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163B1 - Tent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Tent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163B1
KR101490163B1 KR20130057269A KR20130057269A KR101490163B1 KR 101490163 B1 KR101490163 B1 KR 101490163B1 KR 20130057269 A KR20130057269 A KR 20130057269A KR 20130057269 A KR20130057269 A KR 20130057269A KR 101490163 B1 KR101490163 B1 KR 10149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nt
support
fram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6772A (en
Inventor
박동순
Original Assignee
한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주 filed Critical 한용주
Priority to KR2013005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163B1/en
Publication of KR2014013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용 차량(RV)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의 후미로 차량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텐트를 설치하여 숙박시설이 없는 야영지에서 간편하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저용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10)의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11) 측으로 차량(10)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차량용 텐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후미에 설치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천막수단(100)과; 상기 천막수단(100)의 일측에 결합된 유동부(220) 및 상기 방음패킹(11) 측에 상시 위치되도록 결합된 고정부(210)의 상호 탈부착구조에 의해 상기 천막수단(100)을 차량(10)의 후미에 설치 및 분리하는 연결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t connected to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t the rear of a leisure vehicle (RV) or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To a t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nt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 room of a vehicle (10) by a soundproof packing (11) formed at the rear of a leisure or sport utility vehicle (10) Means (100); The tent means 100 may be attached to the vehicle 100 by means of the mutual detachment structure of the moving part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t device 100 and the fixed part 210 being alway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11 And a connection means 200 for installing and separating the light emitting diode 10 at the rear end thereof.

Description

차량용 텐트 {Tent for vehicles}Ten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용 차량(RV)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의 후미로 차량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텐트를 설치하여 숙박시설이 없는 야영지에서 간편하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t connected to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t the rear of a leisure vehicle (RV) or a sports utility vehicle (SUV) To a tent for a vehicl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1583호(2007.08.16) "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종래 차량의 지붕에 설치하거나 차량의 내부에서 인출된 바닥판에 설치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설치 및 철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텐트와 차량의 연결부가 긴밀하지 못하여 바람이나 빗물 등이 침입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이 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본체와, 상기 텐트 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선단이 차량의 배면 개구부 내에 삽입 고정되어 차량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텐트가 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51583 (2007.08.16) "has been disclosed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on a roof of a conventional vehicle or installed on a floor plate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a vehicle, Which is inconvenient and structurally complicated, is difficult to install and demount, and also ten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vehicle are not tight, thereby solving the problems such as entering of wind or rainwater. The floor is fixed on the ground, There is provided a tent for a vehicle, comprising a tent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tent body and having a tip end inserted and fixed in the opening of the vehic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vehicle.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의 배면에 설치되는 텐트 본체의 경우 텐트 본체의 일측이 연장형성되어 선단이 차량의 배면 개구부 내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부가 복수의 당김밴드로 차량 내에 고정되는 삽입부 및 차량의 배면에 구비된 패킹에 씌워진 상태에서 소정 간격으로 결합된 집게로 고정되는 덮개부를 이용해 차량에 설치되는 등 설치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차량용 텐트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주(프레임) 들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차량용 텐트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과 더불어 차량용 텐트의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tent bod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a vehicle, a connect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tent body is extended and a tip e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vehicle rear opening is fixed in the vehicle by a plurality of pulling bands, Since the mounting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vehicle on the vehicle is complicated by using a lid part fixed to the vehicle by means of the lid part fixed by the pincers combined with the pack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tent is very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hicle tent is increased.

