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977B1 -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977B1
KR101487977B1 KR20120124489A KR20120124489A KR101487977B1 KR 101487977 B1 KR101487977 B1 KR 101487977B1 KR 20120124489 A KR20120124489 A KR 20120124489A KR 20120124489 A KR20120124489 A KR 20120124489A KR 101487977 B1 KR101487977 B1 KR 101487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ower body
groove
body membe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756A (ko
Inventor
천종현
백우진
정진한
박종찬
이동형
Original Assignee
(주)에이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딕 filed Critical (주)에이딕
Priority to KR2012012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9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23K9/028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for welding tub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이웃하는 파이프의 사이를 용접하기 위하여 케리지를 설치시 케리지의 용접 토치를 용접 구간에 정밀하게 조절하여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행부가 설치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A orbital welding carriage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이웃하는 파이프의 사이를 용접하기 위하여 케리지를 설치시 케리지의 용접 토치를 용접 구간에 정밀하게 조절하여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은 오일 및 가스 등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단위 파이프들을 용접하여 연결한다.
이렇게, 용접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라인은 육상용과 해상용으로 구별되며, 수십~수백 킬로미터가 되는 원거리 구간을 연결하기도 한다.
이러한, 파이프 라인은 수작업에 의한 용접 연결로 인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용접의 품질의 문제 및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파이프 용접 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6541호에는 레일 위에서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용접을 수행하는 레일 장착형 자동용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용접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레일에 취부 및 탈거가 곤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에 설치된 케리지는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여 용접 위치에 용접 토치가 일치되지 않고 벗어난 경우에는 레일과 케리지를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파이프에 설치되어 파이프와 이웃하는 파이프의 접촉위치를 용접할 때 파이프 라인의 용접 위치에 용접 토치가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거리를 감안하여 레일을 파이프에 설치하고, 이 레일에 케리지를 설치함으로써, 용접 위치와 용접 토치간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그대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정확한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접 토치를 용접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케리지와 레일을 분리 후 다시 파이프에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한 준비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공정이 복합하여 작업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일에 안착되는 하부몸체와 용접 토치가 설치되는 상부몸체는 서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용접 토치를 파이프 용접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용접부에 용접 토치를 정밀하게 위치시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는 기어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조절 완료 후 결합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사이에는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부몸체의 작동시 하부몸체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 등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행부가 설치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 중앙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의 양측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몸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재의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부재의 설치홈에 안착 고정되는 기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재의 설치홈에는 상부로 돌출된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 중앙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의 양측부에는 외측부가 개방되게 고정홈이 형성되며,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체가 형성된 몸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재의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의 고정체에 안착 고정되되, 제2연결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부를 가압하는 안착걸림턱이 형성된 안착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재의 고정홈은 측부가 오목모양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결부재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측부에는 안착구의 안착거림턱이 가압지지되도록 안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의 설치홈에는 링크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는 하부몸체의 몸체부재 상부에 위치되되, 하단 양측부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몸체부재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이 한 쌍의 돌출부재 하부에는 몸체부재의 제1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장홈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는 하부몸체의 몸체부재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제2연결부재의 측부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 전, 후부에는 제2열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판을 좌, 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절부는 상판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 돌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의 일측부에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는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게 결합 고정되어 하부몸체의 몸체부재에 구비된 기어부재와 교차되게 서로 맞물리는 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한 스크루축에는 워엄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부에 설치되어 워엄에 맞물리는 워엄기어가 마련된 제1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의 하부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상판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 돌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의 일측부에는 가이더스프라켓이 구비되고, 타측부는 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외측에 구비되되,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게 제2모터에 연결된 메인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더스프라켓과 메인스프라켓을 연결시키되, 양측 끝단부가 하부몸체의 몸체부재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체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체인의 