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871B1 -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871B1
KR101486871B1 KR1020130094184A KR20130094184A KR101486871B1 KR 101486871 B1 KR101486871 B1 KR 101486871B1 KR 1020130094184 A KR1020130094184 A KR 1020130094184A KR 20130094184 A KR20130094184 A KR 20130094184A KR 101486871 B1 KR101486871 B1 KR 10148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unit
cooling medium
mel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9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02Sectional flasks, i.e. with divided, articulated, or interchangeable sid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7/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pattern from the mould or for turning over the flask or the pattern plate
    • B22C17/02Moulding machines with pin lifting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8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sprinkling, cooling, or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5Cooling or heating equipment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유닛과, 관통구에 배치되고 상호 접촉하는 단부가 암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구비하는 주형 및 공간 내에서 주형 하부에 배치되고, 승강 이동으로 주형 내로 삽탈 가능한 승강로드를 구비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용융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주형을 지지프레임에 배치하고, 고정하는 과정과, 결합된 주형으로 용융물을 출탕하는 과정, 주형에 냉각매체를 주입하여 용융물을 응고하는 과정, 응고물을 하부를 승강로드의 상승에 의해 밀어내어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이동기로 주형을 상승시켜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주형을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주형 외부로의 용융물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형 내부에 냉각매체를 공급함으로써 용융물을 신속하게 응고시킬 수 있어 주형에 용융물이 융착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 용융물의 융착에 의해 요구되는 유지보수 횟수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Mol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agulation using it}
본 발명은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주형 외부로의 용융물 유출을 방지하고 주형 내 용융물의 융착을 억제할 수 있는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분 조정을 통한 신강종 및 대체 강종 개발과정에서 원료의 용융을 통한 선분 분석과 측정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일정량의 소재와 합금철 배합을 통해 유도로 용해를 하고 경동을 통해 용융물을 주형에 저장 응고 후 분리 과정을 거쳐 각종 분석과 측정 실험을 한다.
이때, 주형(鑄型, mold)은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용융된 금속을 공간 내로 유입하여 주물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틀로서 유입하는 재료의 온도에 따라 적정한 내열 재료로 제조된다. 주물을 만들 때는 주형에는 모래, 금속, 주로 철강이 사용되는데 각기 사형(砂型), 금형(金型)이라고 불린다. 이 밖에 내화물의 모래에 열경화성 수지를 섞어서 만드는 셀형(shell 型) 등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의 측면에 날개모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 체결 후 주형을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용융물의 저장과 냉각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 및 분리하여 주형을 사용하는 경우, 조립 및 분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용융물의 저장 및 응고 과정에서 주형을 장시간 사용하여 주형의 순환율이 저하되고, 실험 업무의 부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응고물을 생산하기 위해 복수의 주형을 구비함으로써 주형을 제작하기 위한 소모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주형의 조립과정에서 주형을 고정하는 볼트-너트의 조임 상태가 불안정하여 주형에 틈이 발생하거나, 주형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주형으로 출탕하는 용융물이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이로 인한 유지보수 과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KR 2011-0069550 A1
본 발명은 용융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형을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하여, 주형의 순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형 표면의 용융물 접촉시간을 단축하여 융착에 의한 주형의 표면 손상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주형의 유지보수 횟수 및 소모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관통구에 배치되고, 상호 접촉하는 단부가 암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구비하는 주형,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주형 하부에 배치되고, 승강 이동으로 상기 주형 내로 삽탈 가능한 승강로드를 구비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상호 대향 배치되어 접촉 결합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결합단 및 제2 결합단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 또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형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 둘레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형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주형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각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과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형에는 상기 주형 내부에 냉각매체를 공급하는 냉각매체 공급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매체 공급유닛은 상기 냉각매체를 수용하는 냉각매체 저장기와, 상기 냉각매체 저장기에 일단이 연결되는 냉각매체 경유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매체 경유관은 냉각매체 공급관 및 냉각매체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에는 내부에 냉각매체가 이동 가능한 냉각매체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매체 이동로에는 상기 냉각매체 경유관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면에서 상기 관통구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는 지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핀이 삽입 가능한 삽입홀이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핀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핀에는 