또한, 종래에는 차량용 텐트가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에 의해 차량의 배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텐트 본체의 저면이 바닥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긴급히 차량을 운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텐트 본체를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을 긴급히 사용하지 못함과 더불어, 차량을 소폭 운행하거나 차량용 텐트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용 텐트를 필수적으로 설치 해체해야 하는 등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when the vehicle t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tent body is fixed to the floor in a state where the tent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hicle by the complicat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vehicle tent in a case where the vehicle is operated only slightly or the situation w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tent is adjusted occurs as the time required to dismantle the tent body by the user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ability is remarkably 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저용 차량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의 후미로 차량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차량용 텐트에 대하여, 텐트의 본체가 되는 천막수단을 고정부와 유동부가 상호 탈부착되는 구조의 연결수단을 이용해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게 하되, 상기 연결수단의 고정부는 차량 후미에 일반적으로 형성된 방음패킹 측에 상시 위치되도록 하여 차량용 텐트의 설치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이를 통해 차량용 텐트의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들이 필요 없기 때문에 차량용 텐트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화되면서 차량용 텐트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차량용 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t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a leisure vehicle or a sports utility vehicle in connection with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The fix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is alway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which is gene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so as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tent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nt for a vehicle which can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a vehicle tent while simplify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vehicle tent.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미로 연결수단을 통해 탈부착되는 천막수단을 복수의 지주를 이용해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수단에 설치하여 차량용 텐트의 바닥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수단의 구조를 복수의 코너연결구, 연장구, 프레임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상호 조립되는 방식을 이용해 받침수단의 형태를 다변화함에 따라 이를 통해 차량용 텐트의 다양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차량용 텐트의 크기를 받침수단을 이용해 임의 조절하도록 하여 차량용 텐트의 설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t means attach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a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a load by using a plurality of supports to form the bottom of the vehicle tent, As the shape of the supporting means is diversified using a method of assembling the connecting portion, the extending portion and the frame into the frame type structure, the size of the vehicle ten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means of the suppor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installation spaces of the vehicle tent So as to provide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of the vehicle tent.

그리고, 본 발명은 긴급히 차량을 운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연결수단만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차량과 텐트가 분리되어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도록 하며, 받침수단의 지주 하단으로 바퀴가 부설된 복수의 캐스터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이를 통해 차량을 소폭 운행하거나 차량용 텐트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용 텐트를 분리하지 않아도 차량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차량용 텐트 전체가 위치 이송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separating and disassembling the vehicle and the tent simply by disassembling the connecting means only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must be operated urgently occurs, When a plurality of castors are installed, the entire tent of the vehicle is mov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even if the vehicle tent is not separated, There is another purpose.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저용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의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 측으로 차량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차량용 텐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천막수단과; 상기 천막수단의 일측에 결합된 유동부 및 상기 방음패킹 측에 상시 위치되도록 결합된 고정부의 상호 탈부착구조에 의해 상기 천막수단을 차량의 후미에 설치 및 분리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nt for a vehicle installed on a side of a soundproof packing formed at the rear of a leisure or sport utility vehicle so as to be connected to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comprising: a tent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for providing a rest space; And a connection means for installing and separating the tent means at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mutual detachment / attachment structure of a mov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t means and a fixed portion permanently attached to the soundproof packing side. Provides a vehicle ten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와 유동부가 상호 탈부착되는 구조의 연결수단을 이용해 텐트를 차량의 후미에 설치하되,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은 차량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 측에 상시 위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천막수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차량용 텐트의 구조를 이루는 별도의 프레임들이 필요 없기 때문에 차량용 텐트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화되면서 차량용 텐트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using a connecting mean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portion and the flow portion are mutually detached and attached,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ans is always positioned on the soundproof packing side form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Since the separate structural frames constitut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ent are not necessary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be coupled to one side,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vehicle tent is very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hicle tent is reduced.

또한, 차량용 텐트의 천막수단이 복수의 지주를 이용해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수단에 설치되어 차량용 텐트의 바닥을 형성함과 동시에 복수의 코너연결구, 연장구, 프레임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상호 조립되는 받침수단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상기 받침수단의 형태를 다변화함에 따라 이를 통해 차량용 텐트의 다양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차량용 텐트의 크기를 받침수단을 이용해 임의 조절하도록 하여 차량용 텐트의 설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ent means of the vehicle tent is provided to the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load by using a plurality of struts to form the bottom of the vehicle tent, and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an extension, and a frame are assembled into a square fra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of the vehicle tent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size of the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various installation spaces of the vehicle tent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support means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means, There is another effect.

