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936B1 - 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936B1
KR101487936B1 KR1020130092196A KR20130092196A KR101487936B1 KR 101487936 B1 KR101487936 B1 KR 101487936B1 KR 1020130092196 A KR1020130092196 A KR 1020130092196A KR 20130092196 A KR20130092196 A KR 20130092196A KR 101487936 B1 KR101487936 B1 KR 10148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ore portion
type
polyest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원
윤병섭
마진숙
민기훈
이현수
최미남
김호근
홍재욱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936B1/en
Priority to CN201480040596.6A priority patent/CN105431578B/en
Priority to US14/906,508 priority patent/US10947644B2/en
Priority to TR2015/17816T priority patent/TR201517816T1/en
Priority to PCT/KR2014/007133 priority patent/WO2015016675A1/en
Priority to EP14832472.6A priority patent/EP3045572B1/en
Priority to JP2015561290A priority patent/JP60809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based C-type composite fib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mposite fiber is manufactured by satisfying certain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fiber has a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a core part which is more excellent than that of a prior composite fiber. Therefore, effects such as heat insulation property and lightness of a hollow fiber manufactured by using the composite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ximized. Also, the hollow fiber has excellent strength and an excellent elongation rate, and thus the composite fib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and destroyed, and can have enhanced flexibility. Moreover, a core part of the C-type composite fiber is smoothly dissolved in a uniform dissolution time regardless of a ratio of the core part in the composite fiber. Therefore, time for manufacturing the hollow fiber manufactured from the composite fiber is reduced; and quality of the hollow fiber can be excellent because the core part is completely dissolved.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향상된 강도 및 신도를 보유하여 제조공정에서 복합섬유의 변형이 거의 없고, 우수한 코어부 단면적율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type C-type conjugate fiber having a strength and elongation Ester type C-type conjugated fiber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섬유는, 그 우수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 의해, 의류용뿐만 아니라, 산업용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공업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합성섬유는, 그 단사섬도가 단일한 분포를 가지며, 보온성에서 마, 면 등의 천연섬유와 차이가 큰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합성섬유를 중공화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BACKGROUND ART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and polyamide are widely used not only for clothing but also for industrial use due to their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have industrially important values. However, these synthetic fibers have a single monofilament fineness distribution, and have drawbacks in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natural fibers such as hemp, cotton, etc. in terms of warmth, and in order to improve such drawbacks, have.

중공사는 1956년에 이미 기본적인 특허가 출원되어 있을 정도로 오래된 기술로서 중공사의 장점은 중공부에 대한 무게 감소로 인한 비중 감소로 경량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공부에 공기가 존재함으로서 공기의 열전도율이 낮은 것을 이용하여 보온성을 또한 유지할 수가 있다. 섬유 집합체로서의 의복에 보온성을 주는 목적은 가볍고, 얇으면서도 보온성이 우수한 소재를 얻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겨울철 옷이 두꺼워짐에 따라서 그 무게도 높아지고, 무게를 줄이면 보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중공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It is an old technology that has already been filed for a basic patent in 1956. The merit of hollow fiber is that light weight can be felt due to weight reduction due to weight reduction for hollow part. In addition, since the air exists in the hollow portion, the thermal conductivity can be maintained by using the low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ir. The purpose of imparting warmth to clothes as a fiber aggregate was to obtain a material which is light, thin, and excellent in warmth. Therefore, hollow fiber is widely used to solve the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increases as the clothes are thickened in winter, and the thermal insulation is lowered when the weight is reduced

일반적으로 중공률이 높은 중공사 섬유는 많은 공기층을 함유하므로 비중이 작고, 보온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가벼우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주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등산복, 운동복, 기능성의류, 이불, 보온용 이불, 침낭,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 hollow fiber having a high hollow fiber content has a small specific gravity and excellent heat retention because it contains many air layers. Therefore, it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that give a light feeling of warmth and is widely used in mountaineering clothes, sportswear, functional clothes, quilt, thermal insulation quilts, sleeping bags and the like.

일반적인 중공사의 제조방법은 연결되지 않은 슬릿으로부터 폴리머를 토출시키고 완전히 고화되기 전에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기를 중앙부에 포함시켜 중공을 만드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ethod of producing a hollow fiber is widely used in which a polymer is discharged from an unconnected slit and fusing is performed before completely solidified, thereby forming a hollow by incorporating the outside air into the central portion.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되지 않은 슬릿을 통해 폴리머를 토출한 후 완전 고화되기 전에 융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 중공사는 중공율이 30% 이상인 경우 가연공정 등 후처리과정을 거치면 그 단면이 쉽게 붕괴, 즉 합착(중공부의 소멸)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필라멘트 상태로 사용되거나 스테이플(단섬유)로 커팅 후에 방적을 통해서 사용하게 된다. Meanwhile, the hollow fiber produced by discharging the polymer through the slit which is not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and fusing it before complete solidification, if the hollow ratio is 30% or more, the cross section easily collapses after the post- It is mostly used in filament form because it can be bonded (disappearance of hollow part) or it is used through spinning after cutting with staple (short fiber).

그러나 필라멘트로 사용할 경우, 중공을 통한 반발탄성력이 증대되어 의류용 일반 환편물, 직물로 사용하기에는 미끈거리는 촉감과 드레이프성이 떨어지게 되어 의류용으로 용도 전개가 어려워 일부 국한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모물의 경우에도 벌키성이 떨어지고 중공사의 표면이 매끈거리며 반발 탄성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른 섬유와의 복합의 경우에도 중공의 특성인 경량성과 보온성이 반감되며, 원사의 복합화에 따른 원단의 후도가 증가하고, 촉감 개선이 미미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used as a filament, the rebound resilience through the hollow is increas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velop a general purpose circular knitted fabric for use as a garment, and a slippery feel and drape for use as a garment. Further, even in the case of the brushed material,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bulging property is lowered,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is smooth, and the repulsive elastic force is excellent. Further, even in the case of composite with other fibers, the lightness and warmth,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hollow, are reduced by half, and the fineness of the fabric due to the composite yarn is increased.

또 다른 방법으로는 스테이플로 단섬유화 하여 방적을 하는 방법이 있다. 방적을 할 경우에는 촉감이 우수하며, 강도가 증가하고 타섬유와의 복합이 용이하여 다양한 용도로의 전개가 가능하나 스테이플(단섬유)화 하는데 제조비용이 높으며, 필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적이란 2차 공정을 다시 거쳐야하기 때문에 방적 설비를 별도로 갖추어야하고, 공정 추가로 인한 시간과 비용적 부담도 발생하게 된다.Another method is to make fibers by stapling and spinning. When spinning is carried out, it is excellent in touch, strength is increased, and it is possible to develop it for various purposes because it is easy to be compounded with other fibers, but it is expensive to manufacture staple (short fiber) and has a problem of poor peeling property . In addition, since the spinning process must be repeated again, spinning equipment must be separately provided, and time and cost burden due to the addition of the process may also occur.

일반 의류용 필라멘트의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가공, 즉 가연공정 등의 후처리과정을 거쳐 촉감을 개선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연공정은 높은 온도에서 많은 장력을 통해서 꼬임을 부여하기 때문에 중공사의 경우에는 중공이 찌그러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중공사의 중공율이 30%이상인 경우에는 중공부를 감싸고 있는 섬유외곽의 벽이 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쉽게 합착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중공사의 중공부가 중공율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가연공정 등 후처리과정을 거친 중공 필라멘트가 가지고 있는 중공율도 낮기 때문에 가연공정 후에는 중공율이 5%이하로 떨어져 중공을 찾아보기가 어렵게 된다.In the case of filaments for general garments, the tactile feel is improved through post-processing such as quasi- processing,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However, this twisting process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hollow is distorted in the case of the hollow fiber because it gives twist through a lot of tension at a high temperature. Particularly, when the hollow fiber has a hollow ratio of 30%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er wall of the fiber surrounding the hollow portion is thin, so that the adhesion phenomenon occurs relatively eas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fiber has a hollow ratio of less than 30%, the void ratio of the hollow filament after the post-treatment such as the twisting process is low, so that the void ratio is less than 5% after the false twisting process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출형 중공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용출형 중공사는 가연공정 등의 후처리 뒤에 염색가공 전 용출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중공의 붕괴없이 존재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a method using an elution type hollow fiber has been tried, and an elution type hollow fiber can be present without a hollow collapse because it is subjected to a post-treatment such as a tentative process and then a dissolution process before a dyeing process.

그러나 중공은 존재할 수 있으나 용출 전 복합섬유의 강도가 단독방사된 중공사보다 낮고, 용출이 완료되면 시스부만 남아 강도가 더욱 낮아져 이를 통해 제직되는 원단의 인열강도가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hollow fiber may exist but the strength of the pre-eluting composite fiber is lower than that of the single-spun hollow fiber, and when the elution is completed, the strength of the cistern portion is further lowered, and the tear strength of the fabric to be woven through the fiber decreases.

또한, 종래 복합섬유의 코어부 단면적율은 30% 미만 수준으로 보온성, 경량성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ortion of the conventional conjugated fiber is less than 30%,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ects such as warmth and lightness.

나아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온성, 경량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코어부 단면적율이 향상된 복합섬유를 제조하려고 해도 코어부 단면적율이 30% 이상인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조차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어부 단면적율을 증가시킬 경우 복합섬유 및/또는 이를 통해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강도는 더더욱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코어부 단면적율만 증가시켰을 경우 향후에 중공섬유로 제조하기 위한 용출공정에서 용출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conjugated fiber having a core sectional area ratio of 30% or more even if it is attempted to produce a conjugated fiber having an improved core sectional area ratio in order to maximize warmth and light weight. In addition,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s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bers and / or the hollow fibers produced therewith is further reduced. Furthermore, when the core area cross-sectional area ratio is increased, elution time in the elution process for producing hollow fibers is increased.

더 나아가,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할 때 복합섬유의 강도, 신도는 낮아질 수 있는데 종래의 복합섬유는 낮아지는 강도, 신도의 폭이 커서 제조되는 복합섬유의 코어부 변형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보온성, 경량성 및 유연성을 가진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composite fiber can be lowered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s increased. In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since the strength and elongation width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are l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composite fiber having flexibility and flexibility.

