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180A - Expandable car tent - Google Patents

Expandable car 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180A
KR20230082180A KR1020210169859A KR20210169859A KR20230082180A KR 20230082180 A KR20230082180 A KR 20230082180A KR 1020210169859 A KR1020210169859 A KR 1020210169859A KR 20210169859 A KR20210169859 A KR 20210169859A KR 20230082180 A KR20230082180 A KR 20230082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kirt
vehicle
wheel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2579B1 (en
Inventor
최재황
Original Assignee
최재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황 filed Critical 최재황
Priority to KR102021016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579B1/en
Publication of KR2023008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180A/en
Priority to KR1020240040273A priority patent/KR20240042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는, 터널형으로 구성되어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단영역이 차량의 후미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타단영역에는 제1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각각의 후방패널이 형성되며, 2개의 텐트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텐트; 상기 차량의 측면 상부에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펼쳐진 후 2개의 어닝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어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어닝을 감싸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2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2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각각의 측면패널이 형성되는 측면텐트; 및 상기 후방텐트의 한쪽과 상기 측면텐트의 한쪽이 각각 연결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제3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출입도어가 마련되는 연결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xpandable vehicle tent is disclosed. The expandable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tunnel shape to form a first inner space, one end area is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area is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open and close the first inner space. a rear tent having each rear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a space and supported by two tent supports; An awning that can be expanded and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and supported by two awning supports after being unfolded; A side tent that surrounds the awning in a unfolded state to form a second inner space,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form each side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the second inner space; and a connection tent in which one side of the rear tent and one side of the side tent are selectively connected by a connecting means to form a third inner space and provided with an access door.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EXPANDABLE CAR TENT} Expandable car tent {EXPANDABLE CAR TENT}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미형 텐트와 어닝형 텐트 및 연결 텐트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고, 차량의 하부를 커버하여 텐트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dable vehicle tent, and more particularly, composed of an aft-type tent, an awning-type tent, and a connection tent, capable of expanding an internal space, and covering the lower part of a vehicle to circulat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tent. It relates to an expandable car tent that can be blocked off.

텐트는 야외에서 노숙을 할 때 비바람과 추위를 막기 위해 사용하는 간이집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무 혹은 금속 등의 뼈대로 구조를 세우고 천을 덮어서 완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 tent refers to a simple house used to prevent rain and cold when sleeping outdoors, and it is common to build a structure with a frame of wood or metal and cover it with cloth.

최근에는 차량에 텐트를 결합한 차량용 텐트가 개발되어고 있다. 이는 차량에서 숙박을 하는 새로운 레저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Recently, a vehicle tent combining a vehicle with a tent has been developed. This is because new leisure activities such as lodging in vehicles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이러한 차량용 텐트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90163(공고일 : 2015.02.05)에는 차량용 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텐트는, 레저용 또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10)의 후미에 설치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천막수단(100)과, 상기 천막수단(100)의 일측에 결합된 유동부(220) 및 상기 방음패킹(11) 측에 상시 위치되도록 결합된 고정부(210)의 상호 탈부착구조에 의해 상기 천막수단(100)을 차량(10)의 후미에 설치 및 분리하는 연결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200)의 고정부(210)와 유동부(220)는 지퍼,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의 체결방식을 이용해 상호 탈부착되고, 상기 천막수단(100)의 하부에는 차량용 텐트의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수단(3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받침수단(300)은 복수의 코너연결구(310), 연장구(320), 프레임(330)이 사각 틀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되어 형태가 다변화되는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340)가 상기 코너연결구(310) 및 연장구(320) 하부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수단(300)의 상부에는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재(351)를 이용해 상기 받침수단(300)의 상부 수평면에서 다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설치되어 차량용 텐트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밴드(3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주(340)의 하단에는 받침수단(300)이 차량(10)의 후미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차량용 텐트 전체가 위치 이송되게 하는 캐스터(400)로 구성된 것이다. As a prior art of such a vehicle t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0163 (published date: 2015.02.05) discloses a vehicle tent. 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tent includes a tent means 100 installed at the rear of a leisure or sports utility vehicle 10 to provide a resting space, and a mov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t means 100 ( 220) and the connection means 200 for installing and separating the tent means 100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by the mutual detachabl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210 coupled to be alway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11 The fixing part 210 and the moving part 220 of the connecting means 200 are attached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using any one of fasteners and Velcro fastening methods, and the lower part of the tent means 100 is for a vehicle. A support means 300 forming the bottom of the tent is further provided, and the support means 300 is assembled by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310, tools 320, and frames 330 in a square frame-shaped structure. In a state where the form is diversified, a plurality of supports 340 supporting the load are made of a structure installed below the corner connector 310 and the extension 3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ans 300 is formed at both ends. Fasten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nds 350 are further provided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tent by being connected in multiple directions on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300 by using members 351, and At the lower end,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means 30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 it is composed of casters 400 that allow the entire vehicle tent to be moved to a position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