그리고, 긴급히 차량을 운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연결수단만을 해체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간편하게 차량과 텐트가 분리되어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며, 바퀴가 부설된 복수의 캐스터가 지주의 하단으로 설치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차량을 소폭 운행하거나 차량용 텐트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용 텐트를 분리하지 않아도 차량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차량용 텐트 전체가 위치 이송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must be urgently operated occurs, the time required for dis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vehicle and the tent is remarkably reduce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disassembling only the connecting means, and a plurality of casters, There is a further effect that the whole of the vehicle tent is trans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ehicle even if the vehicle tent is not separated,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only slightly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or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nt is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의 측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and a main part sectional view of a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vehicle 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3 are views illustrating a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른, 차량용 텐트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레저용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10)의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11) 측으로 차량(10)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차량용 텐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후미에 설치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천막수단(100)과; 상기 천막수단(100)의 일측에 결합된 유동부(220) 및 상기 방음패킹(11) 측에 상시 위치되도록 결합된 고정부(210)의 상호 탈부착구조에 의해 상기 천막수단(100)을 차량(10)의 후미에 설치 및 분리하는 연결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 vehicle tent, a tent for a vehicle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10 on the side of a soundproof packing 11 formed at the rear of a leisure or sport utility vehicle 10, A tent means 1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ent unit 100 to provide a rest space; The tent means 100 may be attached to the vehicle 100 by means of the mutual detachment structure of the moving part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t device 100 and the fixed part 210 being alway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11 And a connection means 200 for installing and separating the light emitting diode 10 at the rear end thereof.

이때, 상기 천막수단(100)의 하부에는 차량용 텐트의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수단(3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수단(300)은 복수의 코너연결구(310), 연장구(320), 프레임(330)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되어 형태가 다변화되는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340)가 상기 코너연결구(310) 및 연장구(320) 하부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tent means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receiving means 300 for forming the bottom of the vehicle tent and the receiving means 300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ing ports 310, A plurality of struts 340 for supporting the load in a state where the frame 330 is assembled into a square frame structure and the shape is diversified is provided below the corner connecting portion 310 and the extending portion 320.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itu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천막수단(100)은 레저용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10)의 후미에 설치되어 숙박시설이 없는 야영지에서 간편하게 휴식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천막수단(100)은 방수기능을 갖는 직물로 인조섬유 재질의 원단을 재봉처리 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특정한 형태 및 모양(다면체)을 갖도록 제작하며, 측면에는 입구 및 창문이 형성되는 등 일반적인 텐트의 천막 형태 및 구조를 갖는 것이다.First, the tent means 1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eisure or sport utility vehicle 10 to provide a space for easy rest in a campsite without accommodation, and the tent means 100 includes a waterproof fabric (Polyhedron)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abric by sewing a raw fabric of a synthetic fiber material, and an entrance and a window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이때, 상기 천막수단(100)의 상부 일측에는 천막수단(100)이 차량(10)의 후미에 설치되면 지붕의 구조를 갖으면서 천막수단(10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차량(10) 뒷 도어(미도시)의 일측에 체결되는 보조고정구(110)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고정구(110)는 끝단에 후크형태의 연결고리가 부설된 끈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천막수단(100)에 재봉처리에 의해 고정된다.When the tent means 1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on the upper side of the tent means 100, a rear door (not shown) of the vehicle 10 is provided so a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ent means 100, The auxiliary fastener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ring having a hook-shaped connecting ring at its end, and is fastened to the tent means 100 by a sewing process. do.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천막수단(100)의 일측에 결합된 유동부(220) 및 상기 방음패킹(11) 측에 상시 위치되도록 결합된 고정부(210)의 상호 탈부착구조에 의해 상기 천막수단(100)을 차량(10)의 후미에 설치 및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수단(200)은 차량(10)의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1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띠 형태로 직물을 이용해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10)는 차량(10)의 후미로 방음패킹(11)이 끼워진 프레임(미도시;도3의 확대도) 측에 상기 방음패킹(11)과 더불어 차량(10)의 후미 둘레로 끼워짐에 따라 차량(10)의 방음패킹(11) 측에 상시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210)의 재질이 유기적으로 형태가 가변하기 위해 신축성을 갖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방음패킹(11) 측에 상시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10)의 뒷 도어를 닫아도 별다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ion means 200 is constructed by mutual detachment structure of the moving part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t device 100 and the fixing part 210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soundproof packing 11 side The tent means 100 may be installed and separat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10 so that the connecting means 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oundproof packing 11 form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The fixing part 210 is attached to the vehicle 10 with the soundproof packing 11 on the side of a frame (not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 in which the soundproof packing 11 is fit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 The fixing portion 210 is alway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11 of the vehicle 10 and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210 can be changed organically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10 is closed in a state of being alway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11 Which would otherwise interfere it does not occur.

