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796B1 -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796B1
KR101489796B1 KR20140074256A KR20140074256A KR101489796B1 KR 101489796 B1 KR101489796 B1 KR 101489796B1 KR 20140074256 A KR20140074256 A KR 20140074256A KR 20140074256 A KR20140074256 A KR 20140074256A KR 101489796 B1 KR101489796 B1 KR 10148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ressure cooker
block
hol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2014007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뚜껑 개폐 시 조작성과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력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있어서,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에 구비되고, 압력조리기구의 용기 가장자리에 록킹/언록킹되는 록킹/언록킹 부재;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에 연결되는 연동 링크 부재; 상기 연동 링크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캠 구동방식으로 동작하는 작동 수단; 및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되는 조작 핸들 수단;을 포함하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LID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STEAM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뚜껑 개폐 시 조작성과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력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조리기구는 고온과 고압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용기로서, 용기본체 내에 음식을 넣고 스팀 배출장치가 구비된 뚜껑을 닫아 내부를 밀폐시킨 후, 열을 가하여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증가시켜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예를 들면, 밥을 짓기 위한 밥솥 중에는 밥을 짓는 동안 수증기의 방출을 막음으로써 내부의 압력을 높이는 압력밥솥이 있으며, 이러한 압력밥솥은 밥 짓는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밥맛을 좋게 하는 이유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보통 전기나 가스와 같은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내부의 압력을 높여 밥을 짓거나 각종의 조리를 하도록 하는 압력조리기구는 내부의 압력 손실을 방지하고 고압의 유지를 위해 압력조리기구에 대하여 뚜껑의 양호한 밀폐 및 개방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를 위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1996-0704485호(1996.10.09), 한국공개특허 10-2010-0050644호(2010.05.14),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12676호(2000.11.24) 등에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뚜껑 개폐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뚜껑 개폐조작이 번거롭고 전반적으로 밀폐력을 유지하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뚜껑 개폐장치는 뚜껑 손잡이와 용기손잡이 간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을 미리 확인하고 조작해야만 개폐가 가능한 관계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을 뿐더러 개폐 시 번거러움을 가중시켜 왔다.
셋째,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해 뚜껑을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뚜껑의 록킹이 쉽게 해제되면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았다.
넷째, 뚜껑을 열 때 뚜껑 손잡이를 잡고 있는 쪽으로 뜨거운 수증기가 배출되면서 손이나 손목을 데이는 일이 종종 있었다.
다섯째, 용기 본체에서 뚜껑의 록킹을 해제시켜 분리할 때 반드시 두 손을 이용하여야만 하므로 사용이 그만큼 불편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1996-0704485호(1996.10.09) (문헌 2) 한국공개특허 10-2010-0050644호(2010.05.14) (문헌 3)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12676호(2000.11.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뚜껑 개폐 시 조작성과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력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 시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동되는 링크 부재의 캠 구동 방식을 통해 대칭되게 구비되는 개폐 브라켓을 연동시켜 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사용 및 취급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뛰어나며, 뚜껑의 우수한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있어서,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에 구비되고, 압력조리기구의 용기 가장자리에 록킹/언록킹되는 록킹/언록킹 부재;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에 연결되는 연동 링크 부재; 상기 연동 링크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캠 구동방식으로 동작하는 작동 수단; 및 상기 작동 수단에 결합되는 조작 핸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는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뚜껑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 본체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수단은 중앙부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동 링크 부재 각각의 타단부가 편심 대칭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갖는 캠형 회동체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뚜껑 본체의 중앙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 링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 수단에 연결되는 판형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 수단은 상기 작동 수단의 결합구와 결합 돌기가 각각 관통되는 중심공 및 관통 장공을 중앙부에 구비하는 핸들 지지 블록; 및 상기 핸들 지지 블록을 통해 관통된 상기 작동 수단의 결합구가 관통되는 관통공 및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조작 핸들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지지 블록은 라운드지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앙 측에 상기 중심공과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관통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핸들 블록은 상기 라운드지게 함돌된 안착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배면부를 가지며, 상기 배면부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에 대한 상기 조작 핸들 블록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의 중심공 주변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조작 핸들 블록의 관통공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장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과 조작 핸들 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 댐퍼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댐퍼링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의 중심공 주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는 구름볼; 및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는 조작 핸들 블록의 관통공 주변의 회전 궤도 범위 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름볼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개폐 구성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구성요소 및 제조공수를 줄여 제작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간단한 개폐 구성이면서도 뚜껑 측과 용기 측을 긴밀하게 결속시켜줌으로써, 조리 시 완벽한 밀폐력(기밀성)을 발휘할 