한국특허출원 제2007-0051838호는 인열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중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 2개 이상의 슬릿들로 구성된 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제조된 중공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출원의 종래기술에는 슬릿이 1개로 이루어진 C형의 경우 슬릿사이의 떨어진 부분으로 공기 유입량이 적어 중공률이 높지 않으며 중공률을 높여도 원사 외벽이 얇아 원단의 강도 등 물성이 저하된다고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출원의 경우 복합방사를 통한 용출형 중공섬유의 제조방법이 아닌 방사 후 폴리에스테르를 고형화 시켜 중공을 형성하고 있어 높은 중공률을 가진 중공섬유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제조하더라도 제조공정을 견딜만한 강도가 보유되지 않아 방사조업성이 저하되거나 가연신 등의 후처리 공정 및 제직과정에서 중공섬유의 중공이 변형,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특허출원의 경우 슬릿이 여러 개인 방사구금을 통해 중공섬유를 제조하고 있는바,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강도는 더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7-0051838 discloses a polyester hollow fiber having excellent tear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and a hollow fiber produced by using a spinneret composed of two or more slit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In the prior art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in case of the C type having one slit, the hollow portion is not so high because the amount of air inflow is small as a distance between the slits, and even if the hollow ratio is increased, the outer wall of the yarn is thin, hav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it is not a manufacturing method of eluting hollow fiber through composite spinning, but after producing a hollow fiber by solidifying the polyester after spinning, there is a limit in producing a hollow fiber having a high hollow rati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llow fiber is deformed or broken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such as false twisting and the weaving process.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the hollow fiber is manufactured through the spinneret having a plurality of slits, so that the strength of the produced hollow fiber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첫 번째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종래의 복합섬유에 비해 우수한 코어부 단면적율을 가져서 향후 이를 통해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보온성 및 경량성 등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우수한 강도를 보유하여 제조공정에서 복합섬유의 변형, 파괴가 없고, 우수한 신도를 보유하여 유연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향후에 중공섬유로 제조하기 위한 용출공정에서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해도 용출속도 또한 증가됨으로써 용출공정 소요시간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low fiber- Etc., and at the same time, it has excellent strength and does not cause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composite fib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has excellent elongation and improved flexibility, thereby providing a polyester-based C type composite fiber manufacturing metho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capable of increasing the elution rate even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art is increased in the elution step for producing hollow fibers in the future.

두 번째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본 발명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경우 중공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감량공정에서 코어부분이 원활히 용출되고 코어부분의 복합섬유 내 비율에 관계없이 균일한 용출시간을 가지게 하여 중공섬유의 제조시간 단축 및 코어부분을 전량 용출시킴으로써 중공섬유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우수한 강도를 가져 제조공정에서 복합섬유의 변형, 파괴가 최소화되고 향상된 신도를 보유한 우수한 코어부 단면적율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is that, in the case of the polyester-based C-type composite fiber satisfying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ortion is smoothly eluted in the weight reduc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hollow fibers, The elution time is shortened to shorten the production time of the hollow fiber and to elute the entire amount of the core part, thereby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the hollow fiber.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minimizing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conjugated fib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having an excellent elongation and an excellent core sectional area ratio.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된 시스부 및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된 코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코어부가 상기 시스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합방사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first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hich comprises (1) a step of mixing a sheath por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polyester and a polyamide resin and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Preparing a core portion containing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diol component and a copolymer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a polyalkylene glycol with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mprising dimethyl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And (2) composite radiation such that the core is exposed from one side of the sheath to the outside; Type C-type conjugated fi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 이후, (3) 단계로써 상기 C형 복합섬유를 후처리하여 C형 복합가공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2), the step (3) may include post-treating the C-type conjugated fiber to produce the C-shaped composite processed fi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 시스부의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ster synthetic resin of the sheath of the step (1) is compos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May be sel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 시스부의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나일론 6,나일론 66, 나일론 6.10및 아라미드(Aram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in the step (1)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6, nylon 66, nylon 6.10, and arami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 코어부는, 1-1) 산성분과 디올성분의 총합 대비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을 0.1 내지 3.0 몰비로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1-2)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알킬렌글리콜을 7 내지 14 중량부를 혼합하여 축중합을 통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unit of the step (1) comprises 1-1) mixing the dimethylsulfone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in an amount of 0.1 to 3.0 molar ratio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the acid component and the diol component, Lt; / RTI > And 1-2) preparing a copolymer through condensation polymerization by mixing 7 to 14 parts by weight of polyalkylene glycol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35 : 65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2), the weight ratio of the sheath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may be 70:30 to 35:65.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 단계의 후처리는 가연(DTY)법, 공기분사법 및 찰과법(나이프에지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treatment of the step (3) may be performed by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TY method, an air spraying method and a scratching method (knife edge method) .

한편,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감싸는 시스부를 포함하며 횡단면이 C자형으로 상기 코어부가 시스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하기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core portion and a sheath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the cross section of which is C-shaped and the core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one side of the sheath portion, Thereby providing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1) 30 ≤ 코어부 단면적율(%)≤ 65 (1) 30 ≤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 ≤ 65

(2) 20° ≤ 슬릿각도(θ) ≤ 30° (2) 20 ° ≤ slit angle (θ) ≤ 30 °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1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1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2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2

단, 코어부 단면적률(%)은 C형 복합섬유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상기 복합섬유에 포함된 코어부의 단면적의 백분율이며, 슬릿각도(θ)는 코어부의 중심과 시스부의 불연속한 양 지점을 각각 연결한 직선의 사이각이고, 슬릿간격(d)은 시스부의 불연속한 양 지점 사이의 거리(μm)이며, 편심거리(s)는 C형 복합섬유 전체 단면의 중심에서 코어부 중심 간의 거리(μm)이고, R1은 C형 복합섬유의 전체 단면의 직경(μm)이며, R2는 C형 복합섬유 중 코어부 단면의 직경(μm)을 의미한다.(%) Is a percenta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ncluded in the composite fiber with respect to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and the slit angle? Is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e portion and discontinuous points of the sheath (S) is the distance (m)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e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tire C-type conjugate fiber, ), R 1 is the total cross-section diameter (μm)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and R 2 is the diameter (μm)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re por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형 복합섬유가 하기의 조건 (5)를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type conjugated fiber may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 (5).

(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3
(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3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th may comprise at least one synthet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ster series and a polyamide series. The core part may include an acidic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ethylene glycol (EG) And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mprising a copolymer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a polyalkylene glycol with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ntaining a diol component and dimethyl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형 복합섬유는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 가연사(DTY), 에어텍스쳐사(ATY), 에지 크림프사(Edge Crimped yarn) 및 복합사(IT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type conjugated fiber is formed of a partially drawn yarn (POY), a drawn yarn (SDY), a false twist yarn (DTY), an air textured yarn (ATY), an edge crimped yarn yarn and composite yarn (ITY).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형 복합섬유가 부분연신사(POY)인 경우 섬도는 50 내지 200 데니어이고, 18 내지 100 필라멘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type conjugate fiber is a partially drawn yarn (POY), the fineness is 50 to 200 denier and may be 18 to 100 fila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형 중공섬유가 연신사(SDY)인 경우 섬도는 50 내지 200 데니어이고, 18 내지 100 필라멘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type hollow fiber is a drawn yarn (SDY), the fineness is 50 to 200 denier and may be 18 to 100 fila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형 중공섬유가 가연사인 경우 50 내지 1000 데니어이고 18 내지 720 필라멘트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type hollow fiber is a false-twist yarn, it may be 50 to 1000 denier and 18 to 720 filaments.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Hereinafter,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섬유’는 '사(絲, Yarn)' 또는 '실'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다양한 종류의 사 및 섬유를 의미한다.The term 'fiber'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yarn' or 'yarn' and refers to various kinds of yarns and fibers which are comm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코어부 단면적율’은 복합섬유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코어부 단면적의 백분율을 의미한다.The term "core sectional area ratio"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percentag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posite fibe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편심거리’는 C형 복합섬유 전체 단면의 중심에서 상기 단면에 포함되는 코어부의 단면중심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The term 'eccentric distance'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portion included in the cross section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tirety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복합섬유’는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원사 그 자체 또는 이를 가연신 등의 공정을 거친 복합가공섬유를 포함한다.The term 'composite fiber'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yarn itself produced by composite spinning or a composite processed fiber which has been subjected to a process such as smearing.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는 코어부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C형 복합섬유를 의미한다.The term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type conjugated fiber including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as a core.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의 복합섬유에 비해 우수한 코어부 단면적율을 가져서 향후 이를 통해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보온성 및 경량성 등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우수한 강도를 보유하여 제조공정에서 복합섬유의 변형, 파괴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신도를 보유하여 향상된 유연성을 가진다.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have excellent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jugate fiber,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 warmth and lightness of the hollow fiber produced in the future, And possesses excellent flexibility with virtually no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composite fibe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has excellent flexibility.

또한, 향후에 중공섬유로 제조하기 위한 용출공정에서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해도 용출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용출공정 소요시간을 균일하게 하여 제조시간 단축시킴으로써 중공섬유의 알칼리 침해를 방지하고 코어부를 전량 용출시킴으로써 염색불량, 중공감소 등의 문제점 발생 통한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art is increased in the elution step for producing a hollow fiber in the future, the elution speed is increased to uniformize the time required for the elution step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thereby preventing the alkali fiber from leaking out of the hollow fi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problems such as defective dyeing and hollow reduction.

나아가, 본 발명의 특정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종래의 복합섬유에 비해 향상된 코어부 단면적율을 가지게 되는 동시에 우수한 강도 및 신도를 가지며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해도 향후 중공섬유로 수득하기 위한 감량공정에서 용출속도를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어 제조시간 단축 및 불균일 용출로 인한 염색불량, 중공감소, 중공섬유 알칼리 침해 등이 발생하지 않는 품질이 우수한 중공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satisfi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jugate fiber, and the core portion cross-sectional area ratio is increased with excellent strength and elonga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ncrease the elution rate and to produce a hollow fiber excellent in quality that does not cause defective dyeing, hollow reduction, and breakage of hollow fiber alkali due to shortening of manufacturing time and uneven elu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통해 제조될 수 있는 C형 중공섬유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의 코어부가 용출된 이후의 중공률 30%인 중공섬유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의 코어부가 용출된 이후의 중공률 40%인 중공섬유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의 코어부가 용출된 이후의 중공률 50%인 중공섬유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의 코어부가 용출된 이후의 중공률 60%인 중공섬유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type hollow fiber which can be produced through a polyester-based C-type composite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low fiber having a hollow 30% after the core portion of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uted.
FIG. 3B is a sectional view of a hollow fiber having a hollow ratio of 40% after the core portion of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uted.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low fiber having a hollow ratio of 50% after the core portion of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uted.
FIG. 3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low fiber having a hollow 60% after the core portion of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uted.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복합섬유의 경우 복합방사, 후처리, 제직 및 염가공의 제조공정을 거친 최종 원단의 인열강도가 보장되지 않아 원단의 찢어짐이 많이 발생하였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the tear strength of the final fabric after the composite spinning, the post-treatment, the weaving, and the salt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ensured, and the tear of the fabric is frequently caused.

