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27B1 - 복부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복부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127B1
KR101487127B1 KR1020140011384A KR20140011384A KR101487127B1 KR 101487127 B1 KR101487127 B1 KR 101487127B1 KR 1020140011384 A KR1020140011384 A KR 1020140011384A KR 20140011384 A KR20140011384 A KR 20140011384A KR 101487127 B1 KR101487127 B1 KR 10148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en
patient
support case
air
abdo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모
박재우
한세정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38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stoma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복부에 발생하는 통증 및 감각 반응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량화된 가압력을 환자의 복부에 일정하게 가할 수 있는 복부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지지 케이스와, 지지 케이스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복부 고정기구와, 내부에 피스톤 수용실을 구비하고 피스톤 수용실이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지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관과, 피스톤 수용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한쪽 끝단이 중공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중공관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복부 가압 피스톤과, 복부 가압 피스톤을 환자의 복부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를 통해 중공관 내부에 정량화된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부 가압장치{Device for pressuring abdomen}
본 발명은 복부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복부에 발생하는 통증 및 감각 반응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량화된 가압력을 환자의 복부에 일정하게 가할 수 있는 복부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진료하거나, 복부 쪽에 위치하는 장기에 이상이 생긴 환자를 검진함에 있어서, 복통의 정도나 이상이 생긴 장기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엑스레이나 MRI 등의 의료 장비를 이용한 검사 전에, 환자의 복부를 손으로 눌러 환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복부 압박을 통한 진단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복부 압박을 통한 진단에 있어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은 중요한 체크 항목이다. 그런데 통증은 매우 복잡한 현상이고, 환자가 말로써 의사에게 정확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으며, 인간의 통증감지 정도는 환경, 교육정도 등에 따라 개인차가 심하므로 통증을 측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환자의 증세에 대한 평가와 치료 및 관리를 위해서는 환자의 통증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치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통증 측정 방법은 맥길 통증질문표(McGill pain questionnaire) 등과 같은 환자의 주관적인 감정에 의존하는 측정 방법, 환자의 행동을 지켜본 후 담당의사가 주관적으로 측정하는 주관적인 측정 방법, 발한 검사, 맥박, 생화학측정, 체열 촬영과 같은 생리적 기능을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복통의 경우, 환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자극의 크기에 따라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달라지므로, 복통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복부에 일정한 압박을 가하고, 가해진 압박의 정도에 따른 복통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288707호(2012. 06. 14 공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4252호(2003. 02. 03 등록),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4837호(2006. 08. 21 등록)
복부 압박을 통한 진단에 있어서, 종래에는 환자의 복부에 정량화된 가압력을 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의사가 환자의 복부를 손으로 누르면서 환자가 말하는 통증이나 환자의 감각 반응을 토대로 주관적으로 진단하였으므로, 진단 결과의 신뢰도 및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화된 가압력을 복부에 일정하게 가함으로써, 환자의 복부에 발생하는 통증 및 감각 반응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복부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복부 가압장치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지지 케이스와, 상기 지지 케이스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복부 고정기구와, 내부에 피스톤 수용실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수용실이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관과, 상기 피스톤 수용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한쪽 끝단이 상기 중공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상기 중공관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복부 가압 피스톤과, 상기 복부 가압 피스톤을 환자의 복부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정량화된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복부 가압장치는 환자의 복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의 개방된 일단 둘레에 구비되고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부 가압 피스톤은, 연결대와, 상기 중공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상기 중공관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와, 상기 중공관 내면 둘레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는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부 고정기구는, 환자의 신체에 결합되는 신체결합 패드와, 상기 