고정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상면에는 이동고리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고리에 이동기를 체결하여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주형을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주형의 외측에는 상기 주형의 온도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온도감지기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감지기가 측정한 상기 주형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각매체 공급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고물 제조 방법은 용융물을 응고물로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융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주형을 지지프레임에 배치하고,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합된 주형으로 상기 용융물을 출탕하는 과정, 상기 주형에 냉각매체를 주입하여 상기 용융물을 응고하는 과정, 상기 응고물을 하부를 승강로드의 상승에 의해 밀어내어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이동기로 상기 주형을 상승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융물을 출탕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주형 내에 냉각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용융물의 출탕 시, 상기 용융물의 초기 응고를 촉진시키고,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응고물을 분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을 출탕하거나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주형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주형의 온도가 초기 주형의 온도에 비해 증가하면, 상기 냉각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형의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주형의 순환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응고물의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형을 구성하는 유닛들의 결합 시, 유닛들의 결합단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용융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융물의 유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형 내부에 냉각매체를 공급함으로써 용융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 용융물이 주형에 융착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융물이 주형 내측면에 융착되어 주형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주형의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거나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의 상부 및 하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제1 결합단 및 제2 결합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사용하여 응고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볼트-너트 체결방식의 주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의 상부 및 하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제1 결합단 및 제2 결합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 장치(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관통구(115)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0)을 구비하는 지지유닛(100)과, 관통구(115)에 배치되고, 접촉하는 단부가 암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을 구비하는 주형(200), 지지프레임(110)의 공간 내에서 주형(200) 하부에 배치되고, 승하강 이동으로 주형(200) 내로 삽탈 가능한 승강로드(330)를 구비하는 승강유닛(300)을 포함한다.
지지유닛(100)은 주형(200)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주형(200)을 결합 고정하는 지지핀(13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주형(200)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주형(200)의 하부가 삽입가능한 관통구(115)가 형성된다. 이때, 주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나, 지지프레임(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프레임(110)은 주형(200)이 관통되며 지지유닛(100)에 지지가 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관통구(115)는 지지프레임(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주형(2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주형(200)의 외부 둘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주형(200)의 외측면이 관통구(115)와 접촉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관통구(115)는 관통구(115)와 접촉 배치되는 주형(200)의 외측면 둘레와 동일한 둘레로 형성되고, 주형(200)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50% 높이가 되는 지점의 주형(200) 둘레와 동일한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구(115)는 주형(200)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부의 둘레보다는 크고 상부의 둘레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관통구(115)에 주형(200)의 중앙부(주형의 길이를 기준으로 중앙으로부터 소정영역)와 접촉되고, 주형(200)이 관통구(115)에 삽입 배치되는 경우, 주형(200)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관통구(115)는 주형(200)의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이 접촉 결합하였을 경우에 주형(200)의 외측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둘레를 갖고 형성되어 주형(200)이 지지되었을 때,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 의 접촉부위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핀(130)은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형(20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10)의 상면에서 관통구(115)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장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핀(130)은 지지프레임(110)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지지핀(130)은 주형(200)을 형성하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가장 넓은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프레임(1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주형(200)은 용융물을 적정 크기로 형상화하여 응고물로 제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용융물이 통과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의 폭과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을 포함하여 중공형의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200)은 내부 