또한, 종래 복합섬유의 코어부 단면적율은 30% 미만의 수준으로 중공섬유가 가지는 보온성, 경량성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ortion of the conventional conjugate fiber is less than 30%, which is insufficient in the warmth and lightness of the hollow fiber.

나아가, 종래에는 보온성, 경량성을 극대화하려 해도 코어부 단면적율이 30% 이상인 복합섬유를 제조하기조차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코어부 단면적율을 증가시킬 경우 복합섬유 및/또는 이를 통해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강도는 더더욱 낮아져 원사의 가연 등의 후처리 공정 및 원단을 만들기 위한 제직공정을 더더욱 견딜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향후에 중공섬유로 제조하기 위한 용출공정에서 증가된 코어부 단면적율과 별개로 코어부의 용출속도를 향상시키지 못해 용출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even if it is attempted to maximize warmth and lightness,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composite fibers having a core sectional area ratio of 30% or more. In case of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the composite fibers and / The strength is further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fter-treatment process such as false twisting of the yarn and the weaving process for making the fabric can not be further endu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lution time is prolonged because the elution rate of the core portion can not be improved independently of the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n the elution process for producing hollow fibers in the future.

더 나아가,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할 때 복합섬유의 강도, 신도는 낮아질 수 있는데 종래의 복합섬유는 낮아지는 강도, 신도의 폭이 커서 제조되는 복합섬유 코어부의 변형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보온성, 경량성 및 유연성을 가진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composite fiber can be lowered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s increased. In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since the strength and elongation width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are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composite fiber having flexibility.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1)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된 시스부 및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 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된 코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코어부가 상기 시스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합방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Th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a sheath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ester and polyamide, a diol containing ethylene glycol (EG) Preparing a core part containing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component and a copolym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ntaining dimethyl 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and a polyalkylene glycol; And (2) coextruding the core part so that the cor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one side of the sheath, thereby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이를 통해 종래의 복합섬유의 코어부 단면적율에 비해 크게 향상된 코어부 단면적율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보온성 및 경량성 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ross 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ortion can be grea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ross 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ortion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s such as warmth and lightness of the hollow fiber produced thereby.

또한, 복합섬유의 코어부 단면적율을 크게 향상시켜도 복합방사되는 C형 복합섬유가 우수한 강도를 보유하여 제조공정에서 복합섬유의 변형,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향상된 신도를 가져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ortion of the composite fiber is greatly improved, the C-type composite fiber is excellent in strength and has no elongation or breakage of the composite fib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 type conjugated fiber can be produced.

나아가, 향후에 중공섬유로 제조하기 위한 용출공정에서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해도 용출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용출공정 소요시간을 균일하게 하여 제조시간 단축 및 이를 통한 중공섬유의 알칼리 침해를 방지할 수 할 수 있고, 코어부를 전량 용출시킴으로써 염색불량, 중공감소 등의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ortion is increased in the elution process for producing a hollow fiber in the future, the dissolution rate can be improved to make the elution process time uniform, thereby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time and preventing the alkali- By eluting the entire amount of the cor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defective dyeing and hollow reduction.

먼저 (1) 단계로서 시스부 및 코어부를 준비한다. First, the sheath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are prepared as step (1).

상기 시스부에 포함되는 합성수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스부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를 포함한다.The synthetic resin included in the sheath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th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and a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부의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통상적으로 C형 복합섬유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성이 추가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of the sheath por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ually used for the C-type conjugated fiber, but preferab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nd more preferab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olyester synthetic resin described above, and polyester synthetic resin having added functionality may be used.

다음으로 상기 시스부의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통상적으로 C형 복합섬유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폴리아미드게 합성수지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성이 추가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Next, the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of the sheath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6, nylon 66, nylon 6.10 and aramid, , And more preferably nylon 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and a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having added functionality may be used.

다음으로 상기 코어부에 포함되는 합성수지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ynthetic resin included in the core por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코어부에는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종류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복합방사시 방사 공정에서 잦은 사절과 팩압 상승으로 인한 방사 조업성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제조된 복합섬유의 코어부 용출공정에서 코어부 불균일 감량으로 인한 염색 균일성 저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re portion is form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mprising a terephthalic acid (TPA) -based acid component, a diol component containing ethylene glycol (EG) and dimethyl 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and a polyalkylene glycol May be used. Preferably,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a diol component containing ethylene glycol (EG), and a copolymer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glycol with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ntaining dimethyl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Lt; / RTI > In the case of using the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ntaining the copolym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spinnability due to the frequent trimming and the increase of the pack pressure in the spinning process in the complex spinning,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other kinds of copolym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blem of reduction in dye uniformity due to loss of unevenness in the core portion in the core portion elution step of the conjugate fiber can be advantageously avoi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중합체는 극한점도[n]가 0.6 내지 1.0 일 수 있다. 만일 고유점도가 1.0 초과로 공중합 될 경우는 높은 강도로 인하여 방사 작업성은 좋으나 복합섬유 코어부 용출이 용이하지 않아서 목적하는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고유점도가 0.6 미만인 경우 시스부의 폴리머와 용융점도의 편차가 커 복합방사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중합도가 낮아 제조된 섬유의 물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the copolymer preferably has an intrinsic viscosity [n] of 0.6 to 1.0.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higher than 1.0, the spinning processability is good due to the high strength, but the elution of the core of the composite fiber is not easy, so that the desired composite fiber can not be produced. In addition,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less than 0.6, there is a large deviation of the melt viscosity from the sheath polymer and the complex spinning workability is not easy,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low so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fiber are lowered.

상기 코어부의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하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있다. 다만, 하기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in the core portion, a diol component containing ethylene glycol (EG) and a dimethyl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and a polyalkylene glycol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copolymer can be produced through the following production process. However, the following production method is a preferred embodimen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1-1) 단계로써 산성분과 디올성분의 총합 대비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을 0.1 내지 3 몰비로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in step 1-1), the dimethylsulfone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is mixed with the total amount of the acid component and the diol component at 0.1 to 3 molar ratio to prepare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먼저, 상기 산성분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acid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산성분에는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며 테레프탈산 이외에 통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에 사용되는 산성분인 경우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성분에는 테레프탈산(TPA)이 50 몰% 이상 포함될 수 있다.The acid component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terephthalic acid (TPA), and acidic components used in conjugated fibers including conventional alkali-soluble polyesters other than terephthalic acid. Preferably, the acid component may contain terephthalic acid (TPA) in an amount of 50 mol% or more.

구체적으로 상기 산성분은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 헤테로고리를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id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romatic polycarboxylic acid component,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a heterocycle, and an aliphatic polycarboxylic acid component.

상기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디메틸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aromatic poly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ic acid.

또한, 상기 헤테로고리를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사이오펜디카르복신산 및 2,5-피롤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lso,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mprising the heterocycl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5-furan dicarboxylic acid, 2,5-ciphopenedicarboxylic acid and 2,5-pyrrole dicarboxylic acid It can be any one or more.

또한, 상기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은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시트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노나노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및 헥사노데카노인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aliphatic poly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alic acid, malonic acid,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suberic acid, citric acid, pimelic acid, azelic acid, sebacic acid, nonanoic acid, decanoic acid, Canoic acid, and hexanoic decanoic acid.

다음으로 상기 디올성분을 설명한다.Next, the diol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상기 디올성분에는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며 에틸렌글리콜 이외에 통상의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에 사용되는 디올성분인 경우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올성분에는 에틸렌글리콜(EG)이 50 몰% 이상 포함될 수 있다.The diol component includes ethylene glycol (EG), and may be included in a diol component used in a conjugated fiber including conventional alkali-soluble polyesters in addition to ethylene glycol, without limitation. Preferably, the diol component may contain 50 mol% or more of ethylene glycol (EG).

구체적으로 상기 디올성분은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디올성분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글리콜, 테트라메킬렌글리콜, 펜타메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헵타메틸렌클리콜, 옥타메틸렌글리콜, 노나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운데카메틸렌글리콜, 도데카메틸렌글리콜 및 트리데카메틸렌글리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ol component may be an aliphatic diol component having 2 to 14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the diol component may be an aliphatic diol component having 2 to 14 carbon atoms, and more specifically,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trimethyl glycol, tetramethylene glycol, pentamethyl glycol, hexamethylene glycol, Recol, octamethylene glycol, nonamethylene glycol, decamethylene glycol, undecamethylene glycol, dodecamethylene glycol, and tridecamethylene glycol.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성분과 디올성분의 총합 대비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을 0.1 내지 3 몰비로 혼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imethylsulfone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may be mixed at a ratio of 0.1 to 3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cid component and the diol component.

만일 상기 1-1)단계에서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이 0.1몰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알칼리를 용출 특성이 저하되어 목적하는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3몰을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반응 안정성 저하로 부반응물인 디에틸렌글리콜(DEG)의 다량 발생과 알칼리 이용출 특성이 너무 높아서 균일한 이용출 특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If the dimethylsulfur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is mix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1 mol in the step 1-1),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e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lkali are deteriorated and the desired conjugate fiber can not be prepared, (DEG), which is a minor reactant, and the alkali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re too high, so that uniform use characteristics can not be obtained.

또한,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금속아세테이트 촉매를 추가할 수 있는 데, 상기 금속아세테이트 촉매는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20.0 중량부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아세테이트 촉매가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에스테르 교환반응률이 저하되고 반응 시간도 길어진다. 또한, 2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의 반응 제어가 되지 않아 부산물인 디에틸렌글리콜(DEG)의 함량을 조절하기 힘들다.
The metal acetate catalys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5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dimethylsulfone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If the metal acetate catalyst is us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5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dimethylsulfuric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rate decreases and the reaction time becomes longer. In addition,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20.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ontent of diethylene glycol (DEG) as a byproduct because reaction control of dimethylsulfur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is not performed.

다음 1-2) 단계로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알킬렌글리콜을 7 내지 14 중량부 혼합하여 축중합을 통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next step 1-2), 7 to 14 parts by weight of polyalkylene glycol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to prepare a copolymer through condensation polymerization.