지지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신체결합 패드와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부 가압장치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공기 공급구가 마련된 지지 케이스와, 상기 지지 케이스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복부 고정기구와, 내부에 피스톤 수용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케이스 내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중공관과, 상기 공기 공급구와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피스톤 수용실을 연결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와,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피스톤 수용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한쪽 끝단이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과, 상기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을 환자의 복부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내부에 정량화된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부 가압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를 통한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로 개폐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개폐기구는, 상기 공기 안내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유로 개폐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 개폐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상기 지지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타단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는 복부 고정기구에 의해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되는 지지 케이스와, 지지 케이스 안쪽에 고정되는 중공관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부 가압 피스톤과, 지지 케이스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중공관 내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압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공기압 공급장치로 정량화된 크기의 압축 공기를 만들어 중공관에 공급함으로써, 복부 가압 피스톤을 통해 정량화된 가압력으로 환자의 복부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복부를 정량화된 가압력으로 가압하면서, 환자의 복부 압박 진단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는 엑스레이나 MRI 등의 의료 영상장비나, 환자의 안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안구 움직임 검출 장치, 환자의 근육 수축 등을 관찰할 수 있는 가속도 변화 측정장치 등의 의료 장비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정량화된 복부 압박에 따른 환자의 복부에 위치하는 장기의 물리적 변화량(두께, 형태 등)을 측정하거나, 자율신경변화 및 근수축 반응(통증 관찰)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는 복부 압박 진단에 활용됨으로써, 환자에 대한 치료 전, 후의 복부 압통 수치 변화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복부 통증 연구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를 환자의 복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의 복부 가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의 복부 가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를 환자의 복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의 복부 가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10)는, 지지 케이스(12)와, 지지 케이스(12)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복부 고정기구(17)와, 지지 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관(23)과, 중공관(23)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복부 가압 피스톤(26)과, 복부 가압 피스톤(26)을 밀어내기 위한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 공급장치(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10)는 공기압 공급장치(30)를 통해 복부 가압 피스톤(26)에 정량화된 공기압을 공급하여 복부 가압 피스톤(26)으로 환자의 복부를 가압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압박 진단 과정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 케이스(12)는 복부 가압 피스톤(26)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관(23)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단은 개방된다. 지지 케이스(12)의 타단에는 공기 유입구(13)가 마련되는데, 공기 유입구(13)는 지지 케이스(12)의 타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지지 케이스(12)의 타단 외면에는 튜브 연결관(14)이 공기 유입구(13)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튜브 연결관(14)에는 공기압 공급장치(30)에 연결된 공급 튜브(31)가 결합된다. 공기압 공급장치(30)에서 발생하는 정량화된 가압 공기는 공급 튜브(31)를 통해 공기 유입구(13)로 공급된다. 물론, 튜브 연결관(14)은 생략될 수 있으며, 공급 튜브(31)가 공기 유입구(13)와 직접 연결되도록 지지 케이스(1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케이스(12)의 개방된 일단에는 밀폐부재(15)가 구비된다. 밀폐부재(15)는 지지 케이스(12)의 개방된 일단 둘레 전체에 외측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마련된다. 밀폐부재(15)는 환자의 복부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환자의 복부에 강한 자극을 주지 않도록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면에는 지지 케이스(12) 및 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5)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지지 케이스(12)의 형상이나 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5)의 형상이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지지 케이스(12) 및 밀폐부재(15)의 형상은 타원형이나 각종 다각형 등 원형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지지 케이스(12)는 복부 고정기구(17)에 의해 환자의 복부에 고정된다. 