이러한 차량용 텐트는 고정부와 유동부가 상호 탈부착되는 구조의 연결수단을 이용해 텐트를 차량의 후미에 설치하되,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은 차량 후미에 형성된 방음패킹 측에 상시 위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천막수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차량용 텐트의 구조를 이루는 별도의 프레임들이 필요 없기 때문에 차량용 텐트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화되면서 차량용 텐트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었다. In such a vehicle tent, the ten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using a connecting means in which a fixed part and a moving part are mutually detachable,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ans is alway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oundproof packing form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is on one side of the tent means. Since separate frames constitut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ent are not required due to the combin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vehicle tent are very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hicle tent can be reduced.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텐트는, 차량의 후방에만 설치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텐트는 차량의 후미에만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어닝과 별도로 사용되어야 함으로써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such a vehicle ten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ly at the rear of a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pace is limit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tent has a problem of poor usability because 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ly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must be used separately from the awning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90163(공고일 : 2015.02.05).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90163 (Announcement Date: 2015.02.05)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는 텐트와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어닝을 연결하여 확장형 텐트를 구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configuring an expandable tent by connecting a tent installed at the rear of a vehicle and an awning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후방 휠 하우스 및 차량 하부를 통하여 확장형 텐트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capable of blocking external air flowing into an inner space formed by an expandable tent through a rear wheel house and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터널형으로 구성되어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단영역이 차량의 후미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타단영역에는 제1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각각의 후방패널이 형성되며, 2개의 텐트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텐트; 상기 차량의 측면 상부에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펼쳐진 후 2개의 어닝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어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어닝을 감싸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2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2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각각의 측면패널이 형성되는 측면텐트; 및 상기 후방텐트의 한쪽과 상기 측면텐트의 한쪽을 각각 연결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3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연결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configured in a tunnel shape to form a first interior space, one end area is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area is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form the first interior space Each rear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is formed, the rear tent is supported by two tent supports; An awning that can be expanded and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and supported by two awning supports after being unfolded; A side tent that surrounds the awning in a unfolded state to form a second inner space,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form each side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the second inner space; and a connection tent forming a third inner space by selective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rear tent and one side of the side tent with a connecting means, respectively.

상기 제1 개폐수단, 상기 제2 개폐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은, 지퍼, 단추, 다수개의 자석 또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opening/closing means, the second opening/closing means, and the connection means may be composed of a zipper, a button, a plurality of magnets, or a Velcro tape.

상기 연결텐트가 상기 후방텐트와 상기 측면텐트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내부공간과 접한 상기 후방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을 개방하여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 및 제3 내부공간을 연통시켜 상기 텐트의 내부공간을 상기 차량의 후미와 측면 및 코너영역으로 확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tent connects the rear tent and the side tent, the first inner space, the second inner space, and the third inner space are opened by opening the rear panel and the side panel in contact with the third inner space. 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inner space of the tent to the rear, side and corner areas of the vehicle.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 및 제3 내부공간에 접한 상기 차량의 후미하부와 측면하부에는, 지면과 상기 후미하부, 후방 휠 하우스 및 상기 측면하부를 커버하여 상기 차량의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스커트가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rear and lower side of the vehicl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space, the second inner space, and the third inner space cover the ground, the lower rear part, the rear wheel house, and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 skirt may be provided to block incoming outside air.

상기 스커트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후방범퍼 높이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일단의 상,하부가 각각의 제1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후방범퍼에 고정되어 상기 지면과 상기 후미하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후방 스커트; 한쪽이 상기 후방 스커트와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후방 휠 하우스의 내주면 형상과 같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폴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폴 삽입부의 양쪽 끝단 영역에는 폴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방 휠 하우스를 커버하기 위한 휠 스커트; 상기 폴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폴 지지부에 각각 삽입되어 원호형을 이루면서 상기 휠 스커트를 펼치고, 상기 휠 스커트가 상기 후방 휠 하우스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휠 스커트의 가장자리를 상기 후방 휠 하우스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휠 스커트용 폴;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측면하부 높이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한쪽이 상기 휠 스커트에 결합되며, 반대쪽에는 제2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측면 또는 전방 휠 하우스에 고정되어 상기 지면과 상기 측면하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측면 스커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kirt is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height of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upper and lower ends of one end are fixed to the rear bumper by respective first fixing means to provide a gap between the ground and the rear lower part. a rear skirt to cover the space; One side is coupled to the rear skirt and formed in the same arc shape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rear wheel house of the vehicle, pole insertion parts are formed at the edges, and pole support par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ole insertion part, respectively, so that the rear wheel wheel skirts to cover the house;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awl insertion portion,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pawl support portion to form an arc to spread the wheel skirt, and when the wheel skirt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the edge of the wheel skirt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A pole for a wheel ski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nd it is formed with a width wid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sid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wheel skirt,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ide or front wheel house of the vehicle by a second fixing means, so that the ground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ide skirt for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ide.

상기 후방 스커트, 상기 휠 스커트 및 상기 측면 스커트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스커트, 상기 휠 스커트 및 상기 측면 스커트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면에 밀착되기 위한 하부 스커트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Lower skirts formed to be narrower than widths of the rear skirt, the wheel skirt, and the side skirts to adhere to the ground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t lower ends of the rear skirt, the wheel skirt, and the side skirt.