만일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알칼리 이용출 특성이 저하되어 목적하는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1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중합반응성이 저하되고, 형성된 중합물의 유리전이온도가 너무 저하되어 열안정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If the amount of the polyalkylene glycol is less than 7.0 parts by weight, the alkali utilization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and the desired conjugated fiber may not be produced. If the polyalkylene glycol is blended in excess of 14.0 parts by weight, ,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ormed polymer is too low and the thermal stability is poor.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분자량 1,000~10,000을 사용하여 중축합반응 단계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분자량이 1,000 미만일 경우 알칼리 이용출 특성이 저하되어 목적하는 코어부를 얻을수 없고 분자량 10,000을 초과할 경우 중합반응성이 저하되고 형성된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너무 저하되어 열안정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polyalkylene glycol may be polyethylene glycol (PEG), and the polyethylene glycol (PEG) is preferably added to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step us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to 10,000.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glycol (PEG)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han 1,000, the alkali utilization characteristics deteriorate and the desired core part can not be obtained. When the molecular weight exceeds 10,000, the polymerization reactivity decreases, The temperature may be too low and the thermal stability may be poor.

상기 중축합 반응 시 사용한 촉매로는 안티몬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고온에서 색상의 변색을 억제하기 위해 인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안티몬화합물로는 삼산화안티몬, 사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과 같은 산화안티몬류, 삼황화안티몬, 삼불화안티몬, 삼염화안티몬 등과 같은 할로겐화 안티몬류, 안티몬트리아세테이트, 안티몬벤조에이트, 안티몬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catalyst used i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an antimony compound can be used, and a phosphorus compound can be used to suppress color discoloration at a high temperature. Examples of the antimony compound include antimony oxides such as antimony trioxide, antimony tetraoxide, and antimony pentoxide, antimony halides such as antimony trisulfide, antimony trifluoride, and antimony trichloride, antimony triacetate, antimony benzoate, and antimony tristearate .

특히 삼산화안티몬, 안티몬트리아세테이트 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중합 후에 수득되는 중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600pp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timony trioxide, antimony triacetate and the like show excellent effect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m. The amount of the antimony triacetate to be used is preferably 100 to 600 ppm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obtained after the polymerization.

상기 인화합물로는 인산, 모노메틸인산 트리메틸인산, 트리부틸인산 등 인산류 및 그의 유도체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트리메틸인산 또는 트리에틸인산 또는 트리페닐아인산이 그 효과가 우수하여 바람직하고, 인화합물의 사용량은 중합 후에 수득되는 중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500pp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phosphorus compound, phosphoric acid, trimethylphosphoric acid monomethylphosphoric acid, phosphoric acid such as tributylphosphor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re preferably used. Of these, trimethylphosphoric acid, triethylphosphoric acid or triphenylphosphoric acid is particularly preferred, The amount of the phosphorus compound used is preferably 100 to 500 ppm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obtained after the polymeriz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는 중합 공정에서 가격이 저렴한 테레프탈산(TPA)를 주로 사용하면서 에스테르화된 설퍼이소프탈레이트 글리콜 에스테르(SIGE)의 사용 없이도 공정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을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반응성과 우수한 반응률을 가져 부반응물인 디에틸렌글리콜(DEG)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의 이온성 작용기에 의한 이물 발생이 최소화되어 복합방사시에 사절 및 팩압 상승이 없이 안정된 복합 방사가 가능하다. 나아가 알칼리 수용액에서 용출공정 시에 균일한 용출이 가능하여 용출공정 후의 C형 중공섬유 및 이를 이용한 최종 제품은 균일하고 조밀한 조직을 가져 균일한 염색성과 소프트 터치가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를 포함하는 복합섬유의 경우 종래의 다른 이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복합섬유에 비해 향상된 강도를 보유케 하여 복합섬유의 가연신 등 후처리 공정 및 제직 등의 공정에서 중공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mprising an acid component comprising terephthalic acid (TPA), a diol component comprising ethylene glycol (EG) and dimethyl sulfo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in a core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polymers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polyalkylene glycols can be produced by using terephthalic acid (TPA), which is inexpensive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while using dimethyl sulphur isophthalate (TPA), which is simple and economical process without using esterified sulfurized isophthalate glycol ester The use of sodium salt (DMSIP) enables stable reaction and excellent reaction rate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diethylene glycol (DEG) as a byproduct.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foreign matter by the ionic functional group of the dimethylsulfur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is minimized, so that stable composite radiation is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yarn tension and packing pressure in the composite spinning. Furthermore, since the C-type hollow fiber after the elution step and the final product using the same can have a uniform and dense structure, the uniform dyeing property and the soft touch can have an excellent effect. Further,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fiber including the cor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fiber having improved strength compared to the composite fiber including other conventional usable polym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formation of the hollow can be minimized in the process of FIG.

다음으로 (2) 단계로서 상기 코어부가 상기 시스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합방사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Next, in step (2), composite radiation is performed such that the core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one side of the sheath.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35 : 65 일 수 있다. 만일 시스부에 포함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가 65 중량 %를 초과하면 복합섬유의 용출 후 강도가 저하되어 원단의 인열강도가 낮아져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30 중량 % 미만일 경우 코어부 단면적율이 작아 향후 복합섬유를 통해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경량성, 보온성 등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In the step (2), the weight ratio of the sheath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may be 70:30 to 35:65. If the content of the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or the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contained in the sheath is more than 65% by weight,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bers may deteriorate after elution of the composite fibers,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s small, so that the effect of lightweight and heat insulation of the hollow fiber produced through the composite fiber may be deteriorated.

상기 (2) 단계의 C형 복합섬유 전체 단면적(A) 대비 코어부의 단면적(B) 비율은 The ratio of the cross-sectional area (B) of the core portion to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A) of the C-type conjugated fiber in the step (2)

[관계식 1][Relation 1]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4

를 만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코어부의 중량%를 조절함으로써 코어부의 단면적(코어부 단면적율)을 조절 및 증가시킬 수 있으며 향후 복합섬유에서 코어부가 용출된 후의 C형 중공섬유 중공직경을 상기 단계에서 목적에 따라 조절 및 증가시킬 수 있다.
Can be satisfi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nd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core area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core portion by controlling the weight percentage of the core portion, and the C-type hollow fiber core hollow diameter, Adjustment and increase.

상기 시스(sheath)부에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275 내지 305 ℃로, 시스부에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가 포함되는 경우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235 내지 275 ℃로 용융되어 복합방사될 수 있다. When the polyester synthetic resin is contained in the sheath portion, the polyester synthetic resin is 275 to 305 ° C. When the polyamide synthetic resin is contained in the sheath portion, the polyamide synthetic resin is melted at 235 to 275 ° C., It can be radiated.

또한, 상기 코어(Core)부에 포함될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 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255 내지 290 ℃로 용융되어 복합방사될 수 있다.Also,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mprising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a diol component containing ethylene glycol (EG) and dimethyl sulfo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to be contained in the core portion, The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copolymer in which an alkylene glycol is condensed is melted at 255 to 290 ° C and can be compounded.

상기 복합방사되어 섬유상 응고된 그대로의 섬유는 섬유 내의 분자의 배향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복합방사된 C형 복합섬유를 연신 또는 부분연신할 수 있다. Since the composite fiber and the fiber-form coagulated fiber are not well oriented in the fiber, the composite conjugated C-type conjugated fiber can be preferably stretched or partially stretched.

구체적으로 상기 C형 복합섬유를 연신사(SDY)로 방사하는 방법은 방사되는 C형 복합섬유의 시스부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인 경우 1100 내지 1700 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1 권취와 4000 내지 4600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2 권취로 연신할 수 있다. 또한, C형 복합섬유의 시스부가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인 경우 1000 내지 1400 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1 권취와 3800 내지 4400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2 권취로 연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hod of spinning the C-type conjugated fiber with a drawn yarn (SDY) is a method of spinning the C-type conjugated fiber in a sheath of 1100 to 1700 mpm (m / min) And 4000 to 4600 mpm (m / min). When the sheath por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is a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the first winding is carried out at a speed of 1000 to 1400 mpm (m / min) and the second winding is carried out at a speed of 3800 to 4400 mpm (m / Can be stretched.

상기 C형 복합섬유를 부분연신사(POY)로 방사하는 방법은 방사되는 C형 복합섬유의 시스부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인 경우 2500 내지 3300 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1 권취와 2500 내지 3400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2 권취로 부분연신할 수 있다. 또한, C형 복합섬유의 시스부가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인 경우 2300 내지 2800 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1 권취와 2300 내지 2900mpm(m/min)의 사속으로 권취하는 제2 권취로 부분연신할 수 있다.The method of spinning the C-type conjugate fiber with the partially drawn yarn (POY) is a method of spinning the C-type conjugate fiber in a sheath of 2500 to 3300 mpm (m / min) It can be partially stretched by a second winding which is wound at a speed of 2500 to 3400mpm (m / min).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sheath por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is a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the first winding is carried out at a speed of 2300 to 2800 mpm (m / min) and the second winding is carried out at a speed of 2300 to 2900 mpm It can be partially stretch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사(SDY) 및 부분연신사(POY)로 방사 시에 권취는 고뎃 롤러(Godet roller, G/R)를 사용하여 C형 복합섬유를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연신사(SDY) 제조단계에 고뎃 롤러를 이용하여 제1 권취 및 제2 권취를 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고뎃 롤러의 표면온도를 제1 권취에서는 70 내지 90℃로, 제2 권취에서는 100 내지 140℃로 유지시킨 후 권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신중에 발생하는 사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inding of the drawn yarn (SDY) and the partially drawn yarn (POY) at the time of spinning can spin the C type conjugated fiber using a Godet roller (G / R). In case of performing the first winding and the second winding using the godet roller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drawn yarn (SDY), preferab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godet roller is set to 70 to 90 DEG C in the first winding and 100 to 140 Lt; RTI ID = 0.0 > C, < / RTI >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filing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drawing.