공간이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200)의 상부의 일방향 폭이 HT이고, 하부의 일방향 폭이 HB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주형이 상부측 둘레가 하부측 둘레에 비해 증가한 둘레를 가지고 주형의 상부측의 둘레 HT는 관통구(115)보다 증가한 둘레를 갖고, 하부측의 둘레 HB는 관통구(115)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이에 주형(200)의 자중에 의해 지지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용융물이 응고된 후 응고물을 얻었을 때에 각각 필요한 폭을 갖는, 다수의 응고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유닛(210)은 전술한 용융물 수용 공간의 일 영역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형의 사각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절반으로 절단한 중공형의 'ㄷ'자 모양의 평면모양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곳에 제1 결합단(215)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유닛(210)의 상부는 'ㄷ'자의 돌출된 단부가 각각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즉, 돌출 단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되어 있어 상부에 용융물이 주입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한편, 제1 유닛(210)의 하부는 'ㄷ'자의 돌출 단부가 이격되어 있지 않고 이어져 결과적으로 평면모양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 유닛(210)은 'ㄷ'자 형태에서, 세로 및 가로의 길이 변경에 따라 주형(2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폭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유닛(230)은 제1 유닛(210)과 대응되는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중공형의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을 길이방향으로 절반으로 절단한 중공형의 반 다각기둥 또는 반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곳에 제2 결합단(235)이 형성된다. 즉, 제2 유닛(230)은 제1 유닛(210)과 결합하여 용융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유닛(230)은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제1 유닛(210)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내부에는 내부에 냉각매체를 수용하여 냉각매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에는 후술하는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의 냉각매체 경유관(53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승강유닛(300)의 승강로드(330)가 삽탈 가능하도록 오목부(213.23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213.233)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에 각각 반원의 평면 형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에 형성된 오목부(213.233)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이 결합하여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30)은 상호 대향 배치되어 접촉 결합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결합단(215) 및 제2 결합단(235)에서, 평면형상은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 결합단(215) 및 제2 결합단(235)의 평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 또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결합단(215)은 돌출되며 단부의 평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단(215)과 접촉되는 제2 결합단(235)은 단부의 평면 형상이 삼각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 및 (c)의 변형 형태와 같이, 제1 결합단(215) 및 제2 결합단(235)은 요철(凹凸)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1 결합단(215)과 제2 결합단(235)이 물결모양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물결모양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1 결합단(215) 및 제2 결합단(235)의 평면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으나 암수형태로 형성되어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형성되는 주형(200)은 지지프레임(110)의 내측 하면에 접촉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200)은 지지프레임(110)의 관통구(115)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주형이 지지프레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됨으로써 주형(200)의 자중(주형 자체의 무게)에 의해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이 더욱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주형(200)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높이는 한정하지 않으나, 이격되는 공간 내에 승강유닛(300)이 배치되고, 승강유닛(300)의 승강기(310)와 접촉하지 않는 높이에 주형(200)의 바닥면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형의 외측에는 지지프레임(110)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주형(200)의 외측에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250)가 구비된다.
지지플레이트(250)는 지지유닛(100)의 지지핀(130)에 삽입되는 삽입홀(255)이 형성되며, 삽입홀(255)에 지지핀(130)이 삽입함으로써 주형(200)을 지지프레임(110)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측면(즉, 'ㄷ'자 형상에서 돌출부를 연결하는 기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플레이트(250)에 지지핀(130)이 삽입된 후, 지지플레이트(250)와 지지핀(130)의 결합을 견고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4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지지핀(130)과 고정부재(400)를 볼트-너트의 방식으로 주형(200)을 지지프레임(1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주형(2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유닛(100)에 고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형(200)을 구성하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과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 각각에 형성되는 제1 결합단(215) 및 제2 결합단(235)에 대해 각각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결합단(215)과 제2 결합단(235)은 암수의 형태로 구성될 뿐,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30)의 형상은 유사하므로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30)의 역할은 동일 혹은 유사할 수 있다.
승강유닛(300)은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서 하면에 배치되며 주형(200)에 삽탈 가능한 승강로드(330)를 포함한다. 즉, 승강유닛(300)은 승강기(310)와 승강로드(330)로 구성되며, 승강로드(330)는 승강기(51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승강기(310)는 지지프레임(11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며, 승강기(310)의 상부에는 승강로드(330)가 장착된다.