복부 고정기구(17)는 환자의 등이나, 허리, 복부 등 환자의 신체에 결합되는 신체결합 패드(18)와, 지지 케이스(12)에 고정되고 신체결합 패드(18)와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벨트(19)를 포함한다. 신체결합 패드(18)는 환자의 등이나, 허리, 복부 등 환자의 신체에 부분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천이나, 고무 등 자유롭게 굽힘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신체결합 패드(18)에는 연결 벨트(19)와의 결합을 위한 수 연결기구(20)가 결합되고, 연결 벨트(19)의 끝단에는 신체결합 패드(18)의 수 연결기구(20)와의 결합을 위한 암 연결기구(21)가 구비된다. 수 연결기구(20)와 암 연결기구(21)를 통해 신체결합 패드(18)와 연결 벨트(19)는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 연결기구(20)와 암 연결기구(21)는 탈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신체결합 패드(18)를 환자의 신체에 부분적으로 감고, 지지 케이스(12)를 환자의 복부에 올려놓은 후, 신체결합 패드(18)와 연결 벨트(19)를 수 연결기구(20) 및 암 연결기구(21)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지지 케이스(12)를 환자의 복부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 연결기구(20)와 암 연결기구(21)를 분리함으로써, 지지 케이스(12)를 환자의 복부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가 다른 다양한 환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체결합 패드(18)나 연결 벨트(19)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벨트(19)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암 연결기구(21) 또는 지지 케이스(12)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복부 고정기구(17)는 신체결합 패드(18)와 연결 벨트(19)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지지 케이스(12)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중공관(23)은 지지 케이스(12) 내부 중앙에 설치된다. 중공관(23)은 내부에 피스톤 수용실(24)을 구비하고, 피스톤 수용실(24)은 지지 케이스(12)의 공기 유입구(13)와 연결된다. 중공관(23)은 지지 케이스(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중공관(23)의 개방된 끝단은 밀폐부재(15)의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중공관(23)이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중공관(23)의 형상은 원형관 형태 이외의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중공관(23)의 피스톤 수용실(24)에는 복부 가압 피스톤(26)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복부 가압 피스톤(26)은 피스톤 수용실(24)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한쪽 끝단이 중공관(23)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중공관(23)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환자의 복부를 가압한다. 복부 가압 피스톤(26)은 연결대(27)와, 연결대(27)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28)와, 중공관(23) 내면 둘레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결대(27)의 타단에 구비되는 패킹(29)을 포함한다. 가압부(28)는 중공관(23)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중공관(23)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에 접촉함으로써 환자의 복부를 가압한다. 가압부(28)는 환자의 복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환자의 복부에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패킹(29)은 중공관(23)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공기 유입구(13)를 통해 피스톤 수용실(24)로 유입되는 공기가 연결대(27) 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는다. 패킹(29)은 고무나 실리콘, 플라스틱 등 중공관(23)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복부 가압 피스톤(26)의 패킹(29)이 원형관 형태의 중공관(23)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패킹(29)의 형상은 중공관(23)의 형상에 따라 원형 이외의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대(27)나 가압부(28)의 구체적인 구조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부 가압 피스톤(26)은 공기 유입구(13)를 통해 피스톤 수용실(24)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압에 의해 중공관(23)의 개방된 끝단 쪽으로 밀려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게 된다. 복부 가압 피스톤(26)의 가압부(28)가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공기압 공급장치(30)가 공기 유입구(13)를 통해 피스톤 수용실(24)에 가하는 공기압 크기와 같다.
공기압 공급장치(30)는 공급 튜브(31) 및 지지 케이스(12)에 결합된 튜브 연결관(14)을 통해 중공관(23)과 연결된다. 공기압 공급장치(30)는 복부 가압 피스톤(26)을 환자의 복부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13)를 통해 중공관(23) 내부에 정량화된 공기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압 공급장치(30)로는 다양한 크기의 압축 공기를 만들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공기압 공급장치(30)에는 의사 등 환자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자가 공기압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조작기구나, 설정된 공기압 크기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검사자는 공기압 공급장치(30)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공기압을 공급함으로써, 복부 가압 피스톤(26)을 통해 환자의 복부를 다양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10)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사 등 환자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자는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신체결합 패드(18)를 환자의 신체에 부분적으로 감고, 지지 케이스(12)를 환자의 복부에 올려놓은 후, 신체결합 패드(18)와 연결 벨트(19)를 수 연결기구(20) 및 암 연결기구(21)를 통해 결합하여 지지 케이스(12)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한다. 