상부를 가압지지하는 지지로울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판의 측부에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부에는 모터축이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게 제3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3몸터의 모터축에는 편심 결합 고정되는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하부몸체의 몸체부재의 설리홈에 구비된 링크고정구에 결합 고정되는 링크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레일에 안착되는 하부몸체와 용접 토치가 설치되는 상부몸체는 서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용접 토치를 파이프 용접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용접부에 용접 토치를 정밀하게 위치시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는 기어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조절 완료 후 결합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사이에는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부몸체의 작동시 하부몸체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 등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를 보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하부몸체를 보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상부몸체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이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몸체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몸체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100)는 운행부(180)가 설치된 하부몸체(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110)에는 레일에 안착되어 가이드하는 가이드로울러(182)로 이루어져 하부몸체(110)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운행부(180)와, 운행부(180)로 동력을 전달하는 레일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려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인로울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기술로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110)는 상부 중앙부에 설치홈(114)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114)이 형성된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고정홈(116)이 형성된 몸체부재(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재(112)는 상부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홈(114)은 몸체부재(112)의 양측부에 설치된 운행부(180)에 의해 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몸체부재(112)의 설치홈(114)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기어부재(12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재(112)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홈(116)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재(112)에 형성된 설치홈(114)에 안착되는 기어부재(120)는 설치홈(114)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고정홈(116)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130)는 몸체부재(112)의 상부로 돌출되게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몸체(110)의 운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상부몸체(2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210)의 상부에는 용접 토치(230)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210)는 하부몸체(110)의 몸체부재(112) 상부에 설치되되, 하단 양측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몸체부재(112)의 고정홈(116)에 대응되게 한 쌍의 돌출부재(214)가 형성된 상판(2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212)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재(214) 하단에는 몸체부재(112)의 고정홈(116)에 결속 고정된 제1연결부재(130)가 결합되는 장홈(2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10)의 상판(212)에 설치되어 상판(212)을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100)의 운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 방향으로 동작시켜 용접 위치에 용접 토치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310)는 상판(212)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재 (214) 사이에 설치되되, 한 쌍의 돌출부재(214) 사이 일측부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상판(212)에 고정되는 고정구(312)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312)가 구비된 타측부 외측에는 상판(212)과 일체 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3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구(312)에 일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타측부는 회동 가능하게 케이스(314)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결속되되, 몸체부재(112)의 상부에 설치된 기어부재(120)의 기어이에 맞물리도록 스크루축(316)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314)의 내측에 위치되게 스크루축(316)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워엄(318)이 구비되고, 케이스(314)의 외측부에 설치되되, 케이스(314)의 내측에 위치되고, 워엄(318)에 맞물려 스크루축(316)을 회동시키는 워엄기어(322)가 결속된 제1모터(3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320)의 작동에 의해 워엄기어(322)가 정역회전을 함과 동시에 이 워엄기어(322)에 맞물린 워엄(318)이 회전하면서 스크루축(316)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스크루축(316)의 회전에 의해 스크루축(316)에 맞물린 기어부재(120)의 안내에 의해 상판(212)이 제1연결부재(130)의 안내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용접 위치에 용접 토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이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100)는 파이프 외주면에 레일을 장착하고, 이 레일에 파이프 궤도용접 케리지(100)를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 운행하면서 파이프의 용접 구간에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에 레일을 설치하고, 파이프에 설치된 레일에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100)를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용접이 이루어지는 작업과정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여기에서는 레일의 설치 및 레일에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를 설치되고, 설치된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의 운행에 대한 작용관계는 생략한다