상기 제1,2 고정수단은,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끈 및 걸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may be made of magnets, or may be made of elastic strings and hooks.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후방을 감싸도록 된 후방텐트와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어닝이 펼쳐진 상태에서 어닝에 결합되는 측면텐트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됨으로써 후방텐트와 측면텐트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텐트를 이용하여 후방텐트와 측면텐트를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용 텐트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tent to cover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side tent coupled to the awning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awning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are provided independently, so that the rear tent and the side tent can be used independently. Ra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capable of expanding the inner space of the vehicle tent by connecting the rear tent and the side tent using a connection tent.

또한, 연결텐트로 후방텐트와 측면텐트를 연결한 상태에서 후방패널 또는 측면패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3 내부공간과 제1 내부공간 및/또는 제2 내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음으로써 내부공간을 분할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tent and the side tent are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tent, the rear panel or the side panel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mmunicate the third inner space with the first inner space and/or the second inner space, thereby improving the inner space. By divid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ful effects.

또한, 후방텐트에 의한 제1 내부공간과 측면텐트에 의한 제2 내부공간 및 연결텐트에 의한 제3 내부공간에 접한 차량의 후미하부와 측면하부에 스커트가 구비됨으로써 지면과 후미하부 및 측면하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kirts are provided at the rear lower part and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space by the rear tent, the second inner space by the side tent, and the third inner space by the connection tent, so that between the ground and the rear lower part and the side lower part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lock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space of the.

또한, 차량의 후방 휠 하우스에 휠 스커트가 휠 스커트용 폴에 의해 삽입됨으로써 휠 하우스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heel skirt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of the vehicle by means of the pole for the wheel skirt, an effect of covering the entire wheel house may be provid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커트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dable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expandable vehicle tent shown in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kirt shown in FIG.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kirt shown in Figure 4 is mounted.
6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xpandable vehicle tent shown in FIG. 3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xpandable vehicle tent shown in FIG. 3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커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pandable vehic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pandable vehicle tent shown in Figure 2 coupled state, Figure 4 is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kir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kirt shown in FIG. 4 is mounted,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pandable vehicle tent shown in FIG. 3 .

첨부된 도면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20)는, 차량(1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방텐트(30)와, 측면의 어닝(40)에 마련되는 측면텐트(50)와, 후방텐트(30)와 측면텐트(50)를 연결하여 내보공간(S)을 확장시키기 위한 연결텐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xpandable vehicle ten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tent 3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a side tent 50 provided at the awning 40 on the 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tent 60 for expanding the inside space (S) by connecting the rear tent 30 and the side tent 50.

이를 보다 구체적을 설명한다.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차량(10)은, 후방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승합차, 승용차, 소형트럭(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vehicle 10 may be composed of a van, a passenger car, a small truck (van), etc. in which a rear door can be opened.

어닝(40)은, 차량(1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 내부에 권취되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2개의 어닝 지지대(42)에 의해 양쪽 끝단이 지지되므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어닝(40)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awning 4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10, and is rolled up and stored inside the case when not in use, and both ends are supported by two awning supports 42 in a pulled out and unfolded state when in use. keep it open Since this awning 40 is a well-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후방텐트(30)는, 한쪽이 개방된 터널형으로 구성되어 제1 내부공간(S1)을 형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장방형의 육면체를 이루어 내부에 제1 내부공간(S1)을 형성하고 한쪽의 일단영역(31A)과 저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개방된 일단영역(31A)이 차량(10)의 후미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일단영역(31A)은 자석, 걸고리 등에 의해 차량(10)의 후미에 고정된다. 타단영역(31B), 즉 양쪽 측면과 정면에는 제1 개폐수단(33)에 의해 개폐되어 제1 내부공간(S1)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각각의 후방패널(32)이 형성된다. 각 후방패널(32)에는 창문 기능을 하는 창문패널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 창문패널에는 이물질이나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메쉬(모기장)가 설치될 수 있다. 후방텐트(30)의 타단영역 양쪽은 2개의 텐트 지지대(36)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2개의 텐트 지지대(36)는 상단부가 타단영역(31B)의 양쪽 코너영역을 관통하여 세워지고 각각의 텐트 지지대(36)는 다수개의 로프에 의해 지지된다. 이 구조에 의해 후방텐트(30)는 직립된다. The rear tent 30 is configured in a tunnel shape with one side open to form a first inner space S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a rectangular hexahedron is formed in an unfolded state to form a first internal space S1 therei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region 31A and a bottom surface are open. Then, the open one end region 31A is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vehicle 10 . One end region 31A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 by magnets, hooks, or the like. Each rear panel 32 is formed on the other end region 31B, that is, on both sides and the front, to selectively open the first inner space S1 by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33. Each rear panel 32 may be provided with a window panel functioning as a window, and a mesh (mosquito net) may be installed on each window panel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pests. Both sides of the other end area of the rear tent 30 are supported by two tent supports 36, respectively. The upper ends of the two tent supports 36 are erected through both corner regions of the other end region 31B, and each tent support 36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pes. By this structure, the rear tent 30 is upright.