또한, 상기 유동부(220)는 상기 고정부(21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띠 형태로 신축성을 갖는 직물을 이용해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천막수단(100)의 일측 끝단에 재봉처리됨에 따라 상기 유동부(220)와 고정부(210)의 상호 체결작용에 의해 상기 천막수단(100)이 차량(10)의 후미로 탈부착방식으로 설치되게 된다.In addition, the moving unit 220 is fabricated using a stretchable fabric in the shape of a band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ixing unit 210, and is sewed to one end of the tent unit 100, The tent means 1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in a detachable manner by mutual engagement of the moving portion 220 and the fixing portion 210. [

이때, 상기 고정부(210)와 유동부(22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차량(10)의 후미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part 210 and the moving part 22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fixing part 210 and the moving part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ar frame of the vehicle 10.

한편, 상기 고정부(210)와 유동부(220)는 지퍼, 벨크로, 자석, 버튼(단추)과 같은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 체결방식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다양한 체결방식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면에서는 차량용텐트(1)의 기본형태인 지퍼 체결방식만을 도시한 것이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체결방식을 선택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xing unit 210 and the moving unit 220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male and female pairs such as a zipper, a velcro, a magnet, and a button. The figure shows only the zipper fastening system as a basic form of the vehicle tent 1, and various fastening systems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따라서, 상기 고정부(210)와 유동부(220)가 상호 탈부착되는 구조의 연결수단(200)을 이용해 텐트를 차량(10)의 후미에 설치하되, 상기 연결수단(200)의 일단은 차량(10)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 측에 상시 위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천막수단(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차량용텐트(1)의 구조를 이루는 별도의 프레임들이 필요 없기 때문에 차량용텐트(1)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화되면서 차량용텐트(1)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적인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The ten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by using the connecting means 2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210 and the moving portion 220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ans 2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ent means 100,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frames constitut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ent 1.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tent 1 And the disassembly becomes very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hicle tent 1 is reduced.

그리고, 상기 받침수단(300)은 천막수단(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복수의 코너연결구(310), 연장구(320), 프레임(330)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되어 형태가 다변화(길이 및 폭 조절)되는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340)를 이용해 차량용텐트(1)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수단(300)은 운반 및 운송이 용이하도록 무게가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해 코너연결구(310), 연장구(320), 프레임(330), 지주(340)가 제작된다.The supporting means 3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ent means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ing portions 310, an extending portion 320 and a frame 330 assembled into a square frame structure, (Length and width are adjusted), and the bottom of the tent 1 for a vehicle is formed by using a plurality of pillars 340 supporting the load. The supporting means 300 is lightweight and easy to carry and transport The corner connector 310, the elongated hole 320, the frame 330, and the support column 340 are fabricated using synthetic resin or aluminum having high strength.

이때, 상기 코너연결구(310)는 전체적인 형상이 'ㄱ'자를 이루면서 'X,Y,Z' 축 방향으로 복수의 프레임(330)과 더불어 지주(340)가 각각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며, 상기 받침수단(300)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코너연결구(310)가 각 모서리에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프레임(330)이 90°방향으로 각각 코너연결구(310) 상부에 끼워지는 체결과정에 의해 코너연결구(310) 끼리 상호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받침수단(300)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코너연결구(310)의 하부로 복수의 지주(340)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지주(340)를 이용해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rner connector 3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verall shape is 'a' 'and the pillars 340 are fitted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frames 330 in the X, Y and Z'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means 300, the plurality of frames 330 are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rner connector 310 in the 90 ° direction with the corner connector 310 positioned at each corner, The support members 300 are assembled into a square frame structure as the support members 310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340 ar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rner connector 310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load 3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340.