수 있는 등 압력조리기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뚜껑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폐쇄 상태에 있는 도면이고, 도 2는 개방 상태에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도시한 배면 측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조작핸들의 배면 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조작 핸들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조작 핸들지지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연동 링크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폐쇄 상태에 있는 도면이고, 도 2는 개방 상태에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도시한 배면 측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조작핸들의 배면 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조작 핸들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조작 핸들의 베이스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연동 링크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는, 뚜껑 본체(100); 상기 뚜껑 본체(100)에 구비되고, 압력조리기구의 가장자리에 록킹/언록킹되는 록킹/언록킹 부재(200);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에 연결되는 연동 링크 부재(300); 상기 연동 링크 부재(300)를 작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를 구동시키는 작동 수단(400); 및 상기 작동 수단(400)에 결합되는 조작 핸들 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 본체(100)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압력 조절구 및 증기 배출구 및 기밀 패킹 등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는 뚜껑 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단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는 그의 일단부(210)(도 8 참조)가 상기 뚜껑 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 본체(100)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 링크 부재(300)는 일단부가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의 일측(예를 들면, 중앙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 수단(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판형 링크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 수단(400)은 중앙부에 결합구(410)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동 링크 부재(300) 각각의 타단부가 편심 대칭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420)를 갖는 캠형 회동체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 수단(400)은 뚜껑 본체(100)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 본체(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작동 수단(40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안착되는 안착홈(110)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은 상기 작동 수단(400)의 결합구(410)와 결합 돌기(420)가 각각 관통되는 중심공(511) 및 관통 장공(512)을 중앙부에 구비하는 핸들 지지 블록(510); 및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을 통해 관통된 상기 작동 수단(400)의 결합구(410)가 관통되는 관통공(521) 및 상기 결합 돌기(420)가 삽입되는 삽입홈(522)을 구비하는 조작 핸들 블록(520)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의 하면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그 안착부의 중앙 측에 상기 중심공(511)과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관통 장공(512)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지게 함돌된 안착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배면부를 가지며, 상기 배면부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5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1)의 주변에 상기 삽입홈(522)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의 상면은 탈부착 가능한 커버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521)을 통해 조작 핸들 블록(520)으로 돌출된 작동 수단(400)의 결합구(410)에 결합되어 조작 핸들 블록(520)을 작동 수단(400)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 수단(400)과 조작 핸들 블록(520)은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에 대한 조작 핸들 블록(52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의 중심공(511) 주변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513); 및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의 관통공(521)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513)가 삽입되며, 조작 핸들 블록(5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장공(5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에 대한 조작 핸들 블록(520)의 안정적인 회전 동작을 제공하도록 핸들 지지 블록(510)과 조작 핸들 블록(520)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 댐퍼링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댐퍼링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의 중심공(511) 주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안착홈(514); 상기 안착홈(514)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미도시);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는 구름볼; 및 상기 안착홈(514)에 대응하는 조작 핸들 블록(520)의 관통공(521) 주변의 회전 궤도 범위 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름볼 안착홈(524)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은 폐쇄(록킹)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핸들 수단(5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의 핸들 지지 블록(510)의 삽입홈(522)에 삽입된 작동 돌기(420)를 갖는 작동 수단(400)도 조작 핸들 수단(5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 수단(400)에 편심 대칭되게 형성된 작동 돌기(420)에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동 링크 부재(300)는 작동 수단(400)의 작동 돌기(420)의 편심 회동(캠 구동 방식)에 의해 외측 방향(밀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연동 링크 부재(30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록킹/언록킹 부재(200)는 그의 일단부(210)를 축으로 하여 뚜껑 본체(100)의 테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쇄(록킹)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의 회전 반경은 핸들 지지 블록(51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513)가 조작 핸들 블록(520)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523)에 의해 그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이 핸들 지지 블록(510) 상에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 댐퍼링 수단의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름볼이 조작 핸들 블록(520)의 구름볼 안착홈(524)에 개폐시 선택적으로 안착되면서, 조작 핸들 블록(5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개방과 폐쇄 위치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결정을 제공하며, 구름볼 안착홈(524)으로 구름볼이 안착될 때 감각이나 안착음에 의해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의 폐쇄 동작은 전술한 개방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따르면, 개폐 구성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구성요소 및 제조공수를 줄여 제작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간단한 개폐 구성이면서도 뚜껑 측과 용기 측을 긴밀하게 결속시켜줌으로써, 조리 시 완벽한 밀폐력(기밀성)을 발휘할 수 있는 등 압력조리기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뚜껑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뚜껑 본체