전술한 제1 개폐수단(33)은 지퍼, 벨크로테이프, 다수개의 자석 또는 단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지퍼로 구성한다.The aforementioned first opening/closing means 33 may be composed of a zipper, a Velcro tape, a plurality of magnets or buttons, and the like. Preferably, it is configured with a zipper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측면텐트(50)는, 전술한 어닝(40)이 펼쳐진 상태에서 어닝(40)을 감싸 제2 내부공간(S2)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측면과 정면에 각각 측면패널(52)들이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측면패널(52)들은 제2 개폐수단(53)에 의해 개폐되어 제2 내부공간(S2)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면텐트(50)의 상면부(51)는 펼쳐진 상태의 어닝(40)을 덮고, 각각의 측면패널(52)들은 차량(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어닝(40)의 양쪽과 정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측면텐트(50) 내부에 제2 내부공간(S2)이 형성된다. 전술한 상면부(51)의 끝단은 자석에 의해 차량(10)의 지붕에 고정되거나 어닝(40)의 케이스를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다. The side tent 50 surrounds the awning 40 in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awning 40 is unfolded to form a second inner space S2, as shown in FIG. 2, on both side and front sides, respectively. Panels 52 are provided respectively. Each of the side panels 52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53 to selectively open the second inner space S2.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portion 51 of the side tent 50 covers the awning 40 in an unfolded state, and each side panel 52 is of the awning 40 relative to the side of the vehicle 10. Both sides and front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 second inner space (S2) is formed inside the side tent 50 by this structure. An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51 described above may be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10 by a magnet or may be fixed while wrapping the case of the awning 40 .

전술한 제2 개폐수단(53)은 지퍼, 벨크로테이프, 다수개의 자석 또는 단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지퍼로 구성한다.The aforementioned second opening/closing means 53 may be composed of a zipper, a Velcro tape, a plurality of magnets or buttons, and the like. Preferably, it is configured with a zipper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연결텐트(60)는, 후방텐트(30)의 한쪽과 측면텐트(50)의 한쪽을 각각 지퍼로 이루어진 연결수단(62)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후방텐트(30)와 측면텐트(50) 사이에 제3 내부공간(S3)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텐트(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며, 외부로 노출된 코너패널(64)는 연결수단(62)을 개방하면 상향으로 들어올려 제3 내부공간(S3)을 개방할 수 있고, 후방텐트(30) 및 측면텐트(50)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를 조망하거 내부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창문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창문패널에는 해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메쉬가 설치된다. 전술한 연결수단(62)은 지퍼 이외에 단추나 자석 또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수단(62)은 제1,2 개폐수단(33,53)과 연결되기 위한 지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tent 60 is formed between the rear tent 30 and the side tent 50 by selective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rear tent 30 and one side of the side tent 50 by a connecting means 62 made of a zipper, respectively. It is for forming a third inner space (S3) in. 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on tent 60 has a triangular shape as a whole, and the corner panel 64 exposed to the outside is lifted upward when the connection means 62 is opened to open the third inner space S3. It may be, and a window panel may be provided to view the outside or ventilate the internal air while connected to the rear tent 30 and the side tent 50. Meshes are installed on these window panels to block the inflow of pests or foreign substances. The aforementioned connecting means 62 may be composed of buttons, magnets, or Velcro tapes in addition to zippers.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62 may be made of a zipper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33 and 53.

이와 같이 연결텐트(60)가 후방텐트(30)와 측면텐트(50)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3 내부공간(S3)과 접한 후방패널(32)과 측면패널(50)의 측면패널(52)을 개방함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공간(S1)과 제2 내부공간(S2) 및 제3 내부공간(S3)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부공간(S1)과 제2 내부공간(S2) 및 제3 내부공간(S3)을 연통시키면 텐트(20)의 내부공간(S)은, 차량(10)의 후미와 측면 및 코너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ar panel 32 and the side panel 52 of the side panel 50 in contact with the third inner space S3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tent 60 connects the rear tent 30 and the side tent 50 As shown in FIGS. 6 and 7 by opening, the first inner space (S1), the second inner space (S2) and the third inner space (S3) can communicate. In this way, when the first internal space (S1),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and the third internal space (S3) are communicated, the internal space (S) of the tent 20 is formed at the rear, side and corner of the vehicle (10). area can be extended.

한편, 제1 내부공간(S1)과 제2 내부공간(S2) 및 제3 내부공간(S3)에 접한 차량(10)의 후미하부(12)와 후방 휠 하우스(18) 및 측면하부(14)에는, 지면과 후미하부(12), 후방 휠 하우스(18) 및 측면하부(14)를 커버하여 차량(10)의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스커트(70)가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텐트(20)는, 지면과 차량(10)의 하부(12,14) 및 후방 휠 하우스(18) 사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스커트(70)을 구비한다. Meanwhile, the rear lower portion 12, the rear wheel house 18, and the lower side portion 14 of the vehicle 10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ternal space S1,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and the third internal space S3. A skirt 70 is provided to cover the ground, the rear lower portion 12, the rear wheel house 18, and the lower side portion 14 to block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10. That is, the ten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irt 70 to block external air flowing between the ground and the lower portions 12 and 14 of the vehicle 10 and the rear wheel house 18 .