한편, 상기 연장구(320)는 'T'자 형태로 상부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330)이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로 지주(340)가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코너연결구(310)와 프레임(330)을 이용해 받침수단(300)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구(320)는 코너연결구(310)가 연결 조립되는 프레임(330) 사이로 위치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받침수단(300)의 길이와 폭을 사용자 임의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The extension 320 is formed in a T shap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3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330 at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330, The protrusion 320 is inserted into the frame 330 through which the corner connector 310 is connected to the frame 330 in a process of assembling the supporting means 300 into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using the frame 330 and the frame 330,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eceiving means 30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이때, 상기 프레임(330)과 지주(340)는 상기 코너연결구(310)와 연장구(320)로 끼워지기 위해 이에 대응되는 직경의 원형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며, 특히 상기 지주(340)는 복수의 파이프(미도시)가 중첩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중첩된 파이프(미도시)가 신장되는 작용에 의해 받침수단(3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며, 상기 지주(340)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지주(340)의 중첩되는 파이프 중 외측에 위치된 파이프 측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미도시)의 가압력에 의해 조절된 높낮이가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파이프 신장에 의한 지주(340)의 높낮이 조절은 일반적으로 파라솔과 같은 지주 구조물에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도면 부호의 표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The frame 330 and the struts 34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onnector 310 and the elongated hole 320 so that the frame 330 and the struts 340 are inserted into the corner connector 310 and the elongated hole 320. The elevation of the supporting means 300 is controlled by the action of the overlapping pipe (not shown) being elongated. When the elevation of the supporting column 340 is adjusted, The height adjustable by a pressing force of a fixing bolt (not shown) penetrating to the pipe side located outside the overlapped pipe of the pipe 340 is fixed, and the elevation of the column 340 by the pipe extension is generally controlled Since it is widely used in a pillar-like column structure, the representa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조립되는 받침수단(300)의 상부에는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재(351)를 이용해 상기 받침수단(300)의 상부 수평면에서 다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설치되어 차량용텐트(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밴드(350)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밴드(350)는 신축성 및 탄성력을 갖는 직물재질의 띠 형태로 제작되어 양단에 후크 형태의 체결부재(351)가 재봉처리되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351)가 걸려지는 작용을 이용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되는 받침수단(300) 상면에 복수의 보강밴드(350)가 교차되게 연결설치됨에 따라 천막수단(100) 내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의 및 각종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차량용텐트(1)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vehicle tent 1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means 300 assembled with the above structure so as to intersect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300 in multiple directions using fastening members 351 formed at both ends. And the reinforcing band 350 is fabricated in the form of a band of fabric material having stretchability and elasticity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351 in the form of a hook is sewn on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nd 350,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nds 3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ans 300 assembled into a square frame structure by using the a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351 being hooked,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tent 1 supporting the load of the user and the rest of the user in the means 100 is form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받침수단(300)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상기 받침수단(300)의 형태를 다변화함에 따라 이를 통해 차량용텐트(1)의 다양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차량용텐트(1)의 크기를 받침수단(300)을 이용해 임의 조절하도록 하여 차량용텐트(1)의 설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된다.
Therefore, as the shape of the receiving means 300 is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ing means 300, the size of the vehicle tent 1 can be controlled by the size of the receiving means 300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installation spaces of the vehicle tent 1, The vehicle ten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using the means 300 so that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of the vehicle tent 1 can be provided.

한편,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4 is a view showing a vehicle 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텐트(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천막수단(100)을 차량(10)에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10)을 소폭 이동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지주(340)의 하단에는 받침수단(300)이 차량(10)의 후미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차량용텐트(1) 전체가 위치 이송되게 하는 복수의 캐스터(400)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캐스터(400)는 육중한 물체를 이동하기 간편하도록 하기 위해 바퀴가 부설된 일반적인 캐스터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캐스터(400)의 결합구조에 의해 차량용텐트(1)의 위치 설정 및 차량(10)을 소폭 이동해야 하는 경우 차량용텐트(1)를 해체하지 않아도 상기 캐스터(400)의 이동작용에 의해 차량(1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10 is moved slightly while the tent means 10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1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vehicle tent 1 having the above structure. A plurality of casters 400 for causing the entirety of the vehicle tent 1 to be mov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 in a state where the receiving means 30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 The caster 4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a general casters with wheels mounted thereon in order to simplify the movement of a heavy object. The vehicle 10 can be used by the movement of the caster 400 without disassembling the vehicle tent 1 when the setting and the vehicle 10 have to be moved slightly.