승강로드(33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며 상승 및 하강한다. 이에, 승강로드(330)는 주형(200)의 내부로 상승 및 하강하고, 주형(200)이 형성한 공간 내로 삽탈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로드(330)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오목부(213.233)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원형의 홀로 삽탈할 수 있다. 이처럼 승강로드(330)는 주형(200) 내로 삽탈이 가능함으로써 용융물이 주형(200)에 주입되어 응고된 후, 응고물(S)을 주형(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승강로드(330)는 주형(200) 내로 삽입할 때에 응고물(S)을 밀어내게 되어 주형(200)과 응고물(S)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승강유닛(300)으로는 일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피스톤·실린더 기구(actuator), 솔레노이드(solenoi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피스톤·실린더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피스톤인 승강로드(330)가 실린더인 승강기(310) 내부로 삽탈하며 왕복 운동함으로써, 응고물(S)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300)은 승강로드(330)의 삽탈 거리 및 삽탈력을 조절하여 주형(200)으로부터 응고물(S)을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승강로드(330)가 응고물(S)을 밀어낼 뿐만 아니라 응고물(S)에 타격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응고물(S)을 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300)외에 주형(200)에 타격의 힘을 가할 수 있는 타격수단(미도시)을 별도로 구비하여 주형(200)에 진동을 발생시켜 응고물(S)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한편, 주형의 내측 하부면에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오목부(213.233)에 의해 형성되는 홀을 통해 용융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융물의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는 냉각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부재(600)는 주형(200) 내측면의 바닥면에 접촉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이 결합할 때,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3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이때, 냉각부재(600)는 하부면은 승강유닛(300)의 승강로드(330)에 접촉하며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승강로드(330)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오목부(213.233)에 의해 형성된 홀로 삽입 가능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로드는 오목부(213.233)가 형성하는 홀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냉각부재(600)는 승강로드(330)의 상단부와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구비되는 냉각부재(600)는 주형(200)의 하단 평면과 동일하게나 유사한 평면 형상 또는 단면형상을 갖고 제작될 수 있다. 즉, 냉각부재(600)는 주형(200)의 단면모양과 유사한 윗변이 긴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으로 주형(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냉각부재(6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주형(20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냉각부재(600)의 두께는 용융물의 온도에 따라 두께를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주형(200)으로 출탕하는 용융물의 초기 응고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재(600)는 고온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방열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은 주형(200) 내부로 냉각매체를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용융물(M)의 응고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냉각매체를 공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은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로 냉각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은 냉각매체가 수용되는 냉각매체 저장기(510)와, 냉각매체 저장기(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에 연결되어 냉각매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냉각매체 경유관(530)을 포함한다.
냉각매체 저장기(342)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으로 공급되는 냉각매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며, 일정한 양의 냉각매체를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냉각매체 저장기(510)는 주형(200) 내부를 순환한 냉각매체를 다시 수용하여 일정 온도로 낮춰 재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냉각매체를 공급한 후, 다시 수용하여 재 공급함으로써, 냉각매체의 순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주형(200)에 공급하기 위한 냉각매체를 일정량만 구비하여 주형(200)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냉각매체 경유관(530)은 냉각매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냉각매체 경유관(530)은 냉각매체 저장기(510)로부터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에 각각 형성된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까지 냉각매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냉각매체 경유관(530)은 냉각매체 저장기(510)로부터 주형(200)에 공급되는 냉각매체가 경유하는 냉각매체 공급관(531)과,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를 순환 후 배출되어 냉각매체 저장기(510)로 이동하는 냉각매체가 경유하는 냉각매체 배출관(5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냉각매체 공급관(531)과 냉각매체 배출관(533)이 주형(200)의 측면의 상부에 상호 이격 배치하였다. 이때, 냉각매체 배출관(533)으로 냉각매체가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냉각매체 배출관(533)에는 흡입수단(미도시)가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하부까지 순환한 냉각매체가 흡입수단의 흡입력에 의해 냉각매체 배출관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은 주형(200)으로의 용융물의 출탕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곳에 연결되어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로 냉각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냉각매체는 특정한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냉각수, 냉각가스와 같이 순환하며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사용될 수 있고,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 내부를 순환할 때에 안정적으로 순환할 수 있는 매체가 사용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각매체는 냉각매체 경유관(530)을 통해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로 공급되어 주형에 출탕된 용융물(M)이 냉각 응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용융물과 주형(200)의 온도차를 증가시킴으로써 용융물이 주형(200) 내측면에 융착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에 유입되는 냉각매체의 차가운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출탕된 용융물을 간접 냉각시킨다. 즉, 출탕된 용융물은 주형(200)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기존 주형(200)의 표면 온도에 의해 직접 냉각되며,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30)으로 공급되는 냉각매체에 의해서 2차적으로 간접 냉각 응고된다. 이때, 출탕된 용융물은 온도차에 의해 응고가 진행되면서 수축하며 응고물(S)을 형성하며 응고가 완료되면 주형(200)과 응고물(S)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틈)이 발생한다. 이에, 용융물(M)이 주형(200)에 융착되는 것이 억제되거나 방지됨으로써 주형(200)의 생산성 및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용융물(M)의 융착에 의해 유지보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때, 용융물을 단시간에 냉각 응고가 요구되는 경우, 냉각매체의 차가운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용융물을 주형(200)에 천천히 유입시킨다. 