상기와 같이 방사된 연신사 또는 부분연신사는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섬도 50 내지 200 데니어, 18 내지 100 필라멘트로 제조될 수 있다.
The spinnable yarn or partially drawn yarn thus spun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fineness of 50 to 200 denier and 18 to 100 filaments, for ease of use and easiness of processing.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의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향후 제조되는 C형 중공섬유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type hollow fiber produc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2)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C 형 복합섬유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시스(Sheath)부(100) 및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 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코어(Core)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부는(200)는 코어부(10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C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코어부(100)는 상기 시스부(200)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복합방사된다.As shown in FIG. 1, the C-type conjugated fiber produced through the step (2) may include a sheath portion 100 including a polyester synthetic resin or a polyamide synthetic resin, and an acidic material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diol component containing ethylene glycol (EG) and a copolym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ntaining dimethyl 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with a polyalkylene glycol The core portion 100 includes a core portion 200 and a core portion 100. The core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C-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the core portion 100 is wrapped around the core portion 100, And the composite radiation is formed in a shape exposed from one side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코어부(100)가 상기 시스부(200)의 일측에 노출됨으로써 향후 C형 중공섬유로 제조시에 코어부의 용출이 용이할 수 있으며 코어부가 외부로 용출되면 도 2와 같이 C형 중공섬유가 제조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ore part 100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sheath part 200, the core part can be easily elut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 type hollow fiber, and when the core part is eluted to the outside, Fibers can be produc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부(100)는 시스부(200)의 C 형 단면 형상에서 불연속한 일측으로 편향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중공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코어부의 용출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코어부를 시스부의 일측으로 편향되게 복합방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시스부에 포함된 합성수지의 팽윤현상을 방지하게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한국특허출원 제2012-0142203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C형 방사구금을 사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re portion 100 may be deflected to a discontinuous side in the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eath portion 200, and the core portion may be more smoothly discharged have.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synthetic resin contained in the sheath portion, which may occur when the core portion is radially deflected to one side of the sheath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synthetic resin contained in the sheath portion, Spinning can be used.

다음으로, (3) 단계로서 상기 제조된 C형 복합섬유를 후처리하여 C형 복합가공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fter step (3), the produced C-type conjugated fiber is post-treated to produce C-shaped composite processed fiber. . ≪ / RTI >

종래의 복합섬유의 경우 복합섬유 제조공정 및/또는 제조하려는 실의 종류 등에 따라 염가공, 제직 등의 가공을 거치면서 코어부가 용출된 원단의 인열강도 저하로 인해 원단의 찢김현상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복합섬유보다 향상된 강도를 가지는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the tearing of the fabric can not be prevent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tear strength of the core portion eluted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salt processing and the weaving according to the composite fiber manufacturing process and / There was a problem. Howev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olved the above problems 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C-type conjugated fiber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at of a conventional conjugated fiber.

구체적으로 C형 복합섬유는 종래의 복합섬유에 비해 향상된 강도를 가지며(표 4) 이를 통해 종래의 복합섬유에 비해 파괴되거나 변형되는 복합섬유의 코어부가 최소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type conjugated fiber has an improved strength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jugated fiber (Table 4),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re portion of the conjugated fiber broken or deform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jugated fiber can be minimized.

바람직하게는 상기 (3) 단계의 후처리는 가연(DTY)법, 공기분사법 및 찰과법(나이프에지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처리를 하는 목적은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함기량을 크게 하여 필라멘트사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기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려는 실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변할 수 있고 통상적인 C형 복합섬유에 사용될 수 있는 후처리 가공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ost-treatment of step (3) may be carried out by any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TY method, air jet method, and scratch method (knife edge method). The purpose of post-treatment as described above is to improve the stretchability and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filament yarn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 filament yar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it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kind and purpose of the yarn to be produced,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a post-treatment process which can be used for ordinary C-type conjugated fibers.

구체적으로 상기 C형 복합섬유를 가연사(DTY)로 후처리하는 방법은 C형 복합섬유를 상기와 같이 연신사(SDY) 또는 부분연신사(POY)로 방사 후에 이를 400 내지 600m/min의 사속, 3000 내지 3600 TM(twist/m)의 꼬임수 및 150 내지 180℃의 열고정을 통해 후처리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신사 또는 부분연신사의 경우 가공직물의 용도에 따라 1 내지 10합을 합사한 후에 가연공정을 진행하여 최종 가연사의 경우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섬도는 30 내지 1000 데니어로 제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hod of post-treating the C-type conjugated fiber with a twisted yarn (DTY) includes spinning the C-type conjugated fiber into a drawn yarn (SDY) or partially drawn yarn (POY) , Twist counts of 3000 to 3600 占 (twist / m) and heat setting of 150 to 180 占 폚.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drawn yarn or the partially drawn yarn, 1 to 10 yarns are fold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fabric to be subjected to a false twisting process. In case of the final false twist yarn, the fineness can be set to 30 to 1000 denier have.

상술한 구체적인 가연법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후처리방법일 뿐이며, 상기의 후처리방법이 상술한 기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사가공으로 여러 종류의 사(絲, Yarn)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mentioned specific twisting method is only a post-processing method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process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and various kinds of yarns can be manufactured from various kinds of yarns. There will b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감싸는 시스부를 포함하며 횡단면이 C자형으로 상기 코어부가 시스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하기 (1) 내지 (4)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1) to (4), wherein the core portion and the sheath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are 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satisfying all of the above.

(1) 30 ≤ 코어부 단면적율(%)≤ 65 (1) 30 ≤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 ≤ 65

(2) 20° ≤ 슬릿각도(θ) ≤ 30° (2) 20 ° ≤ slit angle (θ) ≤ 30 °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5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5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6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6

단, 코어부 단면적률(%)은 C형 복합섬유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상기 복합섬유에 포함된 코어부의 단면적의 백분율이며, 슬릿각도(θ)는 코어부의 중심과 시스부의 불연속한 양 지점을 각각 연결한 직선의 사이각이고, 슬릿간격(d)은 시스부의 불연속한 양 지점 사이의 거리(μm)이며, 편심거리(s)는 C형 복합섬유 전체 단면의 중심에서 코어부 중심 간의 거리(μm)이고, R1은 C형 복합섬유의 단면 전체의 직경(μm)이며, R2는 C형 복합섬유 중 코어부 단면의 직경(μm)을 의미한다.
(%) Is a percenta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ncluded in the composite fiber with respect to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and the slit angle? Is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e portion and discontinuous points of the sheath (S) is the distance (m)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e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tire C-type conjugate fiber, R1 is the total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mu m), and R2 is the diameter (mu m)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re por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먼저 (1) 30 ≤ 코어부 단면적율(%)≤ 65 을 만족한다. First, (1) 30 ≤ the sectional area of the core part (%) ≤ 65 is satisfied.

상기 코어 단면적율(%)은 C형 복합섬유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상기 복합섬유에 포함된 코어부의 단면적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만일 코어부 단면적율이 30 % 미만일 경우 복합섬유를 통해 향후 제조될 중공섬유의 보온성, 경량성 등이 낮아 중공섬유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코어 단면적률이 65%를 초과할 경우 시스부의 얇은 구조로 인해, 복합섬유의 용출 후 강도가 저하되어 이를 통해 제직되는 원단의 인열강도가 낮아져 최종제품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The core sectional area ratio (%) represents the percenta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ncluded in the composite fiber with respect to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type composite fib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s less than 3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llow fibers to be manufactured through the composite fibers are insufficient in the warmth and lightness of the hollow fibers to exhibit their functions as hollow fibers. If the core cross-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ber after the elution of the composite fiber is lowered due to the thin structure of the composite fiber, and the tear strength of the fabric to be woven through the composite fiber is lowered, thereby tearing the final product easily.

구체적으로 코어부 단면적율(%)이 70%인 경우(표 7, 비교예 6) 강도가 3.72 g/de로 코어부 단면적율(%)이 60%인 경우(표 4, 실시예 3)의 경우에 비해 14% 정도 강도가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사용이성이 좋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the core portion area ratio (%) is 70% (Table 7, Comparative Example 6) and the core portion area ratio (%) is 60% (Table 4, Example 3) The strength of the test specimens was reduced by about 14%. Furth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diation easiness is not good.

다음으로 (2) 20° ≤ 슬릿각도(θ) ≤ 30° 을 만족한다. Next, (2) 20 DEG ≤ slit angle &thetas; 30 DEG is satisfied.

상기 슬릿각도(θ)는 코어부의 중심과 시스부의 불연속한 양 지점을 각각 연결한 직선의 사이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C형 복합섬유의 코어부가 용출된 후의 C형 중공섬유의 중공율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내지 도 3d에서 볼 수 있듯이 중공섬유의 중공율에 대응되는 복합섬유의 코어부 단면적율(%)에 관계없이 일정한 슬릿각도(도 3d의 θ)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lit angle? Means an angle between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ore and discontinuous points of the sheath. Specifically,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hollow fibers of the C-type hollow fiber after the core por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has been elu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from FIGS. 3A to 3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ber has a constant slit angle (? In FIG. 3D) regardless of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ortion of the conjugate fiber corresponding to the hollow fiber hollow ratio.

본 발명이 코어부 단면적율(%)에 관계없이 일정한 슬릿각도(θ)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C형 복합섬유는 코어부 단면적율(%)이 작을 때는 복합섬유 단면에서 코어부 중심이 C형 복합섬유의 개방된 슬릿쪽으로 편향되어 있으나 코어부 단면적율(%)이 커질수록 복합섬유 단면에서 코어부 중심이 C형 복합섬유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constant slit angle (?) Regardless of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art is that the C-typ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re part The core is deflected toward the open slit of the C-type conjugated fiber, but the center of the core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C-type conjugated fiber in the cross-section of the conjugated fiber as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increases.

만일 슬릿각도(θ)가 20°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C형 복합섬유를 통해 C형 중공섬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코어부의 용출시간이 길어져 제조공정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상기 길어진 용출공정은 시스부의 알칼리 침해를 유발하여 제조되는 C형 중공섬유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단면적율(%)을 크게 증가시켰을 경우 코어부의 용출시간이 더더욱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코어부의 용출과정에서 용출되지 않는 잔여 코어부가 존재할 수 있어 중공이 감소할 수 있고 중공섬유의 경량성, 보온성 등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용출 불균일에 따른 염색불량이 발생하여 품질저하 우려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If the slit angle? Is less than 20, the elongation time of the core portion may be prolong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C-type hollow fiber through the C-type conjugate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C-type hollow fiber produced by inducing alkali invasion of the sheath is deteriorated. Furth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ortion is greatly increas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elution time of the core portion becomes longer. Further, there may be a residual core portion that is not eluted during the elution of the core portion, which may result in a decrease in hollowness, and the effect of lightweight, warmth, etc. of the hollow fiber may be deteriorated. Furthermore, there may be a problem of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occurrence of dyeing defects due to uneven dissolution.

구체적으로 슬릿각도가 17°인 경우(표 7 비교예 7) 슬릿각도가 25°인 경우(표 4 실시예 3)에 비해 용출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elution time is longer when the slit angle is 17 ° (Table 7, Comparative Example 7) and when the slit angle is 25 ° (Table 4 Example 3).