이렇게, 상기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100)를 레일에 설치한 후 용접 토치가 파이프의 용접 구간에 정밀하게 위치되도록 조절부(310)를 조작하여 조절하게 되면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즉, 상기 제1모터(320)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모터(320)에 구비된 워엄기어(322)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 워엄기어(322)에 맞물린 워엄(318)이 회전하게 되고, 이 워엄(318)의 회전에 의해 스크루축(316)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축(31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루축(316)에 맞물려 있는 기어부재(120)의 안내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상판(212)이 이동하게 되어 파이프의 용접 위치에 용접 토치를 보다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정밀한 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이프에 레일을 설치하고, 설치된 레일에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100)를 설치한 다음 파이프의 용접 구간에 위치되게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파이프에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100)의 설치시 일일이 용접 구간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10)의 몸체부재(212)에 형성된 설치홈(114)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부재(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212)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재(214) 사이에 설치되되, 케이스(314)가 구비된 타측부에 절개홈(212a)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212a)에 가이더스프라켓(3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14)의 외측부에 제2모터(332)가 결합 고정되되, 제2모터(332)의 모터축은 케이스(314)를 관통하여 내측에 위치되게 결합 고정되고, 이 모터측에는 가이더스프라켓(330)과 대응되게 메인스프라켓(33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가이더스프라켓(330)과 메인스프라켓(334)을 서로 연결시키되, 양측 끝단부가 몸체부재(112)의 설치홈(114)에 구비된 고정부재(140)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가이더스프라켓(330)과 메인스프라켓(334)에 연결되는 체인(336)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212)의 상부에 지지구(337)가 구비되고, 이 지지구(337)의 상단부에는 체인(336)의 상부를 가압지지하는 지지로울러(33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모터(332)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2모터(332)의 모터축에 결합 고정된 메인스프라켓(334)이 회전하게 되고, 메인스프라켓(334)의 회전에 의해 메인스프라켓(334)에 연결된 체인(336)은 가이더스프라켓(332)의 안내에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336)의 회전시 몸체부재(112)의 고정부재(140)에 체인(336)의 양측 끝단부가 결합 고정되어 있어 체인(336)의 회전시 상판(212)이 체인(336)의 회전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33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판(212)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파이프라인의 용접구간에 용접 토치가 위치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재(112)는 상부 중앙부에 설치홈(114)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114)의 양측부에는 외측부가 개방되게 고정홈(116)이 형성되며,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체(1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116)은 설치홈(114)이 형성된 타측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설치홈(114)이 형성된 방향의 고정홈(116) 측면은 함몰되게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체(118)는 고정홈(116)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몸체부재(112)의 고정홈(116)에 안착 고정되어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홈(116)의 측면부에 고정되게 고정홈(116)에 안착되는 제2연결부재(1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재(150)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 끝단부에는 단턱진 안착턱(150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재(112)의 고정체(118)에 안착되게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제2연결부재(150)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형성된 안착턱(150a)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압지지하는 안착걸림턱(162)이 형성된 안착구(1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구(160)에 의해 제2연결부재(150)는 몸체부재(112)의 고정홈(11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112)의 중앙부에 형성된 설치홈(114)의 중앙부에는 링크 고정구(17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홈(114)에는 링크고정구(170)에 위치되는 일측부에는 절개홀(1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212)은 하부몸체(110)의 몸체부재(112)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2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212)의 하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제2연결부재(150)의 측부에 밀착 지지되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로울러(2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로울러(220)는 제2연결부재(150)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부재(150)의 외측부에 상판(212)에 결합된 제1가이드로울러(220)가 밀착되게 되어 상판(212)은 제2연결부재(15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212)의 하부 전, 후, 즉 제2연결부재(150) 길이 방향의 상판(212) 하부 양측부에는 제2연결부재(15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가이드로울러(2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로울러(222)는 제2연결부재(150)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2가이드로울로(220)(222)가 제2연결부재(15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판(212)의 이동시 제1,2가이드로울러(220)(222)가 제2연결부재(150)를 따라 왕복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310)는 상판(212)의 측부에 구비된 케이스(314)의 외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3모터(340)를 구비하되, 제3모터(340)의 모터축은 케이스(314)의 내측에 위치되고, 케이스(314)의 내측에 위치한 제3모터(340)의 모터축에 편심되게 연결바(342)가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342)는 모터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모터축에 결합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바(342)에 일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부는 회동 가능하게 몸체부재(112)의 설치홈(114)에 형성된 링크고정구(170)에 결합 고정되는 링크(34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모터(340)의 정역회전에 따라 연결바(342)가 회동하게 되고, 이 연결바(342)의 회동에 의해 링크(344)를 기준으로 하여 상판(212)이 제2연결부재(15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3모터(340)의 동작에 의해 제3모터(340)의 모터축에 결속된 연결바(342)가 회동을 하게 되고, 이 연결바(342)의 회동에 의해 몸체부재(112)의 링크고정구(170)에 결속 고정된 링크(344)를 기준으로 하여 상판(212)이 제2연결부재(15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3모터(340)가 작동하게 되면 모터측에 결합된 연결바(342)가 모터축에 고정된 타측부가 원을 그리며 정역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연결바(342)에 결합 고정된 링크(344)가 몸체부재(112)의 설치홈(114)에 구비된 링크고정구(17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연결바(342)의 회동에 의해 상판(212)이 밀리면서 제2연결부재(150)를 따라 상판(212)이 왕복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212)이 제2연결부재(150)를 따라 이동할 때 상판(212)의 하부에 구비된 제1,2가이드로울러(220)(222)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제2연결부재(150)로부터 상판(212)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110 : 하부몸체
112 : 몸체부재 112a : 절개홀
114 : 설치홈 116 : 고정홈
118 : 고정체 120 : 기어부재
130, 150 : 제1,2연결부재 140 : 고정부재
150a : 안착턱 160 : 안착구
162 : 안착걸림턱 170 : 링크고정구
210 : 상부몸체 212 : 상판
212a : 절개홈 214 : 돌출부재
216 : 장홈 218 : 고정부재