이때, 상기와 같이 캐스터(400)를 이용해 차량용텐트(1)를 차량(10)과 더불어 위치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천막수단(100)의 하부에는 받침수단(300)의 프레임(300)에 천막수단(1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연장부(120)가 원형 링 형태로 상기 프레임(300)의 직경에 대응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120)를 이용해 천막수단(100)이 받침수단(300)에 고정되어 차량용텐트(1)가 차량(10)에 설치된 상태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When the car tent 1 is transported along with the vehicle 10 using the caster 400 as described above, the tent means 10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300 of the receiving means 300, A plurality of extensions 120 for fixing the tents 1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ameter of the frame 300 so that the tent means 10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means 300 So that the vehicle tent 1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10 is installed.

한편, 상기 캐스터(400)에 의해 차량용텐트(1)가 차량(10)에 설치된 상태로 위치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받침수단(300)의 지주(340) 일측에는 복수의 보강대(410)가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차량(10)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지주(3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tent 1 is moved by the caster 400 in a state where the tent 1 is installed on the vehicle 10,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410 ar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column 340 of the supporting means 300 Thereby preventing the struts 340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

따라서, 바퀴가 부설된 복수의 캐스터(400)가 지주(340)의 하단으로 설치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차량(10)을 소폭 운행하거나 차량용텐트(1)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용텐트(1)를 분리하지 않아도 차량(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차량용텐트(1) 전체가 위치 이송되는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vehicle 10 is slightly operated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tent 1 is adjust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which a plurality of casters 400 with wheels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pillars 340 There is a characteristic advantage that the entirety of the vehicle tent 1 is transport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 even if the vehicle tent 1 is not separ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차량용 텐트 10.차량
11.방음패킹 100.천막수단
110.보조고정구 120.밀폐부재
200.연결수단 210.고정부
220.유동부 300.받침수단
310.코너연결구 320.연장구
330.프레임 340.지주
350.보강밴드 400.캐스터
1. Vehicle tent 10. Vehicle
11. Soundproof packing 100. Tent material
110. Auxiliary fixture 120. Closure member
200. Connection means 210. Fixed portion
220. Floating section 300. Supporting means
310. Corner connector 320. Extension hole
330. Frame 340. Holding
350. Reinforcing band 400. Casters

Claims (7)

레저용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10)의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11) 측으로 차량(10)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차량용 텐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후미에 설치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천막수단(100)과; 상기 천막수단(100)의 일측에 결합된 유동부(220) 및 상기 방음패킹(11) 측에 상시 위치되도록 결합된 고정부(210)의 상호 탈부착구조에 의해 상기 천막수단(100)을 차량(10)의 후미에 설치 및 분리하는 연결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200)의 고정부(210)와 유동부(220)는 지퍼,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의 체결방식을 이용해 상호 탈부착되고;
상기 천막수단(100)의 하부에는 차량용 텐트의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수단(3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받침수단(300)은 복수의 코너연결구(310), 연장구(320), 프레임(330)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되어 형태가 다변화되는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340)가 상기 코너연결구(310) 및 연장구(320) 하부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수단(300)의 상부에는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재(351)를 이용해 상기 받침수단(300)의 상부 수평면에서 다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설치되어 차량용 텐트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밴드(3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주(340)의 하단에는 받침수단(300)이 차량(10)의 후미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차량용 텐트 전체가 위치 이송되게 하는 캐스터(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A tent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10) by a soundproof packing (11) formed at the rear of a leisure or sport utility vehicle (10)
A tent means 1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to provide a rest space; The tent means 100 may be attached to the vehicle 100 by means of the mutual detachment structure of the moving part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t device 100 and the fixed part 210 being alway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11 And a connecting means (200)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t a rear end of the main body (10);
The fixing portion 210 and the moving portion 220 of the connecting means 200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a fastening method such as a zipper or a Velcro;
The receiving means 30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ing ports 310, an extending portion 320, a frame 330, A plurality of struts 340 supporting a load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into a square frame structure and being diversified in shape are installed below the corner connection port 310 and the extension 320;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ands (not shown) are formed at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means 300 so as to intersect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300 in multiple directions using fastening members 351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means 300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tent 350;
The caster 400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trut 340 so that the entirety of the vehicle tent is mov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means 30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 Features a car 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수단(100)의 상부 일측에는 천막수단(100)이 차량(10)의 후미에 설치되면 지붕의 구조를 갖으면서 천막수단(10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차량(10)의 뒷 도어에 일단이 체결되는 보조고정구(1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ent means 1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tent means 100, one end of the tent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10 so a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ent means 100, Wherein the auxiliary fastener (110) is fast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340)는 복수의 파이프가 중첩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중첩된 파이프가 신장되는 작용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column (340)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overlapped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ipe (340) is adjusted by an action of extending the overlapped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57269A 2013-05-21 2013-05-21 Tent for vehicles KR101490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269A KR101490163B1 (en) 2013-05-21 2013-05-21 Tent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269A KR101490163B1 (en) 2013-05-21 2013-05-21 Tent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72A KR20140136772A (en) 2014-12-01
KR101490163B1 true KR101490163B1 (en) 2015-02-05