이때, 지지 케이스(12)에 결합된 밀폐부재(15)가 환자의 복부에 밀착됨으로써, 지지 케이스(12)는 환자의 복부를 지긋이 누르면서 환자의 복부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검사자는 공기압 공급장치(30)를 조작하여 정량화된 압력의 압축공기를 만들어 공급 튜브(31)를 통해 지지 케이스(12) 내부의 중공관(23)으로 공급한다. 이때, 공기압 공급장치(30)에서 만들어진 압축 공기는 공급 튜브(31)와, 튜브 연결관(14) 및 공기 유입구(13)를 통해 중공관(23) 내부의 피스톤 수용실(24)로 유입된다. 그리고 피스톤 수용실(24)에 압축 공기가 유입되면, 복부 가압 피스톤(26)은 피스톤 수용실(24)의 공기압에 의해 환자의 복부 쪽으로 밀리며, 그 가압부(28)가 환자의 복부에 압착되면서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검사자는 복부 가압장치(10)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를 정량화된 가압력으로 가압하면서, 환자로부터 자신이 느끼는 통증이나 증상을 듣고 환자의 복부 압박 진단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 각종 엑스레이나 MRI 등의 의료 영상장비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복부 가압장치(10)로 환자의 복부를 정량화된 가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의료 영상장비로 환자의 복부에 위치하는 장기의 물리적 변화량(두께, 형태 등)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안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안구 움직임 검출 장치나, 환자의 근육 수축 등을 관찰할 수 있는 가속도 변화 측정장치 등의 의료 장비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복부 가압장치(10)를 이용한 정량화된 복부 압박에 따른 자율신경변화 및 근수축 반응(통증 관찰)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10)를 복부 압박 진단에 활용하면, 환자에 대한 치료 전, 후의 복부 압통 수치 변화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의 복부 가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40)는, 지지 케이스(42)와, 지지 케이스(42)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복부 고정기구(17)와, 지지 케이스(42)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공관(50)과, 복수의 중공관(50) 각각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과,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을 밀어내기 위한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 공급장치(30;도 1 참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10)와 비교하여 지지 케이스(42)의 내부에 복수의 중공관(50) 및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이 구비되어,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으로 환자의 복부를 가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40)의 복부 고정기구(17)나 공기압 공급장치(30)의 구체적인 구조나 작용은 상술한 것과 같으므로,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케이스(42)는 복부 가압 피스톤(53)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중공관(5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단은 개방된다. 지지 케이스(42)의 타단에는 공기 공급구(43)가 마련되고, 이 공기 공급구(43)에는 공기압 공급장치(30)에 연결된 공급 튜브(31)가 결합되는 튜브 연결관(44)이 연결된다. 지지 케이스(42)의 개방된 일단에는 외측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밀폐부재(45)가 구비된다.
지지 케이스(42)의 공기 공급구(43)가 구비된 타단에는 유로 형성부(46)가 구비되고, 이 유로 형성부(46)에는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47)가 마련된다.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47)는 방사상으로 유로 형성부(46)에 형성되어 각각의 일단이 공기 공급구(43)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 공기 안내유로(47)의 타단에는 공기 유입구(48)가 마련된다.
지지 케이스(42)의 내부에는 복수의 중공관(50)이 복수의 공기 유입구(48)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중공관(50)은 내부에 피스톤 수용실(51)을 구비하고, 피스톤 수용실(51)은 지지 케이스(42)의 공기 유입구(48)와 연결된다. 중공관(50)은 지지 케이스(4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중공관(50)의 개방된 끝단은 밀폐부재(45)의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각각의 중공관(50)의 피스톤 수용실(51)에는 복부 가압 피스톤(53)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복부 가압 피스톤(53)은 피스톤 수용실(51)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한쪽 끝단이 중공관(50)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중공관(50)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환자의 복부를 가압한다. 복부 가압 피스톤(53)은 연결대(54)와, 연결대(54)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55)와, 중공관(50) 내면 둘레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결대(54)의 타단에 구비되는 패킹(56)을 포함한다. 가압부(55)는 중공관(50)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중공관(50)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에 접촉함으로써 환자의 복부를 가압한다. 각각의 복부 가압 피스톤(53)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공기압 공급장치(30)가 공기 유입구(48)를 통해 피스톤 수용실(51)에 가하는 공기압 크기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40)는 복부 가압 피스톤(53)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중공관(50)이 하나의 공기 공급구(43)에서 분기된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47)와 각각 연결되므로,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이 하나의 공기압 공급장치(30)에 의해 작동한다. 그러나 공기압 공급장치(30)로부터 공기 공급구(43)에 정량화된 압력의 압축 공기가 공급하더라도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 중에서 작동하는 복부 가압 피스톤(53)은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케이스(42)에는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47)를 각각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유로 개폐기구(58)가 설치된다.