이처럼, 용융물을 주형(200)에 주입시키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용융물의 냉각 응고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냉각매체 경유관(530)과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 사이에는 냉각매체 경유관(530)과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7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와 연결된 냉각매체 연결관(290)이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와 외부를 연통한다. 이때, 냉각매체 경유관(530)과 연결관(290)을 연결하거나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을 분리할 때, 연결부재(700)를 통해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을 연결관(29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재(700)가 구비되어 주형(200)의 냉각이 요구되지 않을 때는 연결부재(700)를 분리하여 연결관(290)과 냉각매체 경유관(530)을 분리시키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주형 장치(1)에서 주형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는 주형(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주형(200)의 외측에 접촉하여 구비되거나 이격되어 구비되어(접촉방식 또는 비 접촉방식으로) 주형(2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감지 수단으로는 다양한 감지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 접촉방식으로 주형(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주형(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를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온계(pyromet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온도감지기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주형(200)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온도감지기가 각각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온도를 측정하여 주형(200)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주형 장치(1)의 외측에는 온도감지기에 의해 측정된 주형(200)의 온도 변화에 따라 냉각매체 공급유닛(500) 및 승강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주형(200)의 온도에 따라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을 작동시키거나, 승강유닛(300)의 승강로드(33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감지기에 의해 측정된 주형(200)의 온도가 제어기로 전달되면, 제어기는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의 냉각매체가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로 공급되도록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즉, 제어기는 주형(200)의 온도가 기존 온도보다 높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냉각매체를 주형(200)으로 공급하도록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승강유닛(300)의 승강로드(330)가 상승하며 응고물(S)을 밀어내는 시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주형(200)에 용융물이 출탕하여 주형(200)의 온도가 변화하는 시점을 온도감지기가 감지한 후, 용융물이 응고되어 응고물이 형성되기 까지의 시간을 기존 공정에 의해 설정하여 용융물 출탕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승강유닛(300)을 작동시켜 작업자가 수동으로 승강유닛(300)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기에 의해서 자동으로 승강유닛(3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기는 신호를 받아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컨대, PLC판넬,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신호 전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주형(200)에는 이동고리(2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동고리(270)는 주형(200)의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이동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주형이 상승 및 하강 할 수 있다. 즉, 이동고리(270)는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에 각각 구비된다. 일례로, 이동기는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동고리(270)는 크레인의 후크를 걸기 위해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이동고리(270)에 이동기를 연결하여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을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상부로 상승시켜 분리함으로써 주형(200)을 취외할 수 있고 반대의 동작에 의해 주형(200)을 지지프레임(110)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이동고리(270)는 이동기의 종류와 이동기 후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주형 장치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사용하여 응고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고물 제조 방법은, 용융물을 응고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용융물(M)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주형(200)을 지지프레임(110)에 배치하고, 고정하는 과정과, 결합된 주형(200)으로 용융물(M)을 출탕하는 과정, 주형(200)에 냉각매체를 주입하여 용융물(M)을 응고하는 과정, 응고물(M)의 하부를 승강로드(330)의 상승에 의해 밀어내어, 주형(200)으로부터 응고물(M)을 분리하는 과정 및 이동기로 주형(200)을 상승시켜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우선, 지지프레임(110)의 관통구(115)에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주형(20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제1 결합단(215) 및 제2 결합단(235)은 서로 접촉하며 배치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10)에 주형(2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된 지지핀(130)을 주형(200)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50)에 삽입한다. 즉, 지지플레이트(250)의 삽입홀(255)에 지지핀(130)을 삽입함으로써 주형(200)을 지지유닛(10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핀(130)과 지지플레이트(250)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핀(130)에 고정부재(400)를 체결하여 주형(200)의 움직임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형(200)의 내측 바닥면에는 주형(200)의 바닥부로 용융물(M)이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초기에 공급되는 용융물(M)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냉각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a)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2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주형(200)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탈 가능한 승강로드(330)의 상단에 냉각부재(600)가 배치되고, 승강로드(330)를 하강함으로써 냉각부재(600)를 주형(200) 내측 바닥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형(200)이 형성된 후, (b)와 같이 고온의 용융물(M)이 주형(200)의 내부공간으로 출탕한다. 이때, 용융물(M)은 용강 및 용선일 수도 있고 다양한 재료의 용융물일 수 있다. 이처럼, 용융물(M)이 출탕하거나,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의 측면에 연결된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을 작동하여, (c)처럼 제1 유닛(210) 및 제2 유닛(230) 내부에 형성된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에 냉각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의 작동은 작업자가 용융물(M)의 출탕시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을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용융물(M)이 주형(200)으로 출탕하여 주형(200)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주형의 외측에 구비된 온도감지기(미도시)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을 작동할 수도 있다.