Family

ID=5245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269A KR101490163B1 (en) 2013-05-21 2013-05-21 Tent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16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64U (en) 2018-06-29 2020-01-08 송영진 Tent for vehicles
KR102154295B1 (en) * 2019-03-22 2020-09-09 곽병혁 Automatic tent for leisure established to rear of vehicles
KR20220001075A (en)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엠케이카라반 Tent for vehicles
KR20230082180A (en) 2021-12-01 2023-06-08 최재황 Expandable car tent
KR20230106217A (en) 2022-01-06 2023-07-13 안희태 vehicle camping extension structure
KR20240009663A (en) 2022-07-14 2024-01-23 성기수 Onetouch type tent for rear of a 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405B1 (en) 2015-07-24 2017-02-2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tent connecting car
CN105459882B (en) * 2015-12-12 2017-10-10 重庆山岱科技有限责任公司 Tent for vehicle
WO2018034547A1 (en) * 2016-08-19 2018-02-22 아프로비에이 주식회사 Tent
CN107693226B (en) * 2017-10-17 2019-08-20 蔡镇海 A kind of medical treatment is anti-to surround and watch ambulance
KR102305742B1 (en) 2018-06-15 2021-09-28 이돈 Detachable Tent for Vehicle
KR20200000596U (en) 2018-09-07 2020-03-17 서신규 Car Tent
KR102380321B1 (en) * 2021-07-30 2022-03-30 최종섭 Tent structure for camping capable of being pulled out and installed in a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056A (en) * 2010-01-19 2011-07-27 박영곤 Tent for leisure established to rear of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056A (en) * 2010-01-19 2011-07-27 박영곤 Tent for leisure established to rear of vehicl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64U (en) 2018-06-29 2020-01-08 송영진 Tent for vehicles
KR102154295B1 (en) * 2019-03-22 2020-09-09 곽병혁 Automatic tent for leisure established to rear of vehicles
KR20220001075A (en)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엠케이카라반 Tent for vehicles
KR20230082180A (en) 2021-12-01 2023-06-08 최재황 Expandable car tent
KR20240042389A (en) 2021-12-01 2024-04-02 최재황 Skirt for car
KR20230106217A (en) 2022-01-06 2023-07-13 안희태 vehicle camping extension structure
KR20240009663A (en) 2022-07-14 2024-01-23 성기수 Onetouch type tent for rear of a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72A (en)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163B1 (en) Tent for vehicles
US9580928B1 (en) Adaptable tent system with interconnecting member
US9366054B2 (en) Foldable tent
KR101436951B1 (en) Tent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US9482027B2 (en) Mechanisms for shelter attachments
US7178537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20090293927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US5758679A (en) Lid tent combination
US20110155197A1 (en) Awning and screen room
US20180223559A1 (en) Functional tent
US20050194029A1 (en) Shelter having a tarpaulin supported by a cable assembly that is selectively tightened
US20050269831A1 (en) Convertible top for ATV
KR101753841B1 (en) Green house having rope
KR101571247B1 (en) Portable deck and tent comprising the same
KR101618302B1 (en) Sunshade supporter for tent
KR200415842Y1 (en) Easily installable tent combined pavilion
KR101465731B1 (en) A tent for car and the method of using it
KR101625517B1 (en) Tarp with the integrated tent
CA2666938C (en) Roof frame and cover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JP2022190628A (en) Structure
KR20150007112A (en) Pole assembly and framework for tent, sunshade supporter for tent
KR200398722Y1 (en) Frame structure for tent in vehicles
CN201687258U (en) Button type folding tent
KR20180046238A (en) Air injection Camping tent
JP5311163B1 (en) Cargo cover sheet for light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