유로 개폐기구(58)는 공기 안내유로(47)를 개폐함으로써 공기 안내유로(47)를 통한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다. 유로 개폐기구(58)는 유로 개폐부재(59)와, 유로 개폐부재(59)에 결합되는 작동 로드(61)와, 작동 로드(61)에 결합되는 레버(62)를 포함한다.
유로 개폐부재(59)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60)를 가지며, 공기 안내유로(47)를 개폐할 수 있도록 공기 안내유로(4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통로(60)는 유로 개폐부재(59)의 중앙에 직선형으로 마련된다. 유로 개폐부재(59)의 통로(60)가 공기 안내유로(47)와 일치하게 놓이면, 공기 공급구(43)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공기 안내유로(47) 및 유로 개폐부재(59)의 통로(60)를 통과하여 중공관(50)의 피스톤 수용실(5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유로 개폐부재(59)가 회전하여 통로(60)가 공기 안내유로(47)에서 벗어나면, 공기 안내유로(47)가 유로 개폐부재(59)로 막혀 공기 공급구(43)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중공관(50)의 피스톤 수용실(51)로 유입될 수 없다.
유로 개폐부재(59)의 외면 일측에는 작동 로드(61)의 일단이 결합되는데, 작동 로드(61)는 그 타단이 지지 케이스(4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지지 케이스(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 로드(61)의 지지 케이스(4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타단에는 레버(62)가 결합된다. 검사자는 레버(62)를 조작하여 유로 개폐부재(59)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 안내유로(47)를 개폐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지지 케이스(42) 내부에는 유로 개폐부재(5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나, 유로 개폐부재(59)와 지지 케이스(42)의 내면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나, 지지 케이스(42)와 작동 로드(61)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 개폐기구(58)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공기 안내유로(47)를 개폐함으로써 공기 안내유로(47)를 통한 공기 유동을 단속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밖에, 공기 안내유로(47)의 개수나 배치 구조, 이에 연결되는 중공관(50)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47)가 지지 케이스(42) 끝단 쪽에 마련된 유로 형성부(46) 내에 마련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공기 안내유로(47)는 지지 케이스(42) 내부에 지지 케이스(42)와 별도로 구비되는 별도의 공기 안내관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관(50)은 공기 안내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그 내부의 공기 안내유로(47)와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부 가압장치(40)는 하나의 공기압 공급장치(30)를 이용하여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을 한꺼번에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으로 환자의 복부를 넓은 부위에 걸쳐 정량화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유로 개폐기구(58)를 이용하여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53) 중에서 일부 복부 가압 피스톤(53)만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환자의 복부의 특정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40 : 복부 가압장치 12, 42 : 지지 케이스
13, 48 : 공기 유입구 14, 44 : 튜브 연결관
15, 45 : 밀폐부재 17 : 복부 고정기구
18 : 신체결합 패드 19 : 연결 벨트
20 : 수 연결기구 21 : 암 연결기구
23, 50 : 중공관 24, 51 : 피스톤 수용실
26, 53 : 복부 가압 피스톤 27, 54 : 연결대
28, 55 : 가압부 29, 56 : 패킹
30 : 공기압 공급장치 31 : 공급 튜브
43 : 공기 공급구 47 : 공기 안내유로
58 : 유로 개폐기구 59 : 유로 개폐부재
61 : 작동 로드 62 : 레버

Claims (11)

  1.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지지 케이스;
    상기 지지 케이스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복부 고정기구;
    내부에 피스톤 수용실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수용실이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관;
    상기 피스톤 수용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한쪽 끝단이 상기 중공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상기 중공관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복부 가압 피스톤; 및
    상기 복부 가압 피스톤을 환자의 복부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정량화된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복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의 개방된 일단 둘레에 구비되고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가압 피스톤은, 연결대와, 상기 중공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상기 중공관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와, 상기 중공관 내면 둘레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고정기구는, 환자의 신체에 결합되는 신체결합 패드와, 상기 지지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신체결합 패드와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6.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공기 공급구가 마련된 지지 케이스;
    상기 지지 케이스를 환자의 복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복부 고정기구;
    내부에 피스톤 수용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케이스 내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중공관;
    상기 공기 공급구와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피스톤 수용실을 연결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피스톤 수용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한쪽 끝단이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 및
    상기 복수의 복부 가압 피스톤을 환자의 복부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중공관 각각의 내부에 정량화된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를 통한 공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공기 안내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로 개폐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기구는, 상기 공기 안내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유로 개폐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 개폐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상기 지지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타단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환자의 복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의 개방된 일단 둘레에 구비되고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가압 피스톤은, 연결대와, 상기 중공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상기 중공관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복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와, 상기 중공관 내면 둘레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가압장치.