110: 안착홈
200: 록킹/언록킹 부재
300: 연동 링크 부재
400: 작동 수단
410: 결합구
420: 결합 돌기
500: 조작 핸들 수단
510: 핸들 지지 블록
511: 중심공
512: 관통 장공
513: 스토퍼 돌기
514: 안착홈
520: 조작 핸들 블록
521: 관통공
522: 삽입홈
523: 가이드 장공
524: 안착홈

Claims (7)

  1.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에 있어서,
    뚜껑 본체(100);
    상기 뚜껑 본체(100)에 구비되고, 압력조리기구의 용기 가장자리에 록킹/언록킹되는 록킹/언록킹 부재(200);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에 연결되는 연동 링크 부재(300);
    상기 연동 링크 부재(300)를 작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를 구동시키도록 캠 구동방식으로 동작하는 작동 수단(400); 및
    상기 작동 수단(400)에 결합되는 조작 핸들 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는 상기 뚜껑 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200)의 일단부(210)는 상기 뚜껑 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 본체(100)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수단(400)은 중앙부에 결합구(410)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동 링크 부재(300) 각각의 타단부가 편심 대칭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420)를 갖는 캠형 회동체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 수단(400)은 상기 뚜껑 본체(100)의 중앙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110)에 배치되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 링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록킹/언록킹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 수단(400)에 연결되는 판형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은 상기 작동 수단(400)의 결합구(410)와 결합 돌기(420)가 각각 관통되는 중심공(511) 및 관통 장공(512)을 중앙부에 구비하는 핸들 지지 블록(510); 및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을 통해 관통된 상기 작동 수단(400)의 결합구(410)가 관통되는 관통공(521) 및 상기 결합 돌기(420)가 삽입되는 삽입홈(522)을 구비하는 조작 핸들 블록(52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은 라운드지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앙 측에 상기 중심공(511)과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관통 장공(512)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은 상기 라운드지게 함돌된 안착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배면부를 가지며, 상기 배면부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5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1)의 주변에 상기 삽입홈(522)이 형성되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에 대한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의 중심공(511) 주변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513); 및 상기 조작 핸들 블록(520)의 관통공(521)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513)가 삽입되는 가이드 장공(523)을 포함하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 수단(500)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과 조작 핸들 블록(520)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 댐퍼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댐퍼링 수단은 상기 핸들 지지 블록(510)의 중심공(511) 주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안착홈(514); 상기 안착홈(514)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는 구름볼; 및 상기 안착홈(514)에 대응하는 조작 핸들 블록(520)의 관통공(521) 주변의 회전 궤도 범위 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름볼 안착홈(524)을 포함하는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6. 삭제
  7. 삭제
KR20140074256A 2014-06-18 2014-06-18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KR10148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256A KR101489796B1 (ko) 2014-06-18 2014-06-18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256A KR101489796B1 (ko) 2014-06-18 2014-06-18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796B1 true KR101489796B1 (ko) 2015-02-04

Family

ID=5259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4256A KR101489796B1 (ko) 2014-06-18 2014-06-18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2987A (zh) * 2017-12-12 2019-06-1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64Y1 (ko) * 2000-03-29 2000-09-15 주식회사부영실업 압력밥솥
KR20000018894U (ko) * 1999-03-31 2000-10-25 유재원 전기보온 압력솥의 안전잠금장치
JP2007167306A (ja) 2005-12-21 2007-07-05 Soc Industrielle De Transformation De Metaux-Sitram 可動爪を有する蓋付き圧力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94U (ko) * 1999-03-31 2000-10-25 유재원 전기보온 압력솥의 안전잠금장치
KR200197664Y1 (ko) * 2000-03-29 2000-09-15 주식회사부영실업 압력밥솥
JP2007167306A (ja) 2005-12-21 2007-07-05 Soc Industrielle De Transformation De Metaux-Sitram 可動爪を有する蓋付き圧力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2987A (zh) * 2017-12-12 2019-06-1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N109892987B (zh) * 2017-12-12 2024-02-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盖组件及烹饪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68B2 (en) Recloseable lid for a container, in particular for a paper cup
US7381385B2 (en) Sterile container
CN102401181B (zh) 防烫水龙头及饮水机
WO2019206221A1 (zh) 一种带开瓶器的移动冰箱
US20140345729A1 (en) Fine ceramic control vale
JP2018108353A (ja) 連結可能なボウルと蓋ハンドルを備えたバイオネット圧力調理器
KR101489796B1 (ko) 압력조리기구의 뚜껑 개폐장치
JP3208859U (ja) ロックボタン位置制限式蓋
US20130146045A1 (en) Devi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KR20120083745A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JP3218298U (ja) 開閉ボタン付きフリップ式保温水筒の蓋体
KR20120094750A (ko) 정수기용 온수밸브
JP7333639B2 (ja) 多様な液体を混合することができる携帯用液体混合装置
KR102034623B1 (ko) 압력솥의 뚜껑개폐장치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101469067B1 (ko) 음식 용기의 댐핑힌지 어셈블리
CN205885254U (zh) 一种微压烹饪锅
CN208388447U (zh) 蒸汽阀及厨房锅具
KR101648067B1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KR20150045110A (ko) 탄성이 부여된 잠금장치
KR102582969B1 (ko)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뚜껑
CN213309031U (zh) 一种锅盖及装设有该锅盖的锅具
CN210218787U (zh) 精密陶瓷控制阀出水限位结构
CN211795933U (zh) 一种翻盖式水箱
KR200477785Y1 (ko) 양면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