연에는 한쌍의 상기 팬 고정부 회동돌기(42b)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팬 고정부(42)를 회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팬 고정부 회동결합구(44c)가 구비되고,
    상기 그릴부(10)와 상기 팬 고정부(42)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그릴부(10) 회동시 상기 팬 고정부(42)를 연동시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그릴부 회전부(22) 회전시 상기 팬 고정부 회전부(44)를 연동시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그릴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그릴부(1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로드(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50)의 각각의 단부 연결부위는 상기 그릴부(10) 및 상기 팬 고정부(42)와 각각 힌지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KR20140152211A 2014-11-04 2014-11-04 환풍기 KR10149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211A KR101490223B1 (ko) 2014-11-04 2014-11-04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211A KR101490223B1 (ko) 2014-11-04 2014-11-04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223B1 true KR101490223B1 (ko) 2015-02-05

Family

ID=5259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2211A KR101490223B1 (ko) 2014-11-04 2014-11-04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2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3870A (zh) * 2020-10-17 2021-02-02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的送风装置
WO2021231740A1 (en) * 2020-05-13 2021-11-18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tensioning pliable airducts while supporting internal hvac components
KR20210150734A (ko) *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조은바람 디퓨저 조립체
CN114636215A (zh) * 2022-05-09 2022-06-17 迅管(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封闭式生产车间用的换气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412A (ko) * 1997-08-22 1999-03-15 정영춘 환풍기의 자동셔터
KR20070101678A (ko) * 2006-04-12 2007-10-17 김재교 환풍기
KR20130038609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풍기 커버의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412A (ko) * 1997-08-22 1999-03-15 정영춘 환풍기의 자동셔터
KR20070101678A (ko) * 2006-04-12 2007-10-17 김재교 환풍기
KR20130038609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풍기 커버의 조립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1740A1 (en) * 2020-05-13 2021-11-18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tensioning pliable airducts while supporting internal hvac components
US11796214B2 (en) 2020-05-13 2023-10-24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tensioning pliable airducts while supporting internal HVAC components
KR20210150734A (ko) *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조은바람 디퓨저 조립체
KR102417213B1 (ko) * 2020-06-04 2022-07-06 주식회사 조은바람 디퓨저 조립체
CN112303870A (zh) * 2020-10-17 2021-02-02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的送风装置
CN114636215A (zh) * 2022-05-09 2022-06-17 迅管(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封闭式生产车间用的换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223B1 (ko) 환풍기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JP6157407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調整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205403039U (zh) 具有换气、新风功能的取暖装置
CN104406233A (zh) 兼有换气功能的吸顶嵌入式空调
JP4420361B2 (ja) 換気レジスター
JP2009052767A (ja) 設備機器
CN105650798A (zh) 具有新风功能的换气装置
WO2019163104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室内システム
KR101580509B1 (ko) 환풍기
JPH10246485A (ja) ダクト用換気扇
KR102327793B1 (ko) 좌우측 방향으로 풍향 조절이 가능한 풍향조절모듈이 삽입된 후드캡
JP2019135432A (ja) ルーバ、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組立方法
KR200477238Y1 (ko) 디퓨져
CN211233102U (zh) 空调装置的室内机
CN210511928U (zh) 室内机、空调器
CN204313394U (zh) 兼有换气功能的吸顶嵌入式空调
KR20180092024A (ko) 풍량조절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환기팬
KR102186760B1 (ko)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JP5518011B2 (ja) 化粧パネル及び換気扇
KR2010005238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실내기의 조립 방법
JP2010101506A (ja) 換気空調装置
JP3898282B2 (ja) 換気口
KR102327791B1 (ko) 좌우측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후드캡
JP2005164213A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