스커트(70)는, 지면을 기준으로 차량(10)의 후방범퍼(17) 높이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일단의 상,하부가 각각의 제1 고정수단(72A)에 의해 후방범퍼(17)에 고정되어 지면과 후방범퍼(17) 및 후방범퍼(17)와 차량(10)의 후방 휠 하우스(18)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후방 스커트(72)를 포함한다. 한쪽이 후방 스커트(72)와 결합되고 차량(10)의 후방 휠 하우스(18)의 내주면 형상과 같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폴 삽입부(74A)가 형성되며, 폴 삽입부(74A)의 양쪽 끝단 영역에는 폴 지지부(74B)가 각각 형성되어 후방 휠 하우스(18)를 커버하기 위한 휠 스커트(74)를 포함한다. 폴 삽입부(7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폴 지지부(74B)에 각각 삽입되어 원호형을 이루면서 휠 스커트(74)를 펼치고, 휠 스커트(74)가 후방 휠 하우스(18)에 삽입되었을 때 휠 스커트(74)의 가장자리를 후방 휠 하우스(18)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휠 스커트용 폴(76)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면을 기준으로 차량(10)의 측면하부(14) 높이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한쪽이 휠 스커트(74)에 결합되며, 반대쪽에는 제2 고정수단(78A)에 의해 차량(10)의 측면 또는 전방 휠 하우스에 고정되어 지면과 차량(10)의 측면하부(14)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측면 스커트(78)를 포함한다. The skirt 70 is formed with a width wid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bumper 17 of the vehicle 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bumper 17 are fixed by the first fixing means 72A, respectively. ) and includes a rear skirt 72 for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rear bumper 17 and the rear bumper 17 and the rear wheel house 18 of the vehicle 10. One side is coupled to the rear skirt 72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like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rear wheel house 18 of the vehicle 10, the pole insertion portion 74A is formed at the edge, and the pole insertion portion 74A Pole support portions 74B are formed at both end regions of the wheel skirts 74 to cover the rear wheel house 18 .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awl inserting portion 74A,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pawl support portion 74B to form an arc to spread the wheel skirt 74, and when the wheel skirt 74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18 A pole 76 for wheel skirt is included to bring the edge of the wheel skirt 74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heel house 18. And it is form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side 14 of the vehicle 10 relative to the grou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wheel skirt 74,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0 by the second fixing means 78A It includes a side skirt 78 fixed to the side or front wheel house of the vehicle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lower side 14 of the vehicle 10.

그리고, 후방 스커트(72), 휠 스커트(74) 및 측면 스커트(78)의 하단에는, 후방 스커트(72), 휠 스커트(74) 및 측면 스커트(78)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밀착되기 위한 하부 스커트(79)가 각각 구비된다. 하부 스커트(79)는 후방 스커트(72), 휠 스커트(74) 및 측면 스커트(78)에 각각 대응되도록 각각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에 각각의 하부 스커트(79)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 스커트(79)는 중간부와 하부가 지면에 펼쳐지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하부 스커트(79)를 구성하는 것은, 하부 스커트(79)를 지면과 밀착시켜 외부 공기 및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하부 스커트(79)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흙, 자갈, 돌멩이, 벽돌, 물병 등과 같은 중량물을 하부 스커트(79)에 올려 놓음으로써 바람에 의한 펄럭임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the lower ends of the rear skirt 72, the wheel skirt 74, and the side skirt 78, a width narrower than that of the rear skirt 72, the wheel skirt 74, and the side skirt 78 is formed, so that the ground Lower skirts 79 for close contact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lower skirt 79 may be divided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ar skirt 72, the wheel skirt 74, and the side skirt 78, respectively,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hen formed separately, each lower skirt 79 is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The lower skirt 79 is configured so that the middle and lower portions are spread on the groun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skirt 79 is to close the lower skirt 79 to the ground to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and dust. In addition, by placing heavy objects such as soil, pebbles, stones, bricks, and water bottles on the lower skirt 79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kirt 7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fluttering caused by wind can be prevented.

전술한 제1,2 고정수단(72A,78A)은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끈과 탄성끈의 단부에 결합된 걸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끈과 걸고리로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복수개의 각 탄성끈의 일단부는 후방 스커트(72) 및 측면 스커트(78)에 고정되고, 각각의 탄성끈 타단부에는 걸고리(후크)가 결합된다. 따라서, 걸고리를 후방범퍼(17)나 전방 휠 하우스 등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고정수단(72A,78A)이 탄성끈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걸고리를 당겨 후방범퍼(17)나 전방 휠 하우스 등에 걸게 되면 후방 스커트(72) 및 측면 스커트(78)가 탄성끈의 탄성에 의해 당겨지면서 팽팽하게 펼쳐질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72A and 78A may be made of magnets, or may be made of an elastic string and a hook coupled to an end of the elastic string.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based on what is composed of an elastic string and a hook, and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strings is fixed to the rear skirt 72 and side skirt 78, and the other end of each elastic string is hooked. is combined Accordingly, the hook can be hooked and fixed to the rear bumper 17 or the front wheel house. Also,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72A and 78A include an elastic string, when the hook is pulled and hooked to the rear bumper 17 or the front wheel house, the rear skirt 72 and the side skirt 78 are formed of the elastic string. It can be stretched and stretched while being pulled by elasticity.