만일 슬릿각도(θ)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원형 구조를 잃게 되어 코어부에 공기층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없어 보온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어부 단면적율(%)에 따라서 슬릿각도가 변화될 경우에는 용출가공조건이 상이하게 되므로 후처리 공정시 작업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If the slit angle? Is more than 30, the circular structure is lost and the air layer can not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core portion,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in thermal insulation and decrease strength. In addition, when the slit ang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art, the elution processing conditions are different, and thus there may be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in the post-treatment step.

구체적으로 슬릿각도가 37°인 경우(표 7, 비교예 8) 강도가 2.21g/de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표 4, 실시예 3)에 비해 26%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rength was 2.21 g / de, which was 26% lower than the preferred embodiment (Table 4,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t angle was 37 ° (Table 7 and Comparative Example 8).

다음으로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7
를 만족한다. Next,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7
.

상기 슬릿간격(d)은 개방된 슬릿의 양 끝점 사이의 거리(μm)이고, 구체적으로 도 3d의 D에 해당하는 간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C형 복합섬유는 코어부 단면적율(%)과 슬릿간격(d)사이에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며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할수록 슬릿간격(d) 또한 증가하게 되어 상기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The slit spacing d is the distance (μm) between both end points of the opened slit, and specifically refers to the interval corresponding to D in FIG. The C type conjugate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 between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art and the slit spacing (d), and the slit spacing d also increases as the sectional area ratio (% Condition can be satisfied.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통해 C형 중공섬유를 제조할 때 코어부의 용출시간이 코어부의 함량에 관계없이 균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코어부 단면적율(%)이 큰 경우에도 코어부 단면적율(%)이 작은 경우와 같이 빠르고, 보다 원활히 코어부가 용출될 수 있다. When the C-type hollow fiber is produced through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ution time of the core portion may be uniform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core portion, (%) Is large, the core portion can be eluted more smoothly as in the case where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ortion is small.

만일 상기의 (3) 조건을 불만족할 경우 용출과정에서의 제조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복합섬유를 통해 제조된 C형 중공섬유의 중공부분에 코어부 잔여물이 남아 용출 불균일로 인한 염색불량이 발생되어 중공섬유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출되지 않는 코어부 잔여물로 인한 중공감소로 중공섬유의 기능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부 잔여물을 전량 용출시키기 위해서는 용출시간을 연장해야 하는바 이 경우 C형 복합섬유의 시스부가 알칼리 침해받아 품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If the above condition (3) is unsatisfactor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time in the elution process is prolonged, and the core part residue remains in the hollow part of the C-type hollow fiber produced through the conjugate fi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hollow fiber may be deteriorated, and the decrease of hollow due to the non-eluted core residue may lead to a decrease in the function of the hollow fiber. Further, in order to elute the entire amount of the core part residue, the elution time must be prolonged. In this case, there is a fatal problem that the cis-component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may be infiltrated with alkali to cause deterioration in quality.

다음으로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8
을 만족한다. Next,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8
.

상기 편심거리는 C형 복합섬유 단면 전체의 중심에서 코어부 중심 간의 거리(μm)이고, R1은 C형 복합섬유의 단면 전체의 직경(μm)이며, R2는 C형 복합섬유 중 코어부 단면의 직경(μm)을 의미한다. The eccentric distance is a distance (μm) between the C-type composite fiber cross-section core part center across the center of, R 1 is a diameter (μm) of the total of the composite fiber-C cross-section, R 2 is a C-type conjugate fiber of the core cross-section (M).

만일 상기의 (4)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동일한 코어부 단면적율(%)을 가지는 C형 복합섬유에서 코어부의 위치가 시스부의 슬릿이 아닌 C형 복합섬유 단면 중심으로 이동하는 경우(편심거리가 작아지는 경우) 코어부의 용출속도 저하 및/또는 용출시간이 연장되어 제조공정의 시간연장 및 시스부의 알칼리 침해로 인한 품질저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If the above condition (4) is not satisfi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ore portion in the C-type conjugate fiber having the same core sectional area ratio (%) moves to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C- The elution rate of the core portion may be lowered and / or the elution time may be prolong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prolonged and the quality of the core portion is deteriorated due to alkali invasion.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 (4)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표 7, 비교예 9) 용출시간이 조건 (4)를 만족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많게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고 이 경우 시스부에 포함되는 합성수지의 알칼리 침해가 발생하여 용출 후 제조되는 중공섬유의 품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condition (4) is not satisfied (Table 7 and Comparative Example 9),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solution time is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case where the condition (4) is satisfied. In this case, So that the quality of the hollow fiber produced after elution can be deteriorated.

본 발명에 따른 C형 복합섬유의 경우 상기의 (1) 내지 (4)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되며 단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하지 못한다면 본 발명의 목적하는 용출성 , 용출시간 단축과 이를 통한 시스부의 알칼리 침해 방지 및 원활한 용출을 통한 염색불량 최소화, 용출불량 최소화를 통한 경량성, 보온성 기능 유지를 달성하기 어렵다. In the case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above conditions (1) to (4) must be satisfied, and if only one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desired elution prope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rtening of the elution time, It is difficult to achieve minimization of dyeing defects through prevention of infiltration and smooth dissolution, light weight by minimizing the dissolution failure, and maintenance of the warming function.

구체적으로 상기 (1) 내지 (4) 조건 중 어느 한가지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이용출성이 떨어져 C형 복합섬유를 통해 중공섬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제조시간 상승, 시스부의 알칼리 침해 발생, 용출 불균일에 따른 염색불량, 중공감소에 따른 보온성, 경량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condition of any one of the conditions (1) to (4) is not satisfied, the use time is reduced and the production time i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hollow fiber through the C-type conjugate fiber, Defective dyeing due to unevenness, heat retention due to hollow reduction, lowering of lightweight, and the like may occur.

한편,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On the other hand, the conjugate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9
조건을 더 만족할 수 있다.(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09
Conditions can be satisfied more satisfactorily.

상술한 (1) 내지 (4) 조건 외에 (5)의 조건을 만족하면 복합섬유 코어부 용출공정에서 코어부의 단면적율(%)에 관계없이 균일한 용출시간을 가질 수 있고, 상술한 (1) 내지 (4)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보다 용출시간이 줄어들어 중공섬유 제조시간 감축 및 시스부의 알칼리 침해 최소화를 통한 품질저하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It is possible to obtain a uniform elution time regardless of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ortion in the elution step of the composite fiber core portion, The elution time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satisfying the conditions (4) to (4),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evention of quality deterioration through reduction of hollow fiber production time and minimization of alkali invasion of the sheath.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건 (5)를 만족하는 하기 표 4의 실시예 3 및 7에서 본 발명의 조건 (5)를 만족하지 못하는 하기 표 5의 실시예 9 및 10 보다 용출시간이 적게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건 (5)를 만족하는 경우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용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Specifically, in Examples 3 and 7 of Table 4 below satisfying the condition (5)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elution time is less than Examples 9 and 10 of Table 5 below which do not satisfy the condition (5)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ution time can be shortened when the condition (5) is satisfied.

상기 시스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어부는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The sheath preferably comprises a synthet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ster series and a polyamide series. The core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a diol component including ethylene glycol (EG)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copolymer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a polyalkylene glycol with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ntaining dimethyl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may be includ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상기 C형 복합섬유는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 가연사(DTY), 에어텍스쳐사(ATY), 에지 크림프사(Edge Crimped yarn) 및 복합사(IT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복합섬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신사(SDY), 가연사(DTY) 및 복합사(ITY) 일 수 있다. 상기 C형 복합섬유가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인 경우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섬도는 50 내지 200 데니어이고, 18 내지 100 필라멘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형 복합섬유가 가연사인 경우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섬도는 30 내지 1000 데니어이고 18 내지 720 필라멘트일 수 있다.The C-type conjugated fiber is composed of a partially drawn yarn (POY), a drawn yarn (SDY), a false twist yarn (DTY), an air textured yarn (ATY), an edge crimped yarn yarn and composite yarn (ITY). It may preferably be a drawn yarn (SDY), a false twist yarn (DTY) and a composite yarn (ITY). When the C-type conjugate fiber is a partially drawn yarn (POY) or a drawn yarn (SDY), the fineness may be 50 to 200 deniers and 18 to 100 filaments for ease of use and processability. When the C-type conjugate fiber is a twisted yarn, the fineness may be 30 to 1000 deniers and 18 to 720 filaments for ease of use and ease of processing.

다만,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조하려는 실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가공사로 될 수 있고 상기 가공사의 섬도 및 필라멘트수는 변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and it may be various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type and purpose of the yarn to be produced, and the fineness and the number of filaments of the processed yarn may vary.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Lt; Example 1 >

먼저 시스부를 준비하기 위해 시스부에 포함될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를 290℃로 용융했다. 또한, 코어부를 준비하기 위해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TPA)과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EG) 화합물을 1:1.2몰비로 혼합하고,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총합 대비하여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을 1.5 몰비로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 금속아세테이트 촉매로 리튬아세테이트를 디메틸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DMSIP)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중량부 혼합하여 250℃에서 1140 토르(Torr) 압력 하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에스테르 반응물을 얻었고, 그 반응률은 97.5%였다. 형성된 에스테르 반응물을 축중합 반응기에 이송하고 여기에 에스테르 반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자량 6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0.0 중량부를 첨가한 후, 축합중합 촉매로 삼산화 안티몬 400ppm을 투입하여 최종압력 0.5 Torr가 되도록 서서히 감압하면서 285?까지 승온하여 축중합반응을 통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First, to prepare the sheath, polyethylene terephthalate was melted at 290 ° C with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to be included in the sheath. (TPA) as an acid component and ethylene glycol (EG) compound as a diol component were mixed at a ratio of 1: 1.2, and dimethylsulfone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was added to the total amount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Were mixed at a molar ratio of 1.5 to prepare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The esterific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by mixing 10.0 parts by weight of lithium acetate as a metal acetate catalys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dimethylsulfone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and esterifying the mixture at 250 ° C under a pressure of 1140 Torr to obtain an ester reactant. The reaction rate was 97.5%. The resulting ester reactant was transferred to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reactor and 10.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PEG)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6000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ester reactant. Then, 400 ppm of antimony trioxide was added as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catalyst so that the final pressure became 0.5 Torr The copolymer was polymerized through condensation polymerization by gradual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to 285 DEG C under reduced pressure.