220 : 제1가이드로울러 222 ; 제2가이드로울러
310 : 조절부 312 : 고정구
314 : 케이스 316 : 스크루축
318 : 워엄 320 : 제1모터
322 : 워엄기어 330 : 가이더스프라켓
332 : 제2모터 334 : 메인스프라켓
336 : 체인 337 : 지지구
338 : 지지로울러 340 : 제3모터
342 : 연결바 344 : 링크

Claims (17)

  1. 운행부가 설치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 돌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좌, 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 중앙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의 양측부에는 외측부가 개방되게 고정홈이 형성되며,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체가 형성된 몸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재의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의 고정체에 안착 고정되되, 제2연결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부를 가압하는 안착걸림턱이 형성된 안착구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의 설치홈에는 링크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고정홈은 측부가 오목모양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측부에는 안착구의 안착거림턱이 가압지지되도록 안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하부몸체의 몸체부재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제2연결부재의 측부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 전, 후부에는 제2열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운행부가 설치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 돌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좌, 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는 하부몸체의 몸체부재 상부에 위치되되, 하단 양측부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몸체부재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이 한 쌍의 돌출부재 하부에는 몸체부재의 제1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장홈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판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 돌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의 일측부에는 가이더스프라켓이 구비되고, 타측부는 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외측에 구비되되,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게 제2모터에 연결된 메인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더스프라켓과 메인스프라켓을 연결시키되, 양측 끝단부가 하부몸체의 몸체부재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체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체인의 상부를 가압지지하는 지지로울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판의 측부에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부에는 모터축이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게 제3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3모터의 모터축에는 편심 결합 고정되는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하부몸체의 몸체부재의 설리홈에 구비된 링크고정구에 결합 고정되는 링크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KR20120124489A 2012-11-05 2012-11-05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KR10148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4489A KR101487977B1 (ko) 2012-11-05 2012-11-05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4489A KR101487977B1 (ko) 2012-11-05 2012-11-05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756A KR20140058756A (ko) 2014-05-15
KR101487977B1 true KR101487977B1 (ko) 2015-02-06

Family

ID=5088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4489A KR101487977B1 (ko) 2012-11-05 2012-11-05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6669B2 (en) 2016-12-19 2020-01-07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carbonate from steel sla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7431B (zh) * 2018-05-14 2020-05-22 西安理工大学 管道全位置自动焊接机
CN114734115A (zh) * 2022-04-19 2022-07-12 广东省科学院中乌焊接研究所 钎焊-扩散焊用实验夹具和对焊棒材的焊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670Y1 (ko) * 1999-10-19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미절단 슬라브의 재절단 장치
KR200246031Y1 (ko) * 2001-06-13 2001-10-17 광 호 옥 용접자세가 조정되는 자동용접장치
KR20070065536A (ko) * 2005-12-20 2007-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용접부 최소화 오토캐리지 및 그의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670Y1 (ko) * 1999-10-19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미절단 슬라브의 재절단 장치
KR200246031Y1 (ko) * 2001-06-13 2001-10-17 광 호 옥 용접자세가 조정되는 자동용접장치
KR20070065536A (ko) * 2005-12-20 2007-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용접부 최소화 오토캐리지 및 그의 용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6669B2 (en) 2016-12-19 2020-01-07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carbonate from steel s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756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773B1 (ko) 궤도형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CN111136411B (zh) 一种钢质燃气管道的全自动外焊机
RU2692540C2 (ru) Внутренняя сварочная машина с лазерной измер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100934960B1 (ko) 강관 연결 시공용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KR101487977B1 (ko)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FR2899141B1 (fr) Support dit orbital pour un dispositif de soudage de conduits a souder bout a bout pour former une canalisation de type pipeline.
CN113290301B (zh) 管道全位置自动焊接机
CN104053522A (zh) 焊炬超前/滞后角度调整装置
KR100806537B1 (ko) 강관의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CN101850464B (zh) 海洋钢结构气体保护焊自动焊接小车的运行轨道
JP2009008120A (ja) 既設流体管の機器接続構造及び不断流式流体機器設置工法
KR100893874B1 (ko) 수평위빙 구동장치를 갖는 강관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CN108500532B (zh) 保温管焊接装置及焊接方法
KR101539342B1 (ko)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KR20090016299A (ko) 용접 토치 회전 구조를 갖는 강관티그(tig)자동용접장치
US3681560A (en) Method and means for welding pipe sections
KR101569365B1 (ko) 파이프 단면부의 자동 알곤 용접장치
CN115139020A (zh) 一种工业管道加工焊接设备
KR20050046699A (ko) 자동용접기의 가이드 장치
KR100898720B1 (ko)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비를 포함한 강관연결시공방법
CN104476770B (zh) 一种塑料管件焊接机
JP2012130954A (ja) 自動溶接装置
KR101539341B1 (ko) 파이프 궤도용접 케리지용 레일 장착장치
KR200391430Y1 (ko) 자동용접기의 가이드 장치
KR200440425Y1 (ko) 파이프 자동 용접 로봇에 장착되는 롤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