한편, 휠 스커트용 폴(76)은 휨이 자유로운 글라스 화이버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호형으로 굽혔을 때 펼쳐지려는 복원 탄성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휠 스커트용 폴(76)가 휠 스커트(74)에 결합되면 휠 스커트(74)는 원호형으로 펼쳐질 뿐만 아니라, 휠 스커트(74)가 후방 휠 하우스(18)의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휠 스커트용 폴(76)이 복원 탄성력을 발생시키면서 휠 스커트(74)의 가장자리를 후방 휠 하우스(18)의 내부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le 76 for wheel skirt is made of a glass fiber material that is free to bend, and generates restoring elasticity to unfold when bent in an arc shape.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wheel skirt pole 76 is coupled to the wheel skirt 74, the wheel skirt 74 not only unfolds in an arc shape, but also when the wheel skirt 74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18. When the wheel skirt poles 76 generate a restoring elastic force, they function to bring the edge of the wheel skirt 74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rear wheel house 18.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20)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expandable vehicle ten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후방도어를 개방하고, 어닝(40)을 펼친 후 각 어닝 지지대(42)로 어닝(4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어닝 지지대(42)를 탄성끈이나 로프 등으로 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2 to 7, after opening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10 and unfolding the awning 40, each awning support 42 maintains the unfolded state of the awning 40. At this time, the awning support 42 may be supported on the ground with an elastic string or rope.

이어서, 후방텐트(30)를 펼쳐 개방된 한쪽을 차량(10)의 후미를 감싸 결합시키고 양쪽의 상단 코너에 텐트 지지대(36)를 설치하여 후방텐트(30)를 직립시킨다. 이때, 후방텐트(30)의 각 하단부를 팩으로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과정으로 후방텐트(30)의 설치가 완료되고, 내부에는 제1 내부공간(S1)이 형성된다. Subsequently, the rear tent 30 is unfolded and one open side is wrapped around the rear of the vehicle 10 and tent supports 36 are installed at the upper corners of both sides to stand the rear tent 30 upright. At this time, each lower end of the rear tent 30 may be fixed to the ground with a pack. In this process, installation of the rear tent 30 is completed, and a first inner space S1 is formed therein.

한편, 펼쳐진 상태의 어닝(40) 상면에 측면텐트(50)의 상면부(51)로 덮어 고정한 후 각 측면패널(52)들을 하향으로 내려 어닝(40)을 감싼다. 측면텐트(50)도 후방텐트(30)와 마찬가지로 하단부를 팩으로 지면에 고정한다. 이 과정으로 측면텐트(50)의 설치가 완료되고, 내부에 제2 내부공간(S2)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covering and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wning 40 in the unfolded state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51 of the side tent 50, lower each side panel 52 downward to wrap the awning 40. Like the rear tent 30, the side tent 50 is also fixed to the ground with a pack at its lower end. In this process, the installation of the side tent 50 is completed, and a second inner space S2 is formed therein.

이어서, 연결텐트(60)의 양쪽을 후미텐트(30)의 한쪽과 측면텐트(50)의 한쪽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연결텐트(60)의 양쪽과 후미텐트(30) 및 측면텐트(50)는 지퍼로 이루어진 연결수단(62)에 의해 연결되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Subsequently,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ent 6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r tent 30 and one side of the side tent 50, respectively. At this time, sinc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ent 60, the rear tent 30, and the side tent 50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ans 62 made of a zipper, they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nected.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텐트(60)의 양쪽을 후미텐트(30)의 한쪽과 측면텐트(50)의 한쪽에 각각 연결함에 따라 연결텐트(60)와 후미텐트(30) 및 측면텐트(50)는 일체화 되고, 연결텐트(60)에 의해 형성된 제3 내부공간(S3)에 접한 후방패널(32)과 측면패널(52) 개방함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공간(S1)과 제2 내부공간(S2) 및 제3 내부공간(S3)은 연통될 수 있고, 텐트(20)의 내부공간(S)은 차량(10)을 기준으로 후방과 측면 및 코너가 연결되는 확장된 구조를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ent 60 to one side of the rear tent 30 and one side of the side tent 50, respectively, the connection tent 60, the rear tent 30, and the side tent 50 is integrated, and as shown in FIGS. 6 and 7, as the rear panel 32 and the side panel 52 in contact with the third inner space S3 formed by the connection tent 60 are opened, the first inner space (S1), the second inner space (S2), and the third inner space (S3) may communicate, and the inner space (S) of the tent 2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and corner based on the vehicle 10. have an extended structure.

또한, 후방패널(32)과 측면패널(52)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제1 내부공간(S1)과 제2 내부공간(S2) 및 제3 내부공간(S3)은 연통될 수 있고, 각각 분할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rear panel 32 and the side panel 52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 first inner space S1, the second inner space S2, and the third inner space S3 may be communicated and divided, respectively. Since it can be formed into a space that has been created, users can utilize it in various forms.

한편, 텐트(20)의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지면과 차량(10)의 후미하부(12) 및 측면하부(14) 그리고 후방 휠 하우스(18) 사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스커트(70)를 설치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tent 20 is completed, the skirt 70 is installed to block external air flowing between the ground, the rear lower part 12 and the lower side part 14 of the vehicle 10, and the rear wheel house 18. to install