상기 테레프탈산(TPA), 에틸렌글리콜(EG)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270℃로 용융 후, 상기 용융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상기 공중합체를 각각 70 : 30 중량비로 하기 표 4에 따라 복합 방사하여 하기 표 1 연신조건으로 필라멘트수가 36이며 섬도가 75 데니어인 연신사(SDY)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G/R은 고뎃롤러를 의미한다.
The copolymer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of terephthalic acid (TPA), ethylene glycol (EG) and dimethyl sulfo 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with polyethylene glycol was melted at 270 ° C., and the mel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phthalate and the copolymer were spinning together at a weight ratio of 70:30 according to the following Table 4 to prepare a drawn yarn (SDY) having a filament count of 36 and a fineness of 75 denier under the drawing conditions shown in Table 1 below. G / R in Table 1 below means godet roller.

사 형태 Shape 방사 온도(℃)Radiation temperature (℃) G/R1속도
(mpm, m/min)
G / R1 speed
(mpm, m / min)
G/R1 온도(℃)G / R1 Temperature (캜) G/R2속도
(mpm, m/min)
G / R2 speed
(mpm, m / min)
G/R2 온도(℃)G / R2 temperature (캜)
연신사(SDY)Kite company (SDY) 285285 15001500 9090 44004400 125125

<실시예 2 내지 4> &Lt; Examples 2 to 4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를 각각 60 : 40, 50 : 50, 40 : 60으로 하여 복합방사하여 연신사(SDY)를 제조하였다.
(SDY) was prepared by conducting the same processes as in Example 1, and using a weight ratio of sheath portion and core portion of 60:40, 50:50, and 40:60, respectively.

<실시예 5 내지 8>&Lt; Examples 5 to 8 >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필라멘트수가 36이며 섬도가 100 데니어인 연신사(SDY)를 제조하였다.
(SDY) having a filament count of 36 and a fineness of 100 deni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4.

<실시예 9> &Lt; Example 9 >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표 4의 조건 중 편심거리를 2.14 μm 대신에 각각 1.5μm로 하여 표 5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s according to Table 5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eccentric distance in Table 4 was set to 1.5 μm instead of 2.14 μm.

<실시예 10>&Lt; Example 10 >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표 4의 조건 중 편심거리를 2.47 μm 대신에 1.5μm로 하여 표 5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according to Table 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except that the eccentric distance in Table 4 was set to 1.5 μm instead of 2.47 μm.

<실시예 11 내지 14>&Lt; Examples 11 to 14 >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한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로, 하기 표 2의 부분연신조건으로 표 5에 따른 섬도 123 데니어, 36 필라멘트인 부분연신사를 제조하였다.
A partially stretched yarn having a fineness of 123 denier and a filament of 36 filaments according to Table 5 was produced under the partial stretching conditions shown in Table 2 at the weight ratio of the same sheath portion and core portion as in Examples 1 to 4.

사 형태 Shape 방사 온도
(℃)
Radiation temperature
(° C)
G/R1속도
(mpm, m/min)
G / R1 speed
(mpm, m / min)
G/R1 온도(℃)G / R1 Temperature (캜) G/R2속도
(mpm, m/min)
G / R2 speed
(mpm, m / min)
G/R2 온도(℃)G / R2 temperature (캜)
부분연신사(POY )Partially stretched (POY) 285285 29302930 - - 30303030 - -

<실시예 15 내지 19>&Lt; Examples 15 to 19 >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제조된 부분연신사(POY)를 1합사, 2합사, 4합사, 6합사, 8합사하여 500m/min의 사속, 3300~3500 TM(twist/m) Z연의 꼬임수 및 160~165℃의 열고정 조건으로 하여 표 6에 따른 섬도 75 데니어, 36 필라멘트인 가연사(DTY)를 제조하였다.
(POY)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6 was subjected to a number of twists of 1, 2, 4, 6, 8, 500 m / min, 3300 to 3500 TM (twist / m) (DTY) having a fineness of 75 denier and a filament of 36 filaments as shown in Table 6 under heat setting conditions of 160 to 165 ° C.

<실시예 20>&Lt; Example 20 >

실시예 3과 동일한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로, 시스부에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대신에 나일론 6을 250℃로 용융하여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표 6에 따른 섬도 75 데니어 36 필라멘트인 나일론 연신사를 제조하였다.
Nylon 6 was melted at 250 캜 in plac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the sheath portion at the same weight ratio of sheath portion and core portion as in Example 3, and nylon drawn yarn having a fineness of 75 denier 36 filament according to Table 6 was produc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3 below Respectively.

사 형태 Shape 방사 온도(℃)Radiation temperature (℃) G/R1속도
(mpm, m/min)
G / R1 speed
(mpm, m / min)
G/R1 온도(℃)G / R1 Temperature (캜) G/R2속도
(mpm, m/min)
G / R2 speed
(mpm, m / min)
G/R2 온도(℃)G / R2 temperature (캜)
연신사(SDY )Kite company (SDY) 275275 12001200 80 80 40004000 120 120

<비교예 1 내지 4>&Lt; Comparative Examples 1 to 4 >

실시예 11 내지 1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코어부를 테레프탈산(TPA), 에틸렌글리콜(EG)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대신에 KB SEIREN사의 Bellpure를 275℃로 용융하여 표 7의 조건으로 복합방사를 통해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The core parts were prepared by conducting the same processes as in Examples 11 to 14 except that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ethylene glycol (EG) and dimethyl 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and polyalkylene glycol Instead of the polyester synthetic resin containing the polymerized copolymer, Bellpure manufactured by KB SEIREN was melted at 275 캜 and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was produced by composite spinning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7.

<비교예 5, 6>&Lt;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가 70 : 30 대신에 각각 73 : 27, 30 : 70 으로 하여 표 7의 조건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of sheath portion and core portion was changed to 73: 27 and 30: 70, respectively, instead of 70:30.

<비교예 7, 8>&Lt;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슬릿각도를 각각 17°, 37°로 하여 표 7의 조건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Polyester type C type conjugated fiber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slit angles were set at 17 ° and 37 °, respectively.

<비교예 9> &Lt; Comparative Example 9 &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편심거리(s)를 1.3μm로 하여 표 7의 조건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eccentric distance (s) was set to 1.3 μm.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하기의 조건 (1) 내지 (5)를 만족하도록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8, 실시예 1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4와 하기의 조건 (1) 내지 (4)를 만족하도록 제조된 실시예 8, 9와 하기의 조건 (1) 내지 (4)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않도록 제조된 비교예 5 내지 9의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4 내지 7에 나타냈다.Examples 1 to 8, Examples 11 to 20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hich were prepar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to (5), and Examples prepar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to (4) The following properties were measured on the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s of Comparative Examples 5 to 9 prepared so as not to satisfy any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1) to (4) and shown in Tables 4 to 7 .

1. 조건1. Condition

(1) 30 ≤ 코어부 단면적율(%)≤ 65 (1) 30 ≤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 ≤ 65

(2) 20° ≤ 슬릿각도(θ) ≤ 30° (2) 20 ° ≤ slit angle (θ) ≤ 30 °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0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0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1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1

(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2

(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2

2. 강도 및 신도2. Strength and elongation

본 발명에서 강도 및 신도의 측정은 자동 인장 시험기(Textechno 사)를 사용하여 50 cm/min의 속도, 50 cm의 파지 거리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강도와 신도는 섬유에 일정한 힘을 주어 절단될 때까지 연신시켰을 때 걸린 하중을 데니어(Denier;de)로 나눈 값(g/de)을 강도, 늘어난 길이에 대한 처음 길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신도로 정의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measured using an automatic tensile tester (Textechno) at a speed of 50 cm / min and a grip distance of 50 cm. Strength and elongation are the strength (g / de) divided by the denier (de) when the fiber is stretched until it is cut with a constant force, the strength, the percentage of the initial length as a percentage of the elongation, ) Were defined as extension.

구체적으로 하기 표 4 내지 7을 살펴보면, 본 발명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테레프탈산(TPA), 에틸렌글리콜(EG)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코어부로 포함하는 실시예 11 내지 14의 경우 KB SEIREN 사의 Bellpure를 코어부로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강도와 신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ollowing Tables 4 to 7 show examples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omprising terephthalic acid (TPA), ethylene glycol (EG), and dimethyl 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olyethylene glyco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rength and elongation of Examples 11 to 14 including the core-co-polymerized copolymer are superior to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comprising Bellpure of KB SEIREN as a core part.

3. 코어부 용출 시간3. Core part elution time

본 발명에서 코어부의 용출 시간의 경우 C형 복합섬유를 상압 100℃에서 2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출시켜 C형 복합섬유에 포함된 코어부 중량 대비하여 코어부 전량이 용출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In the case of the elution time of the cor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at which the total amount of the core portion eluted was measured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core portion contained in the C-type conjugated fiber by eluting the C-type conjugated fiber at an atmospheric pressure of 100 캜 in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of 2% .

구체적으로 하기의 표 4 내지 7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8을 통해 동일한 섬도에서 코어부 단면적율(%)에 관계없이 용출시간이 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from Tables 4 to 7, it can be seen from Examples 1 to 8 that the elution time is uniform regardless of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ortion at the same fineness.

또한, 본 발명의 조건 (5)를 만족하는 실시예 3 및 7에서 본 발명의 조건 (5)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9 및 10 보다 용출시간이 적게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건 (5)를 만족하는 경우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용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Examples 3 and 7, which satisfy the condition (5)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elution time is less than that of Examples 9 and 10 which do not satisfy the condition (5)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lution time can be shorten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not.

4. 코어부 용출성(%)4. Core Elution (%)

본 발명에서 코어부 용출성(%)의 경우 C형 복합섬유를 상압 100℃에서 2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18분동안 용출시킨 후 용출전 복합섬유 무게와 용출 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type conjugate fiber was eluted in an aqueous solution of 2% by weight of sodium hydroxide at an atmospheric pressure of 100 ° C for 18 minutes in the case of the core part elution (%), and then the weight of the conjugated composite fiber and the weight after elution

용출성(%) =
Elution (%) =

*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3
*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3

으로 계산하였다. 동일한 중공률을 가지는 C형 중공섬유에서 용출성이 높을수록 경량성 및 보온성이 높고 염색불량 등의 품질 저하가 적다.
Respectively. The higher the elution of the C type hollow fiber having the same hollow ratio, the higher the light weight and warmth, and the less the quality deterioration such as defective dyeing.