이처럼, 냉각매체가 냉각매체 이동로(217, 237)를 순환함으로써, 주형(200)에 출탕된 용융물(M)의 응고를 촉진할 수 있다. 즉, 냉각매체의 찬기에 의해 용융물(M)의 열기가 낮아지게 되고 용융물(M)은 열기를 빼앗기게 되어 응고가 촉진된다. 이에, 용융물(M)이 응고하며 수축됨으로써 주형(200)과 접촉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용융물이 주형(200)에 융착이 억제되거나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융물(M)은 응고물(S)로 응고되고, 응고물(S)을 주형(2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승강로드(330)를 상승시킨다. 이때, (e)에 도시된 것처럼 응고물(S)은 주형(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응고물(S)의 분리가 완료된 후, (f)와 가같이 냉각부재(600)를 주형(200)으로부터 분리해내고, 주형(200) 지지유닛(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고정부재(400)를 지지핀(13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이동고리(270)에 주형(200)을 상승 가능하게 하는 이동기를 연결하여 주형(200)을 지지유닛(100)으로부터 분리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형을 지지프레임에 지지하고 지지프레임에 지지 시, 주형을 지지프레임 내측 바닥면과 이격시켜 안착함으로써, 주형의 자중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주형을 구성하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결합단을 암수 형태로 형성하여 결합단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주형에 출탕하는 용융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융물의 유출에 의해 발생하는 유지보수가 요구되지 않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형 내부에 냉각매체를 공급하고, 주형 내부 바닥부에 냉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용융물의 초기 응고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에, 용융물이 주형에 융착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 융착에 의한 주형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주형의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M : 용융물 S : 응고물
1 : 주형 장치 100 : 지지유닛
110: 지지프레임 130 : 지지핀
200 : 주형 210 : 제1 유닛
215, 215b, 215c : 제1 결합단 230 : 제2 유닛
235, 235b, 235c : 제2 결합단 217, 237 : 냉각매체 이동로
250 : 지지플레이트 270 : 이동고리
300 : 승강유닛 310 : 승강기
330 : 승강로드 400 : 고정부재
500 : 냉각매체 공급유닛 600 : 냉각부재
700 : 연결부재

Claims (12)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관통구에 배치되고, 상호 접촉하는 단부가 암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구비하는 주형;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주형 하부에 배치되고, 승하강 이동으로 상기 주형 내로 삽탈 가능한 승강로드를 구비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주형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상호 대향 배치되어 접촉 결합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결합단 및 제2 결합단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 또는 요철을 포함하는 주형 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 둘레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주형 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주형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주형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각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과 접촉 배치되는 주형 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에는 상기 주형 내부에 냉각매체를 공급하는 냉각매체 공급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매체 공급유닛은 상기 냉각매체를 수용하는 냉각매체 저장기와;,
    상기 냉각매체 저장기에 일단이 연결되는 냉각매체 경유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매체 경유관은 냉각매체 공급관 및 냉각매체 배출관을 포함하는 주형 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에는 내부에 냉각매체가 이동 가능한 냉각매체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매체 이동로에는 상기 냉각매체 경유관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주형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면에서 상기 관통구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는 지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핀이 삽입 가능한 삽입홀이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핀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핀에는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주형 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상면에는 이동고리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고리에 이동기를 체결하여 상기 지지유닛으로부터 상기 주형을 분리 가능하게 하는 주형 장치.
  9.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외측에는 상기 주형의 온도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온도감지기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감지기가 측정한 상기 주형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각매체 공급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주형 장치.