이를 위해서, 후방 스커트(72)의 한쪽을 제1 고정수단(72A)으로 후방범퍼(17)에 고정하고, 휠 스커트(74)의 폴 삽입부(74A)에 휠 스커트용 폴(76)을 삽입한 후 그 양단을 양쪽의 폴 지지부(74B)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휠 스커트용 폴(76)을 각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변형한 후 후방 휠 하우스(18) 내부로 삽입한다. 휠 스커트(70)의 폴 삽입부(74A)에 삽입되어 원호형으로 휘어진 휠 스커트용 폴(76)을 휠 스커트(70)와 함께 후방 휠 하우스(18)로 삽입한 후 휠 스커트용 폴(76)을 가압하였던 힘을 제거하면 휠 스커트용 폴(76)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휠 스커트(74)를 펼침과 동시에 휠 스커트(74)의 가장자리를 후방 휠 하우스(18)의 내주면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휠 스커트(74)를 후방 휠 하우스(18)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휠 스커트(74)가 후방 휠 하우스(18)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므로 휠 스커트(74)를 후방 휠 하우스(18)에 고정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To this end, one side of the rear skirt 72 is fixed to the rear bumper 17 with the first fixing means 72A, and the wheel skirt pole 76 is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on portion 74A of the wheel skirt 74. After that, both ends ar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ole support parts 74B on both sides. Subsequently, the poles 76 for wheel skirts are deformed by pressing each en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n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18. After inserting the wheel skirt pole 76, which is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on part 74A of the wheel skirt 70 and bent in an arc shape, into the rear wheel house 18 together with the wheel skirt 70, the wheel skirt pole 76 ) is removed, the wheel skirt pole 76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elasticity, and the wheel skirt 74 is unfolded and at the same time the edge of the wheel skirt 74 is mov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wheel house 18. close up In this way, just by inserting the wheel skirt 74 into the rear wheel house 18, the wheel skirt 74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wheel house 18, so that the wheel skirt 74 is installed in the rear wheel house 18. No additional work is required to fix it.

이어서, 측면 스커트(78)의 제2 고정수단(78A)을 차량(10)의 측면이나 전방 휠 하우스에 걸어 고정한다.Next, the second fixing means 78A of the side skirt 78 is hooked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vehicle 10 or the front wheel house.

전술한 과정으로 스커트(70)는 제1 내부공간(S1)과 제2 내부공간(S2) 및 제3 내부공간(S3)에 접한 차량(10)의 후미하부(12)와 측면하부(14) 및 후방 휠 하우스(18)를 커버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skirt 70 is formed at the rear lower portion 12 and the lower side portion 14 of the vehicle 10 in contact with the first internal space S1,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and the third internal space S3. and the rear wheel house 18.

이와 같이 스커트(70)가 차량(10)의 후방과 후방 휠 하우스(18) 및 측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게 되므로 지면과 차량(10)의 하부 사이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since the skirt 70 covers the space between the rear and rear wheel houses 18 of the vehicle 10 and the side and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block external air flowing in between the ground and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10. do.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차량 20 : 텐트
30 : 후방텐트 32 : 후방패널
40 : 어닝 50 : 측면텐트
52 : 측면패널 60 : 코너텐트
62 : 코너패널 70 : 스커트
S : 내부공간 S1 : 제1 내부공간
S2 : 제2 내부공간 S3 : 제3 내부공간
10: vehicle 20: tent
30: rear tent 32: rear panel
40: awning 50: side tent
52: side panel 60: corner tent
62: corner panel 70: skirt
S: inner space S1: first inner space
S2: 2nd inner space S3: 3rd inner space

Claims (7)

터널형으로 구성되어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단영역이 차량의 후미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타단영역에는 제1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각각의 후방패널이 형성되며, 2개의 텐트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텐트;
상기 차량의 측면 상부에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펼쳐진 후 2개의 어닝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어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어닝을 감싸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2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2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각각의 측면패널이 형성되는 측면텐트; 및
상기 후방텐트의 한쪽과 상기 측면텐트의 한쪽이 각각 연결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제3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출입도어가 마련되는 연결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It is configured in a tunnel shape to form a first interior space, one end area is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area is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selectively open the first interior space. A rear tent having a panel formed thereon and supported by two tent supports;
An awning that can be expanded and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and supported by two awning supports after being unfolded;
A side tent that surrounds the awning in a unfolded state to form a second inner space,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form each side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the second inner spac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nection tent in which one side of the rear tent and one side of the side tent are selectively connected by a connecting means to form a third inner space and provided with an access door.
Extendable car 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수단, 상기 제2 개폐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은,
지퍼, 단추, 다수개의 자석 또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connec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zipper, a button, a plurality of magnets or Velcro tape,
Extendable car 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텐트가 상기 후방텐트와 상기 측면텐트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내부공간과 접한 상기 후방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을 개방하여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 및 제3 내부공간을 연통시켜 상기 텐트의 내부공간을 상기 차량의 후미와 측면 및 코너영역으로 확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tent connects the rear tent and the side tent,
By opening the rear panel and the side panels in contact with the third internal space, the first internal space, the second internal space, and the third internal space are communicated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tent is formed at the rear, side and corner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anded to the area,
Extendable car ten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 및 제3 내부공간에 접한 상기 차량의 후미하부와 측면하부에는,
지면과 상기 후미하부, 후방 휠 하우스 및 상기 측면하부를 커버하여 상기 차량의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스커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lower rear and lower side of the vehicl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space, the second inner space, and the third inner space,
Characterized in that a skirt is provided to cover the ground, the rear lower portion, the rear wheel house, and the lower side portion to block external air flowing in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Extendable car t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후방범퍼 높이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일단의 상,하부가 각각의 제1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후방범퍼에 고정되어 상기 지면과 상기 후미하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후방 스커트;
한쪽이 상기 후방 스커트와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후방 휠 하우스의 내주면 형상과 같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폴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폴 삽입부의 양쪽 끝단 영역에는 폴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방 휠 하우스를 커버하기 위한 휠 스커트;
상기 폴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폴 지지부에 각각 삽입되어 원호형을 이루면서 상기 휠 스커트를 펼치고, 상기 휠 스커트가 상기 후방 휠 하우스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휠 스커트의 가장자리를 상기 후방 휠 하우스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휠 스커트용 폴;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측면하부 높이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한쪽이 상기 휠 스커트에 결합되며, 반대쪽에는 제2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측면 또는 전방 휠 하우스에 고정되어 상기 지면과 상기 측면하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측면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According to claim 4,
the skirt,
It is formed with a width wid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based on the ground, and upper and lower ends of one end are fixed to the rear bumper by respective first fixing means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rear lower part rear skirt for;
One side is coupled to the rear skirt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simila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rear wheel house of the vehicle, a pole insertion part is formed at an edge, and a pole support par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ole insertion part, respectively, so that the rear wheel wheel skirts to cover the house;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awl inserting part,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pawl supporting part to form an arc to spread the wheel skirt, and when the wheel skirt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the edge of the wheel skirt is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house. A pole for a wheel ski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nd
It is formed with a width wid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sid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wheel skirt,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ide of the vehicle or the front wheel house by a second fixing means, so that the ground and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de skirt for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ide,
Extendable car t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스커트, 상기 휠 스커트 및 상기 측면 스커트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스커트, 상기 휠 스커트 및 상기 측면 스커트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면에 밀착되기 위한 하부 스커트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According to claim 5,
At the lower ends of the rear skirt, the wheel skirt and the side skirt,
Characterized in that each lower skirt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skirt, the wheel skirt, and the side ski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Extendable car t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수단은,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끈 및 걸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agnet or made of an elastic string and a hook,
Extendable car tent.