KR1020140011384A 2014-01-29 2014-01-29 복부 가압장치 KR10148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84A KR101487127B1 (ko) 2014-01-29 2014-01-29 복부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84A KR101487127B1 (ko) 2014-01-29 2014-01-29 복부 가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127B1 true KR101487127B1 (ko) 2015-01-28

Family

ID=5259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84A KR101487127B1 (ko) 2014-01-29 2014-01-29 복부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1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89A1 (ko) * 2015-10-13 2017-04-20 한국 한의학 연구원 기능성 위장장애의 진단을 보조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101771357B1 (ko) * 2016-05-13 2017-08-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자기 공명 영상촬영용 국소 압력 자극기
CN114028185A (zh) * 2021-11-29 2022-02-11 上海绮心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妇产科专用的产后康复按压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4931B2 (ja) * 2002-10-18 2010-02-17 セル−コム エルエルシー 仮想診察機能を用いる遠隔地の患者の直接触診診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4931B2 (ja) * 2002-10-18 2010-02-17 セル−コム エルエルシー 仮想診察機能を用いる遠隔地の患者の直接触診診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89A1 (ko) * 2015-10-13 2017-04-20 한국 한의학 연구원 기능성 위장장애의 진단을 보조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101771357B1 (ko) * 2016-05-13 2017-08-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자기 공명 영상촬영용 국소 압력 자극기
CN114028185A (zh) * 2021-11-29 2022-02-11 上海绮心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妇产科专用的产后康复按压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6078A1 (en) Pain monitor for a patient undergoing a medical procedure
KR101487127B1 (ko) 복부 가압장치
JP7093777B2 (ja) 血液の流れ及び呼吸の流れ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CN102172329B (zh) 呼吸检测装置
US20080032273A1 (en) Anatomical model
TW200630068A (en)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eye diagnosis
BR0016394A (pt) Dispositivo para compressão das extremidades inferiores para fins de formação de imagem para diagnóstico médico
CA3018094C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locate, measure, monitor, and treat inflammation of the skin's soft tissue and fascia layers
US20130035611A1 (en) Vaginal Bio-mechanics Analyzer
WO2020078486A1 (en) A device for measuring muscle strength, a method for determining muscle function, a method for testing the muscle performance of athletes, a method for testing prepara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arcopenia and use thereof
JP6794438B2 (ja) 乳房検診を容易にする装置を備える画像診断システム
CN108236451A (zh) 直肠检查装置的探头及直肠检查装置
CN111820951A (zh) 一种卵巢囊肿检测装置
US5662121A (en) Medical diagnostic device for applying controlled stress to joints
EP2868268A1 (en) System for evaluating pain modulation, spatial and/or temporal summation of pain or descending inhibition of pain in a human
Ok et al. Strain ratio measurements of patellar and Achilles tendons with different reference regions in healthy volunteers
US20150094593A1 (en) Cuff for Accentuating Venous Flow
KR101073929B1 (ko) 맥파측정장치
Torres et al. Respiratory inductance plethysmography for long-distance medical consultation using mobile application for Android smartphones
TWI546050B (zh) 可用於近端與遠端脈診的脈診設備
JP2008161649A (ja) 簡易圧感覚検査器
JP3158871U (ja) 簡易圧感覚検査器
KR101029785B1 (ko) 혈압측정장치
RU24724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блюдения динамики отека конечностей
CN208709850U (zh) 直肠检查装置的探头及直肠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