  10. 용융물을 응고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용융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주형을 지지프레임에 배치하고, 고정하는 과정;
    상기 결합된 주형으로 상기 용융물을 출탕하는 과정;
    상기 주형에 냉각매체를 주입하여 상기 용융물을 응고하는 과정;
    상기 응고물의 하부를 승강로드의 상승에 의해 밀어내어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이동기로 상기 주형을 상승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응고물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을 출탕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주형 내에 냉각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용융물의 출탕 시, 상기 용융물의 초기 응고를 촉진시키고,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응고물을 분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응고물 제조 방법.
  12.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을 출탕하거나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주형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주형의 온도가 초기 주형의 온도에 비해 증가하면, 상기 냉각매체를 공급하는 응고물 제조 방법.
KR1020130094184A 2013-08-08 2013-08-08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KR10148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184A KR101486871B1 (ko) 2013-08-08 2013-08-08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184A KR101486871B1 (ko) 2013-08-08 2013-08-08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871B1 true KR101486871B1 (ko) 2015-01-28

Family

ID=5259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184A KR101486871B1 (ko) 2013-08-08 2013-08-08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1927A (zh) * 2017-06-28 2017-11-07 宁夏共享模具有限公司 一种便于整体裸浇的垂直组芯结构
KR102649755B1 (ko) * 2023-02-22 2024-03-21 (주)에이치브이엠 잉곳 냉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347A (ja) * 1992-02-21 1994-04-05 Sintokogio Ltd 鋳物砂スクイズ装置
KR19980055267U (ko) * 1996-12-26 1998-10-07 안문화 알루미늄 합금제 보빈 성형장치
KR20100050232A (ko) * 2008-11-05 2010-05-13 김경호 맨홀 주조 기구
KR20120076835A (ko) * 2010-12-30 2012-07-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물사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347A (ja) * 1992-02-21 1994-04-05 Sintokogio Ltd 鋳物砂スクイズ装置
KR19980055267U (ko) * 1996-12-26 1998-10-07 안문화 알루미늄 합금제 보빈 성형장치
KR20100050232A (ko) * 2008-11-05 2010-05-13 김경호 맨홀 주조 기구
KR20120076835A (ko) * 2010-12-30 2012-07-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물사 냉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1927A (zh) * 2017-06-28 2017-11-07 宁夏共享模具有限公司 一种便于整体裸浇的垂直组芯结构
CN107321927B (zh) * 2017-06-28 2019-06-25 共享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便于整体裸浇的垂直组芯结构
KR102649755B1 (ko) * 2023-02-22 2024-03-21 (주)에이치브이엠 잉곳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361B1 (ko) 금속 용융물로부터 주조 부품을 주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521705B (zh) 制造金属型模具的方法
KR101486871B1 (ko) 주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고물 제조 방법
JP6829325B2 (ja) 金型鋳造装置
US11173544B2 (en)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astings using it
US20150352635A1 (en) Method, Controller And Tundish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KR20120105994A (ko) 댐 이동형 턴디쉬 및 턴디쉬 댐 보수방법
CN106363133A (zh) 一种轻合金的液态成型装置
CN103170610A (zh) 利用双模圆盘浇铸机中间包浇铸阳极铜模的装置及其浇铸方法
US20170326636A1 (en) Automatic pouring machine and method for automtically pouring that have ability to pressurize
CN111618246A (zh) 一种带腔室的大型球墨铸铁磨盘的铸造生产方法
RU2549817C2 (ru)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из стержня и питающей трубки для нагрева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трубчат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спользуемых при литье металла
CN106396349B (zh) 光学玻璃圆棒一次成型及成型自动控制装置
CN110153375A (zh) 一种传动套铁型覆砂的制造装置及方法
CN105658390A (zh) 一种成型机
CN205200520U (zh) 一种底注式浇注机自动浇注系统
CN205386631U (zh) 一种合金冷却装置
CN201858888U (zh) 可重复使用的感应电炉的下部炉衬结构
KR20060025596A (ko) 링크구조와 경사냉각판을 이용한 용탕단조장치
CN103480829B (zh) 半凝固金属及其制造装置和制造方法
KR101642904B1 (ko) 수직형 반연속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EP1900458A1 (en) Casting apparatus for metal materials
CN219924521U (zh) 用于新能源汽车零部件压铸的可拆卸内循环水冷镶件
KR20130131989A (ko) 핀 조인트 및 더미 바
Hahn et al. Improved ingot casting by using numerical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6