KR1020210169859A 2021-12-01 2021-12-01 Expandable car tent KR102652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859A KR102652579B1 (en) 2021-12-01 2021-12-01 Expandable car tent
KR1020240040273A KR20240042389A (en) 2021-12-01 2024-03-25 Skirt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859A KR102652579B1 (en) 2021-12-01 2021-12-01 Expandable car t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0273A Division KR20240042389A (en) 2021-12-01 2024-03-25 Skirt fo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180A true KR20230082180A (en) 2023-06-08
KR102652579B1 KR102652579B1 (en) 2024-03-28

Family

ID=867660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859A KR102652579B1 (en) 2021-12-01 2021-12-01 Expandable car tent
KR1020240040273A KR20240042389A (en) 2021-12-01 2024-03-25 Skirt for ca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0273A KR20240042389A (en) 2021-12-01 2024-03-25 Skirt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257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392A (en) * 2006-11-09 2008-05-29 Tokihiko Osada Structure of assembly type tent exclusively for truck vehicle load-carrying platform
KR101490163B1 (en) 2013-05-21 2015-02-05 한용주 Tent for vehicles
KR20160050015A (en) * 2016-03-30 2016-05-10 최명순 Tent with vehicle connection function
JP3211966U (en) * 2017-02-27 2017-08-17 株式会社峰成総業 In-car t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966B2 (en) * 1991-03-22 2001-09-25 スズキ株式会社 Brake master cylinder moun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392A (en) * 2006-11-09 2008-05-29 Tokihiko Osada Structure of assembly type tent exclusively for truck vehicle load-carrying platform
KR101490163B1 (en) 2013-05-21 2015-02-05 한용주 Tent for vehicles
KR20160050015A (en) * 2016-03-30 2016-05-10 최명순 Tent with vehicle connection function
JP3211966U (en) * 2017-02-27 2017-08-17 株式会社峰成総業 In-car 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579B1 (en) 2024-03-28
KR20240042389A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US20200224446A1 (en) Roof-top tent for vehicle
US6742533B2 (en) Temporary outdoor shelter
US20180290529A1 (en) Hail-resistant vehicle cover
US20180111466A1 (en) Hail-resistant vehicle cover
KR101700663B1 (en) Tent with vehicle connection function
KR102334479B1 (en) Extendable roof-top tent
KR20230082180A (en) Expandable car tent
US8573239B2 (en) Collapsible, portable structure
KR100926452B1 (en) Structure of awning curtain for tent
KR200415842Y1 (en) Easily installable tent combined pavilion
US20170335594A1 (en) Vent control system for tent
KR20090001576U (en) A Tent for installation on the vehicle roof
KR102418807B1 (en) Car tent
JP6059869B2 (en) Assembled tent
TWM539540U (en) Expandable tent
KR20130004129U (en) Living room extended type tent
KR20200000596U (en) Car Tent
KR102345521B1 (en) Parasol tent
KR101465731B1 (en) A tent for car and the method of using it
KR200392044Y1 (en) shade tent for fishing
KR102470310B1 (en) Windproof Partition
KR20060120858A (en) Shade tent for fishing
KR20080074675A (en) Fixing structure of a multi-tent
KR102007528B1 (en) Transformable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