구체적으로 하기 표 4 내지 7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18분 동안 상기의 조건으로 용출시킨 경우 용출성이 100%로 전량 용출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상기의 용출시간 측정 실험과 연관시킬 때 본 발명의 경우 코어부 단면적율(%)이 증가해도 전량 용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코어부 단면적율(%)이 작은 경우와 거의 동일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의 시스부에 포함되는 합성수지의 알칼리 침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전량 용출에 따라 용출 후 제조되는 C형 중공섬유는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고 염색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품질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4, elution with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for 18 minutes in Examples 1 to 4 shows that all the eluate was eluted to 100%, which is related to the above elution time measurement experiment (%) Of the core portion is increased, the time required for elution of the entire amou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ortion is small. Therefore, the synthetic resin contained in the sheath portion of the composite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kaline invasion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C-type hollow fiber produced after elution according to the elution of all the components is excellent in light weight and warmth, and does not cause defective dyeing, so that the quality does not deteriorate.

5. 방사용이성5. Ease of radiation

본 발명에서 방사용이성은 C형 복합섬유(연신사 또는 부분연신사) 9kg 드럼을 만권으로 하여 방사 하였을 때의 절사 없는 C형 복합섬유의 수율로서,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se of spinning is a yield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without cutting when the C type conjugate fiber (drawn yarn or partially drawn yarn)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4
로 계산되며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4
And

수율이 100~95%이면 ◎로, 95~90% 이면 ○로, 90% 미만의 경우 ×각각 구분하였다.When the yield was 100 to 95%, it was divided into?, When it was 95 to 90%, it was classified as?, And when it was less than 90%, it was classified as x.

구체적으로 하기 표 4 내지 7을 살펴보면, 실시예에 비해 비교예의 경우 방사 도중 절사가 생기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코어부 단면적율(%)이 본 발명의 조건 (1)을 만족하지 못한 비교예 6, 슬릿각도가 본 발명의 조건 (2)를 만족하지 못한 비교예 7, 및 본 발명의 조건 (4)를 만족하지 못한 비교예 9의 경우 방사용이성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following Tables 4 to 7, it is seen that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truncation occurs frequently during the spinning compared to the embodiment. In particular, in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cross sectional area ratio (%) of the core part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1) 6, the comparative example 7 in which the slit angle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9 in which the slit angle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or in radiating easiness.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6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6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7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7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8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8

100 : 시스부, 200 : 코어부100: sheath portion, 200: core portion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감싸는 시스부를 포함하며 횡단면이 C자형으로 상기 코어부가 시스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하기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1) 30 ≤ 코어부 단면적율(%)≤ 65
(2) 20° ≤ 슬릿각도(θ) ≤ 30°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9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20

단, 코어부 단면적률(%)은 C형 복합섬유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상기 복합섬유에 포함된 코어부의 단면적의 백분율이며, 슬릿각도(θ)는 코어부의 중심과 시스부의 불연속한 양 지점을 각각 연결한 직선의 사이각이고, 슬릿간격(d)은 시스부의 불연속한 양 지점 사이의 거리(μm)이며, 편심거리(s)는 C형 복합섬유 단면 전체의 중심에서 코어부 중심 간의 거리(μm)이고, R1은 C형 복합섬유의 단면 전체의 직경(μm)이며, R2는 C형 복합섬유 중 코어부 단면의 직경(μm)을 의미함.
And a core portion and a sheath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wherein the cross-section is C-shaped, the core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one side of the sheath portion, and the polyester-based C-

(1) 30 ≤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 ≤ 65
(2) 20 ° ≤ slit angle (θ) ≤ 30 °
(3)
Figure 112013070392649-pat00019

(4)
Figure 112013070392649-pat00020

(%) Is a percenta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portion included in the composite fiber with respect to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and the slit angle? Is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re portion and discontinuous points of the sheath (S)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entirety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μ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core portions ), R 1 is the diameter (μm) of the entire cross-sec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and R 2 is the diameter (μm)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re portion of the C-type conjugate fi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복합섬유가 하기의 조건 (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21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type conjugated fiber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5).
(5)
Figure 112013070392649-pat000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되고, 상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TPA)을 포함하는 산성분, 에틸렌글리콜(EG)을 포함하는 디올성분 및 디메틸설퍼이소프탈리에트 소듐염(DMSIP)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축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heath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olyester-based resin and a polyamide-based synthetic resin, and the core portion comprises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TPA), a diol component containing ethylene glycol (EG), and a dimethyl sulfoisophthalate sodium A polyester-based C-type conjugated fiber comprising a polyester-based synthetic resin comprising a copolym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ntaining a salt (DMSIP) and a polyalkylene glyco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복합섬유는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 가연사(DTY), 에어텍스쳐사(ATY), 에지 크림프사(Edge Crimped yarn) 및 복합사(IT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type conjugated fibers are classified into a group consisting of a partially drawn yarn (POY), a drawn yarn (SDY), a false twist yarn (DTY), an air textured yarn (ATY), an edge crimped yarn and a composite yarn And the polyester type C-type conjugated fibe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복합섬유가 부분연신사(POY)인 경우 섬도는 50 내지 200 데니어이고, 18 내지 100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type conjugate fiber is partially drawn (POY) and has a fineness of 50 to 200 denier and 18 to 100 filame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복합섬유가 연신사(SDY)인 경우 섬도는 50 내지 200 데니어이고, 18 내지 100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type conjugated fiber is a drawn yarn (SDY), the fineness is 50 to 200 denier, and the filament is 18 to 100 filame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복합섬유가 가연사인 경우 섬도는 50 내지 1000 데니어이고 18 내지 720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fineness of the C-type conjugated fiber is from 50 to 1000 denier and from 18 to 720 filaments when the C-type conjugated fiber is a false-twisted yarn.
KR1020130092196A 2013-08-02 2013-08-02 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487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96A KR101487936B1 (en) 2013-08-02 2013-08-02 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01480040596.6A CN105431578B (en) 2013-08-02 2014-08-01 C-shaped composite fibre, the C-shaped doughnut by it, the fabric comprising it and its preparation method
US14/906,508 US10947644B2 (en) 2013-08-02 2014-08-01 C-shaped composite fiber, C-shaped hollow fiber thereof, fabric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R2015/17816T TR201517816T1 (en) 2013-08-02 2014-08-01 C-shaped composite fiber, fabric comprising hollow C-shaped fiber, C-shaped composite fiber and / or C-shaped hollow fiber, and C-shaped composite fiber, for C-shaped hollow fiber and / or fabric Production Method
PCT/KR2014/007133 WO2015016675A1 (en) 2013-08-02 2014-08-01 C-shaped composite fiber, c-shaped hollow fiber thereof, fabric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4832472.6A EP3045572B1 (en) 2013-08-02 2014-08-01 C-shaped composite fiber, c-shaped hollow fiber thereof, fabric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5561290A JP6080986B2 (en) 2013-08-02 2014-08-01 C-type composite fiber, C-type hollow fiber thereby, fabric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96A KR101487936B1 (en) 2013-08-02 2013-08-02 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936B1 true KR101487936B1 (en) 2015-01-30

Family

ID=5259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96A KR101487936B1 (en) 2013-08-02 2013-08-02 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9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0543A (en) * 2015-10-29 2015-12-30 江南大学 Preparation method of polylactic acid composite fiber with hydrolysis resist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9867A (en) * 1995-03-30 1996-10-15 Unitika Ltd Production of polyester-based bulky lightweight fabric
KR100408957B1 (en) * 1996-12-30 2004-04-14 주식회사 효성 Production of antistatic hollow fiber exhibiting excellent antistatic properties and heat retaining properties
KR100861023B1 (en) * 2007-03-27 2008-09-3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anufaturing method of sulfonated isophtalates glycol ester and manufaturing method of copolyester resin using the same
JP2009150022A (en) * 2007-12-21 2009-07-09 Toray Ind Inc Sheath-core conjugate fiber and fiber fabric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9867A (en) * 1995-03-30 1996-10-15 Unitika Ltd Production of polyester-based bulky lightweight fabric
KR100408957B1 (en) * 1996-12-30 2004-04-14 주식회사 효성 Production of antistatic hollow fiber exhibiting excellent antistatic properties and heat retaining properties
KR100861023B1 (en) * 2007-03-27 2008-09-3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anufaturing method of sulfonated isophtalates glycol ester and manufaturing method of copolyester resin using the same
JP2009150022A (en) * 2007-12-21 2009-07-09 Toray Ind Inc Sheath-core conjugate fiber and fiber fabric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0543A (en) * 2015-10-29 2015-12-30 江南大学 Preparation method of polylactic acid composite fiber with hydrolysis re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206B1 (en) C-shaped cross-section with a hollow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EP3045572B1 (en) C-shaped composite fiber, c-shaped hollow fiber thereof, fabric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7313128A (en) A kind of PBT fiber fabrication process
KR101484506B1 (en) Soluble conjugated hollow fiber and hollow yarn
KR101543113B1 (en) Polyester complex-fiber with highly elasticit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polyester conjugated yarn using thereof
KR101556042B1 (en) Fabric comprising a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414211B1 (en) Fabric comprising a hollow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274288B1 (en) Alkali-soluble polyester fiber having enhanced weav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89424B1 (en) Polyester complex-fiber with highly elastic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487936B1 (en) Polyester complex fiber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35779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oluble conjugated hollow yarn
KR100808567B1 (en) High-volume yarns and their textiles using alkali-soluble polyester resin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58058B1 (en) Spinneret for polyester complex-fiber with highly elastic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ly elastic polyester complex-fiber using thereof
KR101744256B1 (en) Extraction type conjugated hollow fiber and hollow yarn
KR20140073273A (en) Water soluble conjugated hollow fiber and hollow yarn
JP5178413B2 (en) Hollow modified polyester multifilament
KR101590231B1 (en) Polyester multi-filament fiber with twisted yarn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276223B1 (en) Polyester twisted composite yarn having excellent color development property and shrinkage, fabric compris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74289B1 (en) Polyester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composite fiber with deep coloration, composite fiber manufactured including the sam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iber
KR102429299B1 (en) High shrinkage polyester fiber, chip for high shrinkage polyester fiber, fabric comprising the same
JP6752757B2 (en) Side-by-side split type composite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using it
KR101744255B1 (en) Extraction type conjugated hollow fiber and hollow yarn
KR102545785B1 (en) Polyester complex fiber and fabric comprising the same
KR101960856B1 (en) Polyester Conjugated fiber with highly elastic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4601521B2 (en) Polyolefin fiber and woven or knitted fabric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